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687B1 -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687B1
KR101047687B1 KR1020090077321A KR20090077321A KR101047687B1 KR 101047687 B1 KR101047687 B1 KR 101047687B1 KR 1020090077321 A KR1020090077321 A KR 1020090077321A KR 20090077321 A KR20090077321 A KR 20090077321A KR 101047687 B1 KR101047687 B1 KR 10104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nsor
jig device
vertical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677A (ko
Inventor
김현민
김성일
김태훈
조수익
이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09007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로부터 변위, 하중 등의 물리량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레일 센서를 레일 양측면의 대칭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센서를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한 측면(114)을 가지는 웨브(111)와 상,하의 플랜지(112, 113)로 구성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1)로서,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덮개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3)은, 회동하여 레일(100)을 감싸게 될 때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수직부(31) 및, 상기 수직부(31)와 바닥판(2) 사이의 중간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31)의 내면에는 센서(200)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서 센서(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2)이 레일(10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의 덮개판(3)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중간부(32)가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하부 플랜지(113)를 감싸게 되고, 상기 수직부(31)가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각각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하여 상기 센서(200)가 레일(100) 측면(114)의 부착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Zig for Installing Sensor to Rail}
본 발명은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도 레일로부터 변위, 하중 등의 물리량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레일 센서(예를 들면, 윤하중 측정용 센서)를 레일의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레일 양측면의 대칭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센서를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레일로부터 변위 등과 같은 여러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레일의 표면에 센서를 부착하게 된다. 도 1은 센서를 레일의 측면에 직접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인데, 도 1과 같이 예를 들어, 침목 위에 놓인 레일 측면의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그라인더로 갈아서 매끄럽게 한 후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트레인 게이지 등의 센서를 레일 표면에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를 레일에 부착함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측정하기로 계획했던 측정위치에 정확하게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다. 특히, 윤하중 측정용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 레일의 양측면에서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센서의 부착 작업은 시험자에 의해 현장에서 직접 수행되는데, 종래에는 레일에 미리 부착 위치를 표시해두고 그 표시해둔 위치에 센서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실제 센서를 부착할 때에는 표시된 위치에 정확히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붙이는 과정에서 센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센서가 부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센서에 의한 시험 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심지어 레일의 양측면에서 대칭되는 위치에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험자가 대강 눈대중으로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도 있었다.
미리 부착 위치를 표시해두는 경우에도, 레일 양 측면에서 대칭이 되는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설사 대칭 위치를 표시해두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센서 부착 작업시에 표시 위치와 어긋나게 설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센서를 뗐다가 다시 붙이는 번거로운 수고를 반복해야 된다.
하나의 센서만 레일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센서를 부착해야 할 필요가 생길 수 있는데, 부착할 센서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센서 부착 작업의 번거로움이 더욱 커지게 된다. 복수개의 센서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하는 경우에도, 센서 간의 거리를 레일 측면에서 자를 이용하여 간격을 재서 레일 측면에 표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실제 열차가 통행하는 레일에 센서를 부착하려면 센서 부착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와 같이 시험자가 센서를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센서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 이 길어 시험자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
또한 레일은 지면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일의 측면이나 바닥에 센서 부착 위치를 표시하거나, 센서의 부착 작업을 위해 부착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험자는 몸을 지면 가깝게 숙여서 작업을 해야 하며, 따라서 작업성이 매우 나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철도 레일에 센서를 부착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센서를 레일의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윤하중 측정 센서와 같이, 철도 레일의 양면에 대칭되는 위치에 센서를 설치할 경우에도 대칭되는 위치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한 측면을 가지는 웨브와 상,하의 플랜지로 구성되어 그 단면이 I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에 센서를 부착하여 설치하기 위한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은, 회동하여 레일을 감싸게 될 때 레일의 수직한 측면을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바닥판 사이의 중간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내면에는 