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813Y1 - 차단봉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차단봉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13Y1
KR200442813Y1 KR2020080009753U KR20080009753U KR200442813Y1 KR 200442813 Y1 KR200442813 Y1 KR 200442813Y1 KR 2020080009753 U KR2020080009753 U KR 2020080009753U KR 20080009753 U KR20080009753 U KR 20080009753U KR 200442813 Y1 KR200442813 Y1 KR 200442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outer pipe
support
belt
b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허철호
Original Assignee
김인수
허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허철호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080009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연회장이나 행사장, 공사장 또는 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사람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출입을 안내하는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수납 몸체나, 로우프를 걸 수 있는 걸이구몸체를 결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는 차단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외측파이프(11)와, 상기 외측파이프(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장되는 내측파이프(2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의 상단부에는 내측파이프(21)를 고정하는 상방고정볼트(32)와 고정볼트지지구(3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지지구(41)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에는 다리지지구(41)와 외측파이프(11)를 고정하는 하방고정볼트(42)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 저면에는 다수개(3~4개) 다리(51)의 상단부를 결합하는 다리결합부(43)를 각각 가지며,
상기 다수개(3~4개) 다리(51)는 상방에 형성한 구멍과, 다리결합부(43)를 상방볼트(44) 및 상방너트(45)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수개(3~4개)의 다리(51)에 형성한 중간구멍에 다리연결구(52)를 중간볼트(53) 및 중간너트(54)로 회 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리연결구(52)의 타측 단부는 외측파이프(11) 하단부에 고정한 연결구(55)에 하방볼트(46)및 하방너트(47)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외측파이프(11)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파이프(21) 상단에 벨트(62)가 수납되는 벨트수납몸체(61)를 결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거나,
상기 내측파이프(21) 상단에 걸이구(72)를 갖는 걸이구몸체(71)를 결합하며, 상기 걸이구몸체(71)의 걸이구(72)에 양단부에 고리를 갖는 로우프(73)를 걸어 차단봉을 형성하는 것이다.
차단봉

