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44B1 - 이오나이저 - Google Patents

이오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44B1
KR101047444B1 KR1020090032089A KR20090032089A KR101047444B1 KR 101047444 B1 KR101047444 B1 KR 101047444B1 KR 1020090032089 A KR1020090032089 A KR 1020090032089A KR 20090032089 A KR20090032089 A KR 20090032089A KR 101047444 B1 KR101047444 B1 KR 10104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rol unit
ionizer
conne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768A (ko
Inventor
마사유키 오리하라
타카유키 토시다
아키라 타다노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03C3/383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using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오나이저가, 방전 전극 및 팬을 구비한 팬 유닛과, 인디케이터 및 조정자를 구비한 컨트롤 유닛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양 유닛은, 서로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정(正)의 연결 상태와 서로가 역방향을 향하는 역의 연결 상태로 변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양 유닛을 어느 쪽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양 유닛의 상호 접속되는 세퍼레이트 커넥터 사이에서 동일한 전력 및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당해 세퍼레이트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이 좌우 대칭으로 된다.
방전 전극, 팬 유닛, 인디케이터, 컨트롤 유닛, 세퍼레이션 커넥터

Description

이오나이저{IONIZER}
본 발명은,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팬 타입의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팬 타입의 이오나이저(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53192호 참조)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단일의 케이스 내에,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 발생한 이온을 상기 케이스의 취출구(outlet)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상기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부 및, 당해 고전압 발생부 및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은, 상기 공기류의 취출구를 형성한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자, 상기 고전압 발생부 및 팬의 구동을 위한 외부 전원에 접속됨과 아울러 각종 전기적 신호를 외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각종 배선용 컨트롤 커넥터 등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온을 포함하는 공기의 취출구, 각종 인디케이터, 각종 조정자, 각종 배선용의 컨트롤 커넥터가 케이스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이 이오나이저의 설치 장소의 주변 환경에 따라서는, 그것을 취급하는 작업자의 시선을 인디케이터로 향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 인디케이터의 확인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거나, 각종 조정자의 조작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거나, 컨트롤 커넥터에 대한 배선 접속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온을 포함하는 공기의 취출구의 방향과, 인디케이터나 조정자 등의 방향과의 관계를, 이오나이저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이오나이저의 사용 편이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사용 편이성의 개선을 간단하고 저비용인 수단으로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케이스에,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과, 당해 방전 전극에서 발생한 이온을 반송하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구비한 팬 유닛 및, 제2 케이스에,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와, 당해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자를 구비한 컨트롤 유닛을 갖고 있다.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은, 서로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연결면끼리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양 유닛의 전후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정(正)의 연결 상태와 양 유닛의 전후를 역방향으로 한 역의 연결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과의 연결시에 상호 전기 접속되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고, 이들 세퍼레이트 커넥터는,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을 정의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역의 연결 상태 로 한 경우라도 상호 접속 가능함과 아울러, 양 유닛을 어느 쪽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양 세퍼레이트 커넥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 및 신호가 동일해지도록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이 결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의 세퍼레이트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연결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내부에 수(male)형의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케이스의 연결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당해 볼록부의 내부에 암(female)형의 상기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연결면끼리를 서로 맞닿게 했을 때,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 내에 삽입되어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 및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각각,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각 연결면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상기 컨트롤 유닛이 팬 유닛을 올려놓기 위한 기대(基臺; base)를 겸하고 있고,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과 제2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연결면이 형성되어, 상기 팬 유닛이 상기 컨트롤 유닛 상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당해 컨트롤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상기 컨트롤 유닛의 제2 케이스의 전면 (前面)측에,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배선 및 각종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컨트롤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이오나이저는, 그 설치 장소의 환경 등에 따라서,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을, 양 유닛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신호 배열을 동일하게 한 채로, 정의 연결 상태와 역의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온을 포함하는 공기의 취출구와, 각종 인디케이터나 각종 조정자 등과의 방향의 관계를, 작업 환경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것이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이오나이저에 비하여, 작업자의 시선을 용이하게 인디케이터로 향하게 할 수 있거나, 각종 조정자의 조작도 행하기 쉬워지는 등, 이오나이저의 사용 편이성이 개선된다. 