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956B1 - 바닥면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바닥면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956B1
KR101046956B1 KR1020067010730A KR20067010730A KR101046956B1 KR 101046956 B1 KR101046956 B1 KR 101046956B1 KR 1020067010730 A KR1020067010730 A KR 1020067010730A KR 20067010730 A KR20067010730 A KR 20067010730A KR 101046956 B1 KR101046956 B1 KR 10104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wel
finishing
floor
rotar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885A (ko
Inventor
코바 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조세이 코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조세이 코교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조세이 코교
Publication of KR2006011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04F21/241Elongated smoothing blades or plates, e.g. screed apparatus
    • E04F21/244Elongated smoothing blades or plates, e.g. screed apparatus with means to adjust the working angle of the leveling blade o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04F21/245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 E04F21/247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used by an operator sitting on the trowel, i.e. ride-on power trow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04F21/245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 E04F21/248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used by an operator walking behind the trowel, i.e. walk-behind power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현장에서 타설 후의 콘크리트 바닥면이나 몰탈 바닥면의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때 사용하는 바닥면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면 마감장치는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동력식 회전흙손을 가지는 평면평활화기와, 이 평면평활화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흙손의 회전면의 외주영역 일부에 배치된 평면상의 마감흙손을 구비하고, 회전흙손이 접촉 통과한 후의 상기 마감대상 바닥면에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마감흙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손, 마감, 콘크리트, 몰탈.

Description

바닥면 마감장치{FLOOR SURFACE FINISHING DEVICE}
본 발명은 건설공사현장에서 타설 후의 콘크리트 바닥면이나 몰탈 바닥면의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때 사용하는 바닥면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나 몰탈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시공할 경우, 종래 시공현장에 타설된 생콘크리트를 평활하게 하여 바닥 레벨 맞추기를 행하고, 수시간 방치한 후 트로웰(trowel)이라 불리는 평면평활화기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구석구석 가압하여 평면화하며, 그 후 숙련작업자가 마감흙손(각흙손)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최종 마감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면 시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평면평활화기는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회전흙손과 이를 구동하는 원동기를 가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예를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반적인 작업순서는 생콘크리트 타설 및 바닥 레벨 맞추기가 종료된 후의 시공대상 바닥면 위에 상기 평면평활화기를 반입하여 원동기로 회전흙손을 회전시키면서 평면평활화기를 바닥면을 따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작업을 행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실개평 5-57198호 공보 (제2-5페이지, 도 1)
종래의 바닥면 마감작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평면평활화기 를 이용하여 가압작업을 행한 후 숙련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최종 마감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닥면 완성까지 다대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도 크다. 특히 최종마감공정에서는 작업자가 허리를 90도 가까이 구부려 바닥면을 기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손에 든 마감흙손을 좌우로 움직여 바닥면을 가압하면서 20cm정도씩 후퇴하며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종 마감작업에는 숙련작업자에 의한 극히 다대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최종마감작업은 작업현장에 타설된 콘크리트나 몰탈이 고화되기 전에 완료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시공 대상인 바닥면적이 넓은 경우, 다수의 숙련작업자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숙련작업자가 감소하면서 작금의 상황에서는 그 확보가 곤란해져 있다.
또한 최종마감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장시간에 걸쳐 지속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허리 다리 어깨 등의 육체적 부담은 극히 크다. 그리고 최종마감작업에 종사하는 숙련작업자는 이러한 작업을 장기간에 걸쳐 반복하게 되므로, 작업종료 후에도 만성적인 요통이나 어깨통증 등에 시달리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취급이 간단하고 바닥면의 최종마감작업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삭감도 꾀할 수 있는 바닥면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닥면 마감장치는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동력식 회전흙손을 가지는 평면평활화기와, 이 평면평활화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흙손의 회전면의 외주영역 일부에 배치된 평면상의 마감흙손을 구비하고, 회전흙손이 접촉 통과한 후의 상기 마감대상 바닥면에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마감흙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바닥면 마감장치를 마감대상 바닥면 상에 반입하고, 평면평활화기의 회전흙손을 동력으로 회전시켜 회전흙손이 마감흙손보다 선행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닥면 마감장치 전체를 마감대상 바닥면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가면, 회전흙손으로 마감대상 바닥면의 가압 평활화를 행하고, 그 후에 이어지는 마감흙손으로 최종 마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회전흙손이 접촉 통과한 후의 마감대상 바닥면에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마감흙손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흙손으로 가압 평활화된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해서 확실한 최종 마감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 