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793B1 -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 Google Patents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793B1
KR101552793B1 KR1020140045405A KR20140045405A KR101552793B1 KR 101552793 B1 KR101552793 B1 KR 101552793B1 KR 1020140045405 A KR1020140045405 A KR 1020140045405A KR 20140045405 A KR20140045405 A KR 20140045405A KR 101552793 B1 KR101552793 B1 KR 10155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c
coil
steel
sign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희
김준경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793B1/ko
Priority to US14/688,204 priority patent/US201503009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5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profiled to ensure the anchorage, e.g. when provided with screw-thread, bulges, corrug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2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9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using electromagnetic excita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C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PSC 거더에 관한 발명으로 PSC 거더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된 PS 강재의 상태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에 있어서, PS 강재가 관통하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정착판; 상기 정착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PS 강재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함몰형성된 상기 PSC 거더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외면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 코일 외측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자화부를 포함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형성된 유도자기장으로부터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PSC Anchorage For Monitoring A Status Change of PS Steel Member and PSC Gird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PS 강재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에 관한 것이다.
거더는 교량의 상부구조에서 차량의 하중을 직접 받는 바닥판 아래에 위치하여 상부하중을 지지하고 교대나 교각의 하부구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더는 압축력은 크지만 인장력이 작아 휨응력에 약한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한 압축응력을 미리 도입하는 PSC(Pre-Stressed Concrete)거더가 사용된다.
PSC거더는 주어진 하중에 의해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와 분포를 계산하고 내부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켜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공용 연한과 하중이력, 콘크리트 크리프와 건조수축, PS 강재의 릴렉세이션, 정착부의 손상, 온도 변화, 또는 PS 강재 자체의 국부 손상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설계 긴장력과 실제 긴장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처짐이나 균열이 증가하여 구조물의 성능 저하 또는 심각한 안전도 저하가 야기된다.
따라서 PSC 거더 내부에 삽입된 PS 강재의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허 제10-1144937호 역시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발명으로서 PSC거더의 일측에 노출된 PS 강재를 타격하고 타측에서 타격에 의해 가해지는 힘과 그에 의한 종진동 주파수를 측정하여 긴장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 교량 시공 등에 사용된 PSC거더는 분리할 수 없고, PSC거더 일측으로 노출된 PS 강재 역시 실제 교량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마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방법을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10-1144937호 "종진동 특성을 이용한 부착식 텐던의 긴장력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PSC 거더 내부에 삽입된 PS 강재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S 강재의 부식률 및 긴장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는 PSC 거더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된 PS 강재의 상태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에 있어서, PS 강재가 관통하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정착판; 상기 정착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PS 강재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함몰형성된 상기 PSC 거더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외면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 코일 외측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자화부를 포함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형성된 유도자기장으로부터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화부는 상기 PS 강재를 자화시키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자화부 및 상기 PS 강재에 의한 TF(Total Flux)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화부는 제1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 라인을 포함하며,상기 측정부는 제2 코일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자화부는 상기 돌출부에 감겨진 제1 코일과 제1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돌출부에 감겨진 제2 코일과 제2 코일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PS 강재가 관통하는 돌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돌출관에 권선되어 있다.
또한 돌출관은 이중 또는 삼중관 구조일 수 있으며,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 돌출관에는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있고, 제1 돌출관을 감싸는 제2 돌출관에는 제1 코일이 권선된다.
제1 돌출관의 내경은 상기 PS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의 직경에 대응하며, 제2 돌출관은 상기 정착판 또는 제1 돌출관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관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인가 라인에는 자화를 위한 교류전류가 인가되며, TF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착판에는 상기 신호 인가 라인 및 상기 신호 출력 라인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는 내부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켜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PSC 거더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PS 강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PSC 정착구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PS 강재를 자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인가 라인과 상기 PS 강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측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이 상기 PSC 정착구로부터 상기 PSC 거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PSC 정착구가 설치되는 상기 일측에는 쉬스관 주변으로 상기 PSC 정착구의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PSC거더가 블록아웃 PSC 거더인 경우 PSC 정착구는 블록아웃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SC 거더 내부에 삽입된 PS 강재의 부식률, 긴장력 변화 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PSC 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PSC 거더에 설치된 PSC 정착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SC 정착구를 PSC 거더에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블록아웃 PSC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센싱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우선, 도 1에 일반적인 PSC 거더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PSC 거더(1)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쉬스관(2)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고 쉬스관 내부에 PS 강재를 삽입하고 이를 긴장한 후 PSC 거더 단부에 PS 강재를 정착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PSC 거더에 도입되도록 한다.
