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910A -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910A
KR20190078910A KR1020170180689A KR20170180689A KR20190078910A KR 20190078910 A KR20190078910 A KR 20190078910A KR 1020170180689 A KR1020170180689 A KR 1020170180689A KR 20170180689 A KR20170180689 A KR 20170180689A KR 20190078910 A KR20190078910 A KR 2019007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cement
tension member
anchor structure
g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720B1 (ko
Inventor
장동운
Original Assignee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8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7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본원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정착부(110)와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복수의 긴장재(130); 정착부(110)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긴장재(130)는 정착부(110)와 헤드부(120) 사이 영역이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며, 변위측정부(140)는 후방 단부(141)를 제외한 전 영역이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고,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된 변위측정부(140)의 노출부(142)에는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실로 인해 발생한 긴장재(130)의 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143)가 외주면에 표시되고, 헤드부(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긴장재(130)의 긴장재 노출부(131)에는 긴장재(130) 정착이후, 헤드부(120)의 활동으로 인한 긴장재(130)의 변위를 확인 할 수 있는 긴장재 식별부(131a)가 표시된다.

Description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ANCH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앵커구조물은 지반의 절토면 또는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굴착부, 옹벽, 터널, 절토사면 등의 사면 안정을 위해 설치된다.
앵커구조물은 지반을 천공한 후, 긴장재를 포함하는 앵커체를 설치하고, 그라우트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정착력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앵커구조물은 설치이후, 긴장재의 장력이 손실되거나 지반 변형 등이 발생하여 앵커구조물의 정착력이 손실된다.
앵커구조물의 정착력이 손실되면 절토면이 붕괴되거나 앵커구조물이 설치된 굴착면의 일부가 붕괴 되는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착력의 손실여부를 확인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앵커구조물은 정착력의 손실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실별장치가 없어 정착력의 손실 정도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앵커구조물 설치 이후, 긴장재의 손실량과 앵커구조물의 변형량을 파악할 수 있는 앵커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본원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상기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상기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상기 정착부(110)와 상기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복수의 긴장재(130); 상기 정착부(110)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상기 긴장재(130)는 상기 정착부(110)와 상기 헤드부(120) 사이 영역이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변위측정부(140)는 상기 후방 단부(141)를 제외한 전 영역이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지반(1)으로 노출된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노출부(142)에는 상기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실로 인해 발생한 상기 긴장재(130)의 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143)가 외주면에 표시되고, 상기 헤드부(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긴장재(130)의 긴장재 노출부(131)에는 상기 긴장재(130) 정착이후, 상기 헤드부(120)의 활동으로 인한 상기 긴장재(130)의 변위를 확인 할 수 있는 긴장재 식별부(131a)가 표시된다.
상기 식별부(143)는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부(142)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상기 식별부(143)는 상기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는 상기 긴장재 노출부(131)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상기 눈금(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노출부(131)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는 상기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120)는 상기 긴장재(130)에 가해지는 긴장력(P)을 상기 지반(1)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천공홀(2)보다 넓은 면적을 같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21); 상기 지지부(121)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130)를 정착시키는 정착헤드(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는 상기 눈금(L)이 상기 지지부(121)의 높이 방항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천공홀(2)의 측방에는 상기 천공홀(2)보다 깊은 깊이를 같도록 굴착되는 추가 굴착홀(3)이 형성되며, 상기 추가 굴착홀(3)에는 전방단부(310)가 상기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측면(121a)의 하단과 상단 사이 영역에 위치되고, 후방가장자리(320)는 상기 추가 굴착홀(3)의 후방에 정착된 측정바(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가장자리(320)를 제외한 상기 측정바(300)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추가 굴착홀(3)과 비부착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착부(110)는 상기 그라우트(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격자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측정부(140)와 상기 긴장재(130)를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변위측정부(140)와 상기 긴장재(130)는 파이프(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A) 시공방법은 상기 지반(1)에 상기 천공홀(2)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앵커구조물(A)을 상기 천공홀(2)에 설치하는 앵커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천공홀(2)에 상기 그라우트(200)를 충전하는 그라우트 충전단계; 상기 그라우트(200) 경화이후, 상기 긴장재(130)를 긴장하여 정착시키는 긴장재 긴장단계; 상기 추가 굴착홀(3)을 형성하는 추가굴착홀 형성단계; 상기 추가 굴착홀(3)에 상기 측정바(300)를 설치하는 측정바설치단계;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상기 식별부(143),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 상기 측정바(300)의 상기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앵커구조물(A)의 상기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확인단계이후,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력(P) 손설정도에 따라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재긴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A) 유지관리방법은 상기 앵커구조물(A)과 상기 측정바(300) 설치단계 이후,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상기 식별부(143),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 상기 측정바(300)의 상기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앵커구조물(A)의 상기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거나 또는 상기 앵커구조물(A)을 재시공 하는 유지관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상기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만 발생하고, 추가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상기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와 함께 추가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앵커구조물(A)을 재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앵커구조물은 긴장재와 정착부의 변위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어, 앵커구조물의 정착력 손실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손실된 앵커구조물의 정착력을 추가도입하여 앵커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재 식별부가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장재 식별부에 눈금이 표시되고 서로 다른 색으로 도색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설치된 긴장재에 눈금이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단계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 설치단계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바설치단계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의 긴장력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본원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정착부(110)와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복수의 긴장재(130); 정착부(110)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긴장재(130)는 정착부(110)와 헤드부(120) 사이 영역이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며, 변위측정부(140)는 후방 단부(141)를 제외한 전 영역이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고,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된 변위측정부(140)의 노출부(142)에는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실로 인해 발생한 긴장재(130)의 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143)가 외주면에 표시되고, 헤드부(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긴장재(130)의 긴장재 노출부(131)에는 긴장재(130) 정착이후, 헤드부(120)의 활동으로 인한 긴장재(130)의 변위를 확인 할 수 있는 긴장재 식별부(131a)가 표시된다.
