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007Y1 -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 Google Patents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007Y1
KR200347007Y1 KR20-2004-0000529U KR20040000529U KR200347007Y1 KR 200347007 Y1 KR200347007 Y1 KR 200347007Y1 KR 20040000529 U KR20040000529 U KR 20040000529U KR 200347007 Y1 KR200347007 Y1 KR 200347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lab
safety
pi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림엔진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림엔진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림엔진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00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슬래브의 하단에 안전진단시설을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교량 슬래브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그대로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진단하는 시설에 있어서, 셋트 앵커(400); 앵커볼트 연결핀(430); 처짐측정 와이어(300); 와이어 체결핀(500): 및 체결대(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SAFETY CHECK-UP APPARATUS OF STEEL BOX SLAB SECTION OF BRIDGE}
본 고안은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슬래브의 하단에 안전진단시설을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교량 슬래브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그대로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안전진단시설은 대부분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시설이 있지만, 실제로 교량의 강교 박스 상부에 시공되는 교량 슬래브의 변위를 측정할만한 시설, 즉 강교 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은 전무후무한게 사실이다.
특히,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장치가 있지만 교량의 측정에는 미약한 장점만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의 하단에 안전진단시설을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교량 슬래브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교량 슬래브의 유동을 그대로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진단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진단시설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강교 박스 150: 크로스빔
200: 교량 슬래브 300: 처짐측정 와이어
400: 셋트 앵커 430: 앵커볼트 연결핀
500: 와이어 체결핀 600: 측정 기록지
700: 체결대 800: 안전진단시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진단하는 시설에 있어서, 셋트 앵커; 앵커볼트 연결핀; 처짐측정 와이어; 와이어 체결핀: 및 체결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진단시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의 강교 박스(100)에는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크로스빔(150)이 시공되고, 그 강교박스(100)의 상부에 교량 슬래브(200)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며, 상기 교량 슬래브(200)에는 하부에 다수개의 셋트 앵커(400)가 매설되고 그 길이방향에 처짐측정 와이어(300)가 결합되어 교량 슬래브(200)의 안전을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시설(800)이 설치되어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진단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진단시설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안전진단시설(800)은, 처짐측정 와이어(300), 셋트 앵커(400), 앵커볼트 연결핀(430), 와이어 체결핀(500), 베어링(570) 및 체결대(700)로 구성된다.
상기 처짐측정 와이어(300)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와이어 체결밴드(320)가 체결되어 와이어 체결핀(500)에 체결된다.
상기 셋트 앵커(400)는, 교량 슬래브에 일측이 매설되고 타측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너트(420)가 체결되며, 그 볼트부에 앵커볼트 연결핀(430)이 체결된다.
상기 앵커볼트 연결핀(430)은, 하부에 관통홀(432)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체결핀(500)은 앵커볼트 연결핀(430)에 베어링(570)으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 체결핀(500)은, 몸체의 일측 상부에 관통홀(502)이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이 관통된 원형홀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02)에 인접하여 스프링(510)이 형성되고, 몸체를 관통하는 라운딩되도록 형성된 핀 몸체(530)의 끝에 측정핀(532)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570)은, 앵커볼트 연결핀(430)의 관통홀(432)과 와이어 체결핀(500)의 관통홀(502)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된다.
상기 체결대(700)는, 박스형 형태로, 일측에 ㄷ홈부가 형성되어 관통되고,타측의 박스 내부에 배터리(710)와 측정 기록지(600)가 삽입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710)에는 회전 모터(720)와 회전 롤러(730)가 형성되고, 타측에 측정 기록지(600)를 고정하는 기록지 연결구(740)에 다른 회전 롤러가 형성되어 회전 벨트(750)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710)의 전원이 회전 모터(720)에 전해지면 회전 롤러(730)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 롤러(730)의 회전력이 회전 벨트(750)를 통해 다른 회전 롤러와 연결된 기록지 연결구(740)와 연결된 측정 기록지(60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측정 기록지(600)와 접하는 측정핀(532)에 의해 측정 기록지(600)에 교량 슬래브의 처짐 정도가 도시되게 된다.
즉, 상기 안전진단시설(800)은, 교량 슬래브(200)의 하부에 2개의 셋트 앵커(400)가 고정된 후, 그 셋트 앵커(400)에 체결된 와이어 체결핀(500)의 원형 홈부(520)에 처짐측정 와이어(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교량 슬래브(200)의 처짐에 따라 스프링(510)이 유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처짐측정 와이어(300)가 유동하므로 측정핀(532)이 측정 기록지(600)에 기록을 남기게 된다.