PS 강재는 쉬스관을 통해 PSC 거더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관통되며, 긴장(Pre-Stressed)된 후 PS 강재의 양쪽 단부는 PSC 거더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정착구에 각각 고정된다.
도 2에 PSC 거더의 일측에 위치한 정착구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정착구는 PS 강재(3)가 관통하는 홀을 갖는 정착판(4)과 PS 강재와 체결되어 정착판에 PS 강재를 고정시키는 쐐기(5)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고정된 PS 강재는 처음에는 PSC 거더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계산된 설계 긴장력을 갖도록 설치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긴장력이 달라지게되며, 부식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PSC 거더(1)가 설치된 이후에는 내부에 설치된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PS 강재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구성을 PSC 정착구에 구비함으로써 PSC 거더가 설치된 이후에도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10)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는 정착판, 돌출부 및 계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는 PS 강재의 상태 정보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상태 정보를 통해 설치된 PS 강재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의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PSC 정착구는 PS 강재를 자화시키고 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계측하여 PS 강재의 상태를 판단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C 정착구(100)는 정착판(10), 돌출부(20), 및 계측부(구체적으로 자화부(30) 및 측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착판(10)은 쐐기(미도시) 등과 함께 PS 강재를 PSC 거더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PS 강재가 관통되는 중심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0)는 정착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정착판과 마찬가지로 PS 강재가 돌출부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부(2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는 정착판(10)의 중심홀(11) 주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정착판의 중심홀(11)과 돌출부의 관통부(21)가 연속되도록 형성한다.
자화부(30)는 정착구(100)를 관통하는 PS강재를 자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상기 돌출부(20)에 형성한다.
측정부(40)는 상기 자화부와 PS 강재에 의한 TF(Total Flux)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TF를 측정하기 위해 자화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20)에 형성한다.
측정부로 TF를 측정하면, 계측된 TF를 자기 이력 곡선(B-H Loop)으로 변환하고 이를 해석하여 투자력(Permeability) 및 영의 계수 등과 같은 자기 특성을 추출한 후 회귀분석 및 패턴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부식에 의한 PS강재의 단면적 손실을 산출하여 PS강재의 부식률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긴장력 상태의 투자율과의 상대투자율 변화를 계측하여 PS 강재의 긴장력 손실량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100)는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PS강재를 자화시키는 자화부(30)와 이에 의한 TF를 측정하는 측정부(40)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측정된 TF값을 이용하여 PS 강재의 장력 및/또는 부식률을 계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를 정착판(1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관 형태로 형성하고, 자화부(30) 및 측정부(40)를 돌출관에 감겨진 코일과 신호라인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출부(20)는 PS 강재가 관통하는 돌출관의 형태로 구현되며, 그 내경은 PSC 거더의 쉬스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쉬스관의 외경에 대응하게 즉, 쉬스관의 외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한다.
