KR101052762B1 -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 Google Patents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762B1
KR101052762B1 KR1020080129555A KR20080129555A KR101052762B1 KR 101052762 B1 KR101052762 B1 KR 101052762B1 KR 1020080129555 A KR1020080129555 A KR 1020080129555A KR 20080129555 A KR20080129555 A KR 20080129555A KR 101052762 B1 KR101052762 B1 KR 10105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loor
height adjustment
base
coupl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829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08012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7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마루바닥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장치를 균일한 높이로 조절하여 조립시키는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양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와 동일한 갯수를 갖는 안착단을 계단식 단차 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각 안착단의 높이는 수평위치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각 슬라이드돌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제공한다.
마루바닥, 시공, 높이조절장치, 보조결합기구, 안착단, 계단식 단차

Description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Jointing block of height control device for flo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마루바닥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장치를 균일한 높이로 조절하여 조립시키는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바닥 시공은 콘크리트 바닥에 직접 마루널을 깔아서 시공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평도가 균일하지 않고, 또한 그 표면이 매우 거칠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바닥 위에 마루바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업한다.
먼저, 마루널이 안착되는 지지대(각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대가 설치될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바닥에 다수의 볼트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고, 다수의 볼트 들이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면 볼트의 수나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시키면서 지지대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들에 볼트를 삽입 체결시키는 바, 상기 지지대를 볼트들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지지대의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 체결되는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키거나 지지대와 볼트간을 용접시키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볼트들에 지지대가 고정되면 지지대의 상면에 걸쳐 마루널을 깔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마루바닥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상기 지지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콘크리트 바닥에 다수의 볼트들을 심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볼트들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대에 다수의 관통구멍들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시키는 것 만큼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볼트들에 결합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들을 체결시키거나 용접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거나 너트 조립 및 용접작업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은 베이스, 미세조절부재, 높이조절부재로 구성하여 베이스에 미세조절부재 또는 높이조절부재를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균일한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를 이미 출원(특허출원 제10-2008-80031호)한 바 있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10)의 수납공간(14)에서 그 한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a)에 상기 미세조절부재(20)의 일측쪽 슬라이드돌기(22a) 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미도시됨)의 일측쪽 슬라이드돌기를 끼우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홈(13a)과 같은 높이를 갖는 다른 한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b)이 아닌 그 바로 아래쪽 또는 위쪽의 슬라이홈(13c)에 상기 미세조절부재(20)의 타측쪽 슬라이드돌기(22b) 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타측쪽 슬라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결국 상기 미세조절부재(20) 또는 높이조절부재를 베이스(10)로부터 다시 빼내어 끼우는 등 작업상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의 슬라이드홈에 미세조절부재를 수평을 맞추면서 슬라이드돌기를 끼울 때, 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의 슬라이드홈에 높이조절부재의 슬라이드돌기를 수평을 맞추면서 끼울 때, 서로 대향되는 같은 높이의 슬라이드홈에 정확하게 끼우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미세조절부재의 슬라이드돌기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슬라이드돌기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내의 슬라이드홈들중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것에 정확하게 끼워지는 것을 유도해줌으로써, 항상 베이스에 대한 미세조절부재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결합이 한 번에 이루어져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양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와 동일한 갯수를 갖는 안착단을 계단식 단차 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각 안착단의 높이는 수평위치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각 슬라이드돌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각 안착단의 표면에는 미세조절부재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안착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래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각 안착단들은 별도로 제작하여, 가장 낮은 안착단부터 점차 높아지는 안착단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각 안착단들중 가장 높은 안착단의 후면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조절부재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슬라이드돌기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내의 슬라이드홈들중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것에 항상 정확하게 끼워지는 것을 유도하여,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에 대한 미세조절부재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삽입 결합이 한 번에 이루어져 작업자의 조립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는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4)이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수납공간(14)의 양측에 다수의 슬라이드홈(13)들이 그 전후방향을 따라 등간격 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보스(12)와, 상기 지지보스(12)의 양측에 형성되고 콘크리트(1) 바닥에 고정되는 플랜지(11)로 이루어진 베이스(10)를 포함한다.
