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63Y1 -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63Y1
KR200363063Y1 KR20-2004-0019032U KR20040019032U KR200363063Y1 KR 200363063 Y1 KR200363063 Y1 KR 200363063Y1 KR 20040019032 U KR20040019032 U KR 20040019032U KR 200363063 Y1 KR200363063 Y1 KR 200363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horizontal
formwork
suppor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기
Original Assignee
황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기 filed Critical 황동기
Priority to KR20-2004-0019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 축조 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을 배치할 때, 상기 거푸집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판, 거푸집을 받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가 상하 이동하여 수평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바와 상기 고정판을 상호 연결하는 브래킷을 포함한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에 있어서,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와 바닥 사이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판상의 틈새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Horizontal support on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 축조 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을 배치할 때, 상기 거푸집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둥 또는 벽체를 축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기둥 또는 벽체가 되는 지점에서 철근의 배근작업을 한 후, 이곳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의 형을 뜨는 거푸집을 배치하게 된다. 근래에는 벽체를 구축할 경우 타이볼트 등을 이용하여 내ㆍ외측 거푸집을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시킨 다음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며, 특히 벽체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경우는 목제 거푸집을 사용하는 한편 안쪽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경우는 대체로 철제 거푸집(일명 유로폼)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바닥면을 이루는 슬래브는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그 상면을 평평하게 양생한 것이지만, 점성이 큰 콘크리트 몰탈을 굴곡이 전혀없는 평평한 면으로 만드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둥 또는 벽체 구축을 위해 상기 거푸집을 슬래브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시킬 경우 슬래브의 굴곡진 상면과 거푸집 저면 간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러한 틈새는 거푸집을 수평하게 배치하는데 방해가 되며, 특히 다수의 거푸집을 일렬로 수평하게 정렬시켜야 할 경우에는 굴곡진 슬래브 상면의 영향으로 인해 거푸집들의 높이가 달라져 이들을 하나하나 조절해야만 한다.
상술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슬래브 상에 하나이상의 거푸집을 수평하게 구축하는데 있어 그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받침구들이 고안되었다.(EX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67489, 특허등록번호 10-0296744,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89886, 특허등록번호 10-0346280) 하지만, 상술된 고안에 따른 받침구들은 그 상면에 거푸집이 설치된 후 이곳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면 콘크리트 몰탈과 함께 매장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투입되는 자재수가 늘어나게 되어 건축비가 증가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상술된 건축비 증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슬래브 안에 매설하지 않아도 거푸집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받침구가 고안되었다.(EX ; 10-0394743)
상기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는 벽체 또는 기둥 구축을 위해 슬래브의 소정위치 상면에 배치/고정되는 고정판재와, 거푸집 저면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거푸집 받침부재와, 상기 고정판재 및 거푸집 받침부재를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조절부재 및 조절볼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재, 거푸집 받침부재, 조절부재 및 조절볼트 모두가 슬래브에 매립되지 않고 슬래브의 상면으로 드러나게 배치되므로, 상기 거푸집 안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충진된 후 양생과정을 거쳐 경화되더라도 상기 슬래브로부터 거푸집과 함께 분리해 낼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는 거푸집의 저면에 배치되어 이를 승강시키게 되므로, 거푸집의 내측으로 충진된 콘크리트 몰탈이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발생되는 슬래브의 상면과 거푸집의 저면 사이의 틈새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의 높이변화에 관계없이 거푸집 안으로 충진된 콘크리트 몰탈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의 고정판재에는 'ㄴ'형상으로 수직절곡되어 형성된 고정수직판이 구비되어서 콘크리트 몰탈의 누출을 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의 기능적인 구조 상, 상기 고정판재는 거푸집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평판형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고정판재는 비교적 넓은 바닥면을 갖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판재 바닥면의 이러한 형상적인 특성은 슬래브 상면의 굴곡진 형상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어,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의 높이변화에 관계없이 슬래브 상면과 고정판재 저면 사이에 틈새가 쉽게 형성되었으며(도 7 참조), 이러한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누출될 수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 안으로 충진된 콘크리트 몰탈이 슬래브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막고, 슬래브 상면으로 입설되는 거푸집의 수평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부분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작동모습을 도 2의 A-A'선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쐐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 거푸집 수평받침구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사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비교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벽체 또는 기둥축조에 활용한 후 이를 해제하는 모습을 부분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10' ; 수평받침구
100, 100' ; 고정판 200 ; 수평바
210 ; 직벽 300, 300' ; 틈새마개
311, 321 ; 슬라이딩 부재 400, 400; ; 브래킷
410 ; 수직벽 411 ; 절개부
420, 420' ; 수평바 지지부재 421 ; 이동식 연결돌기
430 ; 쐐기 440 ; 고정볼트
E ; 공간부 F ; 콘크리트 벽체
G ; 거푸집 S ; 슬래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는,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판, 거푸집을 받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가 상하 이동하여 수평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바와 상기 고정판을 상호 연결하는 브래킷을 포함한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에 있어서,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와 바닥 사이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판상의 틈새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바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직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틈새 마개는, 상기 직벽을 따라 서로 겹쳐지면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틈새 마개는,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바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 마개에는, 상기 관통공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바 형상의 슬라이딩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딩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직경이 확대된 스토핑 헤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래킷은,