상기 자화부(30)는 돌출관에 감겨진 제1 코일(31)과 제1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 라인(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측정부(40)는 돌출관에 감겨진 제2 코일(41)과 제2 코일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인가 라인(32)에는 돌출부(20)를 관통하는 PS 강재를 자화시키기 위해 교류 전류가 제공되며, 돌출부에 감겨진 제1 코일(31)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 유도법칙에 따라 유도 자기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유도 자기장 및 PS 강재에 의한 TF(Total Flux)는 제2 코일(41)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신호는 신호 출력 라인(42)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코일에는 유도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유도 자기장에 따른 TF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돌출부(20)에 감겨진 부분을 코일이라 하고, 이에 연결되어 코일에 신호를 제공하거나 코일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을 신호라인이라 명명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코일과 신호라인이 서로 구분없이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하나의 전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에 제공되는 교류신호는 외부에서 제공되므로 유도자기장이 강하게 발생하도록 그 신호를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은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고 PS강재에 의한 영향을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코일보다는 제2 코일이 PS 강재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하기 위한 1차 코일이 더 많이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인가 라인(32)과 신호 출력 라인(42)은 외부로부터 코일로 신호를 공급하거나 코일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해야하므로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판(10)에는 신호 인가 라인(32)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2)과 신호 출력 라인(42)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신호 인가 라인(32)이 관통하는 관통홀(12)과 신호 출력 라인(42)이 관통하는 관통홀(13)을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신호 인가 라인과 신호 출력 라인이 정착판(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관통홀을 형성하기 않고 정착구(100)와 PSC 거더(20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외부와 코일(31, 32)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관을 이중 또는 삼중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 구조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 돌출관(22)은 그 내부에 쉬스관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쉬스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돌출관(22)에 제2 코일을 권선하고, 제1 돌출관을 감싸는 제2 돌출관(23)에 제1 코일을 권선한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 역할을 하는 제3 돌출관을 형성하여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 역할을 하도록 3중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관은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절연하기 위해 아크릴 또는 페놀노르말린수지 등의 절연체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관(22)은 정착판(1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지만 제2 돌출관(23)과 제3 돌출관(24)은 정착판(10) 및/또는 제1 돌출관(22)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1 돌출관(22)에 제2 코일을 감은 후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돌출관(23)을 그 외부에 결합시키고, 삼중관으로 형성할 경우 제2 돌출관에 감겨진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3 돌출관(24)을 정착판(10) 및/또는 제2 돌출관과 결합시켜 내부에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권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100)를 완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100)는 종래 일반적인 정착구와 마찬가지로 PS 강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PSC 거더(2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는 정착판(1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 거더에 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 거더가 일부분이 블록아웃된 블록아웃 PSC 거더라면, 블록아웃된 부분(20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구(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시, 자화부(30)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인가 라인과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 라인은 PSC 거더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신호 인가 라인과 신호 출력 라인은 PSC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와 같은 최종 시공물의 표면 밖으로 노출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신호 인가 라인과 신호 출력 라인이 최종 시공물 표면 밖으로 노출되면, 시공물 내부에 설치된 PS 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신호 인가 라인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고 이에 따른 신호 출력 라인의 출력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와 정착구를 포함하는 PSC 거더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정착판 11: 중심홀
20: 돌출부 21: 관통부
22: 제1 돌출관 23: 제2 돌출관
24: 제3 돌출관 30: 자화부
31: 제1 코일 32: 신호 인가 라인
40: 측정부 41: 제2 코일
42: 신호 출력 라인 100: 정착구
200: PSC 거더 202: 공간부

Claims (14)

  1. PSC 거더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된 PS 강재의 상태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에 있어서,
    PS 강재가 관통하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는 정착판;
    상기 정착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PS 강재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함몰형성된 상기 PSC 거더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외면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 코일 외측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자화부를 포함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형성된 유도자기장으로부터 PS 강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C 정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는 상기 PS 강재를 자화시키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자화부 및 상기 PS 강재에 의한 TF(Total Flux)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C 정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는 제1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제2 코일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을 포함하는 PSC 정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PS 강재가 관통하는 돌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돌출관에 권선되어 있는 PSC 정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은 이중 또는 삼중관 구조이며,
    가장 내부에 위치한 제1 돌출관에는 상기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있고,
    상기 제1 돌출관을 감싸는 제2 돌출관에는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PSC 정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관의 내경은 상기 PS강재가 삽입되는 쉬스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PSC 정착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관은 상기 정착판 또는 제1 돌출관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PSC 정착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은 절연체로 형성되는 PSC 정착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인가 라인에는 자화를 위한 교류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TF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PSC 정착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에는 상기 신호 인가 라인 및 상기 신호 출력 라인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PSC 정착구.
  11. 내부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켜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쇄할 수 있는 PSC 거더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PSC 정착구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PS 강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PSC 정착구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PSC 거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S 강재를 자화시키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인가 라인과 상기 PS 강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측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 라인이 상기 PSC 정착구로부터 상기 PSC 거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PSC 거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SC 정착구가 설치되는 상기 일측에는 쉬스관 주변으로 상기 PSC 정착구의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PSC 거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SC거더는 블록아웃 PSC 거더이며, 상기 PSC 정착구는 블록아웃된 부분에 위치하는 PSC 거더.