센서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서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이 레일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의 덮개판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중간부가 하부 플랜지의 상면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하부 플랜지를 감싸게 되고, 상기 수직부가 레일의 수직한 측면을 각각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하여 상기 센서가 레일 측면의 부착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그장치에서 미리 센서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 센서를 고정시킨 후 센서를 레일에 부착하게 되므로, 센서의 레일 부착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애초에 계획했던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의 양측면에서 정확하게 대칭되는 위치에 센서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에도, 미리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레일 양측면의 위치를 결정해두어 센서를 설치하게 되므로, 지그장치의 덮개판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센서가 레일 양측면의 대칭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센서를 하나의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센서의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열차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험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그장치로 레일을 감싸는 것만으로도 센서가 레일의 원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레일에 센서 부착 위치를 표시하거나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자가 낮은 위치까지 수그려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1)(이하, "지그장치"라고 약칭함)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는 센서(200)의 설치 위치로 지그장치(1)의 덮개판(3)을 회동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지그장치(1)의 덮개판(3)을 펼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지그장치(1)를 레일(100)의 밑으로 집어넣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지그장치(1)를 이용하여 센서(200)를 레일(100)의 양 측면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철도 차량용 레일(100)은, 수직한 측면(114)을 가지는 웨브(111)와 상,하의 플랜지(112, 113)로 구성되어 그 단면이 I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 트레인 게이지 등의 센서(200)는 레일(100)의 측면(114)이나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는 이를 위하여 레일(100)의 하부 플랜지(113)와 측면(114)을 감싸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는,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덮개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덮개판(3)이 회동 가능하게 바닥판(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그장치(1)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거나 또는 사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양측 덮개판(3)이 회동하여 바닥판(2)과 나란하게 수평한 위치로 펼쳐지게 되어 철도 레일(100)의 아래와 침목(300) 사이의 간격으로 지그장치(1)를 쉽게 삽입되고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그장치(1)의 사용시에 상기 바닥판(2)은 레일(100)의 아래(구체적으로는 하부 플랜지(113)의 하면)에 위치하게 되고, 양측의 덮개판(3)은 회동하여 각각 레일(100)의 하부 플랜지(113)와 측면(114)을 감싸게 된다. 상기 덮개판(3)은, 회동하여 레일(100)을 감싸게 될 때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수직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3)에서, 상기 수직부(31)와 바닥판(2) 사이는 중간부(32)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2)이 레일(10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의 덮개판(3)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중간부(32)가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하부 플랜지(113)를 감싸게 되고, 상기 수직부(31)가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각각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그장치(1)가 레일(100)을 감쌌을 때 상기 중간부(32)가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있고 수직부(31)가 레일(100)의 측면(114)을 각각 마주하도록,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과 웨브(111)의 측면(114)로 이어지는 곡면에 맞추어 상기 중간부(32)와 수직부(31)가 절곡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덮개판(3)이 하부 플랜지(113) 상면과 웨브(111)의 측면(114)로 이어지는 곡면에 맞추어 L자 형태의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덮개판(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는 수직부(31)와 중간부(32)가 강절 형태로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직부(31)와 중간부(32)가 각각 별개의 부재로 만들어져 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수직부(31)가 중간부(32)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수직부(31)에는 레일(100)의 측면(114)에 부착될 센서(200)가 위치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수직부(31)의 내면에는 센서(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4)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운트 부재(4)는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센서(200)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수직부(31)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41)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부재(4)가 U자 형상을 가진 판재로 이루어져, U자의 개방된 윗부분으로 센서(200)가 끼워져 놓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센서(200)는 합성수지 판재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센서(200)를 이루는 합성수지 판재가 마운트 부재(4)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지그장치(1)에서 미리 원하는 위치에 마운트 부재(4)를 고정시켜두면 센서(200)의 위치도 자동적으로 정해지게 되어, 지그장치(1)를 이용하여 센서(200)를 레일(100)에 부착할 때 정확한 위치에 센서(20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센서(200)를 마운트 부재(4)의 설치 위치에 놓은 후 센서(200)가 수직부(31)의 내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센서(20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일예로서 센서(200)의 가장자리와 수직부(31)의 외면에 걸쳐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 등이 있다.