마감장치는 회전흙손을 동력 회전시키면서 장치 전체를 마감대상 바닥면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가는 것 만으로 가압평활작업 및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취급은 간단하고 바닥면의 최종마감작업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의 작업자로 가압평활작업 및 최종 마감작업의 양쪽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삭감을 꾀할 수 있고 숙련작업자도 불필요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흙손은 회전흙손의 회전축심을 향해 앙각을 가지도록 경사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흙손을 이와 같이 배치하면 바닥면 마감장치의 이동방향을 향해 앙각을 유지하면서 마감흙손을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최종 마감상태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마감흙손의 앙각을 변경하기 위한 각도조절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조절기구를 마련하면 바닥면의 시공조건에 따라 마감흙손의 앙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황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흙손을 회전흙손의 회전축심방향의 이동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회전흙손의 회전면과 접촉하는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해서 마감흙손을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마감흙손은 필요에 따라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 이격가능해지므로 취급성이 양호해지며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흙손을 마감대상 바닥면을 향해 압압하기 위한 압압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압수단을 마련하면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한 마감흙손의 압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닥면에 대한 평활화 기능 및 마감 기능이 향상되어 최종마감상태의 더 한층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압수단의 압압력을 변경가능하게 해 두면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태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압압수단으로서 중추(重錘)를 마련하면 간소한 기구이면서 확실한 압압 작용을 얻을 수 있으며, 중추의 중량의 증감만으로 압압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황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마감흙손이 회전흙손의 주위를 선회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바닥면 마감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와, 회전흙손과, 마감흙손과의 상대위치관계가 변경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해 회전흙손이 접촉한 후에 마감흙손이 접촉한다는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작업자가 당해 바닥면 마감장치를 작업자의 후방(인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작업자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벽면 부근이나 기둥 부근의 바닥면 혹은 구멍, 홈, 돌기부재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는 바닥면 등의 마감작업을 행하는 경우의 작업성, 안전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를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판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마감흙손이 마감대상 바닥면을 압압했을 때 당해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휘게 됨으로써 탄성적 압압이 가능해지며, 바닥면에 대한 밀착성도 향상된다. 이 때문에 회전흙손이 통과한 직후의 바닥면에 대한 마감기능이 더 향상되어 미관성이 우수한 최종 마감면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흙손이 상기 평면평활화기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시공현장의 상황에 대응하여 마감흙손을 교체하거나 마감흙손이 마모, 손상되었을 때 교환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공 현장에 최적의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성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 평면평활화기의 일부에 작업자가 타기 위한 탑승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작업자가 탑승부에 타서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의 부분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를 구성하는 마감흙손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인 마감흙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인 마감흙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인 마감흙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인 마감흙손 및 그 착탈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마감흙손에 의한 바닥면 마감작업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40,50,60,70,80,90,100 바닥면 마감장치
2, 2a 마감대상 바닥면
3, 63 원동기
4 회전흙손
5, 165 평면평활화기
6, 20a, 20c, 26j, 36, 46 연결부재
6a, 36a, 46a, 56a, 62, 88 수직지지축
6b 걸어멈춤구
6c 걸어멈춤구멍
6d, 56b, 79 수평지지축
6e 지지부재
6f, 26f, 36f, 46f, 56f, 65, 74, 83, 96f, 106f 승강아암
6g 걸어멈춤핀
6h 걸어멈춤구멍
6i, 26i 부착부재
7 회전면
8, 8a, 8b, 8c, 28, 68, 75, 84 마감흙손
8d, 92b 걸어멈춤부재
8e, 46b, 46c 보조부재
9, H 조작핸들
10 지주
11 후크
12, 12a, 12b, 12c, 22 고정부재
12d 고정부
12e, 20d 연결부
13, 13a, 23 나사
14 수평바
15 중추
16, 30a, 30b, 30c, 30d, 40a, 40b, 40c, 40d, 50a, 50b, 50c, 50d, 67, 69, 76, 77, 86, 87 활차
17, 37, 47, 57a, 57b, 66, 78, 85, 97a, 107 와이어
18, 31, 41, 51a, 91a 승강레버
19 와이어가이드
19a 가이드공
20 링크기구
삭제
20b 힌지부
20e 핀
26e, 26k 연결공
21 축체
26a 보강부재
26b, 26c, 26m 관상체
36b, 73 관상부재
46g, 56g, 56c, 64, 82, 93, 96g, 106g 지지축
46i, 81 경사축
46h 스토퍼
56d 보조승강아암
61 권취기
51b, 91b 보조승강레버
92a 각도조절레버
101 스위치
A,B,D1,D2 화살표
C 회전축심
L 길이
S 탑승부
T 두께
W 폭
θ 앙각
이하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바닥면 마감장치(1)는 마감대상 바닥면(2)에 접촉하면서 원동기(3)의 구동력으로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흙손(4)을 가지는 평면평활화기(5)와, 이 평면평활화기(5)에 연결부재(6)를 통해 연결된 상태로 회전흙손(4)의 회전면(7)의 외주영역의 일부에 배치된 평판상의 마감흙손(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평면평활화기(5)의 마감흙손(8)과 반대측에는 작업자가 바닥면 마감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9)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평활화기의 원동기(3)의 전방 부분에는 역L자형의 지주(10)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주(10)의 수직부분의 상하 2곳에 L자형의 후크(11)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후크(11)에 연결부재(6)의 수직지지축(6a)의 상하 2곳에 고정된 걸어멈춤구(6b)의 걸어멈춤구멍(6c)을 걸리게 함으로써 연결부재(6f)를 통해 마감흙손(8)이 평면평활화기(5)에 연결된다.
