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779B1 -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8779B1 KR101048779B1 KR1020090018821A KR20090018821A KR101048779B1 KR 101048779 B1 KR101048779 B1 KR 101048779B1 KR 1020090018821 A KR1020090018821 A KR 1020090018821A KR 20090018821 A KR20090018821 A KR 20090018821A KR 101048779 B1 KR101048779 B1 KR 101048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output
- signal
- pulse width
- du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10356 wave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파의 선형의 구배 부분을 이용하여 듀티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안정된 PWM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한다.
기준 전압과 출력 트랜지스터(3)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전압의 귀환 입력이 부여되고, 이들의 차 전압을 증폭한 오차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증폭 회로(11)와,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와 오차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른 듀티비를 갖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PWM 비교 회로(12)와, PWM 비교 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펄스폭 제어 회로(18)와, 펄스폭 제어 회로(18)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13)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4)를 구비한다.
출력 트랜지스터, 승압용 코일, 다이오드, 평활화 콘덴서, DC-DC 컨버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력 전압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미리 정해진 범위로 유지시키는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 휴대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이러한 소형 휴대 기기의 전원에는 소형의 2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부하에 필요한 동작 전원은 DC-DC 컨버터로 생성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동작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면, 부하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DC-DC 컨버터는 항상 안정된 동작 전원을 생성할 것이 요구된다.
도 8은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201)는 1 칩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상에 형성된 제어 회로(202)와 복수개의 외부 부착 소자로 구성된다. 제어 회로(202)의 출력 신호(SG1)는 인핸스먼트형(enhancement type)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전원 입력 단자(VIN)에는 승압용 코일(204)의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드레인이 접속된다.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소스는 접지(GND)된다. 그리고,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드레인·소스 간에는 다이 오드(205)가 접속된다. 이 다이오드(205)는 애노드측이 소스에 접속되고, 캐소드측이 드레인에 접속된다.
상기 코일(204)과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접속점에는 다이오드(206)의 애노드측이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206)의 캐소드측이 출력 단자(208)에 접속된다. 상기 출력 단자(208)는 평활화 콘덴서(207)를 통하여 GND에 접속된다. 즉, 이 평활화 콘덴서(207)와 코일(204)에 의해 상기 출력 전압(VOUT)을 평활화하는 평활 회로가 구성된다. 또, 상기 출력 단자(208)는 제어 회로(202)에 접속되고, 그 때의 출력 전압(VOUT)이 제어 회로(202)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 회로(202)는 오차 증폭 회로(211), PWM 비교 회로(212), 삼각파 발진 회로(213), 출력 제어 회로(214)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 단자(208)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귀환 저항(216)과 저항(217)으로 분압되어 오차 증폭 회로(211)의 반전 입력 단자에 부여된다. 오차 증폭 회로(21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215)로부터의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또, 오차 증폭 회로(211)의 출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위상 보상 콘덴서 및 저항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위상 보상된다. 이 직렬 회로는 오차 증폭 회로(211)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오차 증폭 회로(211)는 상기 출력 전압(VOUT)을 귀환 저항(216, 217)으로 분압한 분압 전압(VDIV)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양 전압의 차 전압을 증폭한 오차 출력 신호(SG2)를 다음 단의 PWM 비교 회로(212)에 출력한다.
PWM 비교 회로(21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상기 오차 증폭 회로(211)로부 터의 오차 출력 신호(SG2)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는 삼각파 발진 회로(213)로부터의 삼각파 신호(SG3)가 입력된다. 그리고, PWM 비교 회로(212)는 상기 오차 출력 신호(SG2)와 삼각파 신호(SG3)를 비교하여,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에는 저레벨이 되고,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 이하가 되는 기간에는 고레벨이 되는 펄스 신호를 듀티 제어 신호(SG4)로서 다음 단의 출력 제어 회로(214)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 회로(214)는 상기 PWM 비교 회로(212)로부터 출력된 듀티 제어 신호(SG4)를 상기 출력 신호(SG1)로서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203)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DC-DC 컨버터(201)에서는 제어 회로(20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SG1)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203)가 온 오프 동작되어 출력 단자(208)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이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출력 전압(VOUT)이 하강하면, 오차 증폭 회로(211)의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상승한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면, 오차 증폭 회로(211)의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하강한다.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상승하면, PWM 비교 회로(212)에서는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이 짧아지므로,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는 고레벨이 되는 기간이 길어진다(듀티 비가 높아진다).