식별부(143)는 변위측정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L)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부(142)의 부식을 방지하고,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식별부(143)는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긴장재(130)의 손실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변위측정부(140)가 설치된다.
기존의 앵커구조물에는 긴장재의 손실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앵커구조물 설치이후, 긴장재에 손실이 발생하여도 그 정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긴장재(130)의 손실정도를 변위측정부(140)의 식별부(14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별부(143)는 도 4와 같이 눈금(L)이 표시되어 있거나, 도색되어 식별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긴장재 식별부(131a)는 긴장재 노출부(131)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L)인 것이 바람직하다.
긴장재 노출부(131)의 부식을 방지하고,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긴장재 식별부(131a)는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 4와 같이 긴장재(130)의 노출부(131)에 눈금(L)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긴장재(130)의 즉시 손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5와 같이 복수의 긴장재(130)가 설치되는 경우, 전후좌우 가장자리의 긴장재(130) 노출부(131)에 표시된 눈금(L)을 통해 앵커구조물의 편심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긴장재(130)에 가해지는 긴장력(P)을 지반(1)에 전달하기 위해, 천공홀(2)보다 넓은 면적을 같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21); 지지부(121)의 전면에 설치되어 긴장재(130)를 정착시키는 정착헤드(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는 눈금(L)이 지지부(121)의 높이 방항을 따라 형성되고, 천공홀(2)의 측방에는 천공홀(2)보다 깊은 깊이를 같도록 굴착되는 추가 굴착홀(3)이 형성되며, 추가 굴착홀(3)에는 전방단부(310)가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측면(121a)의 하단과 상단 사이 영역에 위치되고, 후방가장자리(320)는 추가 굴착홀(3)의 후방에 정착된 측정바(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가장자리(320)를 제외한 측정바(300)의 나머지 영역은 추가 굴착홀(3)과 비부착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앵커구조물의 측방에는 도 8과 같이 앵커구조물의 전체 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바(300)가 설치된다.
측정바(300)는 추가 굴착홀(3)에 설치되되, 전방 단부가 지지부(121)의 측면(121a)을 향하도록 설치되는데, 측면(121a)에는 눈금(L)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구조물의 변위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착부(110)는 그라우트(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격자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정착부(110)는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그라우트(200)와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변위측정부(140)와 긴장재(130)를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변위측정부(140)와 긴장재(130)는 파이프(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9와 같이 변위측정부(140)와 긴장재(130)를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400)를 설치하고, 파이프(400) 내측에 변위측정부(140)와 긴장재(13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A) 시공방법은 지반(1)에 천공홀(2)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앵커구조물(A)을 천공홀(2)에 설치하는 앵커구조물 설치단계; 천공홀(2)에 그라우트(200)를 충전하는 그라우트 충전단계; 그라우트(200) 경화이후, 긴장재(130)를 긴장하여 정착시키는 긴장재 긴장단계; 추가 굴착홀(3)을 형성하는 추가굴착홀 형성단계; 추가 굴착홀(3)에 측정바(300)를 설치하는 측정바설치단계; 변위측정부(140)의 식별부(143), 긴장재(130)의 긴장재 식별부(131a), 측정바(300)의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앵커구조물(A)의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변위확인단계이후,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설정도에 따라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재긴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구조물 설치 이후, 측정바(300)를 설치하고, 긴장재(130)를 긴장한 이후, 변위측정부(140)와 측정바(300)를 통해 변위 정도를 파악한다.
