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006B1 -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 Google Patents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006B1
KR101050006B1 KR1020097001083A KR20097001083A KR101050006B1 KR 101050006 B1 KR101050006 B1 KR 101050006B1 KR 1020097001083 A KR1020097001083 A KR 1020097001083A KR 20097001083 A KR20097001083 A KR 20097001083A KR 101050006 B1 KR101050006 B1 KR 10105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is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775A (ko
Inventor
신이치 우스기
미츠오 나카무라
히로시 나루세
아츠오 오츠지
오사무 코고
히데토시 하야시
세이이치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6Polythioethers from cyclic thioethers
    • C08G75/08Polythioethers from cyclic thioethers from thii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6Polythioethers from cyclic 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중합성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를 함유한다. (하기 일반식(1) 중,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금속원자 M의 가수를 나타내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n-p가 2 이상인 경우, Y는 서로 결합하고,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Description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POLYMERIZABLE COMPOSITION, RESIN USING THE SAME, OPTICAL COMPONENT AND LENS}
본 발명은, 중합성 조성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및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부품 및 렌즈에 관한 것이다.
무기 유리는, 투명성이 뛰어나고, 광학 이방성이 적은 등의 제물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투명성 재료로서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겁고 파손하기 쉬워, 성형 가공하여 제품을 얻을 때의 생산성이 나쁜 등의 단점이 있어, 무기 유리에 대신하는 소재로서 투명성 유기 고분자재료(광학용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용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광학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력 교정용 안경 렌즈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기기용 렌즈 등의 플라스틱 렌즈 등이 있고, 실용화 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시력 교정용 안경 렌즈의 용도에 있어서는, 무기 유리제의 렌즈와 비교하여 경량으로 갈라지기 어렵고, 염색이 가능하여 패션성이 풍부한 등의 특징을 살려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안경 렌즈에 사용되는 광학용 수지로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를 가열하에 주형 중합하여 얻어지는 가교형 수지(통칭, DAC 수지)가 실용화 되어 있고, 투명성, 내열성이 양호하고 색수차가 낮다고 하는 특징때문에, 범용의 시력 교정용 플라스틱 안경 렌즈 용도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굴절율이 낮기(1.50)때문에 플라스틱 렌즈의 중심 두께나 주변의 두께(코바두께)가 커져, 착용감, 패션성이 뒤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굴절률의 플라스틱 렌즈용 수지가 요구되어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 추세 중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주형 중합시켜 얻어지는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폴리티오우레탄은, 투명성,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고굴절률(1.6~1.7)이고, 또한, 색수차도 비교적 낮은 등의 매우 뛰어난 특징을 실현하고, 얇은 두께, 경량의 고품질인 시력 교정용 플라스틱 안경 렌즈의 용도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더욱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광학용 수지를 추구하는 추세 중에서, 에피설피드기를 가지는 화합물(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이나 티에탄기를 가지는 화합물(특허문헌 3)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투명성 수지나 Se함유 화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특허문헌 4) 등 몇가지 제안이 되어 있다. 그러나, 에피설피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투명성 수지에 있어서는 기계 물성의 점에서, 티에탄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있어서는, 그 중합성의 점에서, Se 등의 금속 함유 화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에 있어서는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점에서, 각각 더 한층의 개량이 요망된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스틱 렌즈로서 필요한 제특성(투명성, 열적 특성,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면서, 또한, 굴절율이, 예를 들면 1.7을 넘는, 한층 더 고굴절률의 광학용 수지가 요구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 금속 함유 티에탄 화합물이 새롭게 발견되어, 굴절율 1.7을 넘는 고굴절률 의 광학용 수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이러한 광학용 수지에 있어서는, 고굴절률이고 투명성이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일반적으로, 수지가 황색으로 착색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굴절율 1.7을 넘는 고굴절률의 광학용 수지에 대해서는 색상의 개량이 과제가 되고 있다. 그에 대하여, 에피설피드 화합물에 관해서는 블루잉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일정한 색상 개량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특허문헌 6).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110979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322930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7583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140046호
특허문헌 5: 국제공개팜플렛 제2005/095490호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66101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블루잉제와 수지와의 상용성이나 상성이 좋지 않은 등의 이유에 의해, 블루잉제를 사용하여 광학용 수지의 색상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예를 들면, 광학용 수지 중의 성분과 블루잉제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 색상이 변화해 버려, 사용하는 블루잉제가 가지는 색상대로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 등의 광학부품에 필요한 제특성(투명성, 열적 특성,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면서, 또한, 굴절율(ne) 1.7을 넘는 매우 높은 굴절율과 투명성이 뛰어난 수지를 부여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제안한 금속 함유 티에탄 화합물에 관해서 예의검토한 결과, 금속 함유 티에탄 화합물과 블루잉제를 중합시키는 것으로, 얻어지는 수지가, 광학용 수지가 노래지는 것을 억제하고, 투명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황색도가 저감된 수지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1]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티에탄기와 금속원자를 가지고,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
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1
(상기 일반식(1) 중,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금속원자 M의 가수(價數)를 나타내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n-p가 2 이상인 경우, Y는 서로 결합하고,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2]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3]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4] [3]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티올 화합물, 상기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가,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인, 중합성 조성물;
[5]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루잉제가, 염료인, 중합성 조성물;
[6] [5]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루잉제가, 블루계 염료 및 바이올렛계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인, 중합성 조성물;
[7] [6]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해당 중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화합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0.001ppm 이상 500ppm 이하의 범위인, 중합성 조성물;
[8]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장주기형 주기표의 4족, 8족, 10족, 11족, 12족, 13족, 14족 및 15족 중 어느 하나인, 중합성 조성물;
[9] [8]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장주기형 주기표의 4족, 12족, 13족 및 14족 중 어느 하나인, 중합성 조성물;
[10] [9]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Sn 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1]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m=0인, 중합성 조성물;
[12] [1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X1이 유황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3] [1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n=p인, 중합성 조성물;
[14] [13]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Sn 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5] [14]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16] [15]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17]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의 제조방법;
[18]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19] [18]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부품; 및
[20] [18]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투명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황색도가 저감되고, 굴절율(ne) 1.7을 넘는 고굴절률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등의 광학부품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유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구체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성분에 대해서, 예시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우선, 일반식(1)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또한, 다른 복수의 화합물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2
(상기 일반식(1) 중,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금속원자 M의 가수를 나타내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n-p가 2 이상인 경우, Y는 서로 결합하고,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최초로,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M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낸다. M으로서, 예를 들면 Cu 원자, Au 원자, Ag 원자 등의 장주기형 주기표(이하, 동일.)의 11족원소;
Zn 원자 등의 12족의 원소;
Al 원자 등의 13족의 원소;
Zr 원자, Ti 원자 등의 4족의 원소;
Sn 원자, Si 원자, Ge 원자, Pb 원자 등의 14족의 원소;
Sb 원자, Bi 원자 등의 15족의 원소; 및
Fe 원자, Pt 원자 등의 8 또는 10족의 원소를 들 수 있다.
M은, 바람직하게는,
Sn 원자, Si 원자, Ge 원자, Pb 원자 등의 14족의 원소;
Zr 원자, Ti 원자 등의 4족의 원소;
Al 원자 등의 13족의 원소; 또는
Zn 원자 등의 12족의 원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n 원자, Si 원자, Ge 원자 등의 14족의 원소 또는 Zr 원자, Ti 원자 등의 4족의 원소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Sn 원자이다.
다음에, 상기 일반식(1) 중의, 티에타닐기를 포함하여 M에 결합하는 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인 고굴절률인 것을 감안하면, X1 및 X2로서, 유황원자는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2가의 유기기로서는, 쇄상(鎖狀) 또는 환상(環狀)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방향족-지방족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쇄상 지방족기, 탄소수 3 이상 20 이하의 환상 지방족기, 탄소수 5 이상 20 이하의 방향족기,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방향족-지방족기이다.
R1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2가의 유기기가 쇄상 또는 환상 지방족기,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지방족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1,2-디클로로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노나메틸렌기, 데카메틸렌기, 운데카메틸렌기, 도데카메틸렌기, 트리데카메틸렌기, 테트라데카메틸렌기, 펜타데카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쇄상 또는 환상 지방족기;
페닐렌기, 클로로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인데닐렌기, 안트라세닐렌기, 플루오레닐렌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5 이상 20 이하의 방향족기; 또는
-C6H4-CH2-기, -CH2-C6H4-CH2-기, -CH2-C6H3(Cl)-CH2-기, -C10H6-CH2-기, -CH2-C10H6-CH2-기, -CH2CH2-C6H4-CH2CH2-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방향족-지방족기이다.
R1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1,2-디클로로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등의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쇄상 또는 환상 지방족기;
페닐렌기, 클로로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인데닐렌기, 안트라세닐렌기, 플루오레닐렌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5 이상 15 이하의 방향족기; 또는
-C6H4-CH2-기, -CH2-C6H4-CH2-기, -CH2-C6H3(Cl)-CH2-기, -C10H6-CH2-기, -CH2-C10H6-CH2-기, -CH2CH2-C6H4-CH2CH2-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 이상 15 이하의 방향족-지방족기이다.
이러한 2가의 유기기는, 기 중에 탄소원자, 수소원자 이외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헤테로원자로서는,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고려하면, 유황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m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수 0 또는 1이다.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m=0이며, 또한 X1이 유황원자이다. 이 때, 상기 일반식(1)은, 하기 일반식(12)로 표시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3
(상기 일반식(12) 중, M, Y, p 및 n은, 각각,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M, Y, p 및 n과 같다.)
또한, 상기 일반식(1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n=p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p 또한 M이 Sn이다.
이어서, 상기 일반식(1) 중, M에 결합하는 -(Y)n-p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n은 금속원자 M의 가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p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p는, 바람직하게는, n, n-1 또는 n-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 또는 n-1이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복수의 Y를 포함할 때, 복수의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낸다. 즉, 복수의 Y는 같은 기이어도 좋고, 다른 기이어도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Y가 각각 모두 달라도 좋고, 복수의 Y 중 일부가 공통의 기이어도 좋고, 복수의 Y 모두가 같은 기이어도 좋다.
Y를 구성하는 무기 또는 유기잔기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티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낸다.
이들 중, 할로겐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알킬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티오기에 관해서 이하 설명한다.