Description

차단봉용 지지대{suppoter with a belt guide line}
본 고안은 각종 연회장이나 행사장, 공사장 또는 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사람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출입을 안내하는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수납몸체나, 로우프를 걸 수 있는 걸이구몸체를 결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는 차단봉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봉은 연회장이나 행사장 또는 출입구 등에는 사람이 한꺼번에 몰릴 경우 사고의 위험을 가지며, 질서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통행을 차단하며, 정해진 통로로만 통행하도록 통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 통상적인 차단봉의 구조는 하단에 받침판을 가지며, 받침판의 중앙에 지지기둥을 가지며, 지지기둥 상단부에는 길이가 신장되는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 수납 몸체로 구성되는 벨트타입의 차단봉과 로우프 타입의 차단봉을 볼 수 있다.
상기 벨트타입의 차단봉은 스프링에 의해 벨트가 수납 몸체 내측으로 감겨지거나, 벨트 수납 몸체로부터 풀려나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로우프 타입의 차단봉은 일정 굵기의 로우프를 지지기둥 상단의 걸이구에 걸어 차단봉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차단봉에 대한 특허 및 실용신안 공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1. 실용신안 등록 제20-0320583호
고안의 명칭: 다목적 차단봉
2. 실용신안 등록 제20-0256150호
고안의 명칭: 다목적 차단봉
3. 실용신안 등록 제20-274003호
고안의 명칭: 다목적 차단봉
4. 실용신안 공개번호 97-18126호
고안의 명칭: 통행 차단용 구조
를 볼 수 있다.
(상기 1,2,3에 해당하는 고안은 본 고안의 출원인인 김인수에 의해 선등록 된 것이다.)
상기 실용신안에서 볼 수 있는 종래의 차단봉은 원판상의 받침판을 가지며 그 가운데 지지기둥이 고정되며, 지지기둥 상단부에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 수납 몸체를 부착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단봉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 넓은 원판상의 받침판에 의해 큰 부피를 가지며, 가변되지 않는 지지기둥에 의해 항시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됨으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을 갖게 된다.
상기 실용신안 공보에서 보는 종래의 차단봉은 하방에 받침대를 가지며, 받침대 중앙에는 지지기둥을 가지며, 지지기둥 맨 위의 상단부에는 내측에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 수납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둥을 고정하는 받침대는, 일정 면적과 무게를 가져, 지지기둥을 지지하며, 가벼운 외력에 의해 지지기둥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나,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 큰 부피를 차지함으로, 차단봉을 보관할 경우, 보관장소를 넓게 차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차단봉의 높이는 1m 전후를 가지며, 이를 임의로 높이거나 낮출 수 없는 고정된 높이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단봉은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 원판형상의 넓은 받침대에 의해 보관공간이 커야하며, 이로 인해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개별 포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보관시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쉽게 표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그 높이를 가변할 수 없음으로 인해 설치되는 벨트의 높이를 임의로 높이거나 낮출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바,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외측파이프(11)와, 상기 외측파이프(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장되는 내측파이프(2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의 상단부에는 내측파이프(21)를 고정하는 상방고정볼트(32)와 고정볼트지지구(3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지지구(41)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에는 다리지지구(41)와 외측파이프(11)를 고정하는 하방고정볼트(42)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 저면에는 다수개(3~4개) 다리(51)의 상단부를 결합하는 다리결합부(43)를 각각 가지며,
상기 다수개(3~4개) 다리(51)는 상방에 형성한 구멍과, 다리결합부(43)를 상방볼트(44) 및 상방너트(45)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수개(3~4개)의 다리(51)에 형성한 중간구멍에 다리연결구(52)를 중간볼트(53) 및 중간너트(54)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리연결구(52)의 타측 단부는 외측파이프(11) 하단부에 고정한 연결구(55)에 하방볼트(46)및 하방너트(47)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외측파이프(11)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파이프(21) 상단에 벨트(62)가 수납되는 벨트수납몸체(61)를 결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거나,
상기 내측파이프(21) 상단에 걸이구(72)를 갖는 걸이구몸체(71)를 결합하며, 상기 걸이구몸체(71)의 걸이구(72)에 양단부에 고리를 갖는 로우프(73)를 걸어 차단봉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내측파이프(21) 상단부에 걸이홈(22)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걸이홈(22)을 상단부에 형성한 내측파이프(21)는 걸이홈(22)에 벨트(62)를 결합하고 벨트를 감아 벨트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으로 벨트수납몸체(61) 내측에 벨트를 자동으로 감는 스프링이 없는 벨트수납몸체(61)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3은 벨트수납몸체(61)를 결합하는 나사산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외측파이프(11) 상단부에 결합되어 외측파이프(11)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측파이프(21)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하여,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내측파이프는(21)는 외측파이프(11)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볼트지지구(31)의 상방고정볼트(32)로 고정된다.
외측파이프(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고정볼트(42)를 갖는 다리지지구(41)는, 다리지지구(41) 저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51)를 펼치거나, 절첩하여, 부피가 축소시킴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 적은 부피로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리(51)를 펼치거나 절첩하여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신속하며,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치 않고 보관시 다리를 접어 적은 부피를 가지며, 사용시 다리를 간단히 펼쳐 차단봉용 지지대를 구성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내측에 벨트(62)를 갖는 벨트수납몸체(61)를 부착하거나, 걸이구(72)를 갖는 걸이구몸체(71)를 결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는 차단봉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차단봉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기둥 하방에 원판형 받침판을 갖는 대신에 절첩되어 부피를 축소하는 절첩식 다리(51)를 가지며, 지지기둥을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외측파이프(11)와 내측파이프(21)로 구성토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외측파이프(11) 내측(내경)으로 삽입되는 내측파이프(21)를 가져, 일정 길이 범위 내에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시 또는 운반 시에는 다리(51)를 절첩하여 부피를 축소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파이프(11)의 내측(내경)으로 삽입되는 내측파이프(21)는 외측파이프(11) 상단부에 고정한 고정볼트지지구(31)의 상방고정볼트(32)로 내측파이프(21)를 고정하게 되며,
외측파이프(11) 하방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지지구(41)는 하방고정볼트(42)로 외측파이프(11)에 고정된다.
상기 다리지지구(41) 저면에는 다수개의 다리(51) 즉 3~4개의 다리(51)의 상단을 상방볼트(44) 및 상방너트(45)로 체결하는 다리결합부(43)를 갖는다.
즉, 각각의 다리(51) 상방에 형성한 상방구멍을 상방볼트(44) 및 상방너트(45)로 다리결합부(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다리(51) 중간에 형성한 중간구멍에 중간볼트(53) 및 중간너트(54)로 다리연결구(52)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리연결구(52)의 타측단부는 외측파이프(11) 하단부에 고정한 연결구(55)에 하방볼트(46) 및 하방너트(47)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다리지지구(41) 저면의 다리결합부(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51)는 다리지지구(41)를 외측파이프(11) 상방으로 끌어 올릴 경우, 다리(51)는 다리지지구(41)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진 다리가 절첩되어 부피를 축소하게 된다.
그후 다리지지구(41)의 하방고정볼트(42)를 조여 다리지지구(41)와 외측파이프(11)를 고정할 시, 다수개(3~4개)의 다리(51)는 펼쳐지지 않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첩된 다리(51)는 다리지지구(41)의 하방고정볼트(42)를 풀 경우 다리지지구(41)는 외측파이프(11)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다리(51)는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시 다리를 펼쳐 받침대로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는 보관시나 운반시에는 펼쳐진 다리를 절첩하며, 내측파이프(21)를 외측파이프(11) 내측에 삽입하여 부피를 축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측파이프(21) 상방의 나사산(23)에는 내측에 벨트(62)를 수납하는 벨트수납몸체(61)가 결합된다.
내측에 벨트를 수납하는 벨트수납몸체(61)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벨트(62)를 자동으로 감는 타입과 스프링이 내장되지 않아 벨트(62)를 수동으로 감는 벨트수납몸체(61)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내측파이프(21) 상단부에 걸이홈(22)를 형성하고 이에 벨트(62)를 끼워넣고 내측파이프(21)나 벨트수납몸체(61)를 회전시키면 벨트(62)가 걸이홈(22) 외측을 감아 벨트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1 본 고안의 사시도
도2 본 고안에 벨트수납몸체로 부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 분해도
도3 본 고안에 걸이구 몸체를 부착하여 차단봉을 구성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 분해도
도4 본 고안에 있어 다리를 접은 것을 보인 정면도
도5 도2의 A부분 단면도
도6 도2의 B부분 단면도
도7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8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9 종래 차단봉의 정면도
(가) 벨트타입의 차단봉
(나) 로우프 타입의 차단봉
도10 본 고안의 타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설명>
11 외측파이프
21 내측파이프 22 걸이홈
23 나사산
31 고정볼트지지구 32 상방고정볼트
41 다리지지구 42 하방고정볼트
43 다리결합부 44 상방볼트
45 상방너트 46 하방볼트
47 하방너트 51 다리
52 다리연결구 53 중간볼트
54 중간너트 55 연결구
61 벨트수납몸체 62 벨트
71 걸이구몸체 72 걸이구
73 로우프