한편,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하강하면, PWM 비교 회로(212)에서는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레벨이 되는 기간이 짧아진다(듀티 비가 낮아진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발진 회로(213)로부터 출력된 삼각파 신호(SG3)의 구배가 이상적인 선형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출력 전압(VOUT)의 귀환으로 안정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는 도 9a 또는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신호(SG3)의 구배는 비선형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 구배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다음에 생성되는 PWM 비교 회로(212)로부터의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이 변동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전압(VOUT)이 높아 펄스폭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낮아진다. 1 클록(CLK) 후, 오차 출력 신호(SG2)가 낮아져 삼각파 신호(SG3)의 구배의 비선형성 부분이 되면, 펄스폭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상적인 구배에 비하여 좁아진다.
또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삼각파 신호(SG3)의 구배 형상이면, 펄스폭은 반대로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삼각파의 구배가 비선형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원하는 전압이 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안정된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69746호에는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으로 부터 오프셋(offset) 된 미리 정해진 전압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듀티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최대로 하여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를 온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값 이하로 크게 하강하여도, 그 기간 내에는 출력 트랜지스터가 온 동작되므로, 출력 전압을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한 특허 공보의 DC-DC 컨버터는 출력 전압이 크게 하강한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되었지만, 삼각파의 비선형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 공보의 DC-DC 컨버터에서도 삼각파의 비선형성 부분으로 오차 출력 신호가 낮아진 경우에는, 원하는 펄스폭의 신호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삼각파의 선형의 구배 부분을 이용하여 듀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안정된 PWM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DC-DC 컨버터는 기준 전압과 출력 트랜지스터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전압의 귀환 입력이 부여되고, 이들의 차 전압을 증폭한 오차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증폭 회로와, 삼각파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와 상기 오차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른 듀티비를 갖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PWM 비교 회로와,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제어하는 펄스폭 제어 회로와,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듀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상기 듀티 제어 신호와 지연 회로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는 논리곱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증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듀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상기 듀티 제어 신호와 지연 회로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는 논리합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감소시키는 제1 회로와,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증가시키는 제2 회로와, 상기 제1 회로와 제2 회로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선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기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삼각파의 선형의 구배 부분을 이용하여 듀티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안정된 PWM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 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1)는 1 칩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상에 형성된 제어 회로(2)와 복수개의 외부 부착 소자로 구성된다. 제어 회로(2)의 출력 신호(SG1)는 인핸스먼트형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출력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전원 입력 단자(VIN)에는 승압용 코일(4)의 일단이 접속되고, 승압용 코일(4)의 타단에는 출력 트랜지스터(3)의 드레인이 접속된다. 출력 트랜지스터(3)의 소스는 접지(GND)된다. 그리고, 출력 트랜지스터(3)의 드레인·소스 간에는 다이오드(5)가 접속된다. 이 다이오드(5)는 애노드측이 소스에 접속되고, 캐소드측이 드레인에 접속된다.
상기 코일(4)과 출력 트랜지스터(3)의 접속점에는 다이오드(6)의 애노드측이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6)의 캐소드측이 출력 단자(8)에 접속된다. 상기 출력 단자(8)는 평활화 콘덴서(7)를 통하여 GND에 접속된다. 즉, 이 평활화 콘덴서(7)와 코일(4)로 상기 출력 전압(VOUT)을 평활화하는 평활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 단자(8)는 제어 회로(2)에 접속되고, 이 때의 출력 전압(VOUT)이 제어 회로(2)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 회로(2)는 오차 증폭 회로(11), PWM 비교 회로(12), 삼각파 발진 회로(13), 출력 제어 회로(14)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 단자(8)로부터의 출력 전압(VFB)은 귀환 저항(16)과 저항(17)으 로 분압되어 오차 증폭 회로(11)의 반전 입력 단자에 부여된다. 오차 증폭 회로(1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15)로부터의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또한, 오차 증폭 회로(11)의 출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위상 보상 콘덴서 및 저항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위상 보상된다. 이 직렬 회로는 오차 증폭 회로(11)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오차 증폭 회로(11)는 상기 출력 전압(VOUT)을 귀환 저항(16, 17)으로 분압한 분압 전압(VDIV)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고, 양 전압의 차 전압을 증폭한 오차 출력 신호(SG2)를 다음 단의 PWM 비교 회로(12)에 출력한다.