연결부재(6)는 전술한 수직지지축(6a)과 이 수직지지축(6a)으로부터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수평지지축(6d)과, 수직지지축(6a)과 수평지지축(6d) 사이에 비스듬하게 고정된 지지부재(6e)와, 지지부재(6e)에 기단부가 축 지지된 승강아암(6)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아암(6f)의 기단부는 걸어멈춤핀(6g)을 통해 지지부재(6e) 에 개설된 복수의 걸어멈춤구멍(6h)의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승강아암(6f)의 기단부는 복수의 걸어멈춤구멍(6h)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어느 걸어멈춤구멍(6h)에 부착한 경우라도 승강아암(6f)은 걸어멈춤핀(6g)의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승강아암(6f)의 선단부에는 단면 L자상의 고정부재(12)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승강아암(6f)과 고정부재(12)에서 T자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판상의 마감흙손(8)이 부착되어 있다. 마감흙손(8)은 복수의 나사(13)에 의해 고정부재(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나사(1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고정부재(12)에 착탈가능하다. 이 때문에 마감대상 바닥면의 종류나 성상 등의 각종 각종 시공 조건에 따라 마감흙손(8)은 사이즈나 판두께, 재질이 다른 타 마감흙손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나사(13) 대신에 나비형 나사를 이용하면 스패너 등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마감흙손(8)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승강아암(6f)과 고정부재(12)의 연결부분 상방에는 고정부재(12)와 평행하게 수평바(14)가 마련되며, 이 수평바(14)에는 2개의 중추(15)가 상기 연결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승강아암(6f)의 상기 연결부분의 후방 위치에는 회동 가능한 활차(16)가 배치되며, 선단부가 수평지지축(6d)에 걸어멈춤된 와이어(17)가 활차(16)에 U턴상으로 걸리고, 수평지지축(6d)의 선단부의 와이어가이드(19)의 가이드공(19a)을 관통하여 와이어(17)의 기단부는 조작핸들(9)에 마련된 승강레버(18)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6)를 지주(10)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6)는 후크(11)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상황에 따라 연결부재(6)와 함께 마감흙손(8)을 선회시킴으로써 조작핸들(9)을 조작하고 있는 작업자로부터 보아 마감흙손(8)을 회전흙손(4)의 좌측, 우측에 배치하여 마감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감흙손(8)의 중추(15)를 지지하고 있는 수평바(14)의 단부 등에 와이어의 선단부를 걸어멈추고, 그 와이어의 기단부를 조작핸들까지 연장해 두면 그 와이어를 끌어 당기거나 늦추거나 함으로써 마감흙손(8)의 수평선회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바닥면 마감장치(1)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현장에 반입된 바닥면 마감장치(1)를 마감대상 바닥면(2)상에 올려 놓고 원동기(3)를 시동하여 평면평활화기(5)의 회전흙손(4)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핸들(9)을 끌어 당김으로써 회전흙손(4)이 마감흙손(8)보다도 선행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닥면 마감장치(1) 전체를 마감대상 바닥면(2)을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이동시켜 간다.
