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03U -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03U
KR20130005403U KR2020120001734U KR20120001734U KR20130005403U KR 20130005403 U KR20130005403 U KR 20130005403U KR 2020120001734 U KR2020120001734 U KR 2020120001734U KR 20120001734 U KR20120001734 U KR 20120001734U KR 20130005403 U KR20130005403 U KR 20130005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vil engineering
sensor
fixing
guideline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132Y1 (ko
Inventor
박두호
Original Assignee
(주)토림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림건설 filed Critical (주)토림건설
Priority to KR2020120001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3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7Apparatus combining measurement of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paving with application of material in proportion to the measured irregularities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을 위한 관형부재로서,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고정고리 설치 홀; 및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부재로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U자형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고리의 U자형 고리부가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는 축회전을 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놓여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An apparatus for fastening a guide line for civil engineering sensor}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형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놓여지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이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에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고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로포장 공사란 토목공사의 일종으로 도로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깔아 평평하고 단단하게 해주는 공사를 말하며,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재료를 페이버(Paver), 휘니샤 등의 기계가 적정 두께로 포설하고, 마카담 롤러, 타이어 롤러, 탄뎀 롤러 등의 롤러가 다짐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로포장 공사에 있어서 포설작업은 도로를 편편하게 하는 일차적인 작업으로서 정교한 계측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정 구간 이상의 도로포장 공사에 있어서 페이버, 휘니샤 등의 포설 기계는 도로 양측에 설치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진행하는 토목공사용 센서와 연동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밖에 교량난간 방호벽 및 방음벽, L형 측구 등의 토목 구조물 공사에도 정교한 계측이 요구되며, 이에 사용되는 기계들도 도로포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따라 진행하는 토목공사용 센서와 연동되어 공사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토목공사용 센서가 진행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는 크게 스틱(10), 크립(20) 및 암(Arm, 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30)의 일단부에는 가이드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31)이 포장되는 도로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도로 양측에 일정한 간격(통상적으로 3~6m 간격)으로 설치된다.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1)은 도로변에 설치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들의 가이드 홈(31)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토목공사용 센서는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진행한다.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는 각 구성부가 통상적으로 철재로 이루어져 있어 무겁다. 따라서 운반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현장에서의 관리도 힘들다. 또한 현장에 적용될 때 각각의 고정부재 별로 스틱(10), 크립(20) 및 암(30)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이 관리과정에서 파손 또는 분실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되며 해당 공사의 완료시까지 오랜 시간동안 고정되어 있기에 현장 작업자들이 고정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려 부상을 당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는데 특히 야간에는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이렇듯 종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는 현장에서의 관리와 설치 및 안전 등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비하여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뿐만 아니라 가볍고 설치작업도 간편하여 공사현장에서의 사용과 관리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감소시켜주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을 위한 관형부재로서,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고정고리 설치 홀; 및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부재로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U자형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고리의 U자형 고리부가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는 축회전을 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놓여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단부를 통해 끼움결합되는 스틱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틱이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틱에 횡압력을 가하며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주연에 구비된 안전표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전표지는 외주연에 부착된 형광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고정해준다.
2.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비하여 가볍고 설치가 간편하여 토목공사 현장에의 적용 및 관리에 있어 편리하다.
3.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가지고 있던 부품의 분실우려가 없다.
4.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비하여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발생 위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1. [도 1]은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2.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3.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을 고정시켜주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4.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스틱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5.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을 위한 관형부재로서,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고정고리 설치 홀 및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부재로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U자형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고리의 U자형 고리부가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는 축회전을 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놓여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는 관형부재로서 가이드 홈(101), 고정고리 설치 홀(102) 및 고정고리(10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홈(101)은 관형부재의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이 놓여지는 홈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토목공사 현장에의 적용 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101)이 토목공사용 롤러 센서 가이드라인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102)은 상기 가이드 홈(101)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홀이다.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102)을 통해 후술할 고정고리(103)가 관통되어 설치되게 된다.
상기 고정고리(103)는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10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부재로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U자형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고리(103)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고리(103)의 U자형 고리부가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는 축회전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홈(101)에 놓여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고리(103)를 통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구체적인 고정과정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고리(103)가 회전을 하면 상기 고정고리(103)의 고리부가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지며 누르는 힘을 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이 상기 가이드 홈(10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경우 종래의 고정방식에 비하여 토목공사용 롤러 센서 가이드라인이 훨씬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스틱과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는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사용되던 스틱(10)과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단에 스틱(10)이 끼움결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를 도로포장 공사 등의 토목공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포설기계의 높이를 감안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기존의 스틱(10)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와 상기 스틱(1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는 상기 스틱(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10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수단(104)은 상기 스틱(10)이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104a) 및 상기 나사홀(104a)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틱(10)에 횡압력을 가하며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10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04)은 [도 2]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가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1]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100)가 도로포장 공사 현장에 적용될 경우 종래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에 사용되던 크립(20)과 암(30)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개개의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의 운반 및 결합에 들어가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되며, 관리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던 부품 분실 등과 같은 관리상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는 외주연에 구비된 안전표지(10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사현장에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은 상당한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릴 경우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특히 야간에는 고정된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식별이 어려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안전표지(10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표지(105)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의 외주연에 부착된 형광테이프가 될 수 있는데, 형광테이프는 야간에도 식별이 잘 되기 때문에 야간에 작업자들이 형광테이프를 통해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관리에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 건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10: 스틱
20: 크립 30: 암(Arm)
31: 가이드 홈 100: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101: 가이드 홈 102: 고정고리 설치 홀
103: 고정고리 104: 고정수단
104a: 나사 홀 104b: 고정나사
105: 안전표지