할로겐원자의 구체예로서,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직쇄 알킬기;
iso-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이소펜틸기, sec-펜틸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1-메틸헥실기, 2-메틸헥실기, 3-메틸헥실기, 4-메틸헥실기, 5-메틸헥실기, 1-에틸펜틸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1-n-프로필부틸기, 1-iso-프로필부틸기, 1-iso-프로필-2-메틸프로필기, 1-메틸헵틸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5-메틸헵틸기, 6-메틸헵틸기, 1-에틸헥실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4-에틸헥실기, 1-n-프로필펜틸기, 2-n-프로필펜틸기, 1-iso-프로필펜틸기, 2-iso-프로필펜틸기, 1-n-부틸부틸기, 1-iso-부틸부틸기, 1-sec-부틸부틸기, 1-tert-부틸부틸기, 2-tert-부틸부틸기, tert-부틸기, tert-펜틸기, 1,1-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펜틸기, 1,2-디메틸펜틸기, 1,3-디메틸펜틸기, 1,4-디메틸펜틸기, 2,2-디메틸펜틸기, 2,3-디메틸펜틸기, 2,4-디메틸펜틸기, 3,3-디메틸펜틸기, 3,4-디메틸펜틸기, 1-에틸-1-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부틸기, 1-에틸-3-메틸부틸기, 2-에틸-1-메틸부틸기, 2-에틸-3-메틸부틸기, 1,1-디메틸헥실기, 1,2-디메틸헥실기, 1,3-디메틸헥실기, 1,4-디메틸헥실기, 1,5-디메틸헥실기, 2,2-디메틸헥실기, 2,3-디메틸헥실기, 2,4-디메틸헥실기, 2,5-디메틸헥실기, 3,3-디메틸헥실기, 3,4-디메틸헥실기, 3,5-디메틸헥실기, 4,4-디메틸헥실기, 4,5-디메틸헥실기, 1-에틸-2-메틸펜틸기, 1-에틸-3-메틸펜틸기, 1-에틸-4-메틸펜틸기, 2-에틸-1-메틸펜틸기, 2-에틸-2-메틸펜틸기, 2-에틸-3-메틸펜틸기, 2-에틸-4-메틸펜틸기, 3-에틸-1-메틸펜틸기, 3-에틸-2-메틸펜틸기, 3-에틸-3-메틸펜틸기, 3-에틸-4-메틸펜틸기, 1-n-프로필-1-메틸부틸기, 1-n-프로필-2-메틸부틸기, 1-n-프로필-3-메틸부틸기, 1-iso-프로필-1-메틸부틸기, 1-iso-프로필-2-메틸부틸기, 1-iso-프로필-3-메틸부틸기, 1,1-디에틸부틸기, 1,2-디에틸부틸기, 1,1,2-트리메틸프로필기, 1,2,2-트리메틸프로필기, 1,1,2-트리메틸부틸기, 1,1,3-트리메틸부틸기, 1,2,3-트리메틸부틸기, 1,2,2-트리메틸부틸기, 1,3,3-트리메틸부틸기, 2,3,3-트리메틸부틸기, 1,1,2-트리메틸펜틸기, 1,1,3-트리메틸펜틸기, 1,1,4-트리메틸펜틸기, 1,2,2-트리메틸펜틸기, 1,2,3-트리메틸펜틸기, 1,2,4-트리메틸펜틸기, 1,3,4-트리메틸펜틸기, 2,2,3-트리메틸펜틸기, 2,2,4-트리메틸펜틸기, 2,3,4-트리메틸펜틸기, 1,3,3-트리메틸펜틸기, 2,3,3-트리메틸펜틸기, 3,3,4-트리메틸펜틸기, 1,4,4-트리메틸펜틸기, 2,4,4-트리메틸펜틸기, 3,4,4-트리메틸펜틸기, 1-에틸-1,2-디메틸부틸기, 1-에틸-1,3-디메틸부틸기, 1-에틸-2,3-디메틸부틸기, 2-에틸-1,1-디메틸부틸기, 2-에틸-1,2-디메틸부틸기, 2-에틸-1,3-디메틸부틸기, 2-에틸-2,3-디메틸부틸기 등의 총 탄소수 3 이상 10 이하의 분기 알킬기; 및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펜틸기, 메톡시시클로펜틸기, 메톡시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헥실기, 1,2-디메틸시클로헥실기, 1,3-디메틸시클로헥실기, 1,4-디메틸시클로헥실기, 에틸시클로헥실기 등의 총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포화 환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의 구체예로서,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등의 총 탄소수 20 이하의 방향족 탄화수소;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2-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헥실페닐기, 시클로헥실페닐기, 옥틸페닐기, 2-메틸-1-나프틸기, 3-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5-메틸-1-나프틸기, 6-메틸-1-나프틸기, 7-메틸-1-나프틸기, 8-메틸-1-나프틸기, 1-메틸-2-나프틸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2-나프틸기, 5-메틸-2-나프틸기, 6-메틸-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8-메틸-2-나프틸기, 2-에틸-1-나프틸기, 2,3-디메틸페닐기, 2,4-디메틸페닐기, 2,5-디메틸페닐기, 2,6-디메틸페닐기, 3,4-디메틸페닐기, 3,5-디메틸페닐기, 3,6-디메틸페닐기, 2,3,4-트리메틸페닐기, 2,3,5-트리메틸페닐기, 2,3,6-트리메틸페닐기, 2,4,5-트리메틸페닐기, 2,4,6-트리메틸페닐기, 3,4,5-트리메틸페닐기 등의 총 탄소수 20 이하의 알킬치환 아릴기;
2-메톡시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2-에톡시페닐기, 프로폭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헥실옥시페닐기, 시클로헥실옥시페닐기, 옥틸옥시페닐기, 2-메톡시-1-나프틸기, 3-메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5-메톡시-1-나프틸기, 6-메톡시-1-나프틸기, 7-메톡시-1-나프틸기, 8-메톡시-1-나프틸기, 1-메톡시-2-나프틸기, 3-메톡시-2-나프틸기, 4-메톡시-2-나프틸기, 5-메톡시-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7-메톡시-2-나프틸기, 8-메톡시-2-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기;
2,3-디메톡시페닐기, 2,4-디메톡시페닐기, 2,5-디메톡시페닐기, 2,6-디메톡시페닐기, 3,4-디메톡시페닐기, 3,5-디메톡시페닐기, 3,6-디메톡시페닐기, 4,5-디메톡시-1-나프틸기, 4,7-디메톡시-1-나프틸기, 4,8-디메톡시-1-나프틸기, 5,8-디메톡시-1-나프틸기, 5,8-디메톡시-2-나프틸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디알콕시아릴기;
2,3,4-트리메톡시페닐기, 2,3,5-트리메톡시페닐기, 2,3,6-트리메톡시페닐기, 2,4,5-트리메톡시페닐기, 2,4,6-트리메톡시페닐기, 3,4,5-트리메톡시페닐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트리알콕시아릴기; 및
클로로페닐기, 디클로로페닐기, 트리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디브로모페닐기, 요오드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나프틸기, 브로모나프틸기, 디플루오로페닐기, 트리플루오로페닐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기, 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의 구체예로서, 벤질기, 페네틸기, 페닐프로필기, 나프틸에틸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랄킬기, 또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의 구체예로 든 아릴기를 측쇄로 가지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의 구체예로서,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iso-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iso-헥실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3,5,5-트리메틸헥실옥시기, n-헵틸옥시기, n-옥틸옥시기, n-노닐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시클로알콕시기;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메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n-프로폭시메톡시기, iso-프로폭시메톡시기, n-프로폭시에톡시기, iso-프로폭시에톡시기, n-부톡시에톡시기, iso-부톡시에톡시기, tert-부톡시에톡시기, n-펜틸옥시에톡시기, iso-펜틸옥시에톡시기, n-헥실옥시에톡시기, iso-헥실옥시에톡시기, n-헵틸옥시에톡시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알콕시알콕시기; 및
벤질옥시기 등의 아랄킬옥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티오기의 구체예로서,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so-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so-부틸티오기, sec-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n-펜틸티오기, iso-펜틸티오기, n-헥실티오기, iso-헥실티오기, 2-에틸헥실티오기, 3,5,5-트리메틸헥실티오기, n-헵틸티오기, n-옥틸티오기, n-노닐 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티오기;
시클로펜틸티오기, 시클로헥실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5 이상 10 이하의 시클로알킬티오기;
메톡시에틸티오기, 에톡시에틸티오기, n-프로폭시에틸티오기, iso-프로폭시에틸티오기, n-부톡시에틸티오기, iso-부톡시에틸티오기, tert-부톡시에틸티오기, n-펜틸옥시에틸티오기, iso-펜틸옥시에틸티오기, n-헥실옥시에틸티오기, iso-헥실옥시에틸티오기, n-헵틸옥시에틸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알콕시알킬티오기;
벤질티오기 등의 아랄킬 티오기; 및
메틸티오에틸티오기, 에틸티오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iso-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n-부틸티오에틸티오기, iso-부틸티오에틸티오기, tert-부틸티오에틸티오기, n-펜틸티오에틸티오기, iso-펜틸티오에틸티오기, n-헥실티오에틸티오기, iso-헥실티오에틸티오기, n-헵틸티오에틸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10 이하의 알킬티오알킬티오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의 구체예로서, 페닐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안트라닐옥시기, 2-메틸페닐옥시기, 3-메틸페닐옥시기, 4-메틸페닐옥시기, 2-에틸페닐옥시기, 프로필페닐옥시기, 부틸페닐옥시기, 헥실페닐옥시기, 시클로헥실페닐옥시기, 옥틸페닐옥시기, 2-메틸-1-나프틸옥시기, 3-메틸-1-나프틸옥시기, 4-메틸-1-나프틸옥시기, 5-메틸-1-나프틸옥시기, 6-메틸-1-나프틸옥시기, 7-메틸-1-나프틸옥시기, 8-메틸-1-나프틸옥시기, 1-메틸-2-나프틸옥시기, 3-메틸-2-나프틸옥시기, 4-메틸-2-나프틸옥시기, 5-메틸-2-나프틸옥시기, 6-메틸-2-나프틸옥시기, 7-메틸-2-나프틸옥시기, 8-메틸-2-나프틸옥시기, 2-에틸-1-나프틸옥시기, 2,3-디메틸페닐옥시기, 2,4-디메틸페닐옥시기, 2,5-디메틸페닐옥시기, 2,6-디메틸페닐옥시기, 3,4-디메틸페닐옥시기, 3,5-디메틸페닐옥시기, 3,6-디메틸페닐옥시기, 2,3,4-트리메틸페닐옥시기, 2,3,5-트리메틸페닐옥시기, 2,3,6-트리메틸페닐옥시기, 2,4,5-트리메틸페닐옥시기, 2,4,6-트리메틸페닐옥시기, 3,4,5-트리메틸페닐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20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옥시기;
2-메톡시페닐옥시기, 3-메톡시페닐옥시기, 4-메톡시페닐옥시기, 2-에톡시페닐옥시기, 프로폭시페닐옥시기, 부톡시페닐옥시기, 헥실옥시페닐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페닐옥시기, 옥틸옥시페닐옥시기, 2-메톡시-1-나프틸옥시기, 3-메톡시-1-나프틸옥시기, 4-메톡시-1-나프틸옥시기, 5-메톡시-1-나프틸옥시기, 6-메톡시-1-나프틸옥시기, 7-메톡시-1-나프틸옥시기, 8-메톡시-1-나프틸옥시기, 1-메톡시-2-나프틸옥시기, 3-메톡시-2-나프틸옥시기, 4-메톡시-2-나프틸옥시기, 5-메톡시-2-나프틸옥시기, 6-메톡시-2-나프틸옥시기, 7-메톡시-2-나프틸옥시기, 8-메톡시-2-나프틸옥시기, 2-에톡시-1-나프틸옥시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옥시기;
2,3-디메톡시페닐옥시기, 2,4-디메톡시페닐옥시기, 2,5-디메톡시페닐옥시기, 2,6-디메톡시페닐옥시기, 3,4-디메톡시페닐옥시기, 3,5-디메톡시페닐옥시기, 3,6-디메톡시페닐옥시기, 4,5-디메톡시-1-나프틸옥시기, 4,7-디메톡시-1-나프틸옥시기, 4,8-디메톡시-1-나프틸옥시기, 5,8-디메톡시-1-나프틸옥시기, 5,8-디메톡시-2-나프틸옥시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디알콕시아릴옥시기;
2,3,4-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2,3,5-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2,3,6-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2,4,5-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2,4,6-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3,4,5-트리메톡시페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트리알콕시아릴옥시기; 및
클로로페닐옥시기, 디클로로페닐옥시기, 트리클로로페닐옥시기, 브로모페닐옥시기, 디브로모페닐옥시기, 요오드페닐옥시기, 플루오로페닐옥시기, 클로로나프틸옥시기, 브로모나프틸옥시기, 디플루오로페닐옥시기, 트리플루오로페닐옥시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옥시기, 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아릴옥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티오기의 구체예로서, 페닐티오기, 나프틸티오기, 안트라닐티오기, 2-메틸페닐티오기, 3-메틸페닐티오기, 4-메틸페닐티오기, 2-에틸페닐티오기, 프로필페닐티오기, 부틸페닐티오기, 헥실페닐티오기, 시클로헥실페닐티오기, 옥틸페닐티오기, 2-메틸-1-나프틸티오기, 3-메틸-1-나프틸티오기, 4-메틸-1-나프틸티오기, 5-메틸-1-나프틸티오기, 6-메틸-1-나프틸티오기, 7-메틸-1-나프틸티오기, 8-메틸-1-나프틸티오기, 1-메틸-2-나프틸티오기, 3-메틸-2-나프틸티오기, 4-메틸-2-나프틸티오기, 5-메틸-2-나프틸티오기, 6-메틸-2-나프틸티오기, 7-메틸-2-나프틸티오기, 8-메틸-2-나프틸티오기, 2-에틸-1-나프틸티오기, 2,3-디메틸페닐티오기, 2,4-디메틸페닐티오기, 2,5-디메틸페닐티오기, 2,6-디메틸페닐티오기, 3,4-디메틸페닐티오기, 3,5-디메틸페닐티오기, 3,6-디메틸페닐티오기, 2,3,4-트리메틸페닐티오기, 2,3,5-트리메틸페닐티오기, 2,3,6-트리메틸페닐티오기, 2,4,5-트리메틸페닐티오기, 2,4,6-트리메틸페닐티오기, 3,4,5-트리메틸페닐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0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티오기;
2-메톡시페닐티오기, 3-메톡시페닐티오기, 4-메톡시페닐티오기, 2-에톡시페닐티오기, 프로폭시페닐티오기, 부톡시페닐티오기, 헥실옥시페닐티오기, 시클로헥실옥시페닐티오기, 옥틸옥시페닐티오기, 2-메톡시-1-나프틸티오기, 3-메톡시-1-나프틸티오기, 4-메톡시-1-나프틸티오기, 5-메톡시-1-나프틸티오기, 6-메톡시-1-나프틸티오기, 7-메톡시-1-나프틸티오기, 8-메톡시-1-나프틸티오기, 1-메톡시-2-나프틸티오기, 3-메톡시-2-나프틸티오기, 4-메톡시-2-나프틸티오기, 5-메톡시-2-나프틸티오기, 6-메톡시-2-나프틸티오기, 7-메톡시-2-나프틸티오기, 8-메톡시-2-나프틸티오기, 2-에톡시-1-나프틸티오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티오기;
2,3-디메톡시페닐티오기, 2,4-디메톡시페닐티오기, 2,5-디메톡시페닐티오기, 2,6-디메톡시페닐티오기, 3,4-디메톡시페닐티오기, 3,5-디메톡시페닐티오기, 3,6-디메톡시페닐티오기, 4,5-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4,7-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4,8-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5,8-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5,8-디메톡시-2-나프틸티오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디알콕시아릴티오기;
2,3,4-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2,3,5-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2,3,6-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2,4,5-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2,4,6-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3,4,5-트리메톡시페닐티오기 등의 탄소수 10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트리알콕시아릴티오기; 및
클로로페닐티오기, 디클로로페닐티오기, 트리클로로페닐티오기, 브로모페닐티오기, 디브로모페닐티오기, 요오드페닐티오기, 플루오로페닐티오기, 클로로나프틸티오기, 브로모나프틸티오기, 디플루오로페닐티오기, 트리플루오로페닐티오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티오기, 펜타플루오로페닐티오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20 이하의 아릴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Y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Y에 있어서, 바람직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수소원자를 들 수 있다.