이러한 조작을 작업자가 행함으로써 회전흙손(4)으로 마감대상 바닥면(2)의 가압 평활화가 행해지고, 그 후에 이어 마감흙손(8)에 의해 최종 마감이 행해진다. 이때 회전흙손(4)이 접촉 통과한 직후의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마감흙손(8)의 한쪽 장변 근처의 영역이 접하도록 마감흙손(8)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흙손(4)으로 가압 평활화된 마감대상 바닥면(2a)의 최종 마감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 마감장치(1)는 회전흙손(4)을 원동기(3)로 회전시키면서 회전흙손(4)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바닥면 마감장치(1) 전체를 마감대상 바닥면(2)을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이동시켜 가는 것 만으로 가압평활화작업 및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취급이 간단하고 마감대상 바닥면(2)의 최종 마감작업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마감장치(1)를 조작하는 한 사람의 작업자 만으로 가압평활화작업 및 최종 마감작업의 양쪽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삭감을 꾀할 수 있어 숙련작업자도 불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마감흙손(8)은 회전흙손(4)의 회전축심(C)를 향해 앙각(θ)을 가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닥면 마감장치(1)의 이동방향을 향해 앙각(θ)을 유지하면서 마감흙손(8)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마감흙손(8)에 의해 최종마감된 바닥면은 우수한 미관성이 얻어진다.
또한 마감흙손(8)의 앙각(θ)을 변경하기 위한 각도조절기구로서 복수의 걸어멈춤구멍(6h)을 가지는 지지부재(6e)와, 걸어멈춤구멍(6h)의 어느 것인가에 선택적으로 축지지가능한 승강아암(6f)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평지지축(6d)에 가까운 상방 근처의 걸어멈춤구멍(6h)에 승강아암(6f)의 기단부를 축지지하면 마감흙손(8)의 앙각(θ)이 커지며, 수직지지축(6a)에 가까운 하방 근처의 걸어멈춤구멍(6h)에 승강아암(6f)의 기단부를 축지지하면 마감흙손(8)의 앙각(θ)은 작아진다.
이러한 각도조절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마감대상 바닥면(2)의 시공조건에 따른 마감흙손(8)의 앙각(θ)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황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핸들(9)에 마련된 승강레버(18)를 경사 이동시키면 와이어(17)를 통해 승강아암(6f)은 걸어멈춤핀(6g)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고, 이로써 마감흙손(8)은 상하방향(회전흙손(4)의 회전축심(C)과 평행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흙손(4)의 회전면(7)과 접촉하는 마감대상 바닥면(2)에 대해서 마감흙손(8)을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거나 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승강레버(18)를 경사 이동시키면 마감흙손(8)을 마감대상 바닥면(2)에 접촉, 이격 가능하므로 취급성이 양호하고 작업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마감흙손(8)을 마감대상 바닥면(2a)을 향해 압압하기 위한 중추(15)를 마련함으로써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한 마감흙손(8)의 압압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한 마감 기능이 높아 최종 마감상태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중추(15)는 수평바(14)에 착탈가능하므로, 중추(15)의 크기, 개수, 재질 등을 변경함으로써 중추(15)의 중량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태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흙손(8)은 후크(11)를 중심으로 수평선회 가능하므로,회전흙손(4)의 주위를 수평선회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때문에 조작핸들(9)의 단부 부근에 서서 바닥면 마무리장치(1)를 조작하는 작업자(도시하지 않음)와 회전흙손(4)과 마감흙손(8)의 상대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도시하지 않음)가 바닥면 마감장치(1)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도록 이동시키면서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한다는 기본적인 사용법에 더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흙손(8)을 회전흙손(4)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배치하여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핸들(9)측으로부터 보아 마감흙손(8)을 회전흙손(4)의 우측(도 2의 지면 하측)에 배치하여 바닥면 마감장치(1) 전체를 화살표 D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법, 혹은 마감흙손(8)을 회전흙손(4)의 좌측(도 2의 지면 상측)에 배치하여 바닥면 마감장치(1)전체를 화살표 D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법으로 한 경우라도 회전흙손(4)이 접촉 통과한 후의 바닥면(2a)에 마감흙손(8)이 접촉한다는 상대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건물의 벽면 부근이나 기둥 부근의 바닥면 혹은 구멍, 홈, 돌기 부재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는 바닥면 등의 마감 작업을 행하는 경우, 현장 상황에 따라 바닥면 마감장치(1)의 진행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상태로 작업자가 후퇴하면서 작업하면 상기 장해물에 만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D1, D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그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의 안전성도 높아진다.
