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99B1 - 블록용 레벨 유지구 - Google Patents

블록용 레벨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99B1
KR101997199B1 KR1020170165825A KR20170165825A KR101997199B1 KR 101997199 B1 KR101997199 B1 KR 101997199B1 KR 1020170165825 A KR1020170165825 A KR 1020170165825A KR 20170165825 A KR20170165825 A KR 20170165825A KR 101997199 B1 KR101997199 B1 KR 10199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tting portion
fitting
cutting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261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6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E04G21/1883Spacers, e.g. to have a constant spacing between courses of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은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부(10);와 상기 끼움부(10)들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들 중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 외측에 배치되는 끼움부(1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부(10)는, 일측 끼움부(10)에서 타측 끼움부(1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용 레벨 유지구{Level maintenance block for block}
본 발명은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블록의 저면에 배치되어 수평을 유지하되, 상호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높이의 간격을 채울 수 있도록 한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또는 외벽 등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정밀하고 안전한 시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초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어야 한다.
즉, 최초 기반을 두는 블록의 수평 및 수직의 설정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고 가장 명확해야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최초 기반을 이루는 블록의 수평 및 수직이 맞지 않을 경우, 블록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지거나 삐뚤어진 형태로 조적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 또는 구조물은 기울어지거나 삐뚤어진 형태로 증축되어 건축물 또는 구조물 전체의 붕괴를 초래하는 안전성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래에는 블록시공시 수평부재를 콘크리트 등과 함께 설치하면서 시공과정에서 수평을 조절하거나, 작업자가 별도의 부목 등을 괴어 수평을 조절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블록의 수평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가 발생시 재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연장이 초래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고 이에 인건비의 상승 및 별도의 부목을 필요한 높이 및 길이로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442762호(2014.09.15. 등록)에서는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호간에 이격 배열되는 한 쌍의 지주대, 상기 한 쌍의 지주대 사이에서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지면을 향해 위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다수의 지지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연결되고 조적되는 벽돌의 높이로 일정하게 상호간에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는 다수의 간격유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지지대, 지주대 및 간격유지대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 및 설치 장소가 필요하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적되는 높이에 따라 보다 높은 지주대 및 지지대가 필요하고 많은 수의 간격유지대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42762호(2014.09.1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호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높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후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블록 적층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은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부(10);와, 상기 끼움부(10)들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들 중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 외측에 배치되는 끼움부(1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부(10)는, 일측 끼움부(10)에서 타측 끼움부(1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끼움부(10) 중 가장 말단에 배치되는 끼움부(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구(3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압구(30)의 일면이 상기 끼움부(10)의 단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상기 끼움부(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편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끼움부에서 타측 끼움부로 가면서 계단식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와 상기 끼움부(10)는,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몸체(11)와,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평판몸체(12)로 이루어져서, 상기 블록용 레벨 유지구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경사몸체(11)와 평판몸체(12)가 서로 번갈아서 배치되는 형태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는, 상기 끼움부(10)의 내부에 끼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14)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접착제배출구(15)가 더 형성된 것이 제공된다.
끼움부(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편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끼움부에서 타측 끼움부로 가면서 계단식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의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서, 상기 절단부(20)는 절단선(21) 및/또는 커팅홈(22)을 포함한다.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몸체(11)와 평판몸체(12)가 서로 번갈아서 배치되는 형태의 블록용 레벨 유지구에서는, 상기 절단부(20)는 절단선(21) 및/또는 커팅홈(22)을 포함하고, 하나의 끼움부(10) 내의 상기 경사몸체(11)와 상기 평판몸체(12)가 맞닿는 부위에도 절단선(21)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끼움부(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끼움부(10)가 별개로 제작되어 접착제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형성하되,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면이 끼움부 끼리 서로 맞닿는 면의 면적의 1/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접합면이 절단부(2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건설할 때, 최초 기반을 이루는 블록 뿐만 아니라 그 위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블록의 조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채움으로써 조적시 블록이 기울어지거나 삐뚤어진 형태로 조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째, 레벨 유지구 하나가 여러 단계의 두께를 구비하고 있어, 한 종류의 레벨 유지구만 준비하면 두께가 다른 다양한 틈새를 받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여러 종류의 끼움구를 구비할 필요없이 한 종류의 레벨 유지구만 준비하면 되므로 공사준비 과정이 간편하다.