PWM 비교 회로(1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상기 오차 증폭 회로(11)로부터의 오차 출력 신호(SG2)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는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의 삼각파 신호(SG3)가 입력된다. 그리고, PWM 비교 회로(12)는 상기 오차 출력 신호(SG2)와 삼각파 신호(SG3)를 비교하여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에는 저레벨이 되고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 이하가 되는 기간에는 고레벨이 되는 펄스 신호를 듀티 제어 신호(PWM 출력)(SG4)로서 다음 단의 펄스폭 제어 회로(18A)에 출력한다.
이 펄스폭 제어 회로(18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듀티 제어 신호(SG4)의 펄스폭을 제어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듀티 제어 신호(SG4)의 듀티를 10% 감소하도록 하여 펄스폭이 제어된 제어 신호(SG5)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 회로(14)는 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18A)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SG5)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 신호(SG1)로서 상기 출력 트랜지 스터(3)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여기서 출력 제어 회로(14)는 출력 트랜지스터(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DC-DC 컨버터(1)에서는 제어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SG1)에 따라 출력 트랜지스터(3)가 온 오프 동작됨으로써, 출력 단자(8)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이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출력 전압(VOUT)이 하강하면, 오차 증폭 회로(11)의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상승한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면, 오차 증폭 회로(11)의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하강한다.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상승하면, PWM 비교 회로(12)에서는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이 짧아지므로,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는 고레벨이 되는 기간이 길어진다(듀티 비가 높아진다).
한편,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하강하면, PWM 비교 회로(12)에서는 삼각파 신호(SG3)의 레벨이 오차 출력 신호(SG2)를 초과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레벨이 되는 기간이 짧아진다(듀티 비가 낮아진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LX의 듀티가 15%로 되도록 부귀환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삼각파 발진 회로(13)는 예컨대 1 MHz로 동작하여 삼각파 신호(SG3)를 출력한다. 펄스폭 제어 회로(18A)는 듀티 제어 신호(SG4)의 듀티를 10%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펄스폭을 10% 감소하여 출력한 제어 신호(SG5)를 출력 제어 회로(14)에 출력하고, 출력 제어 회로(14)는 이 신호(SG5)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 행함으로써,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LX의 듀티보다 10% 상승하게 된다. 즉, 이 제1 실시예에서는 LX 출력의 듀티를 15%로 설정한 경우, 오차 출력 신호(SG2)는 25%의 듀티로 출력된다. 그리고,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도 마찬가지로 25%의 듀티로 출력된다. 그리고, 펄스폭 제어 회로(18A)는 듀티를 10% 감소하도록 펄스폭을 제어하므로, 펄스폭 제어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G5)는 15%의 듀티로 출력된다.
상기 동작을 실시하는 펄스폭 제어 회로(18A)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18A)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펄스폭 제어 회로(18A)는 듀티 제어 신호(SG4)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181)와, 듀티 제어 신호(SG4)와 지연 회로(181)로부터의 신호(SG81)가 부여되는 논리곱 회로(182)를 구비한다. 논리곱 회로(182)는 듀티를 10% 감소하도록 하여 펄스폭을 제어한 신호(SG5)를 출력한다. 삼각파 발진 회로(13)가 예컨대 1 MHz로 동작하여 삼각파 신호(SG3)를 출력할 때, 듀티를 10%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지연 회로(181)에 의해 100 ns 지연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9a,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발진 회로(13)는 삼각파의 구배에 비선형성을 갖는다. 도 9a, 도 9c의 경우에는, 오차 증폭 회로(11)에 부여되는 양 신호에 차이가 없는, 즉 입출력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구배의 하부 비선형 부분에 오차 출력 신호(SG2)가 부여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펄스폭에 비하여 펄스폭이 신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A)에 의해 듀티를 10%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오차 출력 신호(SG2)를 상승시켜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의 선형 부분에 오차 출력 신호(SG2)를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도 3에서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오차 출력 신호와 이에 따른 듀티 제어 신호도 참고로 표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된 삼각파 신호(SG3)는 이상적인 구배를 갖는 삼각파가 아니라, 펄스의 상승과 하강 부분에 비선형 부분이 존재한다. 입출력 차이가 없는 경우에, 오차 출력 신호는 하강한다.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오차 출력 신호(참고)에서는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된 삼각파 신호(SG3)의 비선형 부분과 비교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듀티 제어 신호(참고)의 펄스폭이 원하는 펄스폭보다 좁아진다. 