또한, Y의 바람직한 예 중, 할로겐원자로서,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직쇄 알킬기;
iso-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이소펜틸기, sec-펜틸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tert-부틸기, tert-펜틸기, 1,1-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등의 총 탄소수 3 이상 6 이하의 분기 알킬기; 및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총 탄소수 5 또는 6의 포화 환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로서, 페닐기, 나프틸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방향족 탄화수소;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2-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2,3-디메틸페닐기, 2,4-디메틸페닐기, 2,5-디메틸페닐기, 2,6-디메틸페닐기, 3,4-디메틸페닐기, 3,5-디메틸페닐기, 3,6-디메틸페닐기, 2,3,4-트리메틸페닐기, 2,3,5-트리메틸페닐기, 2,3,6-트리메틸페닐기, 2,4,5-트리메틸페닐기, 2,4,6-트리메틸페닐기, 3,4,5-트리메틸페닐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알킬치환 아릴기;
2-메톡시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2-에톡시페닐기, 프로폭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기;
2,3-디메톡시페닐기, 2,4-디메톡시페닐기, 2,5-디메톡시페닐기, 2,6-디메톡시페닐기, 3,4-디메톡시페닐기, 3,5-디메톡시페닐기, 3,6-디메톡시페닐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디알콕시아릴기; 및
클로로페닐기, 디클로로페닐기, 트리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디브로모페닐기, 요오드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나프틸기, 브로모나프틸기, 디플루오로페닐기, 트리플루오로페닐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기, 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로서, 벤질기, 페네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로서,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iso-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iso-헥실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5 또는 6의 시클로 알콕시기; 및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메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n-프로폭시메톡시기, iso-프로폭시메톡시기, n-프로폭시에톡시기, iso-프로폭시에톡시기, n-부톡시에톡시기, iso-부톡시에톡시기, tert-부톡시에톡시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알콕시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티오기로서,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so-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so-부틸티오기, sec-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n-펜틸티오기, iso-펜틸티오기, n-헥실티오기, iso-헥실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티오기;
시클로펜틸티오기, 시클로헥실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5 또는 6의 시클로알킬티오기;
메톡시에틸티오기, 에톡시에틸티오기, n-프로폭시에틸티오기, iso-프로폭시에틸티오기, n-부톡시에틸티오기, iso-부톡시에틸티오기, tert-부톡시에틸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알콕시알킬티오기; 및
메틸티오에틸티오기, 에틸티오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iso-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n-부틸티오에틸티오기, iso-부틸티오에틸티오기, tert-부틸티오에틸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알킬티오알킬티오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페닐옥시기, 나프틸옥시기, 2-메틸페닐옥시기, 3-메틸페닐옥시기, 4-메틸페닐옥시기, 2-에틸페닐옥시기, 프로필페닐옥시기, 부틸페닐옥시기, 헥실페닐옥시기, 시클로헥실페닐옥시기, 2,4-디메틸페닐옥시기, 2,5-디메틸페닐옥시기, 2,6-디메틸페닐옥시기, 3,4-디메틸페닐옥시기, 3,5-디메틸페닐옥시기, 3,6-디메틸페닐옥시기, 2,3,4-트리메틸페닐옥시기, 2,3,5-트리메틸페닐옥시기, 2,3,6-트리메틸페닐옥시기, 2,4,5-트리메틸페닐옥시기, 2,4,6-트리메틸페닐옥시기, 3,4,5-트리메틸페닐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옥시기;
2-메톡시페닐옥시기, 3-메톡시페닐옥시기, 4-메톡시페닐옥시기, 2-에톡시페닐옥시기, 프로폭시페닐옥시기, 부톡시페닐옥시기, 헥실옥시페닐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페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옥시기;
2,3-디메톡시페닐옥시기, 2,4-디메톡시페닐옥시기, 2,5-디메톡시페닐옥시기, 2,6-디메톡시페닐옥시기, 3,4-디메톡시페닐옥시기, 3,5-디메톡시페닐옥시기, 3,6-디메톡시페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디알콕시아릴옥시기; 및
클로로페닐옥시기, 디클로로페닐옥시기, 트리클로로페닐옥시기, 브로모페닐옥시기, 디브로모페닐옥시기, 요오드페닐옥시기, 플루오로페닐옥시기, 클로로나프틸옥시기, 브로모나프틸옥시기, 디플루오로페닐옥시기, 트리플루오로페닐옥시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옥시기, 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옥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티오기로서, 페닐티오기, 나프틸티오기, 2-메틸페닐티오기, 3-메틸페닐티오기, 4-메틸페닐티오기, 2-에틸페닐티오기, 프로필페닐티오기, 부틸페닐티오기, 헥실페닐티오기, 시클로헥실페닐티오기, 2,4-디메틸페닐티오기, 2,5-디메틸페닐티오기, 2,6-디메틸페닐티오기, 3,4-디메틸페닐티오기, 3,5-디메틸페닐티오기, 3,6-디메틸페닐티오기, 2,3,4-트리메틸페닐티오기, 2,3,5-트리메틸페닐티오기, 2,3,6-트리메틸페닐티오기, 2,4,5-트리메틸페닐티오기, 2,4,6-트리메틸페닐티오기, 3,4,5-트리메틸페닐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티오기;
2-메톡시페닐티오기, 3-메톡시페닐티오기, 4-메톡시페닐티오기, 2-에톡시페닐티오기, 프로폭시페닐티오기, 부톡시페닐티오기, 헥실옥시페닐티오기, 시클로헥실옥시페닐티오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티오기;
2,3-디메톡시페닐티오기, 2,4-디메톡시페닐티오기, 2,5-디메톡시페닐티오기, 2,6-디메톡시페닐티오기, 3,4-디메톡시페닐티오기, 3,5-디메톡시페닐티오기, 3,6-디메톡시페닐티오기, 4,5-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4,7-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4,8-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5,8-디메톡시-1-나프틸티오기, 5,8-디메톡시-2-나프틸티오기 등의 탄소수 6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디알콕시아릴티오기;
클로로페닐티오기, 디클로로페닐티오기, 트리클로로페닐티오기, 브로모페닐티오기, 디브로모페닐티오기, 요오드페닐티오기, 플루오로페닐티오기, 클로로나프틸티오기, 브로모나프틸티오기, 디플루오로페닐티오기, 트리플루오로페닐티오기, 테트라플루오로페닐티오기, 펜타플루오로페닐티오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티오기를 들 수 있다.
Y의 보다 바람직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Y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수소원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할로겐원자로서, 염소원자 및 브롬원자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iso-프로필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로서, 페닐기, 나프틸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등의 총 탄소수 12 이하의 방향족 탄화수소;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2-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2,3-디메틸페닐기, 2,4-디메틸페닐기, 2,5-디메틸페닐기, 2,6-디메틸페닐기, 3,4-디메틸페닐기, 3,5-디메틸페닐기, 3,6-디메틸페닐기 등의 총 탄소수 9 이하의 알킬치환 아릴기;
2-메톡시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2-에톡시페닐기, 프로폭시페닐기 등의 탄소수 3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9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기; 및
클로로페닐기, 디클로로페닐기, 트리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디브로모페닐기, 클로로나프틸기, 브로모나프틸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로서, 벤질기, 페네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총 탄소수 9 이하의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로서, 메톡시기, 에톡시기, iso-프로폭시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및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5 또는 6의 시클로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티오기로서,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so-프로필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티오기;
시클로펜틸티오기, 시클로헥실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5 또는 6의 시클로알킬티오기; 및
메틸티오에틸티오기, 에틸티오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iso-프로필티오에틸티오기, n-부틸티오에틸티오기, iso-부틸티오에틸티오기, tert-부틸티오에틸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알킬티오알킬티오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페닐옥시기, 나프틸옥시기, 2-메틸페닐옥시기, 3-메틸페닐옥시기, 4-메틸페닐옥시기, 2-에틸페닐옥시기, 프로필페닐옥시기, 2,4-디메틸페닐옥시기, 2,5-디메틸페닐옥시기, 2,6-디메틸페닐옥시기, 3,4-디메틸페닐옥시기, 3,5-디메틸페닐옥시기, 3,6-디메틸페닐옥시기 등의 총 탄소수 9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옥시기;
2-메톡시페닐옥시기, 3-메톡시페닐옥시기, 4-메톡시페닐옥시기, 2-에톡시페닐옥시기, 프로폭시페닐옥시기 등의 탄소수 3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9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옥시기; 및
클로로페닐옥시기, 디클로로페닐옥시기, 트리클로로페닐옥시기, 브로모페닐옥시기, 디브로모페닐옥시기, 클로로나프틸옥시기, 브로모나프틸옥시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옥시기를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티오기로서, 페닐티오기, 2-메틸페닐티오기, 3-메틸페닐티오기, 4-메틸페닐티오기, 2-에틸페닐티오기, 프로필페닐티오기, 2,4-디메틸페닐티오기, 2,5-디메틸페닐티오기, 2,6-디메틸페닐티오기, 3,4-디메틸페닐티오기, 3,5-디메틸페닐티오기, 3,6-디메틸페닐티오기 등의 총 탄소수 9 이하의 무치환 또는 알킬치환 아릴티오기;
2-메톡시페닐티오기, 3-메톡시페닐티오기, 4-메톡시페닐티오기, 2-에톡시페닐티오기, 프로폭시페닐티오기 등의 탄소수 3 이하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옥시기가 치환한 총 탄소수 9 이하의 모노 알콕시아릴티오기; 및
클로로페닐티오기, 디클로로페닐티오기, 트리클로로페닐티오기, 브로모페닐티오기, 디브로모페닐티오기, 클로로나프틸티오기, 브로모나프틸티오기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한 총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티오기를 들 수 있다.
또한, n-p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Y는 서로 결합하고, 금속원자 M을 개입시켜 환상구조가 되어도 상관없다. 즉, 복수의 Y가 결합하여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하에 나타낸 표 1~표 17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표 17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표 1~표 17에 있어서, 「CMPD. No.」란, 화합물 No.이다.