상기 측정 기록지(600)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나타난 기록에 따라 교량 슬래브의 처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안전진단시설은, 셋트 앵커가 매설된 그 직하부에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는 외이어 체결핀이 체결되고, 그 와이어 체결핀에 처짐측정 와이어가 교량슬래브의 유동에 따라 스프링력으로 함께 유동함에 따라 측정 기록지에 유동 정도가 측정핀으로 도시되는 바, 이러한 도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교량 슬래브의 처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이를 토대로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검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진단시설에 의해 교량의 안전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이상유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교량 슬래브의 안전을 진단하는 시설에 있어서,
    상기 교량 슬래브(200)의 하부면에 다수개가 매설되는 한편, 볼트부가 형성된 측에 너트(420)가 체결된 셋트 앵커(400);
    상기 셋트 앵커(400)의 볼트부에 체결되고, 하부에 관통홀(432)이 형성된 앵커볼트 연결핀(430);
    상기 셋트 앵커(400)가 2개 1조를 이루는 그 사이에 와이어 체결밴드(320)로 고정되는 한편, 와이어 체결핀(500)에 체결되는 처짐측정 와이어(300);
    상기 앵커볼트 연결핀(430)에 베어링(570)으로 체결되는 한편,
    몸체의 일측 상부에 관통홀(502)이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이 관통된 원형홀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02)에 인접하여 스프링(510)이 형성되고, 몸체를 관통하는 라운딩되도록 형성된 핀 몸체(530)의 끝에 측정핀(532)이 형성된 와이어 체결핀(500): 및
    상기 셋트 앵커(400)에 앵커 볼트홀(702)이 관통되어 너트(420)로 고정되는 한편, 일측에 ㄷ홈부가 형성되어 관통되고, 타측의 박스 내부에 배터리(710)와 측정 기록지(600)가 삽입되며, 상기 배터리(710)에 회전 모터(720)와 회전 롤러(730)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에 측정 기록지(600)를 고정하는 기록지 연결구(740)에 다른 회전 롤러가 형성되어 회전 벨트(750)로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연결된 체결대(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2004-0000529U 2004-01-09 2004-01-09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0347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29U KR200347007Y1 (ko) 2004-01-09 2004-01-09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29U KR200347007Y1 (ko) 2004-01-09 2004-01-09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695A Division KR100619280B1 (ko) 2005-03-11 2005-03-11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007Y1 true KR200347007Y1 (ko) 2004-04-08

Family

ID=4942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529U KR200347007Y1 (ko) 2004-01-09 2004-01-09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0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77B1 (ko) 2008-05-23 2008-10-29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0443692Y1 (ko) * 2009-01-14 2009-03-1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101164892B1 (ko) 2012-04-27 2012-07-19 (주) 일신이앤씨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77B1 (ko) 2008-05-23 2008-10-29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0443692Y1 (ko) * 2009-01-14 2009-03-1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101164892B1 (ko) 2012-04-27 2012-07-19 (주) 일신이앤씨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818B1 (en) Tension measuring device for mooring line
CN101419104B (zh) 基于混凝土箱梁桥腹板竖向预应力筋张拉力的检测系统
KR100619280B1 (ko)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US5499542A (en) Diametral force sensor
JP2010501858A (ja) 荷重表示方法、及び装置
KR200443692Y1 (ko)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0347007Y1 (ko)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CN101660958A (zh) 无缝线路钢轨纵向力测量方法
KR101531563B1 (ko) 광섬유 센서 기반의 윤중/횡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정량적 상태평가 시스템
KR100874879B1 (ko) 교량 교각 구조물의 안전진단 방법
JP4316283B2 (ja) 緊張材の定着部構造及び緊張材の応力測定方法
KR100473481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교량상판의 안전진단장치
CN201335748Y (zh) 基于混凝土箱梁桥腹板竖向预应力筋张拉力的检测系统
KR100473482B1 (ko) 교량의 안전 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100473480B1 (ko) 교량상판 안전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100562912B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100457376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CN202329762U (zh) 称重负荷传感器及物料仓
CN102200501A (zh) 材料局部力学性能现场测量装置
KR100565848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안전진단장치
KR200365774Y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200348071Y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RU2413098C1 (ru)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несу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металлоконструкций с высокопрочными болтами
KR200265797Y1 (ko) 도로 구조물 및 교량의 안전진단용 측정시스템
KR100473479B1 (ko) 교량 교좌장치의 정밀 안전진단을 위한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