또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은 이상적인 구배에 대한 원하는 펄스폭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A)로 펄스폭을 10% 감소하여 출력한 제어 신호(SG5)를 출력 제어 회로(14)에 출력하고, 출력 제어 회로(14)가 이 신호(SG5)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결과,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LX의 듀티보다 10% 상승하게 된다. 즉, 이 제1 실시예에서는 LX 출력의 듀티를 15%로 설정한 경우에는, 오차 출력 신호(SG2)가 25%의 듀티로 출력되어 오차 출력 신호(SG2)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결과,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도 마찬가지로 25%의 듀티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 신호(SG4) 가 펄스폭 제어 회로(18A)의 지연 회로(181)로 10% 만큼 지연된다. 그리고, 듀티 제어 신호(SG4)와 지연 회로(181)의 출력이 논리곱 회로(182)에 부여됨으로써, 15% 듀티의 제어 신호(SG5)로서 출력된다. 이 제어 신호(SG5)는 삼각파 발생 회로(13)의 이상적인 구배에 대한 펄스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오차가 없는 범위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입출력 차이가 없는 경우에도 안정된 PWM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도 도 1의 회로와 동일한 양태로 구성되며, 제1 실시예와는 펄스폭 제어 회로(18B)의 동작이 상이하다.
제1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A)가 듀티 제어 신호(SG4)의 듀티를 10% 감소하도록 하여 펄스폭이 제어된 제어 신호(SG5)를 출력한다. 이에 반하여, 본 제2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B)가 듀티 제어 신호(SG4)의 듀티를 10% 증가하도록 하여 펄스폭이 제어된 제어 신호(SG5)를 출력한다. 펄스폭을 10% 증가시킨 제어 신호(SG5)를 출력 제어 회로(14)에 출력하고, 출력 제어 회로(14)는 이 신호(SG5)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결과,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LX의 듀티보다 10% 하강하게 된다. 즉, 이 제2 실시예에서는 LX 출력의 듀티를 95%로 설정한 경우에, 오차 출력 신호(SG2)는 85%의 듀티로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도 마찬가지로 85%의 듀티로 출력된다. 그리고, 펄스폭 제어 회로(18B)는 듀티를 10% 증가하도록 펄스폭을 제어하므로, 펄스폭 제어 회로(18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G5)는 95%의 듀티로 출력된다.
출력 제어 회로(14)에 부여하는 신호(SG5)의 듀티를 높게 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삼각파의 상부 부분을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의 상부도 비선형 부분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을 이용한 제어는 이상적인 구배에 비하여 펄스폭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출력 제어 회로(14)에 부여하는 신호(SG5)의 듀티를 높게 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펄스폭 제어 회로(18B)가 듀티 제어 신호(SG4)의 듀티를 10% 증가시킴으로써,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을 하강시켜 삼각파의 선형 부분을 이용한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펄스폭 제어 회로(18B)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18B)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펄스폭 제어 회로(18B)는 듀티 제어 신호(SG4)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181)와, 듀티 제어 신호(SG4)와 지연 회로(181)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는 논리합 회로(183)를 구비한다. 논리합 회로(183)는 듀티를 10% 증가하도록 하여 펄스폭을 제어한 신호(SG5)를 출력한다. 삼각파 발진 회로(13)는 예컨대 1 MHz로 동작하여 삼각파 신호를 출력할 때, 듀티를 10%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지연 회로(181)에 의해 100 ns 지연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도 5에서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오차 출력 신호와 이에 따른 듀티 제어 신호도 참고로 표시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파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SG3)는 이상적인 구배를 갖는 삼각파가 아니라, 펄스의 상승과 하강 부분에 비선형 부분이 존재한다. 종래의 DC-DC 컨버터의 오차 출력 신호(도 5에서 '참고'로 표시)는 삼각파 신호(SG3)의 비선형 부분과 비교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B)로 펄스폭을 10% 증가시켜 제어 신호(SG5)를 출력 제어 회로(14)에 출력하고, 출력 제어 회로(14)는 이 신호(SG5)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결과, 오차 출력 신호(SG2)의 레벨이 LX의 듀티보다 10% 하강하게 된다. 즉, 이 제2 실시예에서는 LX 출력의 듀티를 95%로 설정한 경우에는, 오차 출력 신호(SG2)가 85%의 듀티로 출력되어 오차 출력 신호(SG2)가 하강하게 된다. 이 결과, PWM 비교 회로(12)의 듀티 제어 신호(SG4)도 마찬가지로 85%의 듀티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 신호(SG4)가 펄스폭 제어 회로(18)의 지연 회로(181)로 10%만큼 지연된다. 그리고, 듀티 제어 신호(SG4)와 지연 회로(181)의 출력이 논리합 회로(183)에 부여됨으로써, 95% 듀티의 제어 신호(SG5)로서 출력된다. 이 제어 신호(SG5)는 삼각파 발생 회로(13)의 이상적인 구배에 대한 펄스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오차가 없는 범위로 출력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1A)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7은 이 제3 실시예에 이용되는 펄스폭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18C)는 PWM 비교 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SG4)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감소시키는 제1 회로[지연 회로(181) 및 논리곱 회로(182)]와, PWM 비교 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SG4)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증가시키는 제2 회로[지연 회 로(181) 및 논리합 회로(184)]와, 제1 회로와 제2 회로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선택기(185)를 구비한다. 