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850B1 -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 Google Patents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50B1
KR102008850B1 KR1020170096683A KR20170096683A KR102008850B1 KR 102008850 B1 KR102008850 B1 KR 102008850B1 KR 1020170096683 A KR1020170096683 A KR 1020170096683A KR 20170096683 A KR20170096683 A KR 20170096683A KR 102008850 B1 KR102008850 B1 KR 10200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mpet
sensor
duct
wedge plate
anchor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932A (ko
Inventor
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096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가 개시되며,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는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어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는 후방 트럼펫,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전방 트럼펫,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방 트럼펫과 상기 전방 트럼펫 사이에 개재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트럼펫 및 상기 전방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SMART DEVICE FOR ANCHORING/MEASURING POST-TENSIONNIG TENDON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INCLUDING THE SAME}
본원은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에 관한 것이다.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는 콘크리트 거더에 초기 압축응력을 도입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PSC거더는 철근 콘크리트 보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압축응력을 PT텐던(또는, 강연선)을 통해 도입하여 둔 구조체이다.
PSC 거더 또는 빔(Beam)에서 PT텐던의 긴장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PSC거더의 노후화, 공용 연한과 하중이력, 콘크리트 균열(creep)과 건조수축, PT 텐던의 릴렉세이션(relaxation), 정착부의 손상, 온도 변화 또는 PT 텐던 자체의 국부 손상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설계 긴장력과 실제 긴장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처짐이나 균열이 증가할 수 있고, 구조물의 성능 저하 또는 심각한 안전도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PT텐던의 장력은 최초 설치(도입)시에는 로드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시공완료 후에는 PT 텐던이 PSC거더 내부에 매립되므로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PT텐던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6436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508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SC거더에 매립된 강연선의 장력을 시공 완료 후에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에 의한 장력 측정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는,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어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는 후방 트럼펫,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전방 트럼펫,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방 트럼펫과 상기 전방 트럼펫 사이에 개재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트럼펫 및 상기 전방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트럼펫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트럼펫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 트럼펫과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후단에는 상기 후방 트럼펫과 나사 결합되도록 후단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는,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어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그 후단이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고 그 전단이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트럼펫에 체결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되,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주면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주면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체결 홈의 암수 결합에 의해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코일이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 홈은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확장 구비되어 상기 EM센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체결 홈의 체결은 상기 EM센서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테이퍼 형성 부분에 일부 끼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는,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어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그 후단이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고 그 전단이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트럼펫에 체결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상기 EM센서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EM센서의 전방에 상기 트럼펫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제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EM센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테이퍼 형성 부분에 일부 끼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럼펫의 전방 부분과 상기 제한 커버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4 측면에 따른 PSC거더는 본원의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금속 재질인 트럼펫(trumpet)에 EM센서가 구비되어 PSC거더에 매립된 강연선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왯지 플레이트, 앵커 캐스팅 및 덕트로부터 EM센서를 이격시킴으로써 금속재질에 의한 간섭으로 인한 장력 측정시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에 적용되는 EM센서를 예시적으로 개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3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정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9시 방향이 후방일 수 있다. 다만, 본원의 방향 설정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방이 다른 방향(예를 들면 비스듬히 다소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는 왯지 플레이트(100)(Wedge Plate), 앵커 캐스팅(200)(Anchor Casting) 및 트럼펫부(300)(Trumpet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왯지 플레이트(100)에는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왯지 안착 홀은 왯지 플레이트(100)를 전후 방향으로 통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왯지 안착 홀을 통해 복수의 강연선 각각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강연선 각각의 후단에는 상기 왯지가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안착 홀은 강연선에 결합된 왯지가 소정의 쐐기 결합에 의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e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연선(strand)은 왯지에 의해 왯지 플레이트(100)에 각각 고정되어 사전 긴장(pre-stressing)에 의한 긴장력을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로 전달할 수 있다.
