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941Y1 -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 Google Patents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941Y1
KR200418941Y1 KR2020060008817U KR20060008817U KR200418941Y1 KR 200418941 Y1 KR200418941 Y1 KR 200418941Y1 KR 2020060008817 U KR2020060008817 U KR 2020060008817U KR 20060008817 U KR20060008817 U KR 20060008817U KR 200418941 Y1 KR200418941 Y1 KR 200418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upport
support wedge
window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화
강봉구
Original Assignee
홍진화
강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화, 강봉구 filed Critical 홍진화
Priority to KR2020060008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벽체로 창호틀을 설치할 때 틈사이로 받침쐐기를 삽입시켜 상기 창호틀을 교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가조립된 창호틀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받침쐐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쐐기는 상호 밀착되어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직삼각형상의 제1받침쐐기와 제2받침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받침쐐기의 경사면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쐐기의 표면에는 다수의 절단유도홀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의하면, 제1,2받침쐐기로 구성되어 쐐기집을 구비하지 않고 창호틀의 교정 및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될 수 있고, 상기 제1,2받침쐐기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서로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다수의 절단유도홀이 형성되어 창호틀을 교정시킨 후, 나머지부분은 간단하게 절단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창호틀, 벽체, 받침쐐기, 방수, 플라스틱

Description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SUPPORT WEDGE FOR WINDOWS FRAME FIXING}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창호틀 고정용 쐐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받침쐐기 120 : 제1받침쐐기
124, 144 : 절단유도홀 126 : 가이드돌기
140 : 제2받침쐐기 146 : 가이드홈
200 : 벽체 300 : 창호틀
본 고안은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벽체로 창호틀을 설치할 때 틈사이로 받침쐐기를 삽입시켜 상기 창호틀을 교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결로나 누수에 대한 고려가 가장 필요하고 사용빈도도 높으며 내구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사고나 부상에 대한 일상에 안전성 배려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것에는 창호가 있다.
상기 창호는 스틸이나 알루미늄제 등의 강제 창호와 플라스틱 및 목제 창호로 구별되고, 이에 요구되는 조건은 상술한 수밀, 기밀, 방음, 방화성 등이 있으며, 상기한 요구조건은 외부에 형성되는 창호틀이 얼마나 정확하게 위치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창호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호가 위치될 부분을 제외하고 벽돌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에 소정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소정공간으로 창호틀을 가조립한다.
이때, 상기 창호틀을 수직,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벽체와 창호틀의 틈으로 끼움목을 박아 그 위치를 교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끼움목을 벽체와 창호틀의 틈으로 끼울 때 크기에 맞도록 다듬어야 하고, 끼워 교정할 때마다 매번 상기와 같이 목재를 구해 일부를 잘라내어 다 듬은 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번잡스러울 뿐만 아니라, 임시방편으로 구비한 끼움목으로는 정교하게 교정된 창호틀의 수평, 수직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종래의 끼움목을 대체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창호틀 고정용 쐐기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1437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창호틀 고정용 쐐기는 건물에 가조립된 창호틀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쐐기집에 삽입되는 쐐기에 있어서, 일단에서 타단측으로 양측 접측면(11)이 수렴되고, 두께가 두꺼운측의 단부 중앙부분에 인입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12) 양측에 한 쌍의 분리홈(13)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창호틀 고정용 쐐기는 쐐기집을 별도로 구입하여 벽체와 창호틀의 틈사이로 삽입시킨 후, 상기 쇄기집의 내부로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재료원가가 이중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1) 쐐기집을 구비하지 않아도 받침쐐기만으로 벽체의 소정공간으로 삽입된 창호틀을 교정 및 고정할 수 있다.
(2) 받침쐐기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1받침쐐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받침쐐기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3) 받침쐐기에 다수의 절단유도홀이 형성되어 창호틀을 교정시킨 후, 나머 지부분은 간단하게 절단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해서, 본 고안은 건물에 가조립된 창호틀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받침쐐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쐐기는 상호 밀착되어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직삼각형상의 제1받침쐐기와 제2받침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받침쐐기의 경사면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쐐기의 표면에는 다수의 절단유도홀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건물에 가조립된 창호틀(300)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받침쐐기(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쐐기(100)는 상호 밀착되어 접촉되는 경사면(S)을 갖는 직삼각형상의 제1받침쐐기(120)와 제2받침쐐기(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받침쐐기(120,140)의 경사면(S)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26)와 가이드홈(14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받침쐐기(120,140)의 표면에는 다수의 절단유도홀(126,146)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유도홀(124,144)은 제1받침쐐기(120)와 제2받침쐐기(140)의 표면에 골이 파진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창호틀(300)을 교정 및 고정시킬 때 외부로 돌출된 남은 부분을 손으로도 절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가이드돌기(126)는 경사면(S)의 중앙부에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양단부 중 어느 한 끝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받침쐐기(140)의 가이드홈(146)은 제1받침쐐기(120)의 가이드돌기(126)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벽체(200)에 가조립된 창호틀(300)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창호틀(300)을 약간 들어올리면 틈이 생기게 되는데, 상기 벌어진 틈으로 제2받침쐐기(140)를 삽입시키고,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가이드돌기(126)를 제2받침쐐기(140)의 가이드홈(146)과 맞물리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창호틀(300)을 내려 놓는다.
이때, 상기 창호틀(300)은 교정 및 고정되지 않아 흔들거리거나 틀어져 있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후방을 망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적당한 힘으로 여러 번 타격하게 되면 제1받침쐐기(120)의 가이드돌기(126)는 제2받침쐐기(140)의 가이드홈(146)을 따라 내부로 들어갈 때 경사면(S)에 의해 높이가 올라갈 수 있어 교정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창호틀(300)이 교정 및 고정된 후에 제1,2받침쐐기(120,140)가 외부로 돌출되어 남게 되면, 절단유도홀(124,144)에 의해 손으로 잡아 뜯어내거나 망치 등을 사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가볍게 내려치면 간단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후, 실리콘으로 깔끔하게 마무리하면 모든 작업이 끝나고 완벽하게 방수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이, 원리와 구성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경사면(S)에 가이드돌기(122)와 가이드홈(144)이 함께 형성되고, 상기 제2받침쐐기(140)는 제1받침쐐기(1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받침쐐기(120,140)는 더욱 견고히 맞물릴 수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5와 같이, 원리와 구성은 동일하게 하되, 상기 제1,2받침쐐기(120,140)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홈(128,148)을 형성시켜 창호틀(300)과 벽체(200)의 틈으로 삽입시키면 쉽게 외부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제1,2받침쐐기로 구성되어 쐐기집을 구비하지 않고 창호틀의 교정 및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2) 상기 제1,2받침쐐기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서로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3) 상기 제1,2받침쐐기의 표면에 다수의 절단유도홀이 형성되어 창호틀을 교정시킨 후, 나머지부분은 간단하게 절단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다.