특히, 첨부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는 마루널(4)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2)가 안착되는 판형상의 안착부(21)와,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부(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22)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대(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미세조절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첨부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에 체결되도록 양측에 슬라이드돌기(32)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정사각형 중공 형태인 하단부(31)와, 상기 하단부(31)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가 안착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35)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35)의 양측에 다른 하단부의 슬라이드돌기들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슬라이드홈(34)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로 이루어지며, 지지대(2)의 높이에 맞게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하나 이상을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를 포함한다.
또한, 첨부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에 체결되도록 양측에 슬라이드돌기(32)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납작한 직사각형 중공 형태인 하단부(31)와, 상기 하단부(31)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가 안착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35)이 형성된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중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들중 원하는 높이의 것에 상기 미세조절부재(20), 또는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 또는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의 슬라이드돌기를 항상 정확하게 끼우는 것을 유도해줄 수 있는 보조결합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보조결합기구(50)의 폭은 콘크리트(1) 바닥에 장착되는 베이스(10)의 수납공간(14)에 안착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특히 상면에는 미세조절부재(20) 또는 높이조절부재(30,40)가 안착되는 면으로서 상기 베이스(10)의 양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동일한 갯수를 갖는 안착단(52)들이 계단식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결합기구(50)의 길이방향 구조를 보면, 각 안착단(52)들중 가장 낮은 안착단(52)이 가장 길고, 점차 높아지는 안착단(52)들이 점차 짧아지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가장 낮은 안착단(52)에서 가장 높은 안착단(52)까지 계단식 단차 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안착단(52)들의 높이는 수평위치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10)의 각 슬라이드홈(13)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단(52)들중 가장 낮은 안착단(52)은 상기 베이스(10)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홈(13)의 높이와 동일하게, 그리고 가장 높은 안착단(52)은 상기 베이스(10)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홈(13)의 높 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등, 서로 대응되는 각 안착단(52)과 각 슬라이드홈(13)은 같은 높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각 안착단(52)의 표면에는 미세조절부재(20) 또는 높이조절부재(30,40)가 안착되었을 때, 그 안착상태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미세조절부재(30) 또는 높이조절부재(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스크래치(5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각 안착단(52)들은 별도로 제작하여, 첨부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안착단(52)부터 점차 높아지는 안착단(52)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접철식 구조로 조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철을 위한 수단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착단(52)의 전면에 홀(55)을 형성하여 홀(55)의 내부로 가장 낮은 안착단(52)부터 삽입될 수 있게 연결한 구조, 또는 미도시되었지만 각 안착단을 링크바로 연결하는 구조, 또는 슬롯 및 핀을 이용한 연결 구조 등 공지의 접철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안착단(52)들중 가장 높은 안착단(52)의 후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56)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결합기구(50)를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미세조절부재(20)를 베이스(10)에 정확하게 끼울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50)의 안착단(52)들중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미세조절부재(20)를 안착시킨다.
이렇게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미세조절부재(20)를 안착시키면, 안착된 미세조절부재(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22)와 상기 베이스(10)의 양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수평 유지되어 서로 정확하게 대향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결합기구(50)의 손잡이(56)를 잡고 밀어 넣으면, 상기 미세조절부재(20)의 슬라이드 돌기(22)가 서로 수평위치상 일치하는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에 정확하게 삽입되며, 연이어 정확하게 초기 삽입된 미세조절부재(20)를 베이스(10)의 내부로 작업자가 더 밀어 넣게 되어 미세조절부재(20)의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 지지대(2)의 수평을 균일하게 맞추어주면서 마루바닥을 균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를 베이스(10)에 정확하게 끼울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50)의 안착단(52)들중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를 안착시킨다.
이렇게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를 안착시키면, 안착된 높이조절부재(30)의 하단부(31)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2)와 상기 베이스(10)의 양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수평 유지되어 서로 정확하게 대향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결합기구(50)의 손잡이(56)를 잡고 밀어 넣으면, 상기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의 슬라이드돌기(22)가 서로 수평위치상 일치하는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에 정확하게 삽입되며, 연이어 정확하게 초기 삽입된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를 베이스(10)의 내부로 작업자가 더 밀어 넣게 되어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30)의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지지대(2)의 수평을 균일하게 맞추어주면서 마루바닥을 균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결합기구(50)를 사용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를 베이스(10)에 정확하게 끼울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50)의 안착단(52)들중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를 안착시킨다.
이렇게 원하는 높이의 안착단(52)상에 상기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를 안착시키면, 안착된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2)와 상기 베이스(10)의 양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수평 유 지되며 서로 정확하게 대향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결합기구(50)의 손잡이(56)를 잡고 밀어 넣으면, 상기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의 슬라이드돌기(32)가 서로 수평위치상 일치하는 상기 베이스(10)의 슬라이드홈(13)에 정확하게 삽입되며, 연이어 정확하게 초기 삽입된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를 베이스(10)의 내부로 작업자가 더 밀어 넣게 되어 소형의 높이조절부재(40)의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지지대(2)의 수평을 균일하게 맞추어주면서 마루바닥을 균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가 접철식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2 : 지지대
4 : 마루널 10 : 베이스
11 : 플랜지 12 : 지지보스
13,13a,13b,13c : 슬라이드홈 14 : 수납공간
20 : 미세조절부재 21 : 안착부
22,22a,22b : 슬라이드돌기 30 : 2단 구조의 높이조절부재
31 : 하단부 32 : 슬라이드돌기
34 : 슬라이드홈 35 : 수납공간
40 : 소형의 높이조절부재 50 : 보조결합기구
52 : 안착단 54 : 스크래치
55 : 홀 56 : 손잡이