Claims (2)

  1.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벨트 및 상기 벨트를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두루마리식으로 권취시켜 내장시킨 벨트수납외통체를 갖는 차단봉용 지지대에 있어서, 외측파이프(11)와, 상기 외측파이프(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장되는 내측파이프(2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의 상단부에는 내측파이프(21)를 고정하는 상방고정볼트(32)와 고정볼트지지구(31)를 가지며,
    상기 외측파이프(11)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지지구(41)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에는 다리지지구(41)와 외측파이프(11)를 고정하는 하방고정볼트(42)를 가지며,
    상기 다리지지구(41) 저면에는 다수개(3~4개) 다리(51)의 상단부를 결합하는 다리결합부(43)를 각각 가지며,
    상기 다수개(3~4개) 다리(51)는 상방에 형성한 구멍과, 다리결합부(43)를 상방볼트(44) 및 상방너트(45)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수개(3~4개)의 다리(51)에 형성한 중간구멍에 다리연결구(52)를 중간볼트(53) 및 중간너트(54)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다리연결구(52)의 타측 단부는 외측파이프(11) 하단부에 고정한 연결구(55)에 하방볼트(46)및 하방너트(47)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내측파이프(21) 상단부에 걸이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용 지지대.
KR2020080009753U 2008-07-22 2008-07-22 차단봉용 지지대 KR200442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753U KR200442813Y1 (ko) 2008-07-22 2008-07-22 차단봉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753U KR200442813Y1 (ko) 2008-07-22 2008-07-22 차단봉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13Y1 true KR200442813Y1 (ko) 2008-12-11

Family

ID=4164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753U KR200442813Y1 (ko) 2008-07-22 2008-07-22 차단봉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2Y1 (ko) * 2012-03-06 2014-04-08 (주)토림건설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CN112412161A (zh) * 2020-11-24 2021-02-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变电站安全围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2Y1 (ko) * 2012-03-06 2014-04-08 (주)토림건설 토목공사용 센서 가이드라인 고정부재
CN112412161A (zh) * 2020-11-24 2021-02-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变电站安全围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749B1 (en) Adjustable hunting blind
US9861180B1 (en) Dual beam, vehicle mounted hammock frame
KR200442813Y1 (ko) 차단봉용 지지대
KR102353006B1 (ko)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KR101273373B1 (ko) 캠핑용 간이 야전침대 프레임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101488394B1 (ko)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US6035968A (en) Collapsible hunting stand
CN212535198U (zh) 一种三脚架独立支撑架体
CN204218273U (zh) 折叠移动式阳台挂桌
US20040140332A1 (en) Backpack frame convertible to an adjustable mattress supporting cot with a tent supporting structure
CN205094000U (zh) 一种便携式婴儿床
US12004636B2 (en)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a frame
WO2017126702A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JP3243537U (ja) 複合式レジャー用クランプ装置
WO2024082351A1 (zh) 一种快捷收搭的吊床支架
KR200346982Y1 (ko) 배드민턴 네트 설치용 조립식 지주기구
KR200361198Y1 (ko) 야외용 절첩 침대
KR940006948Y1 (ko) 절첩식 대형 천막 골재
RU2493758C1 (ru) Зонт пляжный &#34;комфорт&#34;
TWM530104U (zh) 吊掛架結構改良
KR200342576Y1 (ko) 다용도 방충장
KR200354113Y1 (ko) 비상탈출 기능이 부가된 베란다용 화분대
KR20230001695U (ko) 텐트
TWM654153U (zh) 直立升降晾衣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