KR1020140045405A 2014-04-16 2014-04-16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KR10155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05A KR101552793B1 (ko) 2014-04-16 2014-04-16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US14/688,204 US20150300988A1 (en) 2014-04-16 2015-04-16 Psc anchorage for monitoring a status change of ps steel member and psc gird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05A KR101552793B1 (ko) 2014-04-16 2014-04-16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793B1 true KR101552793B1 (ko) 2015-09-14

Family

ID=5424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405A KR101552793B1 (ko) 2014-04-16 2014-04-16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300988A1 (ko)
KR (1) KR1015527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83A (ko) * 2018-03-12 2019-09-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시스템
KR20200120846A (ko) * 2019-04-12 2020-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일체형 긴장력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앵커헤드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긴장력 측정 및 진단 방법
KR20210034138A (ko) * 2019-09-19 2021-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케이블 정착구 강연선 잔여길이·이탈 감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484B1 (en) * 2017-08-25 2023-04-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2924273A (zh) * 2021-01-28 2021-06-08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可重复利用的新型肋式锚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97B1 (ko) * 2007-04-20 2008-09-11 (주)삼현피에프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4674A (en) * 1952-06-16 1957-09-03 Long Construction Company Double head reinforcing rod for pre-stress concrete
US3263384A (en) * 1960-01-21 1966-08-02 Prescon Corp Apparatus for post-tensioning concrete prestressing members
DE10102577C1 (de) * 2001-01-20 2002-06-20 Univ Braunschweig Tech Verfahren zur Zustandserkennung von elektrisch leitfähigen länglichen Spannglied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97B1 (ko) * 2007-04-20 2008-09-11 (주)삼현피에프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83A (ko) * 2018-03-12 2019-09-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시스템
KR102272116B1 (ko) * 2018-03-12 2021-07-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시스템
KR20200120846A (ko) * 2019-04-12 2020-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일체형 긴장력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앵커헤드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긴장력 측정 및 진단 방법
KR102225514B1 (ko) * 2019-04-12 2021-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일체형 긴장력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앵커헤드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긴장력 측정 및 진단 방법
KR20210034138A (ko) * 2019-09-19 2021-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케이블 정착구 강연선 잔여길이·이탈 감시 장치
KR102316394B1 (ko) * 2019-09-19 2021-10-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케이블 정착구 강연선 잔여길이·이탈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0988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93B1 (ko) Ps 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 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KR101676597B1 (ko)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10106983B2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US9103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qually tensioning multiple strands
KR102323526B1 (ko) 분포형 광섬유센서-기반 스마트 정착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강연선의 긴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TW508396B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KR102225514B1 (ko) 일체형 긴장력 측정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앵커헤드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긴장력 측정 및 진단 방법
CN108489641A (zh) 一种预应力钢绞线应力测量装置及方法
KR101653918B1 (ko)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에 형성된 개별 텐던의 긴장력 측정 장치
Kim et al. Investigation of Applicability of an Embedded EM Sensor to Measure the Tension of a PSC Girder
KR101654500B1 (ko) Psc 거더 정착구-쉬스관 연결형 em 센서
CN105674942A (zh) 混凝土应变计组件及安装方法
JP2012127053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橋梁構造
KR101880234B1 (ko) Ms케이블의 장력측정 매입장치
KR100856734B1 (ko) 현수 시스템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표준 실험 장치
JP2019109164A (ja) 応力モニタリングセンサおよび応力モニタリング方法
KR102272116B1 (ko)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시스템
CN205352586U (zh) 预应力锚索内力的监测与自动测量系统
CN205317195U (zh) 混凝土应变计组件
CN109341923B (zh) 一种体内预应力束的检测结构和应力检测方法
CN107421670B (zh) 一种可长期监测内部钢束应力的预应力管道节段组件及其施工方法
US7279654B2 (en) Current sensor
KR20190012932A (ko) Pt 텐던 정착/계측 스마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psc 거더
KR102316394B1 (ko) 케이블 정착구 강연선 잔여길이·이탈 감시 장치
KR10154680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손실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