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071Y1 -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071Y1
KR200348071Y1 KR20-2004-0000530U KR20040000530U KR200348071Y1 KR 200348071 Y1 KR200348071 Y1 KR 200348071Y1 KR 20040000530 U KR20040000530 U KR 20040000530U KR 200348071 Y1 KR200348071 Y1 KR 200348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bridge
paper box
record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00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구간에서 발생되는 교량의 유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의 하자를 미연에 예방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측정대 체결판(500); 기록용지 박스틀(600); 기록 용지(670); 및 측정대(700);로 구성된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FLOW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CONSTRUCTION}
본 고안은,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구간에서 발생되는 교량의 유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의 하자를 미연에 예방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안전진단용 측정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실제로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구간에서 사용가능한 유동측정장치는 전무후무한게 사실이다.
본 고안은,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구간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새롭게 고안함으로, 신축이음구간의 상,하 및 수평도의 유동을 측정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하여 교량 구조물과 같이 대형의 구조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대형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교각 코핑 200: 교좌 장치
300: 스틸 박스 400: 교량 슬래브
500: 측정대 체결판 600: 기록용지 박스틀
700: 측정대 900: 유동측정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의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측정대 체결판; 기록용지 박스틀; 기록 용지; 및 측정대;로 구성된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코핑(100)과 스틸 박스(300)의 사이에는 받침시설인 교좌 장치(200)가 설치되고, 상기 스틸 박스(300)의 상부에 교량 슬래브(400)가 형성되며, 각각의 교량 슬래브(400)의 길이방향 끝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교량의 신축이음구간에는, 교량 슬래브(400)의 유동을 측정할 수 있는 유동측정장치(900)가 설치되어 교량 슬래브(400)의 유동을 측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유동측정장치(900)는, 측정대 체결판(500), 기록용지 박스틀(600) 및 측정대(70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정대 체결판(500)은 교량 슬래브가 연접되는 경우 그 일측 교량 슬래브에 설치된다.
상기 측정대 체결판(500)은, 사각판으로 중앙에 돌출되는 측정대 연결구(510)가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앵커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대 연결구(510)에 고정 볼트(512)가 체결되어 측정대(700)를 고정지지하게 되고, 그 앵커홀(520)을 통해 셋트 앵커(580)가 체결되어 교량 슬래브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기록용지 박스틀(600)은, 측정대 체결판(5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른 교량 슬래브의 측면에 설치되는 한편, 플랜지(630)의 앵커홀(632)을 통해 셋트 앵커(680)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중앙에 직사각형의 용지 박스(610)가 형성되고, 그 용지 박스(610)의 길이방향 상,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하이동 극한 기록판(620)이 형성되며, 그 용지 박스(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플랜지(630)가 형성되고, 그 용지 박스(610)의 일측에 배터리(640)가 설치된다.
상기 기록용지 박스틀(600)은, 배터리(640)에 회전 모터(650)가 전선으로 연결되어 회전 모터(65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 모터(650)에는, 각각 회전 롤러(655)와 샤프트(662)가 연결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른 회전 롤러에 회전 벨트(660)로 연결되며, 한편 상기 기록용지 박스틀(600)의 용지 박스(610)에는 내측에 결합된 샤프트(662)에 기록 용지(670)가 결합되어 회전 모터(650)의 저속 회전에 따라 기록 용지(670)가 이동하면서 교량 상판의 유동이 기록되게 된다.
상기 측정대(700)는, 길이방향의 일측이 측정대 체결판(500)의 측정대 연결구(510)에 삽입되고 고정 볼트(512)로 일측이 고정되는 한편, 사각 단면을 가지는 각재로 제작된다.
상기 측정대(700)는, 중앙과 대향된 타측에 각각 기록핀 체결대(710)와 측정기 체결대(720)가 고정 볼트(712)로 고정되고, 타측 기록핀 체결대(710)가 형성된 그 측면에 상·하이동 극한치 측정핀(7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대(700)는, 측정기 체결대(720)의 일측 하부로 측정판(730)이 형성되고, 그 측정판(730)이 형성된 측정기 체결대(720)의 전방 중앙에 하부로 수직 측정기(740)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유동측정장치(900)는, 신축이음구간 위치에 연접되도록 시공된 교량 슬래브(400)의 측면에 각각 측정대 체결판(500)과 기록용지 박스틀(600)이 셋트 앵커(580)(680)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 측정대 체결판(500)에는, 돌출된 측정대 연결구(510)의 내측에 측정대(700)가 고정 볼트(512)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측정대(700)의 진동 기록핀(716)과 상·하이동 극한치 측정핀(750)은, 각각 기록 용지(670)에 연접되게 위치되어 교량 슬래브(400)의 상,하 유동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측정대(700)의 측정기 체결대(720)에 고정된 측정판(730)에 의해 수직 측정기(740)를 통해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록용지 박스틀(600)은, 용지 박스(610)의 상·하이동 극한 기록판(620)에 기록지가 부착되어 있어, 상부 하중에 의해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극한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상·하이동 극한 기록판(620)의 기록지에 상·하이동 극한치 측정핀(750)에 의한 점이 찍혀지는 경우에는 교량의 처짐이 많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교좌 장치(200)를 체크할 수 있게 되고, 기록 용지(670)의 기준선에 진동 기록핀(716)을 통한 기록이 너무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도 교좌 장치를 보수·보강하게 되므로 교량 