측정바(300)를 통해 앵커구조물의 전체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해, 추가 굴착홀(3)의 굴착깊이를 천공홀(2)의 깊이보다 깊게 굴착하고, 측정바(3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구조물(A) 유지관리방법은 앵커구조물(A)과 측정바(300) 설치단계 이후, 변위측정부(140)의 식별부(143), 긴장재(130)의 긴장재 식별부(131a), 측정바(300)의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앵커구조물(A)의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거나 또는 앵커구조물(A)을 재시공 하는 유지관리단계;를 포함한다.
긴장재(130)의 손실이 발생하여 긴장력(130)이 감소하면 긴장재(130)를 재긴장하여야 한다.
이때 정확한 손실량을 확인하여야 재긴장 하중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위측정부(140), 긴장재 식별부(131a), 측정바(300)를 이용하여 긴장재의 손실량 및 앵커구조물의 변위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재 긴장시 알맞은 긴장력(P)을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긴장재(130)의 변위는 변위측정부(140)와 긴장재 식별부(131a)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정착부(110)의 변위는 측정바(30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변위확인단계에서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정착부(110)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유지관리단계는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정착부(110)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긴장재(130)에서만 변위가 발생한 경우로서,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여 앵커구조물(A)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위확인단계에서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정착부(110)에는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만 발생하고, 추가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유지관리단계는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긴장재(130)에서 초기 변위가 발생하였지만 지속적인 변위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은 경우로서,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여 앵커구조물(A)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위확인단계에서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정착부(110)에는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와 함께 추가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유지관리단계는 앵커구조물(A)을 재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정착부(110)의 변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경우로서, 정착부(110)와 그라우트(200)의 결합불량이 발생한 경우이다.
따라서 앵커구조물(A)을 재설치 하여 앵커구조물(A)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시공직 후 부터 변위측정부(140), 긴장재 식별부(131a), 측정바(300)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중 발생하는 앵커구조물(A)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앵커구조물 L : 눈금
P : 긴장력 1 : 지반
2 : 천공홀 3 : 추가 굴착홀
110 : 정착부 120 : 헤드부
121 : 지지부 121a : 측면
122 : 정착헤드 130 : 긴장재
131 : 노출부 131a : 긴장재 식별부
140 : 변위측정부 141 : 후방 단부
142 : 노출부 143 : 식별부
200 : 그라우트 300 : 측정바
310 : 전방단부 320 : 후방가장자리
400 : 파이프

Claims (16)

  1. 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앵커구조물(A)로서,
    상기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상기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상기 정착부(110)와 상기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복수의 긴장재(130);
    상기 정착부(110)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상기 긴장재(130)는
    상기 정착부(110)와 상기 헤드부(120) 사이 영역이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변위측정부(140)는
    상기 후방 단부(141)를 제외한 전 영역이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지반(1)으로 노출된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노출부(142)에는 상기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실로 인해 발생한 상기 긴장재(130)의 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143)가 외주면에 표시되고,
    상기 헤드부(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긴장재(130)의 긴장재 노출부(131)에는 상기 긴장재(130) 정착이후, 상기 헤드부(120)의 활동으로 인한 상기 긴장재(130)의 변위를 확인 할 수 있는 긴장재 식별부(131a)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143)는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142)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상기 식별부(143)는 상기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는
    상기 긴장재 노출부(131)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상기 눈금(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노출부(131)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는 상기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20)는
    상기 긴장재(130)에 가해지는 긴장력(P)을 상기 지반(1)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천공홀(2)보다 넓은 면적을 같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21);
    상기 지지부(121)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130)를 정착시키는 정착헤드(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는 상기 눈금(L)이 상기 지지부(121)의 높이 방항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천공홀(2)의 측방에는 상기 천공홀(2)보다 깊은 깊이를 같도록 굴착되는 추가 굴착홀(3)이 형성되며,
    상기 추가 굴착홀(3)에는
    전방단부(310)가 상기 지지부(121)의 측면(121a)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측면(121a)의 하단과 상단 사이 영역에 위치되고,
    후방가장자리(320)는 상기 추가 굴착홀(3)의 후방에 정착된 측정바(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가장자리(320)를 제외한 상기 측정바(300)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추가 굴착홀(3)과 비부착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110)는
    상기 그라우트(2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격자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와 상기 긴장재(130)를 상기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변위측정부(140)와 상기 긴장재(130)는 파이프(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11. 제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앵커구조물(A)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지반(1)에 상기 천공홀(2)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앵커구조물(A)을 상기 천공홀(2)에 설치하는 앵커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천공홀(2)에 상기 그라우트(200)를 충전하는 그라우트 충전단계;
    상기 그라우트(200) 경화이후, 상기 긴장재(130)를 긴장하여 정착시키는 긴장재 긴장단계;
    상기 추가 굴착홀(3)을 형성하는 추가굴착홀 형성단계;
    상기 추가 굴착홀(3)에 상기 측정바(300)를 설치하는 측정바설치단계;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상기 식별부(143),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 상기 측정바(300)의 상기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앵커구조물(A)의 상기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인단계이후,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력(P) 손설정도에 따라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재긴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시공방법.