또한, 표 1~표 17에 있어서는, Y1, Y2, Y3은 M에 결합하는 Y의 총수가 3개 이하, 즉, n-p의 값이 3 이하인 경우의 Y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n-p=1의 경우, Y는 Y1뿐이다. n-p=2의 경우, 화합물은 Y로서 Y1 및 Y2를 포함하고, 이들은 같은 기이어도 좋고, 다른 기이어도 좋다. 또한, n-p=3의 경우, 화합물은 Y로서 Y1, Y2 및 Y3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같은 기이어도 좋고, 다른 기이어도 좋다.
또한, 표중, n-p가 2인 경우에, Y1로부터 Y2에 걸쳐서 하나의 기가 기재된 화합물에 있어서는, 2개의 Y가 서로 결합하여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다.
표 1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4
표 2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5
표 3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6
표 4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7
표 5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8
표 6
Figure 112009003261421-pct00009
표 7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0
표 8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1
표 9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2
표 10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3
표 11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4
표 12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5
표 13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6
표 14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7
표 15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8
표 16
Figure 112009003261421-pct00019
표 17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0
표 1~표 17에 나타낸 화합물 중,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m=0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m=0이고, X1이 유황원자인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표 1~표 17에 나타낸 화합물 중, CMPD. No. 1-1, 1-35, 1-37, 1-39, 1-41, 1-43, 1-45, 1-47, 1-49, 1-51, 1-53, 1-55, 1-57, 1-59, 1-61, 1-63, 1-65, 1-67, 1-69, 1-71, 1-73, 1-75, 1-141, 1-175, 1-177, 1-179, 1-181, 1-183, 1-185, 1-187, 1-189, 1-191, 1-193, 1-227, 1-229, 1-231, 1-233, 1-235, 1-237, 1-239, 1-241, 1-243, 1-245, 1-247, 1-249, 1-267, 1-269, 1-287, 1-289, 1-291, 1-293, 1-295, 1-297, 1-299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례로서 n=p인 것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p, m=0, X1이 유황원자이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표 1~표 17에 나타낸 화합물 중, CMPD. No. 1-1, 1-141, 1-193, 1-245, 1-247, 1-267, 1-287, 1-289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중, 한층 더 금속원자 M이, 장주기형 주기표의 4족, 12족, 13족 및 14족 중 몇개의 원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금속원자 M이 Sn 원자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n-p가 2이상인 경우, 즉 상기 일반식(1)에 나타낸 화합물이 분자 내에 2 이상의 Y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예로서, 그 외에,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화합물에서는, 3개의 Y가 모두 다른 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1
이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대표적으로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금속원자 M의 할로겐화물과,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티에탄기를 가지는 히드록시화합물 또는 티올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화학식 5]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2
(상기 일반식(2) 중, M, n, p 및 Y는, 각각,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M, n, p 및 Y와 같고, Z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3
(상기 일반식(3) 중, X1, X2, R1 및 m은, 각각,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X1, X2, R1 및 m과 같다.)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업용 원료 또는 연구용 시약으로서 입수가능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7583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제조된다.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금속원자 M의 할로겐화물과,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티에탄기를 가지는 히드록시화합물 또는 티올 화합물과의 반응은 무용매에서 실시해도 좋고, 혹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의 존재하에서 실시해도 좋다.
이러한 용매로서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없고, 석유에테르, 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등의 함(含)염소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테트라히드로티오펜, 티오펜, 설포란, 트리메틸렌설피드, 디에틸설피드, 디-n-프로필설피드, 디-t-부틸설피드, 3-메르캅토티에탄, 비스(2-메르캅토에틸)설피드 등의 함황계 용매; 및
물 등이 예시된다.
상기 일반식(2)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78℃ 이상 200℃ 이하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78℃ 이상 100℃ 이하이다.
또한,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의해 영향받지만, 통상, 수분에서 100시간이다.
상기 일반식(2)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 함유되는 할로겐원자 1몰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0.01몰 이상 100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50몰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20몰 이하이다.
상기 일반식(2)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을 실시할 때에, 반응을 효율좋게 실시하기 위해서, 생성하는 할로겐화수소의 포착제로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성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리튬,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중탄산리튬,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무기염기; 및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에틸아닐린,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등의 유기염기가 예시된다.
이어서, 블루잉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루잉제는, 가시광 영역 중 등색(橙色)으로부터 황색의 파장영역에 흡수대(吸收帶)를 가지고, 수지의 색상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블루잉제는, 더 구체적으로는, 청색으로부터 자색(紫色)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블루잉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체적으로는, 염료, 형광증백제, 형광안료, 무기물안료 등을 들 수 있지만, 블루잉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중에서 렌즈에 요구되는 물성이나 수지 색상 등에 맞추어서 적당히 선택된다. 이 중, 중합성 조성물에의 용해성의 관점 및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염료가 바람직하다.
블루잉제의 사용량은, 모노머의 종류, 각종 첨가제의 사용의 유무, 사용하는 첨가제의 종류나 양, 중합방법, 중합조건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모노머의 전체 사용량, 즉 중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화합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0.001ppm 이상 500ppm 이하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0.005ppm 이상 100ppm 이하의 비율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ppm 이상 10ppm 이하의 비율로 사용된다. 블루잉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렌즈 전체가 너무 푸르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한 너무 적으면, 색상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들 블루잉제의 첨가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미리 모노머계에 첨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방법으로서, 모노머에 용해시켜 놓는 방법, 혹은, 고농도의 블루잉제를 함유한 마스터 용액을 조제하여 두고, 그 마스터 용액을 사용하는 모노머나 다른 첨가제로 희석하여 첨가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루잉제는, 블루계 염료 및 바이올렛계의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색의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블루계나 바이올렛계 외에, 그레이계나 브라운계나 레드계, 오렌지계의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잉제의 조합의 구체예로서, 블루계 염료와 레드계 염료와의 조합, 및 바이올렛계 염료와 레드계 염료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흡수파장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극대 흡수 파장이 520nm 이상 600nm 이하의 염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극대 흡수 파장이 540nm 이상 580nm 이하의 염료이다.
염료로서, 구체적으로는, 「PS Blue RR」, 「PS Violet RC」, 「PEt Blue 2000」, 「PS Brilliant Red HEY」, 「MLP RED V-1」(각각, 다이스터재팬사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형광증백제로서는, 수지에 대해서 상용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UVITEX(등록상표) OB」, 「UVITEX OB-P」(상품명, 니혼치바가이기사 제), 「MIKEPHOR YO」, 「MIKEPHOR ETN conc.」, 「MIKEPHOR ETR conc.」, 「MIKEPHOREB conc.」(상품명, 미이케염료사 제), 「KAYCALL E」, 「KAYCALL C」, 「KAYCALL PAN」(상품명, 일본조달사 제, 「WHITEX(등록상표) ERN conc.」(상품명, 스미토모화학공업사 제), 「MIKAWHITE(등록상표) ATN conc.」, 「MIKAWHITE MTN conc.」, 「MIKAWHITE KTN conc.」, 「MIKAWHITE ACR」(상품명, 일본화약사 제), 「Hakkol(등록상표) PSR」, 「Hakkol CHP-B」, 「Hakkol PY-1800」, 「Hakkol PY-2000」, 「Hakkol HK」, 「Hakkol S-703」(상품명, 핫콜케미칼사 제), 「일루미날(등록상표) EX conc.」, 「일루미날 CK conc.」(상품명, 쇼와화공사 제), 「Nikkafluor RP conc.」, 「Nikkafluor BP conc.」, 「Nikkafluor SB conc.」, 「Nikkafluor OB conc.」(상품명, 일화사 제)를 들 수 있다.
형광안료로서는, 수지에 대해서 상용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바륨, 스트론튬, 알루미늄, 아연, 카드뮴 등의 산화물 혹은 황화물에 미량의 중금속이나 희토류를 부활제로서 가한 것인 무기 형광안료나 루모겐 컬러 각종, 티오플라빈, 로다민 B, 로다민 6G, 플루오레세인 염료 등의 유기 형광안료 및 그들을 유기 수지에 용해, 분말화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루모겐 컬러(BASF사 제): 1,5-디아닐리노안트라센(루모겐·옐로우), 디안틸렌(Dianthylene)(루모겐·군청색(sea blue)), 사클리실알다진(Saclicyl aldazine)(루모겐·옐로우 오렌지), 1,4-비스(β-시아노-β-카르보-에톡시비닐)벤젠(루모겐·브라이트 그린), 2-아닐리노-4-(2,5-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1,9-안트라-피리미딘(루모겐·레디쉬오렌지(reddish orange)) 등의 안료를 들 수 있다.
무기안료로서는, 평균 입자 지름 10미크론(㎛)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코발트 블루, 코발트 바이올렛 등, 블루계 혹은 바이올렛계의 안료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ST-1218 바이올렛」, 「ST-5254 블루」, 「ST-5307 바이올렛」(상품명, 다이이치세이카공업사 제)을 들 수 있다.
이들 블루잉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이들 블루잉제 중에서도, 염료 타입의 것이 일반적으로 모노머에의 용해성이 높고, 얻어지는 수지나, 얻어진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의 투명성도 높아지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을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이 때,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m=0이며, X1이 유황원자이어도 좋다. 또한, 이 때, m=0, X1이 유황원자, n=p, M이 Sn 원자이어도 좋다.