그리고 회전흙손(4)은 평면에서 본 상태(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조작핸들(9)을 들어 올리면(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면) 평면평활화기(5)는 화살표D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작핸들을 내리면 (바닥면으로 가까워지면) 평면평활화기(5)는 화살표 D2 방향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마감흙손(8)을 회전흙손(4)의 우측이나 좌측으로 배치한 경우, 이러한 평면평활화 기(5)의 이동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감흙손(8)은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판재(예를들어 두께(T)가 0.3mm ~ 0.7mm, 폭(W)이 50mm ~ 250mm, 길이(L)가 700mm ~ 3000mm정도의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특수 강판)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흙손(4)이 통과한 직후의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미관성이 우수한 최종마감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감흙손(8)의 길이(L)는 회전흙손(4)의 회전면(7)의 직경보다 크며, 마감흙손(8)의 길이(L)방향이 회전면(7)의 외주의 접선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흙손(4)이 접촉 통과한 후의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해서 반드시 마감흙손(8)이 접촉 통과하여 최종 마감이 시행되게 됨으로써 확실하게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바닥면 마감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바닥면 마감작업의 공기를 종래 공법의 1/7 ~ 1/10까지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닥면 마감장치(1)에 있어서는 마감흙손(8)의 상하 이동조작(회전흙손(4)의 회전축심(C)과 평행방향의 이동을 따른 방향으로의 이동조작)및 후크(11)를 중심으로 하는 마감흙손(8)의 수평선회조작은 그 어느 것이나 조작자가 수동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원동기(3) 혹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원동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유압기구, 기어기구, 와이어기구, 링크기구, 벨트기구, 체인기구, 캠기구 등을 마련함으로써 이들 조작을 동력화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을 더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 도 9를 참조하여 마감흙손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마감흙손(8a)은 전술한 마감흙손(8)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판재로 형성되며, 4개의 모서리부를 모두 원호상으로 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하고 있다. 마감흙손(8a)의 표면에 단면 L자형의 고정부재(12a)를 배치하고, 하면에 보조부재(8e)를 배치하며, 하면측으로부터 복수의 나사(13a)를 나사부착함으로써 고정부재(12a)와 마감흙손(8a)이 고정된다. 마감흙손(8a)은 마감흙손(8)과 마찬가지로 도 2, 도 3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1)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흙손(8a)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2a)를 도 2, 도 3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1)의 승강아암(6f)선단의 부착부재(6i)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하여 사용한다. 마감흙손(8a)은 그 하면측에 배치된 보조부재(8e) 및 나사(13a)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2a)에 고정되므로, 확실한 고정상태가 보다 확실해져 내변형성도 우수하다.
도 6에 도시한 마감흙손(8b)은 전술한 마감흙손(8a)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판재로 형성되고, 4개의 모서리부를 모두 원호상으로 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그 표면에서는 단면 역T자형의 고정부재(12b)가 고착되어 있다. 마감흙손(8b)은 마감흙손(8a)과 마찬가지로 그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2b)를 도 2, 도 3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1)의 승강아암(6f) 선단의 부착부재(6i)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흙손(8b)에 대한 고정부재(12b)의 고착수단으로서는 스폿용접, 열용착,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마감흙손(8c)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단면이 대략 C형상을 한 걸어멈춤부재(8d)가 고착되며, 단면 T자형을 한 고정부재(12c)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걸어멈춤부재(8d)의 홈 내로 슬라이드 삽입함으로써 고정부재(12c)를 마감흙손(8c)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2c)는 마감흙손(8c)과 대향 자세로 걸어멈춤부재(8d)의 홈 내로 삽입되는 연결부(12e)와, 연결부(12e)의 상면에 리브(rib)상으로 고착된 고정부(12d)로 형성되어 있다. 마감흙손(8c)에 고정부재(12c)를 부착하고, 고정부재(12c)의 고정부(12d)를 도 2, 도 3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1)의 승강아암(6f) 선단의 부착부재(6i)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고정부재(12c)를 바닥면 마감장치(1)에 부착한 상태에서 마감흙손(8c)이 착탈가능하므로 마감흙손(8c)의 착탈작업, 교환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마감흙손(28)은 그 표면에 고착된 고정부재(22)를 복수의 나사(23)를 이용하여 바닥면 마감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아암(26f) 선단의 경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착부재(26i)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부착부재(26i)의 상부 테두리에 고착된 복수의 관상체(26c)가 승강아암(26f)의 선단에 고착된 복수의 관상체(26m) 및 승강아암(26f)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복수의 보강부재(26a)의 선단에 고착된 관상체(26b)와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이들 관상체(26b),(26c),(26m)에 축체(21)를 삽통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재(26i)는 축체(21)를 중심으로 경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부착부재(26i)의 상부 테두리 중앙부근과 승강아암(26f)의 선단 부근 사이에는 힌지부(20b)로 연결된 2개의 연결부재(20a, 20c)로 형성되는 링크기구(20)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재(20a)의 단부는 부착부재(26i)의 상부 테두리에 고착되어 있으며, 연결부재(20c)의 단부에 고착된 ㄷ자상의 연결부(20d)의 연결공(26e)을 승강아암(26f)의 선단부근에 고착된 연결부재(26j)에 개설된 복수의 연결공(26k)의 어느 것인가에 맞춤핀(20e)을 연결공(26e, 26k)에 삽통함으로써 마감흙손(28)등과 함께 부착부재(26i)는 승강아암(26f)에 고정된다.