게다가, 그 사용 편이성의 개선을 간단하고도 저렴한 수단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오나이저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이오나이저는,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략적으로는, 상기 팬 유닛(1)은, 사각 상자형을 한 제1 케이스(10) 내에, 고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하는 복수의 방전 전극(12)과, 발생한 이온을 상기 제1 케이스(10)의 취출구(11)로부터 송출시키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팬(13)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 유닛(2)은, 사각 상자형을 한 제2 케이스(20) 내에, 상기 고전압 발생부(도시 생략) 및 팬(13)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당해 제2 케이스(20)의 표면에 후술의 인디케이터(21) 등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고전압 발생부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및 상기 팬(13)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는, 팬 유닛(1)에 있어서의 제1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컨트롤 유닛(2)에 있어서의 제2 케이스(20)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 내에 상기 방전 전극(12) 및 팬(13) 등을 구비한 상기 팬 유닛(1)(도 3 참조)과, 상기 제2 케이스(20) 내에 상기 제어부 등을 구비한 상기 컨트롤 유닛(2)(도 4∼도 6)과는, 서로 별체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팬 유닛(1)은, 도 1∼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의 전면(前面; 10a)측으로 개구하는 공기류의 취출구(11)에 핑거 가드(11a)를 갖고, 이 제1 케이스(10)의 배면(10b)측에 형성한 공기의 흡입구(14)에도 동일하게 핑거 가드(14a)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의 전면(前面) 상부에는, 상기 방전 전극(12)을 유지하는 카트리지(15)에 형성된 손가락 걸기부(15a)가 노출되어 있다. 이 손가락 걸기부(15a)는, 상기 카트리지(15)를 제1 케이스(10)에 착탈할 때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하면의 연결면(16)에는, 오목부(16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6a)의 내부에, 수형을 한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는, 상기 연결면(16)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 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스(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는, 기판의 양면에 복수의 접속 단자(17a)를 부착한 것으로, 이들 접속 단자(17a)가, 상기 방전 전극(12)이나 팬(13) 혹은 고전압 발생부 등에 도시하지 않은 신호 송수신용 회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가, 제2 케이스(20)의 연결면(36)에 형성된 암형의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도 4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에 전기 접속되어, 양 유닛(1 및 2) 사이에서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 유닛(2)은, 도 1,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측에, 이오나이저의 각종 동작 상태, 예를 들면, 전원 표시, 방전 표시, 팬(13)의 이상 표시, 방전 전극(12)의 오염 상태의 표시, 정부(正負)의 이온의 밸런스 상태의 표시, 각종 이상(異常)의 표시를 행하는 인디케이터(21) 및,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 예를 들면, 팬(13)의 풍량 등의 조정을 하는 조정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정자로서,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풍량 조정용 로터리 스위치(22), 전원 스위치(23) 등을 형성하고 있지만, 그 외의 각종 조정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측에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 및 팬(13)의 구동을 위한 외부 전원에 접속됨과 아울러, 각종 전기적 신호를 외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배선용 컨트롤 커넥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측에는, 외부 센서 접속용의 모듈러 커넥터(25), FG 단자(26), AC 어댑터 접속용의 DC 잭(27)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측이란, 본래의 제2 케이스(20)의 전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측에서 상기 조정자 등을 조작하거나, 혹은, 전면측에서 용이하게 시인(visibility)할 수 있는 전면의 근처로서, 전면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범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기 컨트롤 유닛(2)의 제2 케이스(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유닛(1)을 올려놓기 위한 기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제2 케이스(20)의 전후 폭은 제1 케이스(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2 케이스(20)의 상면에 연결면(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면(36)에 상기 제1 케이스(10)의 하면의 연결면(16)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팬 유닛(1)이 이 컨트롤 유닛(2) 상에 올려놓여진다.
그러나, 상기 제2 케이스(20)의 전후 폭은, 제1 케이스(10)의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아도 상관없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제1 케이스(10)의 좌우 방향 폭과 제2 케이스(20)의 좌우 방향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케이스(10)의 좌우 방향 폭은, 제2 케이스(20)의 좌우 방향 폭보다 커도 상관없고 작아도 상관없다.