이하, 티올 화합물에 대해서 기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티올 화합물은, 분자 내에 1개 이상 티올기(SH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티올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티올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관능(1가의) 티올 화합물로서는, 메틸메르캅탄, 에틸메르캅탄, 프로필메르캅탄, 부틸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tert-도데실메르캅탄, 헥사데실메르캅탄, 옥타데실메르캅탄, 시클로헥실메르캅탄, 벤질메르캅탄, 에틸페닐메르캅탄, 2-메르캅토메틸-1,3-디티올란, 2-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1-메르캅토-2,3-에피티오프로판, 1-메르캅토메틸티오-2,3-에피티오프로판, 1-메르캅토에틸티오-2,3-에피티오프로판, 3-메르캅토티에탄, 2-메르캅토티에탄, 3-메르캅토메틸티오티에탄, 2-메르캅토메틸티오티에탄, 3-메르캅토에틸티오티에탄, 2-메르캅토에틸티오티에탄 등의 지방족 메르캅탄 화합물;
티오페놀, 메르캅토톨루엔 등의 방향족 메르캅탄 화합물; 및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티올(폴리티올) 화합물로서는, 1,1-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1-프로판디티올, 1,2-프로판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1,1-시클로헥산디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2,2-디메틸프로판-1,3-디티올, 3,4-디메톡시부탄-1,2-디티올, 2-메틸시클로헥산-2,3-디티올, 1,1-비스(메르캅토메틸)시클로헥산, 티오사과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2-메르캅토아세테이트),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3-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2-비스(메르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메르캅토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1,1,1,1-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등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1,2-디메르캅토벤젠, 1,3-디메르캅토벤젠, 1,4-디메르캅토벤젠, 1,2-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3-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3-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3-트리메르캅토벤젠, 1,2,4-트리메르캅토벤젠, 1,3,5-트리메르캅토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2,5-톨루엔디티올, 3,4-톨루엔디티올, 1,3-디(p-메톡시페닐)프로판-2,2-디티올, 1,3-디페닐프로판-2,2-디티올, 페닐메탄-1,1-디티올, 2,4-디(p-메르캅토페닐)펜탄 등의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
1,2-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1,3-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1,4-비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벤젠, 1,2,3-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1,2,4-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등 , 및 이들 핵알킬화물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
비스(메르캅토메틸)설피드, 비스(메르캅토메틸)디설피드, 비스(메르캅토에틸)설피드, 비스(메르캅토에틸)디설피드, 비스(메르캅토프로필)설피드, 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 1,2-비스(3-메르캅토프로필)에탄, 1,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3-비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3-메르캅토프로판,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메르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설피드, 비스(1,3-디메르캅토프로필)설피드, 2,5-디메르캅토-1,4-디티안,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2,5-디메르캅토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비스(메르캅토메틸)디설피드, 비스(메르캅토에틸)디설피드, 비스(메르캅토프로필)디설피드,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및 이들 티오글리콜산 및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디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디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디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디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디설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디설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메르캅토에틸 에테르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2-메르캅토에틸에테르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글리콜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4,4-티오디부틸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글리콜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 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4,4-디티오디부틸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글리콜산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에스테르), 디티오글리콜산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에스테르)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유황원자와 에스테르 결합을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3,4-티오펜디티올,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유황원자를 함유하는 복소환화합물;
글리세린디(메르캅토아세테이트), 1-히드록시-4-메르캅토시클로헥산, 2,4-디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하이드로퀴논, 4-메르캅토페놀, 3,4-디메르캅토-2-프로판올, 1,3-디메르캅토-2-프로판올,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1,2-디메르캅토-1,3-부탄디올,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모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1-히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등의 메르캅토기 이외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시클로헥산, 1,1,5,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3-티아펜탄, 1,1,6,6-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3,4-디티아헥산, 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티올, 2-(4,5-디메르캅토-2-티아펜틸)-1,3-디티아시클로펜탄, 2,2-비스(메르캅토메틸)-1,3-디티아시클로펜탄, 2,5-비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부틸)-1,4-디티안, 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프로판디티올, 3-메르캅토메틸티오-1,7-디메르캅토-2,6-디티아헵탄, 3,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9-디메르캅토-2,5,8-트리티아노난,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9-디메르캅토-2,5,8-트리티아노난, 3-메르캅토메틸티오-1,6-디메르캅토-2,5-디티아헥산, 2-(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 1,1,9,9-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5-(3,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티아프로필)-3,7-디티아노난, 트리스(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메탄, 트리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부틸)메탄, 테트라키스(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메탄, 테트라키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 -2-티아부틸)메탄, 3,5,9,11-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3-디메르캅토-2,6-, 8,12-테트라티아트리데칸, 3,5,9,11,15,17-헥사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9-디메르캅토-2,6,8,12,14,18-헥사티아노나데칸, 9-(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3,5,13,1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7-디메르캅토-2,6,8,10,12,16-헥사티아헵타데칸, 3,4,8,9-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1-디메르캅토-2,5,7,10-테트라티아운데칸, 3,4,8,9,13,14-헥사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6-디메르캅토-2,5, 7,10,12,15-헥사티아헥사데칸, 8-{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3,4,12,1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5-디메르캅토-2,5,7,9,11,14-헥사티아펜타데칸, 4,6-비스{3,5-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7-메르캅토-2,6-디티아헵틸티오}-1,3-디티안, 4-{3,5-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7-메르캅토-2,6-디티아헵틸티오}-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1,1-비스{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3,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1,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3-{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7,9-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4,6,10-테트라티아운데칸, 1-{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3-{2-(1,3-디티에타닐)}메틸-7,9-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4,6,10-테트라티아운데칸, 1,5-비스{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3-{2-(1,3-디티에타닐)}메틸-2,4-디티아펜탄, 4,6-비스[3-{2-(1,3-디티에타닐)}메틸-5-메르캅토-2,4-디티아펜틸티오]-1,3-디티안, 4,6-비스{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1,3-디티안, 4-{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6-{4-(6-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닐티오}-1,3-디티안, 3-{2-(1,3-디티에타닐)}메틸-7,9-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11-디메르캅토-2,4,6,10-테트라티아운데칸, 9-{2-(1,3-디티에타닐)}메틸-3,5,13,1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7-디메르캅토-2,6,8,10,12,16-헥사티아헵타데칸, 3-{2-(1,3-디티에타닐)}메틸-7,9,13,1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7-디메르캅토-2,4,6,10,12,16-헥사티아헵타데칸, 3,7-비스{2-(1,3-디티에타닐)}메틸-1,9-디메르캅토-2,4,6,8-테트라티아노난, 4-{3,4,8,9-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메르캅토-2,5,7,10-테트라티아운데실}-5-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올란, 4,5-비스{3,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6-메르캅토-2,5-디티아헥실티오}-1,3-디티올란, 4-{3,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6-메르캅토-2,5-디티아헥실티오}-5-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올란, 4-{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5,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8-메르캅토-2,4,7-트리티아옥틸}-5-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올란, 2-[비스{3,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6-메르캅토-2,5-디티아헥실티오}메틸]-1,3-디티에탄, 2-{3,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6-메르캅토-2,5-디티아헥실티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1,3-디티에탄, 2-{3,4,8,9-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11-메르캅토-2,5,7,10-테트라티아운데실티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1,3-디티에탄, 2-{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5,-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8-메르캅토-2,4,7-트리티아옥틸}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1,3-디티에탄, 4,5-비스[1-{2-(1,3-디티에타닐)}-3-메르캅토-2-티아프로필티오]-1,3-디티올란, 4-[1-{2-(1,3-디티에타닐)}-3-메르캅토-2-티아프로필티오]-5-{1,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4-메르캅토-3-티아부틸티오}-1,3-디티올란, 2-[비스{4-(5-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올라닐)티오}]메틸-1,3-디티에탄, 4-{4-(5-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올라닐)티오}-5-[1-{2-(1,3-디티에타닐)}-3-메르캅토-2-티아프로필티오]-1,3-디티올란, 또한 이들 올리고머 등의 디티오아세탈 혹은 디티오케탈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1,1,5,5-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2,4-디티아펜탄, 비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부틸](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트리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부틸]메탄, 2,4,6-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1,3,5-트리티아시클로헥산, 2,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5-트리티아시클로헥산,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프로판, 비스(메르캅토메틸)메틸티오-1,3,5-트리티아시클로 헥산, 트리스[(4-메르캅토메틸-2,5-디티아시클로헥실-1-일)메틸티오]메탄, 2,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시클로펜탄, 2-메르캅토에틸티오-4-메르캅토메틸-1,3-디티아시클로펜탄, 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1,3-디티아시클로펜탄, 4-메르캅토메틸-2-(2,3-디메르캅토프로필티오)-1,3-디티아시클로펜탄, 4-메르캅토메틸-2-(1,3-디메르캅토-2-프로필티오)-1,3-디티아시클로펜탄, 트리스[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티아에틸]메탄, 트리스[3,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프로필]메탄, 트리스[4,4-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3-티아부틸]메탄, 2,4,6-트리스[3,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프로필]-1,3,5-트리티아시클로헥산, 테트라키스[3,3-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2-티아프로필]메탄 등, 또한 이들 올리고머 등의 오르토 트리티오포름산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및
3,3'-디(메르캅토메틸티오)-1,5-디메르캅토-2,4-디티아펜탄, 2,2'-디(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시클로펜탄, 2,7-디(메르캅토메틸)-1,4,5,9-테트라티아스피로[4,4]노난, 3,9-디메르캅토-1,5,7,11-테트라티아스피로[5,5]운데칸, 또한 이들 올리고머 등 오르토 테트라티오탄산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예시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들 티올 화합물 중, 얻어지는 수지의 광학 물성, 특히 아베수를 고려하면, 방향족계보다도 지방족계의 티올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물성, 특히 굴절율의 요구를 고려하면, 설피드 결합 및/또는 디설피드 결합 등의 티올기 이외에 유황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선택한다면 보다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수지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3차원 가교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에피티오기나 티에타닐기 등의 중합성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이나, 티올기를 3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1종 이상 선택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율과 기계 물성의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티올 화합물로서, 티에탄환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티올로서는, 1-메르캅토-2,3-에피티오프로판, 1-메르캅토메틸티오-2,3-에피티오프로판, 1-메르캅토에틸티오-2,3-에피티오프로판, 3-메르캅토티에탄, 2-메르캅토티에탄, 3-메르캅토메틸티오티에탄, 2-메르캅토메틸티오티에탄, 3-메르캅토에틸티오티에탄, 2-메르캅토에틸티오티에탄,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1,1-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메르캅토티에탄,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1,1-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이다. 또한, 2가의 티올 화합물을 선택하는 경우는, 중합성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또는 3가 이상의 티올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올 화합물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3-메르캅토티에탄,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2,5-비스(메르캅토메틸) 1,4-디티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또한, 티올 화합물과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i)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n=p, m=0, X1이 유황원자이고, 또한, 티올 화합물이, 3-메르캅토티에탄,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조합, 및
(ii)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Sn 원자이고, 또한, 티올 화합물이, 3-메르캅토티에탄,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조합.
이들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기계 강도 및 황색도의 개선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내열성의 저하가 현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티올 화합물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1중량부 이상 25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이 때,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m=0이며, X1이 유황원자이어도 좋다. 또한, 이 때, m=0, X1이 유황원자, n=p, M이 Sn 원자이어도 좋다.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은, 각각,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에폭시기 및 에피설피드기를 함유한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 및/또는 에피설피드기를 합계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다가 페놀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페놀계 에폭시 화합물(예를 들면,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
수첨(水添) 비스페놀 A, 수첨 비스페놀 F,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다가알코올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알코올계 에폭시 화합물(예를 들면, 수첨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수첨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나 1,2-헥사히드로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다가 유기산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화합물; 및
1급 및 2급 아민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아민계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4-비닐-1-시클로헥산디에폭사이드 등의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등의 지방족 다가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설피드기 함유 에폭시 화합물과 에테르기 함유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 화합물 예로서는, 비스(2,3-에폭시프로필)설피드, 비스(2,3-에폭시프로필)디설피드, 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프로판,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부탄,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3-티아펜탄, 1,6-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헥산, 1,6-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헥산, 3,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3,6-디티아옥탄, 1,2,3-트리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1-(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2,3-에폭시프로필티오)-2,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4-티아헥산, 1,5,6-트리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티아헥산, 1,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4,5-트리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1,1-트리스[[2-(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2-(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탄, 1,1,2,2-테트라키스[[2-(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에탄,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4,7-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5,7-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등의 쇄상 지방족의 2,3-에폭시프로필티오 화합물;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등의 환상 지방족의 2,3-에폭시프로필티오 화합물;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벤젠,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벤젠,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벤젠,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벤젠,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벤젠,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2,3-에폭시프로필티오)페닐]메탄, 2,2-비스[4-(2,3-에폭시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2,3-에폭시프로필티오)페닐]설피드, 비스[4-(2,3-에폭시프로필티오)페닐]설폰, 4,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비페닐 등의 방향족 2,3-에폭시프로필티오 화합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글리시돌,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단관능 에폭시 화합물;
비스(2,3-에폭시프로필)에테르, 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에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메틸프로판,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부탄,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메틸부탄,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부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메틸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3-티아펜탄, 1,6-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헥산, 1,6-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메틸헥산, 3,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3,6-디티아옥탄, 1,2,3-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옥시)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1-(2,3-에폭시프로필옥시)부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티아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티아펜탄, 1-(2,3-에폭시프로필옥시)-2,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4-티아헥산, 1,5,6-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티아헥산, 1,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2,4,5-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1,1-트리스[[2-(2,3-에폭시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2-(2,3-에폭시프로필옥시)에탄, 1,1,2,2-테트라키스[[2-(2,3-에폭시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에탄,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8-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4,7-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5,7-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등의 쇄상 지방족의 2,3-에폭시프로필옥시 화합물;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1,4-디티안, 2,5-비스[[2-(2,3-에폭시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등의 환상 지방족의 2,3-에폭시프로필옥시 화합물; 및
1,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벤젠,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벤젠,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벤젠, 1,2-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벤젠,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벤젠,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메틸)벤젠, 비스[4-(2,3-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메탄, 2,2-비스[4-(2,3-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비스[4-(2,3-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설피드, 비스[4-(2,3-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설폰, 4,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비페닐 등의 방향족 2,3-에폭시프로필옥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예시 화합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예시한 에폭시 화합물 중, 바람직하게는, 비스(2,3-에폭시프로필)디설피드;
4-비닐-1-시클로헥산디에폭사이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다가 페놀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페놀계 에폭시 화합물(예를 들면,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
수첨 비스페놀 A, 수첨 비스페놀 F 등의 다가알코올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알코올계 에폭시 화합물(예를 들면, 수첨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수첨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 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2-헥사히드로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다가 유기산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화합물;
1급 및 2급 디아민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아민계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등 지방족 다가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2,3-에폭시프로필)디설피드, 1,3-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즉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및 비스페놀 F 글리시딜에테르이다.