네째, 일반적으로 하나의 틈새를 받칠 때 끼움구를 눈대중으로 가름하여 적당한 끼움구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맞지 않으면 적당한 다른 끼움구를 다시 찾아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레벨 유지구는 동일한 레벨 유지구 하나를 틈새에 끼우고 남는 부분을 절단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다섯째, 레벨 유지구를 끼우고 나서 절단부를 통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레벨 유지구를 투명소재로 할 경우 구조물 외관의 심미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종래기술의 조적상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용 레벨 유지구(1)는, 끼움부(10)와 절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0)는 전체적으로 하면은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돌출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끼움부(10)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끼움부(10)는 인접한 타 끼움부(10)와 상호 다른 높이를 가져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일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부(10)는 높이가 낮은 끼움부(10)부터 블록 사이에 끼워지면서 블록(500) 사이에 형성된 틈새(S)를 받치는 것으로, 상기 틈새(S)의 크기에 따라 끼움부(1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틈새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10)는 구조물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압력에 의해서 압착된 후 원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압착되지 않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10)는 블록(500)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한 레벨 유지구를 사용하게 되면 블록(500)의 벽체에 형성되는 무늬, 문양, 문구 등과 같은 조형미를 해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장 두께가 작은 끼움부(10)의 두께, 인접한 끼움부(10)들의 두께 차이 및 각 끼움부(10)의 길이는 적층되는 블록의 제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각 끼움부(10)의 길이는 10~15mm, 가장 두께가 작은 끼움부의 두께는 1~1.5mm, 인접한 끼움부(10)의 높이차는 1~1.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의 규모가 커질 경우에는, 각 끼움부(10)의 길이는 30~70mm, 가장 두께가 작은 끼움부의 두께는 3~5mm, 인접한 끼움부(10)의 높이차는 3~5mm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절단부(20)는 인접한 끼움부(10)들이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블록(500) 사이에 끼워진 끼움부(10)와 외부로 노출된 끼움부(10)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부(20)는 끼움부(10)들이 상호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되 끼움부(10)의 양측 높이 방향을 따라 절단선(21)이 형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단선(21)은 끼움부들이 맞닿는 부위에 홈을 파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이웃하는 끼움부(10)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끼움부(10)들의 경계에 절단선(21)을 형성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별개의 끼움부들을 제작한 후 끼움부들이 맞닿는 면의 일부만을 접착제로 약하게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접착제에 의한 이 접합면 중 접착제가 칠해 지지 않은 면을 따라 절단선이 형성된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끼움부(10)가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몸체(11)와 상면이 편평한 평판몸체(12)로 이루어지되 경사몸체(11)와 평판몸체(12)가 교호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몸체(11)는 상면이 끼움부(10)가 블록(500) 사이에 끼워지는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끼우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평판몸체(12)의 두께(높이)와 일치하지 않는 틈새의 높이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하나의 평판몸체(12)가 1mm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인접한 타 평판몸체(12)의 높이가 2mm 로 이루어지는 경우 1.1~1.9mm 사이의 높이로 형성되는 틈새는 평판몸체(12)가 끼워져도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경사몸체(11)가 1.1~1.9mm 사이의 틈새에 끼워짐으로써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끼움부(10)의 사이에 절단선(21)이 형성되었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끼움부(10)와 끼움부(10)의 사이에만 절단선(21)을 형성할 수도 있고(미도시), 경사몸체(11)와 평판몸체(12)가 맞닿는 부위에 절단선(21)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끼움부(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14)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접착제배출구(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로(14)와 접착제배출구(15)는 끼움부(10)가 틈새에 끼워진 후 외부로부터 접착제를 주입하고, 주입된 접착제가 접착제배출구(15)를 통해 블록 쪽으로 외부로 배출되면서 끼움부(10)가 틈새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接着劑)는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사기 등과 같이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통해 상기 배출로(14)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절단부(20)에 절단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커팅홈(2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팅홈(22)은 상기 끼움부(1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형성되되, 끼움부(10)의 내측을 향해 요입형성되며 단면이 ‘V’자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방 또는 하방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꺾이도록 형성된다.
〈제5실시예〉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끼움부(10) 중 말단에 배치되는 끼움부(10)의 일측에 끼움부(10)를 틈새(S)에 끼우는 힘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구(3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끼움부(10)는 말단에 배치된 끼움부(10)의 일면을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눌러 줌으로써 틈새에 끼워지는데, 말단에 배치된 끼움부(10)의 높이가 낮은 경우 끼우는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가압구(30)는 끼움부(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측을 향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끼움부(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끼움부(10)측으로 제대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30)가 끼움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부(10)의 일면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결합공(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30)에는 상기 결합공(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3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압구(30)가 끼움부(1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압구(30)와 끼움부(10)가 맞닿는 부위에 상기 절단부(20)가 형성됨으로써 끼움부(10)가 틈새에 배치된 후 가압구(30)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제1 내지 제5실시예에서 끼움부(10)는 구조물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압력에 의해서 압착된 후 원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압착되지 않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블록(500)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블록 구조물의 건설 중 최초 기반을 이루는 블록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블록의 조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채움으로써 조적시 블록이 기울어지거나 삐뚤어진 형태로 조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에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끼움구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틈새에 대응할 수 있고, 절단부를 통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심미감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블록용 레벨 유지구 10 : 끼움부
11 : 경사몸체 12 : 평판몸체
14 : 배출로 15 : 접착제배출구
16 : 결합공 20 : 절단부
21 : 절단선 22 : 커팅홈
30 : 가압구 31 : 결합돌기
500 : 블록 S : 틈새