상기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와는, 상기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을 전후 동일한 방향으로 한 정의 연결 상태와, 양 유닛(1 및 2)을 전후 역방향으로 한 역의 연결 상태의, 어느 쪽 상태라도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의 연결 상태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의 전 면(10a)과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 연결 상태이고, 역의 연결 상태란, 제1 케이스(10)의 전면(10a)과 제2 케이스(20)의 전면(20a)을 서로 역방향으로 향하게 한 연결 상태, 바꿔 말하면, 제1 케이스(10)의 전면(10a)과 제2 케이스(20)의 배면(20b)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 연결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에 형성된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와 제2 케이스(20)에 형성된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도,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을 정의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역의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상호 접속 가능하며, 어느 쪽 연결 상태에 있어서도 이들 세퍼레이트 커넥터(17과 37)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 및 신호가 동일해지도록, 양 세퍼레이트 커넥터(17, 37)의 접속 단자(17a, 37a)에 있어서의 전력·신호 배열이 결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의 연결면(36)에 형성된 볼록부(36a)의 내부의, 당해 연결면(36)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2 케이스(20)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재하는 접속구(37b)를 갖고, 이 접속구(37b) 내에,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가 상방으로부터 꽂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36a)는, 제2 케이스(20)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어,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과의 연결시에 상기 제1 케이스(10)의 오목부(16a) 내에 삽입되어, 당해 오목부(16a)의 내벽에 형성된 리브(16b)의 사이에 끼워맞춰져 위치결정된다.
도 7a, 도 7b에는, 상기 세퍼레이트 커넥터(17, 37)의 접속 단자(17a, 37a)에 있어서의 전력·신호 배열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는, 기판(17b)의 양면의 상대하는 2개의 접속 단자(17a)를 한 쌍으로 하여 합계 10쌍의 접속 단자(17a)를 갖고, 이들 접속 단자(17a)가, 도면의 좌측의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력용 단자(P1 및 P2), 신호용 단자(S1 및 S2), 접지용 단자(G 및 G)로서, 소정의 부품 혹은 부분에 접속되고, 나머지 4쌍의 접속 단자(17a)는 비접속으로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접지용 단자(G 및 G)는, 어느 쪽이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의 접속 단자(17a)는 접속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배열로 되어 있다. 또한, 상대(相對)하는 한 쌍의 접속 단자(17a)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b에 나타내는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는, 접속구(37b)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2개의 접속 단자(37a)를 한 쌍으로 하여 합계 10쌍의 접속 단자(37a)를 갖고, 이들 접속 단자(37a)가, 도면의 좌측의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력용 단자(P1 및 P2), 신호용 단자(S1 및 S2), 접지용 단자(G 및 G), 신호용 단자(S2 및 S1), 전력용 단자(P2 및 P1)로서, 소정의 부품 혹은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의 접속 단자(37a)는, 전력·신호 배열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를 도 7a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접속해도, 좌우 역방향으로 접속해도, 양 세퍼레이트 커넥터(17과 37)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 및 신호는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대하는 한 쌍의 접속 단자(37a)끼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17)의 접속 단자(17a)의 전력·신호 배열을 좌우 대칭으로 하고,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37)의 접속 단자(37a)의 전력·신호 배열에 방향성을 갖게 해도 좋다. 혹은, 양쪽의 세퍼레이트 커넥터(17 및 37)의 접속 단자(17a 및 37a)의 전력·신호 배열을 모두 좌우 대칭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를 연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제1 케이스(10)의 양측 단면(端面)에는, 상기 연결면(16)에 근접하는 하단부 부근에, 당해 제1 케이스(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오목부(16a)에 달하는 볼트 삽입공(18)이 개설되고, 한편, 제2 케이스(20)의 연결면(36)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36a)의 양측 단면에는, 상기 볼트 삽입공(18)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38)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삽입공(18)으로 삽입통과된 볼트(19)를 당해 나사 구멍(38)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가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볼트 삽입공(18)과 나사 구멍(38)은, 상기 제1 케이스(10)를 도시한 경우와는 전후 역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제2 케이스(20) 상에 올려놓은 경우(역의 연결 상태)라도, 상기 볼트(19)로 이들 양 케이스(10 및 2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유닛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어느 쪽 방향으로 상기 팬 유닛에 연결한 경우라도, 양 유닛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볼트 삽입공(18)을 제1 케이스(10)의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에 2개 나란히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나사 구멍(38)을 볼록부(36a)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2개씩 나란히 형성하여, 제1 케이스(10)와 제2 케이스(20)와의 고정을 당해 제1 케이스(10)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0)의 배면(20b)측에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를 덮을 수 있는 오목부(28) 내에, 기능 설정용의 딥 스위치(29a) 및, 이온 밸런스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어저스터(29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이 오목부(28)를 덮는 덮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0)의 배면(20b)측에는, 도 2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컨트롤 유닛(2)의 제2 케이스(20)를, 벽 등에 고정하고 있는 DIN 레일(3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31, 32)가 부설되어 있다. 