마운트 부재(4)를 체결수단(41)에 의해 수직부(31) 내면에 조립 설치함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4) 또는 수직부(31)에 형성되는 체결수단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요에 따라 마운트 부재(4)의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운트 부재(4)의 형상을 U자 형상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운트 부재(4)가 수직부(31)의 중간에 구비되는 경우, 마운트 부재(4)는 ㅁ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기타 센서(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그 설치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트 부재(4)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형태뿐만 아니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수직부(31) 내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그장치(1)를 사용하여 센서(200)를 레일(100)의 측면(114)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센서(200)가 상기 덮개판(3)의 수직부(31) 내면에 구비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부(31)에서 센서(200)가 위치하게 되는 곳에는 관통된 구멍으로 이루어진 개방구(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방구(5)는 마운트 부재(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안쪽에서 수직부(31)에 관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데, 센서(200)가 마운트 부재(4)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부(31)가 레일(100)의 측면(114)을 마주하는 위치에 있도록 덮개판(3)을 회동시키게 되면, 센서(200)가 레일(100)의 측면(114)에 닿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센서(200)가 레일(100)에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상기 개방구(5)를 통해서 센서(200)를 직접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즉, 개방구(5)를 통해 센서(200)를 직접 용이하게 가압하여 레일(100)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200)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덮개판(3)의 중간부(32)에도 개방구(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중간부(32)에 형성된 개방구(5) 역시 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32)에서 개방구(5) 형성 위치 내면(레일(100)의 하부 플랜지(113)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도 개방구(5)에 위치하는 센서(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4)가 상기 개방구(5)를 둘러싸도록 중간부(32)에 조립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부재(4)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한쪽의 덮개판(3)에 각각 2개의 개방구(5)와 마운트 부재(4)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방구(5)와 마운트 부재(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장치(1)의 바닥판(2)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공(21)으로는 센서(200)에 연결된 측정신호선(201)이 관통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지그장치(1)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센서(200)를 레일(100)의 측면(114)과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에 각각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센서(200)를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에 고정시켜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의 덮개판(3)에는 센서(200)를 부착할 위치에 개방구(5)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덮개판(3)의 내면에는 센서(200) 부착 예정 위치에 맞추어 마운트 부재(4)가 조립 설치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100)의 측면(114)에 부착될 센서(200)를 위하여, 덮개판(3)의 수직부(31)에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절취되어 있는 개방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구(5)에 놓일 센서(200)의 크기 즉, 센서(200)의 합성수지 판재의 크기에 대응되는 내부 영역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마운트 부재(4)가 상기 개방구(5)를 둘러싸도록 수직부(31) 내면에 조립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중간부(11)에도 센서(200)를 부착할 위치에 개방구(5)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11) 내면에는 개방구(5)에 놓일 센서(200)의 크기에 대응되는 내부 영역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마운트 부재(4)가 조립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그장치(1)에서, 각각의 마운트 부재(4) 사이의 영역에 센서(200)를 배치시킨 후, 테이프를 센서(200)와 덮개판(3)의 외면에 걸쳐지도록 붙이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센서(200)가 마운트 부재(4)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센서(200)가 수직부(12)나 중간부(11)의 내면 방향으로 쏟아지지 않고 마운트 부재(4)의 내부 영역에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200)에 연결된 측정신호선(201)은 바닥판(2)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해서 지그장치(1)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와 같이 지그장치(1)에 센서(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판(3)을 회동시켜 바닥판(2)과 수평이 되는 위치로 만들어 전체 지그장치(1)의 높이가 레일(100)과 침목(300) 사이의 간격보다 낮도록 펼친다. 이렇게 펼쳐진 지그장치(1)를 레일(100)과 침목(300) 사이로 삽입하여 바닥판(2)이 철도 레일(10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3)을 철도 레일(100) 방향으로 상향 회동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판(3)의 중간부(11)가 레일(100)의 하부 플랜지(113)를 덮고 수직부(12)가 레일(100)의 수직 측면을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위치하게 되고, 센서(200)는 부착될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방구(5)를 통해 센서(200)를 레일(100)의 측면(114)과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방향으로 각각 가압하여, 센서(200)가 레일(100)의 측면(114)과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물론 센서(200)의 부착을 위해 센서(200) 또는 레일(100)의 측면(114)과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센서(200)가 레일(10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1)에 의하면, 지그장치(1)에서 미리 센서(200)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 센서(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지그장치(1)로 레일(100)의 하부를 둘러싸서 센서(200)를 레일(100)에 부착하게 되므로, 센서(200)의 레일(100) 부착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애초에 계획했던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지그장치(1)에서 양쪽의 덮개판(3)에 대칭되는 위치를 사전에 결정하여 센 서(200)를 위치시킨 후 지그장치(1)를 이용하여 레일(100)의 양측면(114)에 부착하게 되므로, 레일(100)의 양측면에서 정확하게 대칭되는 위치에 센서(20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센서(200)를 하나의 지그장치(1)를 이용하여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센서(200)의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열차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험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그장치(1)로 레일(100)을 감는 것만으로도 센서(200)가 원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레일(100)에 센서(200) 부착 위치를 표시하거나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자가 낮은 위치까지 수그려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테이프 등을 제거하여 센서(200)를 지그장치(1)로부터 분리시키고, 덮개판(3)을 회동시켜 덮개판(3)을 바닥판(2)과 수평한 위치가 되게 하여 레일(100)과 침목(300)로부터 지그장치(1)를 빼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센서를 레일의 측면에 직접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2는 센서의 설치 위치로 지그장치의 덮개판을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지그장치의 덮개판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그장치를 레일의 밑으로 집어넣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센서를 레일의 양 측면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그장치