이 경우 연결부재(26j)에 있는 복수의 연결공(26k)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연결부재(20c) 단부의 연결부(20d)의 연결공(26e)과 맞춤으로써 승강아암(26f)에 대한 부착부재(26i)의 부착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한 마감흙손(28)의 앙각(θ)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 조건에 적합한 앙각(θ)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 ~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 제4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0 ~ 도 12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30,(40),(50)의 구성부분에 있어서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1)의 구성부분과 마찬가지의 구조,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1~도 4와 마찬가지의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30)에 있어서의 평면평활화기(5)의 지주(10)에 있는 후크(11)에 연결부재(36)의 수직지지축(36a)이 걸어 멈춤되며, 이 수직 지지축(36a)의 상단에 관상부재(36b)가 전방을 향해 하향구배를 이루도록 고정되며, 이 관상부재(36b)내에 승강아암(36f)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축(36a)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37)가 승강아암(36f)의 선단부 분에 배치된 활차(30a)와, 관상부재(36b)의 상단부분에 배치된 활차(30b)와, 경사 이동 조작가능한 승강레버(31)에 배치된 활차(30c)와, 조작핸들(9)에 배치된 활차(30d)를 경유하여 활차(30c)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승강레버(31)를 경사 이동시키면 와이어(37)가 출입되고, 승강아암(36f)이 관상부재(3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승강하고, 이로써 마감흙손(8)을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해서 접촉, 이격시킬 수 있다. 바닥면 마감장치(30)의 경우 관상부재(36b)와 승강아암(36f)에 의해 마감흙손(8)의 승강기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략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40)에 있어서는 평면평활화기(5)의 지주(10)에 있는 후크(11)에 연결부재(46)의 수직지지축(46a)이 걸어멈춤되고, 이 수직지지축(46a)의 하단부분에 고정된 보조부재(46b)(46c)에, 지지축(46g)을 통해 승강아암(46f)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수직지지축(46a)의 상단에는 활차(40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지지축(46a)의 상단부분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경사축(46i)이 연장 설치되고, 그 선단에 승강아암(46f)의 상승위치를 정하는 스토퍼(46h)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축(46a)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47)가 승강아암(46f)의 선단부분에 배치된 활차(40a)와, 수직지지축(46)의 상단부분에 배치된 활차(40b)와, 경사이동 조작 가능한 승강레버(41)에 배치된 활차(40c)와, 조작핸들(9)에 배치된 활차(40d)를 경유하여 활차(40c)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승강레버(41)를 경사이동시키면 와이어(47)가 출입되고, 승강아암(46f)가 지지축(46g)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며, 이로써 마감흙손(8)을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해서 접촉, 이격시킬 수 있다. 바닥면 마감장치(40)의 경우 비교적 짧은 사이즈의 승강아암(46f)의 회동에 의해 마감흙손(8)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기구의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레버(41)를 크게 기울여 승강아암(46f)을 수직에 가깝게까지 세우면 중추(15)와 함께 마감흙손(8)을 평면평활화기(5)측에 격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추(15)는 평면평활화기의 중심에 가까워지므로 평면평활화기(5)만의 기능으로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성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50)에 있어서는 평면평활화기(5)의 지주에 있는 후크(11)에 수직지지축(56a)이 걸어멈춤되고, 수직지지축(56a)의 하단 근처 부분의 지지축(56g)에 승강아암(56f)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수직지지축(56a)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수평지지축(56b)의 선단의 지지축(56c)에 보조승강아암(56d)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승강아암(56f)의 선단부에는 활차(50a)가 배치되고, 보조승강아암(56d)의 선단부에는 활차(50b)가 배치되며, 승강레버(51a)에는 활차(50c)가 배치되고, 조작핸들(9)에는 활차(50d)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승강아암(56d)의 선단부 상면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57a)가 활차(50c)와 활차(50d)를 경유하여 활차(50c)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또한 보조승강아암(56d)의 선단부 하면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57b)가 활차(50a)와 활차(50b)를 경유하여 보조승강레버(51b)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승강레버(51a)를 경사 이동시키면 와이어(57a)가 출입되어 보조승강아암(56d)이 지지축(56c)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때 활차(50a),(50b)사이에 펼쳐져 설치된 상태에 있는 와이어(57b)를 통해 승강아암(56f)이 지지축(56g)을 중심으로 비교적 크게 회동하므로, 마감흙손(8) 및 중추(15)등을 비교적 큰 고저차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승강레버(51b)를 경사 이동시키면 와이어(57b)가 출입되고, 이로써 승강아암(56f)이 지지축(56g)을 중심으로 비교적 작은 범위로 회동하므로 마감대상 바닥면(2a)에 대해서 마감흙손(8)을 접촉,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 마감작업중에 보조승강레버(51b)를 조작하여 마감대상 바닥면(2)에 대한 마감흙손(8)의 접촉, 이격을 행하고, 바닥면 마감 작업 후에는 승강레버(51a)를 조작하여 마감흙손(8)이나 중추(15)를 높이 끌어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 마감장치(50)에 있어서는 조작핸들(9)의 위치에 선 작업자의 주위에 있는 승강레버(51a), 보조승강레버(51b)를 각각 경사이동 조작함으로써 마감흙손(8)의 승강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작업성도 양호하다.