선택기(185)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된다. 때문에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을 검출 회로(21, 22)로 각각 검출하고, 이들의 출력을 제어기(20)에 부여한다. 제어기(20)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관계로부터, 오차 출력 신호(SG2)가 삼각파 신호(SG3)의 중앙 부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회로를 선택하도록 선택기(185)를 제어한다. 또한, 오차 출력 신호가 삼각파 신호(SG3)의 중앙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회로를 선택하도록 선택기(18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삼각파의 선형 부분을 이용한 PWM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펄스폭 제어 회로(18)로 10%의 듀티를 제어하고 있지만, 이 제어는 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로,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펄스폭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종래의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a 내지 도 9c는 종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출력 트랜지스터
4 승압용 코일
5 다이오드
6 다이오드
7 평활화 콘덴서
8 출력 단자
11 오차 증폭 회로
12 PWM 비교 회로
13 삼각파 발진 회로
14 출력 제어 회로
18 펄스폭 제어 회로
Claims (6)
- 기준 전압과, 출력 트랜지스터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전압의 귀환 입력이 부여되고, 이들의 차 전압을 증폭한 오차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증폭 회로와,삼각파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와 상기 오차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른 듀티 비를 갖는 듀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PWM 비교 회로와,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펄스폭 제어 회로와,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듀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상기 듀티 제어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는 논리곱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듀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상기 듀티 제어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는 논리합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펄스폭 제어 회로는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감소시키는 제1 회로와, 상기 PWM 비교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듀티 제어 신호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증가시키는 제2 회로와,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선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기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60005 | 2008-03-10 | ||
JP2008060005A JP5146022B2 (ja) | 2008-03-10 | 2008-03-10 | Dc−dcコンバー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7117A KR20090097117A (ko) | 2009-09-15 |
KR101048779B1 true KR101048779B1 (ko) | 2011-07-15 |
Family
ID=4105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8821A KR101048779B1 (ko) | 2008-03-10 | 2009-03-05 | Dc-dc 컨버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134348B2 (ko) |
JP (1) | JP5146022B2 (ko) |
KR (1) | KR101048779B1 (ko) |
CN (1) | CN10153405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292B1 (ko) * | 2009-12-28 | 2014-01-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JP5607985B2 (ja) * | 2010-04-19 | 2014-10-15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
US9362820B2 (en) * | 2010-10-07 | 2016-06-07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CDC convert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generation device |
JP5708605B2 (ja) * | 2012-03-09 | 2015-04-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Pwmデューティ変換装置 |
CN103107799B (zh) * | 2013-01-15 | 2015-10-21 | 深圳市明微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具备驱动脉冲调节功能的功率管驱动装置 |
JP6145038B2 (ja) * | 2013-12-26 | 2017-06-07 | 株式会社東芝 | Dc−dcコンバータ、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
US20160105164A1 (en) * | 2014-10-10 | 2016-04-14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for generating switching signal for analog controller |
CN105763049B (zh) * | 2014-12-17 | 2018-08-03 | 联芯科技有限公司 | 一种降压转换集成电路及降压转换的方法 |
CN104516307B (zh) * | 2014-12-19 | 2019-03-29 | 深圳市合信自动化技术有限公司 | 一种可配置电平信号输出模式的plc |
US9595876B2 (en) * | 2015-02-11 | 2017-03-14 |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 DC-DC converter |
JP6469493B2 (ja) * | 2015-03-25 | 2019-02-13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圧変換装置、及び電圧変換装置の制御方法 |