Claims (4)

  1. 콘크리트(1) 바닥에 장착되는 베이스(10)의 수납공간(14)에 안착되는 폭을 가지면서 베이스(10)의 양쪽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과 동일한 갯수를 갖는 안착단(52)을 계단식 단차 구조로 형성하되, 각 안착단(52)의 높이는 수평위치상 대응되는 베이스(10)의 각 슬라이드홈(13)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며;
    각 안착단(52)들은 별도로 제작하여, 가장 낮은 안착단(52)부터 점차 높아지는 안착단(52)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9555A 2008-12-18 2008-12-18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KR10105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55A KR101052762B1 (ko) 2008-12-18 2008-12-18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55A KR101052762B1 (ko) 2008-12-18 2008-12-18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29A KR20100070829A (ko) 2010-06-28
KR101052762B1 true KR101052762B1 (ko) 2011-07-29

Family

ID=4236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55A KR101052762B1 (ko) 2008-12-18 2008-12-18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199B1 (ko) * 2017-12-05 2019-07-08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블록용 레벨 유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03Y1 (ko) * 1998-06-01 2000-08-01 노형래 문틀고임용 블록
KR200418941Y1 (ko) * 2006-04-04 2006-06-14 홍진화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KR100762209B1 (ko) * 2006-04-19 2007-10-01 한이금속주식회사 난방용 라디에이터 받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03Y1 (ko) * 1998-06-01 2000-08-01 노형래 문틀고임용 블록
KR200418941Y1 (ko) * 2006-04-04 2006-06-14 홍진화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KR100762209B1 (ko) * 2006-04-19 2007-10-01 한이금속주식회사 난방용 라디에이터 받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29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0094A (ko) 케이블트레이
EP3519649B1 (en) Levelable cladding structure with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KR101557344B1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052762B1 (ko)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US20060080925A1 (en) Skirting board
EP2004923A1 (en) A panel attachment clip
JP7002324B2 (ja) 部材取付用治具
KR101779819B1 (ko)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JP5591727B2 (ja) ウッドデッキ
KR200360267Y1 (ko) 조적 벽체 보강용 브래킷
JP4442874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箱設置用基台
JP5223093B2 (ja) 足場用幅木
JP5909776B2 (ja) 基礎鉄筋保持具
JP6221004B1 (ja) グレーチング本体を排水溝に固定するための固定部材、及び当該固定部材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ユニット
JP2023160032A (ja) 床構造及び床部材並びに脚部材
KR200449184Y1 (ko) 케이블 지지대
CA2523321A1 (en) Skirting board
KR101008685B1 (ko)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
KR100417021B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KR102625912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003363B1 (ko) 창틀 받침용 고정장치
KR20060059620A (ko)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4484954B1 (ja) 万能型梯子固定具
JP2023119059A (ja) 階段用の接続部材
KR200234581Y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