한쪽의 부착 부재(31)는, 제2 케이스(20)에 고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단부에 갈고리부(31a)를 갖고, 이 갈고리부(31a)를 DIN 레일(30)의 한쪽의 레일 테두리(30a)에 걸어맞추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한쪽의 부착 부재(32)는, DIN 레일(30)의 다른 한쪽의 레일 테두리(30b)에 걸어맞추는 가동 걸어맞춤 부재(32a)를 구비하고, 이 가동 걸어맞춤 부재(32a)를 상기 레일 테두리(30b)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2)의 제2 케이스(20)는, 일반적으로는, 팬 유닛(1)의 기대를 형성하고, 설치대 상에 놓은 컨트롤 유닛(2) 상에 팬 유닛(1)을 올려놓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컨트롤 유닛(2)을, 전술한 바와 같이 DIN 레일(30)을 이 용하여 인디케이터(21)를 시인하기 쉬운 벽면 등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팬 유닛(1)은 적당한 브래킷으로 지지시켜 컨트롤 유닛(2)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이들 팬 유닛(1)과 컨트롤 유닛(2)의 각 연결면(16, 36)에 형성한 세퍼레이트 커넥터(17, 37)끼리를,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별도 설치되는 세퍼레이트 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전력·신호를 대응하는 단자간에서 송수신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 유닛(2)의 제2 케이스(20)의 하면에는, 링크 커넥터(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링크 커넥터(40)는, 상기 컨트롤 커넥터(24)와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당해 커넥터(24)와 병렬 결선한 것이며, 복수의 이오나이저를 병설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전술한 DIN 레일(30)에 복수의 컨트롤 유닛(2)을 한데 모아 부착하여, 그들 컨트롤 유닛(2)과 팬 유닛(1)을 상기 세퍼레이트 케이블에 의해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등에, 인접하는 이오나이저의 한쪽의 컨트롤 커넥터(24)와 다른 한쪽의 링크 커넥터(40)를, 각각 상기 세퍼레이트 케이블로 접속하여 전체적으로 크로스오버(crossover) 배선으로 하여, 전력·신호를 대응 위치의 단자에 송수신시키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배선을 행하면, 한 대의 이오나이저의 전원을 켜면, 다른 모든 이오나이저도 전원을 켠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링크 커넥터(40)는, 그것을 미(未)사용시에 덮어두는 커버를 형성하지만, 그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오나이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팬 유닛의 하면의 전기적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 유닛의 하면의 전기적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컨트롤 유닛의 DIN 레일에 대한 부착 형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7a는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laims (6)

  1. 제1 케이스에,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에서 발생한 이온을 반송하기 위한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구비한 팬 유닛 및, 제2 케이스에,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이오나이저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자를 구비한 컨트롤 유닛을 갖고,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은, 서로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연결면끼리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과의 연결시에 상호 전기 접속되는 제1 및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고, 이들 세퍼레이트 커넥터는, 상기 팬 유닛과 컨트롤 유닛의 전후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정(正)의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양 유닛의 전후를 역방향으로 한 역의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상호 접속 가능함과 아울러, 양 유닛을 어느 쪽 연결 상태로 한 경우라도 양 세퍼레이트 커넥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 및 신호가 동일해지도록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이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의 세퍼레이트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전력·신호 배열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 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연결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수(male)형의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케이스의 연결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내부에 암(female)형의 상기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연결면끼리를 서로 맞닿게 했을 때,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 내에 삽입되어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커넥터 및 제2 세퍼레이트 커넥터가 각각,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각 연결면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이 팬 유닛을 올려놓기 위한 기대(base)를 겸하고 있고,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과 제2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연결면이 형성되어, 상기 팬 유닛이 상기 컨트롤 유닛 상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 유닛에 연결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의 제2 케이스의 전면(前面)측에,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배선 및 각종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컨트롤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나이저.