2 : 바닥판
3 : 덮개판

Claims (8)

  1. 수직한 측면(114)을 가지는 웨브(111)와 상,하의 플랜지(112, 113)로 구성되어 그 단면이 I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100)에 센서(200)를 부착하여 설치하기 위한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1)로서,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덮개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판(3)은, 회동하여 레일(100)을 감싸게 될 때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수직부(31) 및, 상기 수직부(31)와 바닥판(2) 사이의 중간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31)의 내면에는 센서(200)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서 센서(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2)이 레일(10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의 덮개판(3)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중간부(32)가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하부 플랜지(113)를 감싸게 되고, 상기 수직부(31)가 레일(100)의 수직한 측면(114)을 각각 마주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하여 상기 센서(200)가 레일(100) 측면(114)의 부착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4)로 둘러싼 영역에는 센서(200)를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공 형태로 이루어진 개방구(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5)는 수직부(31)의 상부 가장자리 측면으로부터 절취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운트 부재(4)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판(2)의 중간부(32) 내면에도, 센서(200)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서 센서(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트 부재(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32) 내면에 설치된 마운트 부재(4)에 의해 둘러싼 영역에도 센서(200)를 직접 가압할 수 있도록 중간부(32)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개방구(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4)는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수직부(31)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41)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판(2)에는, 센서(200)에 연결된 측정신호선(201)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4)와 개방구(5)는 양측 수직부(3)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4)와 개방구(5)는 지그장치(1)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KR1020090077321A 2009-08-20 2009-08-20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KR10104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21A KR101047687B1 (ko) 2009-08-20 2009-08-20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21A KR101047687B1 (ko) 2009-08-20 2009-08-20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77A KR20110019677A (ko) 2011-02-28
KR101047687B1 true KR101047687B1 (ko) 2011-07-08

Family

ID=4377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21A KR101047687B1 (ko) 2009-08-20 2009-08-20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63B1 (ko) * 2015-05-06 2015-06-26 (주)카이센 광섬유 센서 기반의 윤중/횡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정량적 상태평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494B1 (ko) * 2018-01-24 2019-05-28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지상 차량 부품 결함 탐지를 위한 진동 탐지 장치
CN109029664B (zh) * 2018-10-11 2023-10-13 余姚市通用仪表有限公司 一种附着轨腰式称重传感器
KR102216086B1 (ko) * 2019-07-11 2021-02-16 (주)금호전력 철도용 궤도회로 절연상태 확인장치
KR102196551B1 (ko) * 2020-08-21 2020-12-29 유우준 도상 침하 변위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1167A (ja) * 1987-05-29 198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列車センサ
KR950032995U (ko) * 1994-05-31 1995-12-16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레일상 센서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1167A (ja) * 1987-05-29 198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列車センサ
KR950032995U (ko) * 1994-05-31 1995-12-16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레일상 센서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63B1 (ko) * 2015-05-06 2015-06-26 (주)카이센 광섬유 센서 기반의 윤중/횡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정량적 상태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77A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687B1 (ko)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KR101695323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 변위계측을 위한 이동량 측정장치
CN109765017B (zh) 小铰缝空心板桥梁组合加固构件横向抗剪性能测试方法
KR20190078910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5067207A (zh) 简支梁挠度测试装置及方法
KR100779096B1 (ko) 교량의 교각 크랙길이 안전진단용 점검장치
KR20190078909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74879B1 (ko) 교량 교각 구조물의 안전진단 방법
KR101531563B1 (ko) 광섬유 센서 기반의 윤중/횡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정량적 상태평가 시스템
KR100562912B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100473482B1 (ko) 교량의 안전 진단용 변형측정장치
JP5210265B2 (ja) 変位計測装置
CN204882013U (zh) 简支梁挠度测试装置
KR101823552B1 (ko)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CN219624789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应变计埋置保护装置
KR100522935B1 (ko)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KR101642109B1 (ko) 제 3 궤조의 인서트 게이지
KR200348071Y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100600162B1 (ko) 변위계 차체 고정장치
KR20210078628A (ko) 파고 계측기의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선의 실험 방법
KR101155855B1 (ko)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이용한 경계구조물 시공방법
RU2241963C1 (ru) Испытательный стенд установки для поверки расходомеров
CN218348265U (zh) 一种新型土压力计安装支座
JP2001241917A (ja) レール伸縮量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024689B1 (ko)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