에피설피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스(1,2-에피티오에틸)설피드, 비스(1,2-에피티오에틸)디설피드, 비스(에피티오에틸티오)메탄, 비스(에피티오에틸티오)벤젠, 비스[4-(에피티오에틸티오)페닐]설피드, 비스[4-(에피티오에틸티오)페닐]메탄 등의 에피티오에틸티오 화합물;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설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메틸프로판,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메틸부탄,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메틸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3-티아펜탄, 1,6-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헥산, 1,6-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메틸헥산, 3,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3,6-디티아옥탄, 1,2,3-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4-티아헥산, 1,5,6-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헥산,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4,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4,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2,4,5-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1,1-트리스[[2-(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2-(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1,2,2-테트라키스[[2-(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에탄,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4,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4,7-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5,7-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등의 쇄상 지방족의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등의 환상 지방족의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메탄, 2,2-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피드,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폰, 4,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비페닐 등의 방향족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에틸렌설피드, 프로필렌설피드, 메르캅토프로필렌설피드, 메르캅토부텐설피드, 에피티오클로로히드린 등의 단관능 에피설피드 화합물(에피설피드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에테르,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탄,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탄,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프로판,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프로판,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메틸프로판,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부탄,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메틸부탄,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부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메틸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3-티아펜탄, 1,6-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헥산, 1,6-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메틸헥산, 3,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3,6-디티아옥탄, 1,2,3-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프로판, 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프로판, 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1-(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부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티아펜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티아펜탄, 1-(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4-티아헥산, 1,5,6-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티아헥산,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2,4,5-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디티아옥탄, 1,1,1-트리스[[2-(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2-(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탄, 1,1,2,2-테트라키스[[2-(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에탄,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8-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4,7-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5,7-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등의 쇄상 지방족의 2,3-에피티오프로필옥시 화합물;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1,4-디티안, 2,5-비스[[2-(2,3-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등의 환상 지방족의 2,3-에피티오프로필옥시 화합물; 및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벤젠,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벤젠,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벤젠,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벤젠,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벤젠,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벤젠,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메탄, 2,2-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설피드, 비스[4-(2,3-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설폰, 4,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옥시)비페닐 등의 방향족 2,3-에피티오프로필옥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예시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비스(1,2-에피티오에틸)설피드, 비스(1,2-에피티오에틸)디설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설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및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이고,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비스(1,2-에피티오에틸)설피드, 비스(1,2-에피티오에틸)디설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설피드 및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이다. 또한, 보다 한층 바람직한 화합물은,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설피드 및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이다.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사용하는 화합물의 구조나 사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율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5중량% 이하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23중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수지의 색상 및 기계 강도를 고려하면, 2.5중량%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굴절율의 관점에서는, 에폭시화물의 함유량은 적고, 티올,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색상의 관점에서는, 티올 화합물의 함유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는, 예를 들면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이다.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은,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모두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양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 끼리이고 상이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 끼리이고 상이한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복수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고굴절률의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올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병용할 때, 티올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사용량비로서는, 티올 화합물 중의 티올기와,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 중의 에폭시기 및/또는 에피설피드기와의 관능기비(SH기/(에폭시기+에피설피드기))는, 수지 색상의 관점에서는, 0.7 이상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3 이하이다. 이 관능기비가 너무 작으면, 얻어지는 수지의 기계 강도가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너무 크면 얻어지는 수지의 내열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중합성 조성물이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더 포함할 때,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화합물의 총 중량에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통상, 10중량% 이상이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고굴절률 화 재료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다.
다만,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상대적으로 티올 화합물 및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저하하기 때문에, 수지의 색상을 개선하고, 기계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중합성 조성물 중의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을 9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올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을 병용할 때, 티올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사용하는 화합물의 구조 및,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구조나 사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수지를 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티올 화합물의 첨가는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율의 저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율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5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중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수지의 색상, 기계 강도를 감안하면, 2.5중량%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단체(單體)유황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단체유황을 더 첨가하는 것은, 새로운 고굴절률화가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중합촉매를 더 함유해도 좋다. 또한, 이 때,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m=0이고, X1이 유황원자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단체유황이란, 무기 유황의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투명 수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그 순도는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이상의 것이다.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휘발성분을 제거하는 방법도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또한, 단체유황의 성상으로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용해 가능한 형상이면 문제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분말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분말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면 보다 고굴절률인 수지를 얻는 경우에 단체유황을 첨가해도 좋다.
중합성 조성물 중의 유황 첨가량으로서는, 고굴절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단체유황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굴절율의 향상 효과가 적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단체유황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탁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단체유황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5중량% 이상 50중량% 이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의 단체유황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에 단체유황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용해시키면 좋지만, 그 때, 필요에 따라 온도를 높이거나 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후에 기재하는 다른 중합성 화합물이나 중합촉매 등에 첨가하여 용해시켜도 좋고, 모두 동일 용기 내에서 동시에 교반하에 혼합해도, 단계적으로 첨가 혼합해도, 수성분을 따로따로 혼합 후, 동일 용기 내에서 재혼합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른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해도 좋다.
이러한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공지의 각종 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올리고머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비닐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티에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화합물의 총 중량에 차지하는, 이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이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율은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굴절률 재료를 얻는 관점에서, 통상, 9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 중에 다른 중합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의 하한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에는 특히 중합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기 촉매적으로 중합반응이 진행하는 화합물이 있기 때문에, 중합촉매는 필요에 따라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촉매는, 통상, 공지의 티에탄기 함유 화합물을 중합할 때 방법을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경화 수지를 얻기 위한 중합촉매 등의 종류나 양, 단량체의 종류나 비율은, 중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르고,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중합촉매의 종류로서는 아민류, 포스핀류, 유기산 및 그 염, 에스테르, 무수물류, 무기산, 4급 암모늄염류, 4급 포스포늄염류, 3급 설포늄염류, 2급 요오드늄염류, 티탄계 알콕사이드, 루이스산류, 라디칼 중합촉매류, 양이온 중합 촉매류 등이 통상 사용된다.
중합촉매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n-헥실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트리페닐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N,N-디에틸에탄올아민, N,N-디부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N,N-디에틸벤질아민, 트리벤질아민, n-메틸디벤질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에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부틸아민,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N-이소프로필모르폴린, 피리딘, 퀴놀린,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α-, β-, 혹은 γ-피콜린, 2,2'-비피리딜, 1,4-디메틸피페라진, 디시안디아미드,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등의 지방족 및 방향족 3급 아민류;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n-프로필포스핀, 트리이소프로필포스핀, 트리n-부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벤질포스핀,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1,2-비스(디메틸포스피노)에탄 등의 포스핀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소다 등의 트리할로게노아세트산 및 그 에스테르, 무수물 및 염;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소다 등의 트리할로게노메탄설폰산 및 그 에스테르, 무수물 및 염;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
테트라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4급 포스포늄염;
트리메틸설포늄브로마이드, 트리부틸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급 설포늄염;
디페닐요오드늄브로마이드 등의 2급 요오드늄염;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테트라클로로주석,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아세톡시테트라부틸디스타녹산, 염화아연, 아세틸아세톤아연, 염화알루미늄, 불화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톤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알루미늄, 테트라클로로티탄 및 그 착체, 테트라요오드티탄, 디클로로티타늄디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 등의 티탄계 알콕사이드;
아세트산칼슘;
삼불화붕소, 삼불화붕소디에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피페리딘 착체, 삼불화붕소에틸아민 착체, 삼불화붕소아세트산 착체, 삼불화붕소인산 착체, 삼불화붕소t-부틸메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디부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THF(테트라히드로푸란) 착체, 삼불화붕소메틸설피드 착체, 삼불화붕소페놀 착체 등의 삼불화붕소의 각종 착체 및 삼염화 붕소의 각종 착체 등의 트리할로겐화붕소 화합물 및 그 컴플렉스 등의 루이스산;
2,2'-아조비스(2-시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의 라디칼중합 촉매; 및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인산,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비산,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몬, 트리페닐설포늄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인산, 트리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비산 등의 양이온 중합촉매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촉매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시용해도 좋고, 이들 중합촉매 중, 반응성이 다른 2종 이상의 것을 병용하면, 모노머의 핸들링성, 얻어지는 수지의 광학 물성, 색상, 투명성, 광학 변형(맥리)이 향상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중합촉매로서 예시한 상기 화합물 중, 바람직한 것은,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테트라클로로주석,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아세톡시테트라부틸디스타녹산 등의 유기 주석 화합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소다 등의 트리할로게노아세트산 및 그 에스테르, 무수물 및 염;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에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소다 등의 트리할로게노메탄설폰산 및 그 에스테르, 무수물 및 염;
삼불화붕소, 삼불화붕소디에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피페리딘 착체, 삼불화붕소에틸아민 착체, 삼불화붕소아세트산 착체, 삼불화붕소인산 착체, 삼불화붕소t-부틸메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디부틸에테르 착체, 삼불화붕소THF 착체, 삼불화붕소메틸설피드 착체, 삼불화붕소페놀 착체 등의 삼불화붕소의 각종 착체;
삼염화붕소의 각종 착체 등의 트리할로겐화붕소 화합물 및 그 컴플렉스 등의 루이스산; 및
2,2'-아조비스(2-시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 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의 라디칼 중합촉매이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및 그 무수물, 에스테르, 염 및 삼불화붕소의 각종 착체; 및
2,2'-아조비스(2-시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 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의 라디칼 중합촉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촉매의 첨가량은, 중합성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0.0001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중합촉매의 첨가량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더 양호하게 경화한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고, 포트라이프가 더 확실하게 유지되고, 또한,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 광학 물성이 더욱 양호한 것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중합촉매는, 중합성 조성물 또는 그 일부의 화합물에 직접 첨가해도 좋고, 다른 화합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나서 첨가해도 좋지만, 다른 화합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나서 첨가한 것이 바람직한 결과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합촉매를 첨가하는 경우, 질소 분위기하 또는 건조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하면 바람직한 결과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얻어지는 수지의 성능을 보다 인출하기 위해서는, 수지 중에 잔존하는 미반응 관능기의 양을, 수지 총중량에 대해서 0.5중량% 이하로 하면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블루잉제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의 굴절율, 아베수 등의 광학 물성의 새로운 조정이나, 색상, 내광성이나 내후성, 내열성, 내충격성, 경도, 비중, 선팽창 계수, 중합 수축률, 흡수성, 흡습성, 내약품성, 점탄성 등의 제물성을 조정, 투과율이나 투명성의 조정,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 그 외 보존이나 수송 방법의 취급성을 조정하기 위한 등, 수지의 개량이나 취급성을 개량하는 목적으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정제나 세정, 보온, 보냉, 여과, 감압 처리 등의 유기 화합물을 합성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법, 조작을 실시하거나 또한, 공지의 화합물 등을 안정제나 수지 개질제로서 가하거나 하는 것은 양호한 수지를 얻는 목적으로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장기의 보존 안정성이나, 중합 안정성, 열안정성 등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가해지는 것으로서는, 중합 지연제나 중합 금지제, 탈산소제, 산화방지제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조성물을 정제하는 것은, 경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을 개량 하거나, 색상을 개량하기 위해서거나 순도를 올리기 위해서 이용되는 수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정제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법(실리카겔법이나 활성탄법, 이온교환수지법 등), 추출 등의 어떠한 수법을 어떠한 타이밍에 실시해도 좋고, 일반적으로 정제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이나 색상이 개량되어 있으면 좋다.