Claims (5)

  1.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을 위한 관형부재로서,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고정고리 설치 홀; 및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부재로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U자형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고리의 U자형 고리부가 상기 고정고리 설치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는 축회전을 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놓여진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2. 제1항에서,
    하단부를 통해 끼움결합되는 스틱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틱이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홀; 및
    상기 나사홀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틱에 횡압력을 가하며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4. 제1항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안전표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5. 제4항에서,
    상기 안전표지는 외주연에 부착된 형광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KR2020120001734U 2012-03-06 2012-03-06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KR200472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34U KR200472132Y1 (ko) 2012-03-06 2012-03-06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34U KR200472132Y1 (ko) 2012-03-06 2012-03-06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03U true KR20130005403U (ko) 2013-09-16
KR200472132Y1 KR200472132Y1 (ko) 2014-04-08

Family

ID=5148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34U KR200472132Y1 (ko) 2012-03-06 2012-03-06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409A (zh) * 2018-08-18 2018-12-11 重庆交通大学 挂线装置
CN109056480A (zh) * 2018-08-18 2018-12-21 重庆交通大学 脚踏式挂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604A (ja) * 1997-03-18 1998-09-29 Nikko Planning Kk バリケード用スタンド
KR200373242Y1 (ko) * 2004-10-30 2005-01-14 주식회사 거도산업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200442813Y1 (ko) * 2008-07-22 2008-12-11 김인수 차단봉용 지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409A (zh) * 2018-08-18 2018-12-11 重庆交通大学 挂线装置
CN109056480A (zh) * 2018-08-18 2018-12-21 重庆交通大学 脚踏式挂线装置
CN108978409B (zh) * 2018-08-18 2021-05-25 重庆交通大学 挂线装置
CN109056480B (zh) * 2018-08-18 2021-05-25 重庆交通大学 脚踏式挂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32Y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291B2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1411895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200472132Y1 (ko)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JP4823937B2 (ja) 落橋防止構造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RU127913U1 (ru) Датчик вес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тс)
JP4934779B2 (ja) 乗降場構成体および乗降場設置方法
JP6068243B2 (ja) 道路用伸縮継手
KR1008847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833836B1 (ko) 레이저 거리측정에 의한 파형강판 암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7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060103B1 (ko) 도로 보수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그 구조
RU2531654C2 (ru) Датчик вес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2188892A (ja) 自転車レーンと歩行者レーンとの分離構造
CN108252177A (zh) 改善有轨电车轨旁沥青路面开裂的加固结构
KR10085684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3197281U (ja) 道路用伸縮継手
KR20130015253A (ko) 맨홀부 커버 장치 및 이를 활용한 맨홀부 복구 시스템
KR102016442B1 (ko)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용 센서고정장치
KR100847724B1 (ko) 도로의 횡방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방법
JP2763279B2 (ja) コンクリートガードフェンスの施工方法
CN205280081U (zh) 一种混凝土表面测量控制点保护装置
RU2539461C1 (ru) Способ уширения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нтовой системы
KR101335606B1 (ko) 강재 톱날형 콘크리트 타설 신축이음부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