앵커 캐스팅(200)은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왯지 플레이트(100)와 전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앵커 캐스팅(200) 내부에는 복수의 강연선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그라우트(Grout) 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그라우트 포트(Grout Port)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왯지 플레이트(100), 복수의 강연선, 그에 결합되는 왯지, 앵커 캐스팅(200), 그라우트 포트 등의 구성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럼펫부(300)는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앵커 캐스팅(200)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럼펫부(30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콘크리트와의 결합시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주름진(corrugated) 형태일 수 있다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와의 연결은 공지된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트럼펫부(300)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된 예를 도시하고, 도 2b는 트럼펫부(300)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트럼펫부(300)는 후방 트럼펫(310), EM센서(320) 및 전방 트럼펫(33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트럼펫(310)은 앵커 캐스팅(2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트럼펫(330)은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트럼펫부(300) 후방(9시 방향)의 앵커 캐스팅(200) 및 트럼펫부(300) 전방(3시 방향)의 덕트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이러한 구성들 간 연결 관계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 트럼펫(310) 및 전방 트럼펫(330)은 비금속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트럼펫(310) 및 전방 트럼펫(33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왯지 플레이트(100),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왯지 플레이트(100),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는 전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과 비금속이 혼재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EM센서(320)는 복수의 강연선을 둘러싸도록 후방 트럼펫(310)과 전방 트럼펫(3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트럼펫(310)의 후방으로는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이 배치되고, 전방 트럼펫(330)의 전방으로는 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왯지 플레이트(100),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므로, EM센서(320)와 같은 전자기 센서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즉, EM센서(320)는 강자성체를 자화시켜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 이외 주변에 금속체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자기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장력 측정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비금속 재질인 후방 트럼펫(310) 및 전방 트럼펫(330) 사이에 EM센서(320)가 개재됨으로써,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구성들(왯지 플레이트(100),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에 의한 간섭이 차단(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후방 트럼펫(310) 및 전방 트럼펫(330)은 왯지 플레이트(100) 앵커 캐스팅(200) 및 덕트에 의한 간섭을 차단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후방 트럼펫(310)은,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을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트럼펫(330)은,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라 함은, 장력 측정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오차가 아니라, 부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오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범위는 장력 측정 결과값을 활용할 수 있는 오차 허용값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에 적용되는 EM센서를 예시적으로 개략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M센서(320)는 외주면에 1차 코일(322) 및 2차 코일(323)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2차 코일(323)이 먼저 원통형 실린더(321)에 감긴 이후, 1차 코일(322)이 감길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322)은 2차 코일(323)보다 감기는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실린더(321)에는 1차 코일(322) 및 2차 코일(323)이 각각 감기도록 함몰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코일(323)이 감기는 함몰 영역과 1차 코일(322)이 감기는 함몰 영역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실린더(321)의 바깥쪽에는 1차 코일(322)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1차 코일(322)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32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차 코일(322)은 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자기 유도원리에 의해 2차 코일(323)에 유도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전압에서 상대투자율(Relative Magnetic Permeability)을 계산하면, 강연선과 같은 강자성 재료의 투자율이 온도와 응력의 함수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강연선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후방 트럼펫(310)의 전단에는 EM센서(32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트럼펫(330)의 후단에는 EM센서(32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331)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실린더(321)의 전단에는 전방 트럼펫(330)과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실린더(321)의 후단에는 후방 트럼펫(310)과 나사 결합되도록 후단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EM센서(320)는 후방으로는 후방 트럼펫(310)과 나사결합되고, 전방으로는 전방 트럼펫(330)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트럼펫(310)과 전방 트럼펫(3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트럼펫(310) 및 전방 트럼펫(3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EM센서(320)를 앵커 캐스팅(200)과 덕트로부터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됨으로써, EM센서(320)에 작용하는 앵커 캐스팅(200)과 덕트에 의한 간섭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EM센서(340)가 트럼펫부에 구비됨으로써,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가 PSC거더 내부에 매립 설치된 이후에도, EM센서(340)에 의해 강연재의 장력의 상태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2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c는 트럼펫(340)에 EM센서(320)가 체결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 및 도 4d는 트럼펫(340)에 EM센서(3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트럼펫부(300)는 트럼펫(340) 및 EM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럼펫(340)은 그 후단이 앵커 캐스팅(200)과 연결되고, 그 전단이 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EM센서(320)는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트럼펫(340)에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은 EM센서(320)의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EM센서(320)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렘펫(340)의 중간 부분은 일정한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럼펫(340)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금속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EM센서(320)와 트럼펫(340)의 체결에 대해 설명하면, EM센서(320)의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 및 상기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 및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원통형 실린더(321)에 체결 돌기(324)가 형성되고, 트럼펫(340)의 외주면에 체결홈(34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실린더(321)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트럼펫(340)의 외주면에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EM센서(320)는 체결 돌기(324)와 체결 홈(341)의 암수 결합에 의해 원통형 실린더(321)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센서(320)의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에 체결 돌기(324)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 돌기(324)는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홈과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EM센서(320)가 