  13. 제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앵커구조물(A) 유지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앵커구조물(A)과 상기 측정바(300) 설치단계 이후,
    상기 변위측정부(140)의 상기 식별부(143), 상기 긴장재(130)의 상기 긴장재 식별부(131a), 상기 측정바(300)의 상기 전방단부(3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앵커구조물(A)의 상기 긴장력(P) 손실정도를 확인하는 변위확인단계;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거나 또는 상기 앵커구조물(A)을 재시공 하는 유지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유지관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유지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상기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만 발생하고, 추가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긴장재(130)를 재긴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유지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인단계에서 상기 변위측정부(140)에는 변위가 발생하고, 상기 정착부(110)에는 상기 앵커구조물(A) 설치 직후 초기 변위와 함께 추가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지관리단계는
    상기 앵커구조물(A)을 재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구조물 유지관리 방법.
KR1020170180689A 2017-12-27 2017-12-27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7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89A KR102079720B1 (ko) 2017-12-27 2017-12-27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89A KR102079720B1 (ko) 2017-12-27 2017-12-27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10A true KR20190078910A (ko) 2019-07-05
KR102079720B1 KR102079720B1 (ko) 2020-02-20

Family

ID=6722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89A KR102079720B1 (ko) 2017-12-27 2017-12-27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7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49B1 (ko) 2019-08-29 2020-12-23 (주)나다건설 긴장력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025322A (ko) 2019-08-27 2021-03-09 정순용 지중 앵커 긴장력 확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중 앵커의 시공 방법
KR20210027117A (ko) 2020-08-24 2021-03-10 (주)나다건설 긴장력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996B1 (ko) * 2022-08-16 2023-05-02 주식회사 리치투게더테크 그라운드 앵커 이상 유무 확인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555541B1 (ko) * 2022-09-07 2023-07-12 오용환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829A (ko) *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101626259B1 (ko) * 2015-10-06 2016-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력 측정 장치
KR101733999B1 (ko) * 2015-12-24 2017-05-12 주식회사 쏘일텍코리아 응력의 자가진단이 가능한 지반앵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829A (ko) * 2014-10-02 2016-04-12 정광우 가로등기초 구조물
KR101626259B1 (ko) * 2015-10-06 2016-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력 측정 장치
KR101733999B1 (ko) * 2015-12-24 2017-05-12 주식회사 쏘일텍코리아 응력의 자가진단이 가능한 지반앵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322A (ko) 2019-08-27 2021-03-09 정순용 지중 앵커 긴장력 확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중 앵커의 시공 방법
KR102194449B1 (ko) 2019-08-29 2020-12-23 (주)나다건설 긴장력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027117A (ko) 2020-08-24 2021-03-10 (주)나다건설 긴장력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720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910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78909A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33999B1 (ko) 응력의 자가진단이 가능한 지반앵커 및 그 시공방법
US9103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qually tensioning multiple strands
EP1649245B1 (en) Method of fixing a fiber bragg grating strain sensor
KR101552793B1 (ko)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KR20070039705A (ko) 강선을 이용한 앵커의 축력측정용 모노로드셀 및 그앵커구조
ITVI20070217A1 (it) Dispositivo di misura per la rilevazione di sollecitazioni su una barriera di protezione e barriera di protezione provvista di detto dispositivo di misura.
KR100698540B1 (ko) 침하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보강 시스템
KR102194449B1 (ko) 긴장력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6673720B2 (ja) トンネルの覆工コンクリートの打設管理方法
KR20070009272A (ko) 격자형 강섬유판 누드 에프알피이와 복합 강성부재 누드에프알피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
KR100956687B1 (ko) 광섬유 복합 강연선을 이용한 어스앵커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방법
KR100591455B1 (ko) 아치형 터널의 기둥 안전 진단장치
JPH11248558A (ja) ひずみ分布測定方法
KR102008850B1 (ko)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KR101830646B1 (ko) 재긴장 및 긴장력 측정용 긴장재 보호장치
JP4012956B2 (ja) 健全性評価用の光ファイバを埋設した構造物の検証方法
US20080134598A1 (en) Unbonded Post-Tension Strand Protector
KR1998008351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간 채움재의 직접인장 부착강도 시험방법
KR102414976B1 (ko) 앵커력 측정센서가 내장된 지압식 영구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2379818B1 (ko)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20130005403U (ko)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KR102074573B1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KR20110135217A (ko) 교량의 보수 및 보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