상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대(700)의 수직 측정기(740)가, 측정판(730)의 기준선과 차이를 많이 나타내는 경우, 그 기울기를 통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교좌 장치(200)의 편향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교량 구조물의 유동측정장치는, 측정판의 기준선과 수직 측정기에 의해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교좌 장치의 편향 정도를 알 수 있어, 교좌장치를 보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을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유동측정장치는, 상·하이동 극한 기록판의 기록지에 상·하이동 극한치 측정핀에 의한 점이 찍혀지는 경우에는 교량의 처짐이 많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교좌 장치를 체크할 수 있게 되고, 기록 용지의 기준선에 진동 기록핀을 통한 기록이 너무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도 교좌 장치를 보수·보강하게 되므로 교량 상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유동측정장치는, 기설치된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는 관계로, 초기 설치의 비용은 증가하게 되나, 현실적으로 고비용이 소요되는 교량의 보수 작업의 진행의 정도를 원활하게 진행시켜줄 수 있고,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발생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교량의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량 슬래브의 신축이음구간 일측에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돌출되는 측정대 연결구(510)가 형성되고, 모서리에 각각 앵커홀(520)이 형성되며, 그 앵커홀(520)을 통해 셋트 앵커(580)가 체결되어 일측 교량 슬래브(400)에 고정되는 측정대 체결판(500);
    상기 측정대 체결판(500)과 신축이음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직사각형의 용지 박스(610)가 형성되고, 그 용지 박스(61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630)의 앵커홀(632)을 통해 셋트 앵커(680)가 체결되어 다른 교량 슬래브에 고정되며, 그 용지 박스(610)의 길이방향 상,하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하이동 극한 기록판(620)이 형성되고, 그 용지 박스(610)의 일측에 배터리(640)가 설치되며, 그 배터리(640)에 회전 모터(650)가 연결되고, 그 회전 모터(650)에 각각 회전 롤러(655)와 샤프트(662)가 연결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른 회전 롤러에 회전 벨트(660)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인가되는 기록용지 박스틀(600);
    상기 기록용지 박스틀(600)의 용지 박스(610) 내측에 결합된 샤프트(662)에 결합되어 기록이 남겨지는 한편, 회전 모터(650)의 저속 회전에 따라 기록 용지(670)가 이동되는 기록 용지(670); 및
    상기 측정대 체결판(500)의 측정대 연결구(510)에 삽입되고 고정 볼트(512)로 일측이 고정되는 한편, 중앙과 대향된 타측에 각각 기록핀 체결대(710)와 측정기 체결대(720)가 고정 볼트(712)로 고정되고, 타측 기록핀 체결대(710)가 형성된 그 측면에 상·하이동 극한치 측정핀(750)이 형성되며,
    측정기 체결대(720)의 일측 하부로 측정판(730)이 형성되고, 그 측정판(730)이 형성된 측정기 체결대(720)의 전방 중앙에 하부로 수직 측정기(740)가 형성된 측정대(700);로 구성된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20-2004-0000530U 2004-01-09 2004-01-09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200348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30U KR200348071Y1 (ko) 2004-01-09 2004-01-09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30U KR200348071Y1 (ko) 2004-01-09 2004-01-09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696A Division KR100562912B1 (ko) 2005-03-11 2005-03-11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071Y1 true KR200348071Y1 (ko) 2004-04-28

Family

ID=4942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530U KR200348071Y1 (ko) 2004-01-09 2004-01-09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0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64B1 (ko) 2007-02-26 2007-08-06 (주)대한이엔씨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20190135683A (ko) 2018-05-29 2019-12-09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64B1 (ko) 2007-02-26 2007-08-06 (주)대한이엔씨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20190135683A (ko) 2018-05-29 2019-12-09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323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 변위계측을 위한 이동량 측정장치
KR100562912B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US20070107339A1 (en) Method of accurately positioning anchor bolt to foundation by swing-type anchor bolt
KR100779096B1 (ko) 교량의 교각 크랙길이 안전진단용 점검장치
KR200348071Y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10227153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100874879B1 (ko) 교량 교각 구조물의 안전진단 방법
KR101047687B1 (ko) 레일 센서 설치용 지그장치
Willis et al. Behavior of cold-formed steel purlins under gravity loading
CN117388379A (zh) 一种混凝土结构裂缝检测装置及其方法
DE10304008A1 (de) Vorrichtung zur Messung der Schienenbelastung
KR100473482B1 (ko) 교량의 안전 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102411389B1 (ko) 교량의 상부거더 이동량 및 방향 측정장치
JP5298774B2 (ja) 高架橋の耐震構造
JPH1183605A (ja) 鉄道車両の輪重検出装置
KR100725533B1 (ko) 벨마우스 측정장치
JP2938810B2 (ja) 床版のたわみ量測定方法
KR100457169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200409499Y1 (ko) 수평 조정 교좌 장치
KR100565848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안전진단장치
KR100619280B1 (ko)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100726718B1 (ko) 교량의 상판 유동량 측정장치
KR20090099283A (ko)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상부에서의 처짐측정방법
JP2006118174A (ja) 床スラブ補強装置とその補強方法
KR102610190B1 (ko)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