트럼펫(340)의 전방(3시 방향)으로부터 후방(9시 방향)으로 인입될 때 체결 돌기는 체결 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과 압력 접촉(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상기 체결 돌기는 EM센서(320)의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 홈과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EM센서(320)의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4a를 참조하면, 체결 홈(341)은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 측(중간 부분 중에서 전방 부분에 가까운 전방 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돌기(324)는 원통형 실린더(32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EM센서(320)는 트럼펫(340)의 전방(3시 방향)으로부터 후방(9시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트럼펫(340)에서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EM센서(3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확장 구비되어 EM센서(32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돌기(324)와 체결 홈(341)의 체결은 EM센서(320)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EM센서(320)가 트럼펫(340)의 전방으로부터 인입되어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까지 이동된 다음에는 확장된 후방 부분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체결 돌기(324) 및 체결 홈(341)의 체결에 의해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EM센서(320)는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강연선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구조에 의하면, EM센서(320)의 설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트럼펫(340)의 후방 부분은 EM센서(320)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EM센서(320)는 테이퍼 형성 부분에 일부 끼움 배치될 수 있다. 즉, EM센서(320)는 점차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성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쐐기 결합 또는 소정의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EM센서(320)와 접촉되는 후방 부분의 전단은 EM센서(32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앞쪽 부분과 EM센서(320)의 후단 내경보다 외경이 커지는 뒤쪽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EM센서(320)에 상기 앞쪽 부분은 진입(삽입)될 수 있지만, 상기 뒤쪽 부분은 EM센서(320)의 후단 내경보다 외경이 크기 때문에 EM센서(320) 내측으로의 진입(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 이같이 트럼펫(340)의 후방 부분의 전단의 뒤쪽 부분이 제한 턱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뒤쪽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차지게 불연속적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EM센서(320)이 상기 뒤쪽 부분에 걸려 후방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조금 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쐐기 결합 또는 억지 끼움에 의한 마찰 결합이 이루어져 보다 높은 결속력(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4a를 참께 참조하면, 체결 돌기(324)는 2차 코일(323)의 전방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324)는 트럼펫(340)의 중간부분에 구비된 체결 홈(341)과 암수결합되어 EM센서(320)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c를 참조하면, EM센서(320)에 2개의 체결 돌기(324, 325)가 구비되고,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에 2개의 체결 홈(341)(342)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과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하나의 체결 돌기(324)는 2차 코일(323)의 전방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체결 돌기(325)는 2차 코일(323)의 후방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체결홈(341)은 상기 하나의 체결 돌기(324)에 대응하여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체결 돌기(325)에 대응하여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EM센서(320)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이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전단 및 후단 각각과 암수 결합됨에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 제한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트럼펫(340)에서,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을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트럼펫(340)에서,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덕트를 상기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라 함은, 장력 측정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오차가 아니라, 부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오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범위는 장력 측정 결과값을 활용할 수 있는 오차 허용값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3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의 트럼펫부의 제3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트럼펫(340)에 EM센서(320)가 체결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트럼펫(340)에 EM센서(3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트럼펫부(300)는 EM센서(32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EM센서의 전방에 트럼펫(340)을 둘러싸는 형태로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한 커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커버(350)는 EM센서(320)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EM센서(32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트럼펫(340)의 후방 부분은 EM센서(32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부분은 EM센서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테이퍼 형성 부분에 끼움 배치되는 EM센서(320)는 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EM센서(3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럼펫(34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트럼펫(340)에서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왯지 플레이트(100) 및 앵커 캐스팅(200)을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트럼펫(340)에서,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EM센서(320)의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덕트를 상기 EM센서(320)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라 함은, 장력 측정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오차가 아니라, 부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오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범위는 장력 측정 결과값을 활용할 수 있는 오차 허용값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트럼펫(340)의 전방 부분과 제한 커버(35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럼펫의 전방 부분에는 나사선(343)이 형성될 수 있고, 제한 커버(350)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EM센서(3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한 커버(350)가 트럼펫(340)의 전방 부분에 결합됨으로써, EM센서(320)는 트럼펫(340)의 중간부분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고, 중간부분에서 강연선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은 상술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트럼펫부의 다양한 구현예를 포함하는 PSC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 PSC 거더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왯지 플레이트
200: 앵커 캐스팅
300: 트럼펫부
310: 후방 트럼펫
311, 331, 343: 나사선
320: EM 센서
321: 원통형 실린더
322: 1차 코일
323: 2차 코일
324, 325: 체결 돌기
330: 전방 트럼펫
340: 트럼펫
341, 342: 체결홈
350: 제한커버

Claims (13)

  1.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는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는 후방 트럼펫,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전방 트럼펫,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방 트럼펫과 상기 전방 트럼펫 사이에 개재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트럼펫 및 상기 전방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 및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 트럼펫과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후단에는 상기 후방 트럼펫과 나사 결합되도록 후단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4. 제1항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PSC 거더.