상하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높이조절용 가이드판;
상기 수평바가 안착되는 수평바 안착부재; 및
상기 절개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를 상기 높이 조절용 가이드판에 고정시키며, 레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에 레버 고리가 형성된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래킷은,
상하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높이조절용 가이드판;
상기 수평바가 안착되는 수평바 안착부재와,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에서 일정 길이 돌출하여 그 단부에 직경이 확대된 걸림턱을 구비한 높이 조절용 손잡이를 구비한 수평바 지지부재; 및
상기 걸림턱과 가이드판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의 쐐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래킷은 적어도 2개이며,
상기 브래킷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와 상기 수평바는 서로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부분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받침구(10)는, 슬래브(S) 상에 콘크리트 몰탈로서 구축되는 벽체 또는 기둥의 형을 잡는 거푸집(G) 입설 시, 굴곡진 상기 슬래브(S) 상면에서 각 거푸집(G)의 수평과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슬래브(S) 상에 안착되는 고정판(100, 100')과, 상기 거푸집(G)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0, 100') 상에 조적되는 수평바(200)와, 수평바(200)가 상기 고정판(100, 100')으로부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수평바(200)와 고정판(100)을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브래킷(400)을 포함하며, 거푸집(G)이 높이조절을 위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경우 발생되는 슬래브(S)와 거푸집(G) 간의 틈새를 막아 공간부(S)로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이 상기 틈새를 통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틈새마개(300)가 더 포함된다.
도면에 도시된 고정판(100, 100')은 소정면적을 갖는 사각의 평판형태로써, 각 브래킷(400) 일기 당 하나의 고정판(100, 100')이 지지하도록 되었지만,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받침구(10, 10')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상기 고정판(100, 100') 하나에 다수의 브래킷(400)들이 거푸집(G)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수도 있으며 그 형상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틈새마개(300)와 대면하는 고정판(100, 100')의 일단부에는 상기 틈새마개(300)의 회동을 방지하는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공간부(E)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의 하중에 의해 틈새마개(300)가 휘면서 상기 콘크리트 몰탈이 유출될 수 있는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고정판(100, 100')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서 고정판(100, 100')을 기준으로 틈새마개(300)가 유동되더라도 슬래브(S)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부(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도 4 및 도 7 참조)
한편, 상기 고정판(100, 100')은 슬래브(S)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100, 100') 소정위치에는 구멍(12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20)으로 앵커(121)가 삽입되어서 슬래브(S)와 고정판(100, 100') 간의 견고한 결속을 꾀한다.
상기 수평바(200)는 그 상면이 거푸집(G)과 직접 맞닿아 이를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브래킷(400)의 작동으로 인해 거푸집(G)을 직접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상기 브래킷(400)은 상기 고정판(100)을 기준으로 수평바(200)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100)의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고정되는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과, 상기 수평바(200)에 고정되는 수평바 지지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에는 상하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41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20)는 수평바(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평바 안착부재(422)와, 이 수평바 안착부재(422)의 일면에는 상기 절개부(411)와 맞물리며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식 연결돌기(4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식 연결돌기(421)는 단부에 직경이 확대된 스토핑헤드(421a)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2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절개부(411)의 범위 안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평바 지지부재(430)와 연결된 상기 수평바(200) 또한 상하로 이동되면서 다른 거푸집들 간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브래킷(400)에는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30)를 고정시키는 쐐기(4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쐐기(430)는 일면이 경사진 한쌍의 조임부(432)가 상기 이동식 연결돌기(42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스토핑헤드(421a)의 직경보다 작은 이격거리로 배치되면서 상기 이동식 연결돌기(421)가 관통되는 끼움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431)의 길이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스토핑헤드(421a)가 조임부(43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과 수평바 지지부재(420)가 밀착되게 압박을 가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작동모습을 도 2의 A-A'선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쐐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평받침구(10)의 작동모습을 설명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슬래브(S) 상면에 거푸집(G)이 입설되는 지점으로본 고안에 따른 수평받침구(10)를 배치한다. 이렇게 배치된 수평받침구(10) 위로는 거푸집(G)이 조적되므로 우선적으로 상기 수평받침구(10)의 높이, 즉 상기 수평바(200)의 높이를 슬래브(S)의 굴곡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슬래브(S)의 굴곡에 의해 들쑥날쑥하게 솟은 수평바(200)를 이웃하는 다른 수평받침구들의 수평바 높이와 맞춘다. 이때, 상기 수평바(200)가 움직이면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20)도 움직이게 되고, 상기 이동식 연결돌기(421) 또한 상기 절개부(41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평 및 높이가 맞추어지면 그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수평바 지지부재(420)가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430)를 밀어 조인다. 상기 쐐기(430)는 경사진 조임부(432)가 상기 스토핑헤드(421a)와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 사이로 끼워져서 강제압입으로 스토핑헤드(421a)와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 사이 이격거리를 늘리게 되므로,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20)의 일면과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의 배면이 밀착되어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수평바(200)의 설정 높이가 유지된다.