중합성 조성물을 세정하는 방법은, 경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을 개량 하거나, 색상을 개량하는데 이용되는 수법이지만, 중합성 조성물을 합성하여 꺼낼 때 또는 합성 후의 꺼낸 후 등의 타이밍에서 극성 및/또는 비극성용매로 세정하고, 수지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물질, 예를 들면, 중합성 조성물을 합성할 때에 사용되는 또는, 부생하는 무기염, 예를 들면, 암모늄염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용매는, 세정되는 중합성 조성물 그 자체나 중합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의 극성 등에 의해 일률적으로 한정은 할 수 없지만, 제거하고 싶은 성분을 용해 가능하고, 또한, 세정되는 중합성 조성물 그 자체나 중합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과 상용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고, 1종류 뿐만 아니라,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제거 성분은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가능한 한 적게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50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좋은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중합성 조성물을 보온·보냉·여과하는 방법은, 경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투명성을 개량하거나 색상을 개량하는데 사용되는 수법이지만, 중합성 조성물을 합성하여 꺼낼 때 또는 합성 후의 꺼낸 후 등의 타이밍으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합성 조성물이 보관 중에 결정화하고, 핸들링이 나빠졌을 경우에, 중합성 조성물 및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수지의 성능이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열 용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열하는 온도범위나 가열 용해하는 방법은, 취급되는 중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조에 의해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통상, 응고점 +50℃ 이내의 온도에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는 +20℃ 이내이며, 교반 가능한 장치에서 기계적으로 교반하거나, 조성물에 불활성가스로 버블링하는 것으로 내액을 움직여 용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보냉(保冷)은 중합성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통상 행해지지만, 예를 들면 중합성 조성물의 융점이 높은 경우에는, 결정화 후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관온도를 고려하면 좋다. 보냉 온도는 취급되는 중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조, 보존 안정성에 의해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통상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 이하에서 보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조성물이, 광학용도로 사용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경우, 그 매우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 중합성 조성물을 공경(孔徑)이 작은 필터로 여과하면 좋다. 여기서 사용하는 필터의 공경은 통상 0.05㎛ 이상 10㎛ 이하로 행해지지만, 조작성이나 성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도 예외 없이 여과하면 좋은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여과하는 온도에 대해서는, 응고점 부근의 저온에서 실시하면 더욱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여과 중에 응고가 진행하는 경우는, 여과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온도에서 실시하면 좋은 경우가 있다.
감압 처리는, 일반적으로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수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용매나 용존 가스, 악취(臭氣)를 없애는데 행해지는 수법이다. 용존 용매는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율 저하나 내열성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한 제거하면 좋다. 용존 용매의 허용치는, 취급되는 중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조, 용존하는 용매의 구조에 의해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통상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ppm 이하이다. 용존 가스는 중합의 저해를 억제하는 관점 및 얻어지는 수지에 기포가 혼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제거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증기 등의 수분을 의미하는 가스에 대해서는, 특히 건조가스로 버블링하는 등 하여 제거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용존량에 대해서는, 중합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조, 용존하는 가스의 물성 및 구조, 종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대표적으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블루잉제, 필요에 따라 티올 화합물, 소망에 의해 상기의 공지의 각종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하고, 더욱 필요에 따라 상기 중합촉매를 첨가한 후, 혼합, 용해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하여 성형할 때에는, 목적에 따라 공지의 성형법과 같이, 안정제, 수지개질제, 쇄연장제, 가교제, HALS계를 대표로 하는 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를 대표로 하는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페놀계를 대표로 하는 산화방지제, 착색 방지제, 충전제, 실리콘계를 대표로 하는 외부 이형제 또는 산성인산에스테르, 4급 암모늄염 혹은 4급 포스포늄염 등의 계면활성제를 대표로 하는 내부 이형제, 밀착성 향상제 등의 여러 가지의 물질을 첨가해도 좋다. 여기서 내부 이형제는, 전술의 각종 촉매 중 이형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의 첨가 가능한 각종 첨가제의 첨가량은, 각각의 첨가제의 종류, 구조, 효과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통상, 중합성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0.001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및 해당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부품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공지의 각종 방법에 따라 최적으로 실시되지만, 광학 뒤틀림을 고려하면, 주형 중합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필요에 따라, 감압하에서의 탈법 처리나 필터 여과를 실시한 후, 얻어진 중합성 조성물을 성형용 몰드에 주입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하여 중합을 실시한다. 이 경우, 저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형용 몰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스킷을 개입시킨 경면 연마한 2매의 주형에 의해 구성된다. 주형은, 대표적으로는, 유리와 유리의 조합이며, 그 밖에 유리와 플라스틱판, 유리와 금속판 등의 조합의 주형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성형용 몰드는 2매의 주형을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 등의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 것이어도 좋다. 필요에 따라, 주형에 대해서 이형 처리 등 공지의 처리 방법을 실시해도 좋다.
주형 중합을 실시하는 경우, 중합온도는 중합개시제의 종류 등 중합조건에 의해서 영향받으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50℃ 이상 2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7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50℃ 이하이다.
중합시간은, 중합온도에 의해 영향받지만, 통상, 0.01시간 이상 200시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5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정한 온도나 승온, 강온 등의 몇개의 온도를 조합시켜서 중합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전자선,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필요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서 중합 개시하는 라디칼 중합촉매나 양이온 중합촉매가 사용된다.
얻어진 수지의 내열성이 너무 낮으면, 일상에 있어서의 안경 렌즈로서의 사용에서 열 변형 등의 폐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대로, 내열성이 너무 높은 경우는, 예를 들면, 수지의 염색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염색성을 고려하여, 얻어진 수지의 내열성은, 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Tg는, TMA(Thermal Mechanical Analysis: 열기계 측정) 페네트레이션법에 의해 측정하고, TMA 곡선의 교점에서 구한 온도이고, 열변형 개시 온도에 상당한다.
얻어진 수지 및 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렌즈는, 경화 후, 필요에 따라, 어닐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반사방지, 고경도 부여, 내마모성 향상, 방담성 부여 혹은 패션성 부여의 목적으로, 표면 연마, 대전방지처리, 하드코트처리, 무반사코트처리, 염색처리, 조광처리(예를 들면, 포토크로믹 렌즈화 처리 등) 등 공지의 각종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얻어진 수지 및 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렌즈는, 필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실시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하, 광학렌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코팅층으로서는, 프라이머층, 하드코트층, 반사방지막층, 방담코트막층, 방 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의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사용해도 좋다. 양면에 코팅층을 실시하는 경우, 각각의 면에 같은 코팅층을 실시해도, 상이한 코팅층을 실시해도 좋다.
이들 코팅층에는, 렌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공지의 첨가제를 병용해도 좋다. 첨가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으로부터 렌즈나 눈을 지키는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지키는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
렌즈의 내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광안정제나 산화방지제;
렌즈의 패션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 등을 사용해도 좋고, 또한 포토크로믹 염료나 포토크로믹 안료, 대전방지제, 그 외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포에 의한 코팅을 실시하는 층에 관해서는, 도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각종 레벨링제를 사용해도 좋다.
프라이머층은, 통상, 후술하는 하드코트층과 광학렌즈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은, 그 위에 형성하는 하드코트층과 렌즈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코팅층이며, 경우에 따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라이머층에는, 얻어진 광학렌즈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것이면 어떠한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좋다.
물론, 무용제로 사용해도 좋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도포법, 건식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포법을 사용하는 경우, 렌즈에 스핀코트, 딥코트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도포된 후, 고화(固化)시키는 것에 의해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건식법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CVD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의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에,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렌즈의 표면은, 알칼리처리, 플라즈마처리, 자외선처리 등의 전(前)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은, 렌즈 표면에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온수성, 내열성, 내후성 등 기능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코팅층이다.
하드코트층에는, 일반적으로는, 경화성을 가지는 유기규소화합물과,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의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이들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원소의 복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코트 조성물이 사용된다.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복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미립자는, 하드코트 조성물 중에 1종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하드코트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이외에 아민류, 아미노산류,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유기산 금속염, 과염소산류, 과염소산류의 염, 산류, 금속염화물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 조성물에는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좋다. 물론, 무용제로 사용해도 좋다.
하드코트층은, 통상, 하드코트 조성물을 스핀코트, 딥코트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방법으로서는, 열경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섭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드코트층의 굴절율은, 렌즈와의 굴절률의 차이가 ±0.1(플러스 마이너스)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 하드코트층 상에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무기계 및 유기계가 있고, 무기계의 경우, SiO2, TiO2 등의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고,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이온빔 어시스트법, CVD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계의 경우, 유기규소 화합물과, 내부공동을 가지는 실리카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식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단층의 것 및 다층의 것이 있고,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하드코트층의 굴절율보다도 굴절율이 적어도 0.1 이상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방지 기능을 발현하려면, 다층막 반사방지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을 번갈아 적층한다. 이 경우에도,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과의 굴절률차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막으로서는, ZnO, TiO2, CeO2, Sb2O5, SnO2, ZrO2, Ta2O5 등의 막이 있고, 저굴절률 막으로서는, SiO2막 등을 들 수 있다.
반사방지막층 상에는, 필요에 따라 방담코트막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 시켜도 좋다. 방담코트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사방지 기능에 악영향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면, 그 처리방법, 처리재료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담코트 처리방법, 방오염 처리방법, 발수 처리방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담코트, 방오염 처리방법에서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덮는 방법, 표면에 친수성의 막을 부가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표면을 미세한 요철로 덮어 친수성을 높이는 방법, 광촉매 활성을 이용하여 친수성으로 하는 방법, 초발수성 처리를 실시하여 수적(水滴)의 부착을 막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수 처리방법에서는, 불소 함유 실란화합물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에 의해서 발수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불소 함유 실란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한 후, 코팅하여 발수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경화물 및 광학부품은, 투명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황색도가 저감되고, 또한, 굴절율(ne) 1.7을 넘는 고굴절률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력 교정용 안경 렌즈, 촬상 기기용 렌즈, 액정 프로젝터용 프레넬렌즈, 렌티큐라렌즈, 콘택트렌즈 등의 각종 플라스틱 렌즈;
발광다이오드(LED)용 봉지재;
광도파로;
광학렌즈나 광도가이드의 접합에 사용하는 광학용 접착제;
광학렌즈 등에 사용하는 반사방지막;
기판, 도광판, 필름, 시트 등의 액정표시 장치부재에 사용하는 투명성 코팅 또는 투명성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는, 높은 투명성, 양호한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또한, 굴절율(ne) 1.7을 넘는 고굴절률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 등의 광학부품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매우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투명 수지용의 원료 모노머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Tg)는, TMA 페네트레이션법에 의해 측정하고, TMA 곡선의 교점으로부터 구한 온도이고, 열변형 개시 온도에 상당한다.
(참고 제조예 1)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7583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3-티에탄올을 합성했다.
또한 얻어진 3-티에탄올을 사용하여, 3-메르캅토티에탄을 합성했다. 즉, 교반 장치와 온도계를 갖춘 반응기 중에, 티오요소 190g, 35% 염산수 253g 및 물 250g을 장입(裝入)하여 교반하고 있는 반응액에, 3-티에탄올 156g을 1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30℃에서 24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실시한 후, 24% 암모니아수 177g을 1시간 걸쳐 적하했다. 30℃에서 15시간 반응을 더 실시한 후, 정치하여 유기층(하층)을 꺼내, 조생성물 134g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감압하에 증류하고, 비등점 40℃/106Pa의 유분(留分)을 모아, 무색 투명 액체의 목적물인 3-메르캅토티에탄을 얻었다.
(참고 제조예 2)
(상기 표 1 중, CMPD.(화합물)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3-메르캅토티에탄 11.15g(0.105몰)을 순수 50g 중에 장입하고, 계속해서, 10% NaOH 수용액 41.2g(0.103몰)을 실온 하, 40분에 걸쳐 적하 장입했다. 이어서, 반응액을 30℃까지 승온하고, 10% 사염화주석의 수용액 65.2g(사염화주석 0.025몰에 상당)을 같은 온도에서 4시간에 걸쳐 적하 삽입했다. 적하 종료 후, 같은 온도에서 2시간 더 교반했다. 이 반응 혼합물에 클로로포름 100ml를 가하고,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액했다. 유기층을 100ml의 순수로 2회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했다. 이 추출물로부터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13.40g(수율 99%)를 얻었다.
[화학식 7]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4
(중합성 조성물의 조제와 그 중합에 의한 수지 경화물의 제조)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한 수지 또는 광학부품(렌즈)의 물성 평가를,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외관: 눈으로 확인 및 현미경 관찰에 의해 투명성, 광학적인 변형의 유무를 확인했다.
굴절율: 풀푸리히 굴절계를 이용하여 20℃에서 측정했다.
색상: ASTM D1925에 준거하고, 그레타마크베스사 제 분광 광도계 CE-7000A를 이용하여, 2mm 두께의 평판의 황색도(YI)를 측정했다.
(실시예 1)
미리,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g에, 블루잉제로서 「PS Violet RC 」(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를 5mg 용해시켜 두고, 블루잉제 농도 100ppm의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액을 작성하여 두었다(조정액 A).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0중량부, 조정액A 10중량부를 칭취(秤取)하고, 모노머 중에 10ppm의 블루잉제가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6이 되었다.