KR1020090032089A 2008-04-22 2009-04-14 이오나이저 KR101047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1388A JP5110472B2 (ja) 2008-04-22 2008-04-22 イオナイザ
JPJP-P-2008-111388 2008-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68A KR20090111768A (ko) 2009-10-27
KR101047444B1 true KR101047444B1 (ko) 2011-07-07

Family

ID=4113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089A KR101047444B1 (ko) 2008-04-22 2009-04-14 이오나이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8790B2 (ko)
JP (1) JP5110472B2 (ko)
KR (1) KR101047444B1 (ko)
CN (1) CN101567523B (ko)
DE (1) DE102009017807B4 (ko)
TW (1) TWI392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559B2 (en) * 2014-12-23 2017-04-04 Oxypro, Ltd Method and generator for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IL245718A0 (en) 2016-05-18 2016-08-31 Riskin Yefim A method for converting water to hydrogen peroxide and a converter
EP3547804A4 (en) * 2016-11-28 2019-11-20 Sharp Kabushiki Kaisha ION GEN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6Y1 (ko) 2006-03-20 2006-05-30 임진옥 이오나이저
KR20060083910A (ko) * 2005-01-17 2006-07-21 시시도 세이덴기 가부시키가이샤 제전 장치 및 방전 모듈
KR200435495Y1 (ko) 2006-09-25 2007-01-25 (주)선재하이테크 다수개의 이오나이저가 연결된 이오나이저 컨트롤러
KR100788186B1 (ko) 2005-12-09 2007-12-26 주식회사 테크라인 송풍형 이온발생장치의 일체형 챔버와 챔버의 탈부착방식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0862A (en) * 1986-12-16 1988-04-26 Westward Electronics, Inc. Ion imbalance monitoring device
JPH03123864U (ko) * 1990-03-27 1991-12-16
US6002573A (en) * 1998-01-14 1999-12-14 Ion Systems, Inc. Self-balancing shielded bipolar ionizer
US6252233B1 (en) * 1998-09-18 2001-06-26 Illinois Tool Works Inc. Instantaneous balance control scheme for ionizer
US6137670A (en) * 1999-02-18 2000-10-24 Desco Industries, Inc. Replaceable electrical ionizer module
JP4317699B2 (ja) 2003-02-18 2009-08-1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装置および除電装置用脱着ユニット
CN2682604Y (zh) * 2003-12-19 2005-03-02 英保达股份有限公司 连接器结构
JP2007059363A (ja) * 2005-08-22 2007-03-08 Ishiyama Seisakusho:Kk 除電方式及び除電器
JP2007305403A (ja) * 2006-05-11 2007-11-22 Omron Corp コロナ放電型イオナイザ、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10A (ko) * 2005-01-17 2006-07-21 시시도 세이덴기 가부시키가이샤 제전 장치 및 방전 모듈
KR100788186B1 (ko) 2005-12-09 2007-12-26 주식회사 테크라인 송풍형 이온발생장치의 일체형 챔버와 챔버의 탈부착방식구조
KR200417526Y1 (ko) 2006-03-20 2006-05-30 임진옥 이오나이저
KR200435495Y1 (ko) 2006-09-25 2007-01-25 (주)선재하이테크 다수개의 이오나이저가 연결된 이오나이저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7523B (zh) 2011-12-14
JP2009266415A (ja) 2009-11-12
DE102009017807B4 (de) 2017-05-04
KR20090111768A (ko) 2009-10-27
JP5110472B2 (ja) 2012-12-26
TWI392179B (zh) 2013-04-01
US7898790B2 (en) 2011-03-01
CN101567523A (zh) 2009-10-28
US20090262482A1 (en) 2009-10-22
DE102009017807A1 (de) 2009-11-05
TW201008068A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4463B (zh) 用于电化学装置的电池接触系统
JPH02151132A (ja) 多重信号伝送装置
KR101047444B1 (ko) 이오나이저
US20190372068A1 (en) Rack type power source device
US20190386282A1 (en) Connection module
CA3097706A1 (en) Electrical power unit for a work surface
US20090066470A1 (en) Slow Blow Fuse and Electric Junction Box
CN108738250B (zh) 用于联接至模块装置的电子模块及模块装置
CN111952493B (zh) 车辆用电池单元
TWI613951B (zh) 馬達驅動裝置
CN201490101U (zh) 具有模块和连接附件的电磁接触器
EP2514289B1 (en) Plug-in module for controllers of mobile working machines
US20200395635A1 (en) Battery pack and assembly of battery pack and power tool
JP5364472B2 (ja) 除電装置
CN103108478A (zh) 静电消除器
CN116331970A (zh) 控制柜以及电梯设备
JP2019204577A (ja) コネクタ
JP5393551B2 (ja) 作業機における電気部品接続機構
JP6850198B2 (ja) 電源装置
JP2003284211A (ja) 分電盤
KR101668487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73891B1 (ko) 철도 차량의 냉난방 설비용 제어 시스템
JP4415903B2 (ja) リモコン配線器具
WO2023209961A1 (ja) I/oユニットおよびベースユニット
KR102634971B1 (ko) 차량의 배터리용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