  5.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는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그 후단이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고 그 전단이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트럼펫에 체결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 및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되,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주면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주면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체결 홈의 암수 결합에 의해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확장 구비되어 상기 EM센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체결 돌기와 상기 체결 홈의 체결은 상기 EM센서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테이퍼 형성 부분에 일부 끼움 배치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9. 제5항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PSC 거더
  10.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사용되는 PT(Post-Tensionning)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강연선 각각에 결합된 왯지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왯지 안착 홀이 형성된 왯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와 전방으로 연결되는 앵커 캐스팅; 및
    상기 복수의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앵커 캐스팅과 전방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그 후단이 상기 앵커 캐스팅과 연결되고 그 전단이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트럼펫 및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트럼펫에 체결되는 EM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EM센서는 외주면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은 비금속 재질이고,
    상기 왯지 플레이트, 상기 앵커 캐스팅 및 덕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되,
    상기 트럼펫부는, 상기 EM센서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EM센서의 전방에 상기 트럼펫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트럼펫의 중간 부분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제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EM센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부분은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왯지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 캐스팅을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트럼펫에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 부분은, 상기 덕트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EM센서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장력 측정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덕트를 상기 EM센서로부터 이격시키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분은 상기 EM센서와 접촉되는 전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EM센서는 상기 테이퍼 형성 부분에 일부 끼움 배치되는 것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13. 제10항에 따른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PSC 거더.
KR1020170096683A 2017-07-31 2017-07-31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KR10200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83A KR102008850B1 (ko) 2017-07-31 2017-07-31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83A KR102008850B1 (ko) 2017-07-31 2017-07-31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32A KR20190012932A (ko) 2019-02-11
KR102008850B1 true KR102008850B1 (ko) 2019-08-08

Family

ID=6537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83A KR102008850B1 (ko) 2017-07-31 2017-07-31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30B1 (ko) * 2019-08-12 2019-12-05 김재기 광학 기구용 마운트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00A (ja) * 2000-05-15 2001-11-22 Sumitomo Electric Ind Ltd Pcケーブルの定着装置
JP2004092167A (ja) * 2002-08-30 2004-03-25 Kogen Kizai Kk シース管及びシース管製造方法
JP2011132773A (ja) * 2009-12-25 2011-07-07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継手構造
KR101676597B1 (ko) * 2015-07-03 2016-11-16 (주)성환이앤씨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00A (ja) * 2000-05-15 2001-11-22 Sumitomo Electric Ind Ltd Pcケーブルの定着装置
JP2004092167A (ja) * 2002-08-30 2004-03-25 Kogen Kizai Kk シース管及びシース管製造方法
JP2011132773A (ja) * 2009-12-25 2011-07-07 Fuji Bolt Seisakusho:Kk 鉄筋の継手構造
KR101676597B1 (ko) * 2015-07-03 2016-11-16 (주)성환이앤씨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3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8396B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FI78760B (fi) Mellanfoerankringsanordning foer foerspaenning av i flere byggnadsskeden framstaellda byggnadsdelar och et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saodan mellanfoerankringsanordning.
JP6873230B2 (ja) シール要素を備えたケーブル定着具、そのようなケーブル定着具を含むプレストレスシステム、及びシースを持つ細長要素を設置し緊張力を与えるための方法
KR101676597B1 (ko)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08850B1 (ko)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US10113313B2 (en) Sheathing retention capsule
CN102782232A (zh) 用于相等地张紧多条绞线的方法及系统
KR101552793B1 (ko)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KR101912855B1 (ko) 인공신경망 및 빅데이터 기반 psc 거더의 ps 텐던 긴장력 손실 진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73881A (ko) 분포형 광섬유센서-기반 스마트 정착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강연선의 긴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6731B1 (ko) 프리텐션 거더 및 상기 프리텐션 거더의 시공 방법
KR101546213B1 (ko) 긴장력 계측 시험체 및 그 계측 방법
KR20100069866A (ko) 강합성 거더
CN109343591A (zh) 基于智能钢绞线的后张预应力张拉精细化控制装置及方法
KR20070039705A (ko) 강선을 이용한 앵커의 축력측정용 모노로드셀 및 그앵커구조
CA2970576C (en) A rei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structure with a tendon
US9315998B1 (en) Cable lock-off block for repairing a plurality of post-tensioned tendons
KR101654500B1 (ko) Psc 거더 정착구-쉬스관 연결형 em 센서
KR101546844B1 (ko) 케이블의 정착장치
KR101052233B1 (ko) 케이블 인장장치
KR10167504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개구재형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과 그 제작 및 시공방법.
CN211772758U (zh) 锚固装置及具有其的桥梁
KR10224198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KR102045121B1 (ko)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
DK2594700T3 (en) Construction cable and method for anchoring such a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