CN108519522A (zh) * | 2018-03-27 | 2018-09-11 | 系新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 一种瞬时占/空比测量方法 |
CN111431392B (zh) * | 2019-01-10 | 2021-08-03 |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 恒定开启期间控制器与使用其的降压转换器 |
JP7185609B2 (ja) * | 2019-09-19 | 2022-12-07 | 株式会社東芝 | 矩形波信号生成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 |
CN110989753A (zh) * | 2019-11-25 | 2020-04-10 | 中国辐射防护研究院 | 一种适用于SiPM的可调节高分辨率电源输出模块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9638A (ja) | 2002-01-17 | 2003-07-31 | Rohm Co Ltd | Dc/dc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 |
JP2004229451A (ja) * | 2003-01-24 | 2004-08-12 | Sharp Corp |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1542A (ja) * | 1992-10-28 | 1994-05-20 | Fanuc Ltd |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
JP2000069746A (ja) | 1998-08-21 | 2000-03-03 | Fujitsu Ltd | 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 |
JP2002101651A (ja) * | 2000-09-20 | 2002-04-05 | Sanken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US6978386B2 (en) * | 2000-12-28 | 2005-12-20 | Ge Fanuc Automation North Americ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urrent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
JP4265894B2 (ja) * | 2002-08-22 | 2009-05-20 |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 |
JP4578198B2 (ja) * | 2004-09-30 | 2010-11-10 | 株式会社リコー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US7453246B2 (en) * | 2005-11-16 | 2008-11-18 | Intersil Americas Inc. | Adaptive PWM pulse positioning for fast transient response |
-
2008
- 2008-03-10 JP JP2008060005A patent/JP514602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2-27 CN CN2009100067956A patent/CN10153405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2-27 US US12/395,127 patent/US813434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3-05 KR KR1020090018821A patent/KR1010487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9638A (ja) | 2002-01-17 | 2003-07-31 | Rohm Co Ltd | Dc/dc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 |
JP2004229451A (ja) * | 2003-01-24 | 2004-08-12 | Sharp Corp |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219240A (ja) | 2009-09-24 |
US8134348B2 (en) | 2012-03-13 |
US20090224745A1 (en) | 2009-09-10 |
KR20090097117A (ko) | 2009-09-15 |
JP5146022B2 (ja) | 2013-02-20 |
CN101534050B (zh) | 2011-12-07 |
CN101534050A (zh) | 2009-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8779B1 (ko) | Dc-dc 컨버터 | |
KR100971232B1 (ko) | 승강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 |
KR100744592B1 (ko) | Dc-dc 컨버터,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및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 | |
US9246387B2 (en) | Output voltage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voltage control method | |
KR20080025314A (ko) | Dc-dc 컨버터 및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 | |
JP2006006004A (ja)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
US12003181B2 (en) | Buck DC/DC converter, controller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10087234A (ko) | 스위칭 레귤레이터 | |
WO2006090507A1 (ja) | 昇降圧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
US10234881B1 (en) | Digitally-assisted capless voltage regulator | |
TWI784054B (zh) | 開關穩壓器 | |
JP5160210B2 (ja) | Dc−dcコンバータ駆動回路 | |
JP2009055708A (ja)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を使用したdc−dc変換装置 | |
JP2013025577A (ja) | 半導体集積回路 | |
JP5398422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US8207715B2 (en) | Soft-start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including same | |
US8018207B2 (en) | Switching regulator | |
CN115378246B (zh) | 具有过冲保护的开关电源 | |
TWI766061B (zh) | 開關調節器 | |
US9641074B2 (en) | Current control for DC-DC converter | |
US8198879B2 (en) | Booster circuit and PWM signal generator | |
US10256722B1 (en) | Oscillator and associated direct current-to-direct current converter applying the oscillator | |
CN109980930B (zh) | 振荡器及使用该振荡器之关联的直流转直流转换器 | |
JP2009118692A (ja) | 直流−直流変換装置 | |
KR102266039B1 (ko) | 전압제어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고속 pwm 컨트롤 벅 변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