Claims (10)

  1. 하면은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부(10);와,
    상기 끼움부(10)들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0)들 중 블록(500)과 블록(500) 사이의 틈새(S) 외측에 배치되는 끼움부(1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부(10)는,
    일측 끼움부(10)에서 타측 끼움부(1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끼움부(10) 중 가장 말단에 배치되는 끼움부(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구(3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압구(30)의 일면이 상기 끼움부(10)의 단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편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끼움부에서 타측 끼움부로 가면서 계단식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0)는,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몸체(11)와,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평판몸체(12)로 이루어져서,
    상기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경사몸체(11)와 평판몸체(12)가 서로 번갈아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0)의 내부에 끼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14)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접착제배출구(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는 절단선(21) 또는 커팅홈(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는 절단선(21) 또는 커팅홈(22)을 포함하고,
    하나의 끼움부(10) 내의 상기 경사몸체(11)와 상기 평판몸체(12)가 맞닿는 부위에도 절단선(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용 레벨 유지구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움부(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끼움부(10)가 별개로 제작되어 접착제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블록용 레벨 유지구를 형성하되,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면이 끼움부 끼리 서로 맞닿는 면의 면적의 1/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접합면이 절단부(2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레벨 유지구.
KR1020170165825A 2017-12-05 2017-12-05 블록용 레벨 유지구 KR10199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25A KR101997199B1 (ko) 2017-12-05 2017-12-05 블록용 레벨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25A KR101997199B1 (ko) 2017-12-05 2017-12-05 블록용 레벨 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61A KR20190066261A (ko) 2019-06-13
KR101997199B1 true KR101997199B1 (ko) 2019-07-08

Family

ID=6684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25A KR101997199B1 (ko) 2017-12-05 2017-12-05 블록용 레벨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94B1 (ko) *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KR200438907Y1 (ko) * 2006-10-20 2008-03-11 (주)미백창호 창호틀 셋팅블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7816C2 (de) * 1987-01-13 1993-10-14 Unistrut Europ Plc Bedford Halte- und Traganker
KR101052762B1 (ko) * 2008-12-18 2011-07-29 김순석 마루바닥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의 보조결합기구
KR101442762B1 (ko) 2013-11-15 2014-09-23 배경자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94B1 (ko) *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KR200438907Y1 (ko) * 2006-10-20 2008-03-11 (주)미백창호 창호틀 셋팅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61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4060A1 (en) Rigid foam building panel
US20190078314A1 (en) Method for forming a plurality of beams connected in series
KR102071129B1 (ko) 유리칸막이
CN102235086A (zh) 钢管结合装置
KR101997199B1 (ko) 블록용 레벨 유지구
KR102210482B1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100842112B1 (ko) 시스템 서포트
CN104947940A (zh) 变形钢筋连接装置
CN210368604U (zh) 一种新型路桥过渡段路基结构装置
CN115339716B (zh) 粘合物排出装置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CN209324813U (zh) 贴泡棉装置
CN106223535A (zh) 组合墙板
CA2313263C (en) Housing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panel and house using housing panel
KR102000784B1 (ko) 방수턱 거푸집
KR102578180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JP6438515B2 (ja) 敷桟具
CN213449464U (zh) 一种建筑钢模板用固定装置
WO2004072395A8 (es) Junta de dilatacion para obras de hormigon
CN214333040U (zh) 一种机房专用空调外机加固结构
KR200363063Y1 (ko)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KR100838320B1 (ko) 분리형 탈부착식 상판
CN210565538U (zh) 一种新型玻璃夹
US20240360683A1 (en) Tile-setting snap-clip lippage control
KR102059434B1 (ko) 부품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