다음에 도 13 ~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 제7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3 ~ 도 16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60,(70),(80)의 구성부분에 있어서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1)의 구성부분과 마찬가지의 구조,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 도 12와 마찬가지의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60)는 원동기(63)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흙손(4)이 좌우 2곳에 배치된 평면평활화기(165)와, 평면평활화기(165)에 승강아암(65)을 통해 연결된 마감흙손(68)을 구비하고, 평면평활화기(165) 상방에 작업자가 타기 위한 탑승부(S)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아암(65)은 지지축(64)에 회동 가 능하게 축지지되고, 승강아암(65)의 선단 근처 부분에 활차(67)가 배치되며, 승강아암(65)의 기단부분에 입설된 수직지지축(62)의 상단부분에 활차(6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지지축(62)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66)가 활차(67)와 활차(69)를 경유하여 전동식 권취기(61)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작업자는 탑승부(S)에 걸터앉아 2개의 조작핸들(H)을 조작함으로써 평면평활화기(165)의 전진 후퇴, 좌우 이동 및 방향 전환 등을 행할 수 있다.
평면평활화기(165)의 회전흙손(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감흙손(68)의 일부를 마감대상 바닥면(2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탑승부(S)에 걸터앉은 작업자가 바닥면 마감장치(60)를 전방(도 13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진행시키면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1)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이해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탑승부(S)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육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작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전동식 권취기(61)를 작동시킴으로써 마감흙손(68)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도 양호하다. 그리고 바닥면 마감장치(60)는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1)를 비교하여 길이방향의 사이즈가 큰 마감흙손(68)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마감대상 바닥면(2a)의 광범위에 걸쳐 마감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70)에 있어서는 평면평활화기(165)의 후부에 연장 설치된 수평지지축(79)의 선단에 비스듬하게 고정된 관상부재(73)내로 승강아암(7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며, 승강아암(74)의 선단부에 마감흙손(75)이 부착되어 있다. 승강아암(74)의 선단 근처 부분에는 활차(76)가 배치되 며, 관상부재(73)의 상단부분에는 활차(7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축(79)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78)가 활차(76)와 활차(77)를 경유하여, 전동식 권취기(61)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바닥면 마감장치(70)의 조작방법은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60)와 마찬가지인데, 바닥면 마감장치(70)의 경우 관상부재(73)와 승강아암(74)에 의해 마감흙손(75)의 승강기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80)에 있어서는 평면평활화기(165)의 후측부에 세워 설치된 수직지지축(88)에 비스듬하게 고정된 경사축(81)선단의 지지축(82)에 승강아암(83)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승강아암(83)의 선단부분에 마감흙손(84)이 부착되어 있다. 승강아암(83)의 선단 근처 부분에는 활차(87)가 배치되고, 수직지지축(88)의 상단부분에는 활차(8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축(88)에 선단부가 고정된 와이어(85)가 활차(87)와 활차(86)를 경유하여, 전동식 권취기(61)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바닥면 마감장치(80)는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6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바닥면 마감장치(60),(70),(80)에 있어서 이용하고 있는 전동식 권취기(61)의 설치 장소는 도 13 ~ 도 16에 나타낸 위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조건, 작업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마감장치(1),(30),(40),(50),(60),(70),(80)에 있어서는 마감흙손의 승강기구로서 와이어를 사용하고, 그 구동원으로서 인력 또는 전동기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들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전동기 또는 원동기로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링크기구 혹은 벨트기구, 체인기구, 캠기구 등을 이용하여 마감흙손의 승강기구를 구성하고, 스위치 조작으로 마감흙손의 승강 혹은 앙각조절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을 채용한 경우 마감흙손의 승강동작만이 아니라 마감흙손을 소정 위치 및 앙각으로 유지할 수도 있으므로,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한 압압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중추를 없애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제9실시형태인 바닥면 마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닥면 마감장치(90),(100)의 구성부분에 있어서, 전술한 바닥면 마감장치(1)등의 구성부분과 마찬가지의 구조,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 도 12와 마찬가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닥면 마감장치(90)에 있어서는 보조승강레버(91b)를 경사 이동시키면 와이어(97a)를 통해 승강아암(96f)이 지지축(96g)을 중심으로 비교적 작은 범위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마감흙손(8)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레버(91a)를 경사 이동시키면 승강아암(96f)이 지지축(96g)을 중심으로 비교적 큰 범위로 회동하므로,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흙손(8)을 거의 수직상태로까지 세워서 평면평활화기(5)측으로 격납할 수 있다. 