(실시예 2)
미리, 3-메르캅토티에탄 50g에, 블루잉제로서 「PS Violet RC」(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를 5mg 용해시켜 두고, 블루잉제 농도 100ppm의 3-메르캅토티에탄 용액을 작성해 두었다(조정액 B).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5중량부, 조정액B 5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5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 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5가 되었다.
(실시예 3)
미리,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0g에, 블루잉제로서 「PS Violet RC」(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를 5mg 용해시켜 두고, 블루잉제 농도 100ppm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용액을 작성해 두었다(조정액 C).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2.5중량부, 조정액C 2중량부, 및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5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2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1이 되었다.
(실시예 4)
미리,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0g에, 블루잉제로서 「PS Blue RR」(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를 5mg 용해시켜 두고, 블루잉제 농도 100ppm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용액을 작성해 두었다(조정액 D).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2.5중량부, 조정액D 2중량부, 및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5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2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4가 되었다.
(비교예 1)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중량부를 칭취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38과 블루잉제를 넣은 것과 비교하여,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었다.
(비교예 2)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5중량부, 티올 화합물로서 3-메르캅토티에탄 5중량부를 칭취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지만,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12와 블루잉제를 넣은 것과 비교하여,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었다.
(비교예 3)
40℃ 하, 유리 비이커에 참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표 1 중,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2.5중량부, 티올 화합물로서-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7.5중량부를 칭취했다. 중합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테프론(등록상표) 제 필터로 여과한 후, 1.3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20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60℃에서 12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지만, 색상에 대해서는 황색도 6과 블루잉제를 넣은 것(실시예 4)과 비교하여,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었다.
실시예 5~9 및 비교예 4 및 5에 있어서 제조한 수지의 광학 물성(굴절율, 아베수), 내열성, 색상은, 이하의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굴절율(ne) 및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5
e): 풀푸리히 굴절계를 이용하여 20℃에서 측정했다.
내열성: TMA 페네트레이션법(50g 하중, 핀 끝 0.5mmφ 승온속도 10℃/min)에서의 Tg(℃)를 내열성으로 했다.
색상: 미놀타사 제의 색채 색차계(CR-200)를 사용하여 수지 색상 YI값을 측정했다. 수지 색상 YI값은, 두께 3mm의 평판을 제작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5)
우선,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0g에, 블루잉제로서 바이올렛계 염료인 「PS Violet RC」(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을 40mg 용해시켜 놓고, 블루잉제 농도 800ppm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용액을 제작해 두었다(조정액 E).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5중량부, 조정액 E를 0.13중량부,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을 4.87중량부, 및 3-메르캅토티에탄 10중 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1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여기에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을 전체의 38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열 하 교반하여 균일용액으로 했다. 이어서 PTFA제 필터로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79,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6
e)는 26.4였다. Tg는 105℃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5.2로 양호했다.
(실시예 6)
미리,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0g에, 블루잉제로서 바이올렛계 염료인 「PS Violet RC」 20mg과 레드계 염료인 「MLP Red V-1」(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 20mg을 용해시켜 놓고, 블루잉제 농도 800ppm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용액을 제작해 두었다(조정액 F).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5중량부, 조정액 F를 0.25중량부,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을 4.75중량부, 및 3-메르캅토티에탄 10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2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여기에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을 전체의 38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열 하 교반하여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어서 PTFA제 필터로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 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77,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7
e)는 26.6이었다. Tg는 107℃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5.1로 양호했다.
(실시예 7)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5중량부, 실시예 6에서 제작한 조정액 F를 0.19중량부,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을 4.81중량부, 및 3-메르캅토티에탄 10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1.5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여기에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을 전체의 38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열 하 교반하여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어서 PTFA제 필터로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77,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8
e)는 26.5였다. Tg는 104℃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7.4로 양호했다.
(실시예 8)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5중량부, 실시예 6에서 제작한 조정액 F를 0.31중량부,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을 4.69중량부, 및 3-메르캅토티에탄 10중량부를 칭취하고, 모노머 중에 2.5ppm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도록 조정했다. 여기에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을 전체의 38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열 하 교반하여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어서 PTFA제 필터로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79,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29
e)는 26.4였다. Tg는 106℃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5.2로 양호했다.
(실시예 9)
미리,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 100g에, 블루잉제로서 바이올렛계 염료인 「PS Violet RC」5mg와 레드계 염료인 「MLP Red V-1」(다이스터재팬사 상품명) 5mg을 용해시켜 놓고, 블루잉제 농도 100ppm의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 용액을 제작해 두었다(조정액G).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6중량부, 조정액G를 3중량부,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를 4중량부, 3-메르캅토티에탄 7중량부를, 75℃에서 가열 혼합용해시켜 PTFA제 필터로 감압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계속해서,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86,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30
e)는 25.5였다. Tg는 140℃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7.0으로 양호했다.
(비교예 4)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5중량부, 3-메르캅토티에탄 10중량부, 및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중량부를 칭취했다. 여기에 N-메틸디시클로헥실아민을 전체의 38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열 하 교반하여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어서 PTFA제 필터로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80,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31
e)는 26.3이었다. Tg는 105℃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12와, 블루잉제를 넣은 것과 비교하여,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었다.
(비교예 5)
CMPD. No.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6중량부, 티올 화합물로서 3-메르캅토티에탄 7중량부, 에피설피드 화합물로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설피드 7중량부를, 75℃에서 가열 혼합용해시켜 PTFA제 필터로 감압 여과한 후, 3.9kPa 이하의 감압 하에 발포가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탈기했다. 이어서,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 중에, 탈기 후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 가열 오븐 중에 넣어 46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중, 오븐 내를 70℃에서 130℃까지 다단계로 승온했다.
얻어진 수지의 성형편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외관이 양호한 것이었다. 굴절율(ne)은 1.785, 아베수(
Figure 112009003261421-pct00032
e)는 25.7이었다. Tg는 143℃이었다. 색상에 대해서는, YI=22와, 블루잉제를 넣은 것과 비교하여,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었다.

Claims (20)

  1.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티에탄기와 금속원자를 가지고,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블루잉제
    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로서,
    상기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해당 중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화합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0.01ppm 이상 10ppm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블루잉제가, 최대흡수파장이 520nm이상 600nm이하인 염료인, 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83837992-pct00033
    (상기 일반식(1) 중, M은, 금속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금속원자 M의 가수를 나타내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기 또는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n-p가 2 이상인 경우, Y는 서로 결합하고, 금속원자 M을 포함하는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2.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3. 제 2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중의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4. 제 3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티올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티올 화합물, 상기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에피설피드 화합물의 합계가,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인, 중합성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루잉제가, 블루계 염료 및 바이올렛계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인, 중합성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장주기형 주기 표의 4족, 8족, 10족, 11족, 12족, 13족, 14족 및 15족 중 어느 하나인, 중합성 조성물.
  9. 제 8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장주기형 주기표의 4족, 12족, 13족 및 14족 중 어느 하나인, 중합성 조성물.
  10. 제 9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Sn 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1.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m=0인, 중합성 조성물.
  12. 제 1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X1이 유황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3. 제 12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n=p인, 중합성 조성물.
  14. 제 13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자가 Sn 원자인, 중합성 조성물.
  15. 제 14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티올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16. 제 15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및 에피설피드 화합물중의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17.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의 제조방법.
  18. 제 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19. 제 18항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부품.
  20. 제 18항에 기재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KR1020097001083A 2006-06-23 2007-06-21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KR101050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4091 2006-06-23
JPJP-P-2006-174091 2006-06-23
JPJP-P-2007-088368 2007-03-29
JP2007088368 2007-03-29
PCT/JP2007/000670 WO2007148439A1 (ja) 2006-06-23 2007-06-21 重合性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樹脂、光学部品および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775A KR20090028775A (ko) 2009-03-19
KR101050006B1 true KR101050006B1 (ko) 2011-07-19

Family

ID=3883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083A KR101050006B1 (ko) 2006-06-23 2007-06-21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63246A1 (ko)
EP (1) EP2036951A4 (ko)
JP (1) JPWO2007148439A1 (ko)
KR (1) KR101050006B1 (ko)
AU (1) AU2007262309A1 (ko)
WO (1) WO2007148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9692A (zh) * 2006-03-01 2009-03-18 三井化学株式会社 聚合性组合物以及使用该聚合性组合物的树脂、光学部件及透镜
JP5432702B2 (ja) * 2007-02-20 2014-03-05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部品用重合性組成物、光学部品用樹脂および光学部品
CN101616959A (zh) * 2007-02-20 2009-12-30 三井化学株式会社 硫杂环丁烷化合物、含有其的聚合性组合物及其应用
WO2009087717A1 (ja) * 2008-01-10 2009-07-16 Mitsui Chemicals, Inc. 重合性組成物用添加剤、これを含む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EP2253626B1 (en) * 2008-02-19 2013-05-29 Mitsui Chemicals, Inc. Thietane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resin,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 and use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the resin
EP2292597B1 (en) * 2008-05-19 2015-03-04 Mitsui Chemicals, Inc. Metal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resin, method for producing the resin and use of the resin
JP5442614B2 (ja) * 2008-07-28 2014-03-12 三井化学株式会社 化合物、重合性組成物、樹脂、およびその使用
JP2010043148A (ja) * 2008-08-11 2010-02-25 Mitsui Chemicals Inc チエタン化合物、これを含む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4890516B2 (ja) * 2008-08-12 2012-03-07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性組成物の製造方法、樹脂の製造方法、樹脂、およびその使用
JP6722085B2 (ja) * 2016-10-07 2020-07-15 三井化学株式会社 チエタニル化合物、当該化合物を含む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058A (ja) * 2000-01-19 2001-07-24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材料の製造方法
WO2005095490A1 (ja) * 2004-03-31 2005-10-13 Mitsui Chemicals, Inc.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660B2 (ja) 1995-08-16 2004-01-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新規な直鎖アルキルスルフィド型エピスルフィド化合物
JP3862383B2 (ja) 1997-11-06 2006-12-27 三井化学株式会社 新規な脂肪族含セレン化合物
US6187844B1 (en) * 1998-02-10 2001-02-1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Plastic lens
JP3538332B2 (ja) * 1998-02-10 2004-06-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3315090B2 (ja) 1998-03-13 2002-08-19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
JP2001166101A (ja) * 1999-12-10 2001-06-22 Mitsui Chemicals Inc 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6852780B2 (en) * 2000-11-20 2005-02-08 Nof Corporatio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material and lenses
US7169845B2 (en) * 2001-04-06 2007-01-3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merization regulators and compositions for resin
JP4377143B2 (ja) 2002-03-01 2009-12-02 三井化学株式会社 新規含硫環状化合物からなる重合性組成物及び該重合性組成物を硬化させてなる樹脂
JP2003292624A (ja) * 2002-04-04 2003-10-15 Seiko Epson Corp 高屈折率材料用重合性組成物、接着剤および光学材料用樹脂
EP1524289B1 (en) * 2002-07-08 2009-09-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material compris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aterial
JP4770123B2 (ja) * 2004-04-14 2011-09-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用組成物
CN101616959A (zh) * 2007-02-20 2009-12-30 三井化学株式会社 硫杂环丁烷化合物、含有其的聚合性组合物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058A (ja) * 2000-01-19 2001-07-24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材料の製造方法
WO2005095490A1 (ja) * 2004-03-31 2005-10-13 Mitsui Chemicals, Inc.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775A (ko) 2009-03-19
EP2036951A1 (en) 2009-03-18
JPWO2007148439A1 (ja) 2009-11-12
AU2007262309A1 (en) 2007-12-27
US20100063246A1 (en) 2010-03-11
EP2036951A4 (en) 2015-01-28
WO2007148439A1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368B1 (ko) 중합성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수지 및 광학부품
KR101050006B1 (ko)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KR101129857B1 (ko) 금속 티에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수지 및 그 사용
KR20080094106A (ko) 중합성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수지, 광학부품 및 렌즈
KR101174210B1 (ko) 중합성 조성물용 첨가제, 이것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290929B1 (ko) 화합물, 중합성 조성물, 수지, 및 그 사용
KR101281421B1 (ko) 티에탄 화합물, 이것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수지 및 그 제조방법 및 사용
KR101247926B1 (ko) 금속 화합물, 이것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JP5220473B2 (ja) 金属含有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重合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