물론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411)의 폭은 이동식 연결돌기(421)의 직경보다는 크고 스토핑헤드(421a)의 직경보다는 작아, 수평바 지지부재(420)와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을 상호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상기 쐐기(430)의 끼움홈(431)의 폭 또한 이동식 연결돌기(421)의 직경보다는 크고 스토핑헤드(421a)의 직경보다는 작아 상기 고정판(100), 브래킷(400), 수평바(200) 및 쐐기(430) 등이 모두 일체로 결합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높이가 조절된 수평바(200)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상기 쐐기(430) 외에도 다양한데, 여기서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400')은 절개부(411)가 형성된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과, 수평바(200)에 고정되며 일면에 고정구멍(451)이 형성된 수평바 안착부재(450)과,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과 수평바 안착부재(450)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구멍(451)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440)는 상기 절개부(411) 및 고정구멍(451)을 순차 관통하면서 수평바 안착부재(450) 및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을 상호 결합시키는 한편, 작업자가 수평바(200)의 높이조절 후 고정볼트(440)를 조여줌으로서 수평바 안착부재(450)와 높이조절용 가이드판(410)에 압박을 가해 당해 위치를 고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440)의 일단에는 고정볼트(44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별도 공구와 맞물릴 수 있는 레버고리(441a)이 형성되며, 이러한 레버고리(441a)는 헤드(44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고리(441a)는 끼움구멍(441b)이 형성된 고리형상으로서, 바아형상의 레버(R)를 상기 끼움구멍(441b)으로 관통시켜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고정볼트(440) 또한 동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구멍(451)에 조여지거나 풀려 수평바 안착부재(450)가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구멍(451)과 연통된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부재(452)가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볼트(44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상 기술된 본 고안에 따른 조임방식으로 인해,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린 필요없이 큰 힘을 수평바(200)의 높이고정에 투입할 수 있어, 작업이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된다.
상술된 브래킷(400, 400')에 대한 두가지 실시예 이외에도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브래킷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틈새마개(300)는 상기 수평바(200)의 승강에 따라 고정판(100)과 수평바(200) 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막아 상기 공간부(E)로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바(200)와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수평바(200)에는 관통공(211a, 211b, 211c)이 형성된 틈새마개가이드부재(211)가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틈새마개(300)에는 상기 관통공(211a, 211b, 211c)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관통되는 슬라이딩 부재(311, 3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200)의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틈새마개(300)는 슬래브(S)의 상면에서 그 자중에 의해 부동하게 안착되어 수평바(200)와 고정판(100) 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매꾸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311, 321)의 일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스토핑헤드(311a, 321a)가 형성되어서 관통공(211a, 211b, 211c)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311, 321)가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되며, 이로인해 틈새마개(300)와 수평바(200)가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외에도, 평판형상의 틈새마개(300)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11, 321)가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311, 321)의 일단이 연결는 돌출된 연결편(31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고정판(100), 수평바(200), 틈새마개(300) 및, 브래킷(400)이 한 셋트를 이루는 수평받침구(10)에서 둘 이상의 상기 틈새마개(300)가 개별적으로 유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평받침구(10)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도시되고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실제로는 벽체의 길이에 맞춰 충분히 길게 제작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틈새마개(300)가 전체형상이 상대적으로 긴 수평받침구(10)의 길이에 맞춰 일체로 형성된다면 슬래브(S)의 굴곡면에 따라 형성되는 틈새발생에 대하여 융통성있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므로 틈새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틈새로 적지않은 양의 콘크리트 몰탈이 누출되어 경화될 것이므로, 누출되어 경화된 콘크리트를 떼어내야 하는 마무리작업이 발생되어 작업을 힘들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수평받침구(10)에 비교적 길이가 짧은 둘 이상의 틈새마개(300)를 독립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슬래브(S)의 굴곡에 따라 다수의 틈새마개(300)가 개별적으로 승강되도록 되며, 이로인해 틈새를 최소화된다.