Claims (5)

  1. 건물에 가조립된 창호틀(300)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받침쐐기(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쐐기(100)는 상호 밀착되어 접촉되는 경사면(S)을 갖는 직삼각형상의 제1받침쐐기(120)와 제2받침쐐기(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받침쐐기(120,140)의 경사면(S)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26)와 가이드홈(146)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고정틀 받침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받침쐐기(120,140)의 표면에는 다수의 절단유도홀(126,146)이 골이 파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고정틀 받침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가이드돌기(126)는 경사면(S)의 중앙부에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양단부 중 어느 한 끝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고정틀 받침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쐐기(120)의 경사면(S)에 가이드돌기(122)와 가이드홈(144)이 함께 형성되고, 상기 제2받침쐐기(140)는 제1받침쐐기(120)와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22)와 가이드홈(1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고정틀 받침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받침쐐기(120,140)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홈(128,1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고정틀 받침쐐기.
KR2020060008817U 2006-04-04 2006-04-04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KR200418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817U KR200418941Y1 (ko) 2006-04-04 2006-04-04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817U KR200418941Y1 (ko) 2006-04-04 2006-04-04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941Y1 true KR200418941Y1 (ko) 2006-06-14

Family

ID=4176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817U KR200418941Y1 (ko) 2006-04-04 2006-04-04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9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07Y1 (ko) * 2009-12-14 2010-11-02 박경숙 문틀 시공용 버팀기구
KR101052762B1 (ko) * 2008-12-18 2011-07-29 김순석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762B1 (ko) * 2008-12-18 2011-07-29 김순석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KR200450807Y1 (ko) * 2009-12-14 2010-11-02 박경숙 문틀 시공용 버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5927B2 (en) Decorative trim assemblies
US6725614B2 (en) Decorative trim assemblies
US6276101B1 (en) Door and window surround
KR200418941Y1 (ko) 창호틀 고정용 받침쐐기
US6463707B1 (en) Decorative trim assemblies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101674343B1 (ko)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JP2005146802A (ja) 固定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外装材の施工構造
KR101855697B1 (ko) 건물 외벽용 조립식 패널의 마감재 설치구조
EP1335094A2 (en) Installing architectural finishing components in a building
JP3502832B2 (ja) リフォーム時における開口部周り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開口部周り化粧部材
KR200211399Y1 (ko) 문틀
US20080196325A1 (en) Cavity Closer Apparatus
EP1818494A2 (en) Installing architectural finishing components in a building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KR200143778Y1 (ko) 창호틀 고정용 쐐기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38907Y1 (ko) 창호틀 셋팅블럭
JP5000953B2 (ja) 開口部周り構造、開口部周り施工方法および開口部周り化粧部材
KR10052806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GB2363155A (en) Wedge shaped member for use in sub frames for bay windows
JPH07286439A (ja) 開口部枠取付け方法
KR200148928Y1 (ko) 창호틀 고정용 쐐기
KR20240029393A (ko) 손낌방지도어용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