도 7은 종래 거푸집 수평받침구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사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비교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마개(300)가 상기 고정판(100)이 아닌 수평바(200)와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슬래브(S)의 굴곡에 따라 고정판(100)과 슬래브(S)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매꿀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바(2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틈새마개(300)의 상단과 수평바(200) 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매꾸기 위해 상기 수평바(200)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직벽(2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1'은 종래 수평받침구의 수평바이고, '2'는 종래 수평받침구의 고정판이고, '2a'는 종래 틈새마개이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220'은 수평바(2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수평바 지지부재(420)가 긴밀하게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돌기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420)는 수평바(20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벽체 또는 기둥의 규격에 맞도록 수평받침구(10)를 적절하게 배치 및 가공할 수 있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230'은 거푸집(G)의 하단과 맞물려 별도의 고정부재(웨지핀)를 매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멍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벽체 또는 기둥축조에 활용한 후 이를 해제하는 모습을 부분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G)으로 둘러싸인 공간부(S)에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된 후 양생과정을 거쳐 경화되면, 콘크리트 벽체(F)로부터 거푸집(G)과 수평받침구(10)를 떼어낸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구(10)를 구성하는 고정판(100), 수평바(200), 틈새마개(300) 및 슬래브(400) 전체가 하나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하나하나 분리할 필요없이 콘크리트 벽체(F)로부터 일회에 떼어낼 수있어 마무리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바와 고정판 간에 발생된 틈새로 콘크리트 몰탈이 누출되는 것을 막는 한편, 슬래브 상면의 굴곡으로 인해 슬래브와 고정판 간에 발생되는 틈새 또한 고정판의 위치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매꾸면서, 콘크리트 몰탈의 누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구성하는 수평바, 고정판, 브래킷 및 틈새마개가 일체로 결합되어서, 양생된 콘크리트 몰탈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도 있으므로 벽체 및 기둥 구축에 대한 마무리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8)

  1.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판, 거푸집을 받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가 상하 이동하여 수평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바와 상기 고정판을 상호 연결하는 브래킷을 포함한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와 바닥 사이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는 판상의 틈새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직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틈새 마개는, 상기 직벽을 따라 서로 겹쳐지면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상기 틈새 마개는,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마개가 콘크리트 몰탈의 하중에 의한 밀림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틈새마개의 하부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적어도 2개이며,
    상기 브래킷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이 상기 수평바와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 마개에는, 상기 관통공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바 형상의 슬라이딩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딩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직경이 확대된 스토핑 헤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하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높이조절용 가이드판;
    상기 수평바가 안착되는 수평바 안착부재; 및
    상기 절개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를 상기 높이 조절용 가이드판에 고정시키며, 레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에 레버 고리가 형성된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하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높이조절용 가이드판;
    상기 수평바가 안착되는 수평바 안착부재와,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 안착부재에서 일정 길이 돌출하여 그 단부에 직경이 확대된 걸림턱을 구비한 높이 조절용 손잡이를 구비한 수평바 지지부재; 및
    상기 걸림턱과 가이드판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평바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의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 받침구.
KR20-2004-0019032U 2004-07-05 2004-07-05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KR200363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32U KR200363063Y1 (ko) 2004-07-05 2004-07-05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32U KR200363063Y1 (ko) 2004-07-05 2004-07-05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63Y1 true KR200363063Y1 (ko) 2004-09-23

Family

ID=4943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032U KR200363063Y1 (ko) 2004-07-05 2004-07-05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0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664A (zh) * 2018-10-26 2019-01-18 北京住总第三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结构预制墙体坐浆的施工工具及其施工方法
CN114906480A (zh) * 2022-06-10 2022-08-16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便携式可调水平托架及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664A (zh) * 2018-10-26 2019-01-18 北京住总第三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结构预制墙体坐浆的施工工具及其施工方法
CN109235664B (zh) * 2018-10-26 2023-10-20 北京住总第三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结构预制墙体坐浆的施工工具及其施工方法
CN114906480A (zh) * 2022-06-10 2022-08-16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便携式可调水平托架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8B1 (ko)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KR200363063Y1 (ko) 건축물용 거푸집 수평받침구
MXPA06003044A (es) Dispositivo para la alineacion de cimbras modulares en muros de concreto.
KR101211332B1 (ko) Psc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 구조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20100117288A (ko)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20090123388A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101211334B1 (ko) 강재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 구조
KR100762404B1 (ko) 철근받침대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22551760A (ja) アンカー装置、アンカー装置を含む定着具、及び定着具を製造する方法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JP7375281B1 (ja) プレート材の固定方法、固定構造および位置調整金具
KR100769044B1 (ko) 건축물 높이 조절용 유로폼
KR200494576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0953989B1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JPH08326005A (ja) 舗装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02055237B1 (ko) 높이조절형 빗물받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67615Y1 (ko) 거푸집 연결용 수직조절대
JP3081936B2 (ja) 基礎ブロック及び基礎ブロックを用いて、底面部に開口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の建設製品を敷設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