이때 중추(15)도 평면평활화기(5)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므로, 평면평활화기(5)만의 기능을 이용하여 바닥면 평활작업을 행할 경우에 작업성이 악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승강아암(96f)의 선단 근처에는 마감흙손(8)과 함께 지지축(93)을 중심 으로 회동하는 각도조절레버(92a)와, 이 각도조절레버(92a)의 지지위치를 정하는 걸어멈춤부재(92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부재(92b)에 대한 각도조절레버(92a)의 지지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마감흙손(8)의 앙각(Θ)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한 바닥면마감장치(100)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조작핸들(9)에 위치된 스위치(101)를 조작하면, 평면평활화기(5)의 지주(10)상에 배치된 전동식의 권취기(61)가 작동하여 와이어(107)를 권취하거나 풀어내거나 한다. 이로써 승강아암(106f)이 지지축(106g)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마감흙손(8) 및 중추(15)를 승강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주위의 스위치(10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마감흙손(8)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은 양호하며, 육체적 부담도 경감된다. 그리고 전동식 권취기(61)의 설치 장소는 지주(10)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조건, 작업상황 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면 마감장치는 콘크리트 바닥면이나 몰탈 바닥면의 마감작업을 행하는 산업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동력식의 회전흙손을 가지는 평면평활화기와, 이 평면평활화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흙손의 회전면의 외주영역의 일부에 배치된 평판상의 마감흙손을 구비하여, 회전흙손이 접촉 통과한 후의 마감대상 바닥면에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마감흙손을 배치함으로써 취급은 간단하고 바닥면의 마감작업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숙련작업자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삭감도 꾀할 수 있다.
(2) 마감흙손을 회전흙손의 회전축심을 향해 앙각을 가지도록 경사시켜 배치함으로써 바닥면 마감장치의 이동방향을 향해 앙각을 유지하면서 마감흙손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닥면의 마감상태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3) 마감흙손의 앙각을 변경하기 위한 각도조절기구를 마련함으로써 시공조건에 따른 앙각 설정이 가능해지므로,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황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4) 마감흙손을, 회전흙손의 회전축심방향의 이동을 따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마감흙손을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거나 할 수 있게 되므로 취급성이 양호해지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5) 마감흙손을 마감대상 바닥면을 향해 압압하기 위한 압압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마감대상 바닥면에 대한 마감흙손의 압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닥면에 대한 평활화 기능 및 마감 기능이 높아져 최종마감상태의 더 한층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6) 압압수단으로서 중추(重錘)를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기구이면서 확실한 압압작용이 얻어져 중추의 중량의 증감만으로 압압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바닥면 자재의 종류, 성상 혹은 경화 상황에 정확하게 대응한 최종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다.
(7) 마감흙손이 회전흙손의 주위를 선회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닥면 마감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와, 회전흙손과, 마감흙손과의 상대위치관계가 변경 가능해지므 로,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상대위치관계로 설정할 수 있어 작업성, 안전성이 향상된다.
(8)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를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판재로 형성함으로써 회전흙손이 통과한 직후의 바닥면에 대한 마감기능이 더 향상되어 미관성이 우수한 최종 마감면을 얻을 수 있다.
(9) 마감흙손이 평면평활화기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공현장의 상황에 대응하여 마감흙손을 교체하거나 마감흙손이 마모, 손상되었을 때 교환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공현장에 최적의 마감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성도 향상된다.
(10) 평면평활화기의 일부에 작업자가 타기 위한 탑승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탑승부에 타서 바닥면 마감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마감대상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프로펠러상으로 회전하는 동력식 회전흙손을 가지는 평면평활화기와,
    상기 평면평활화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흙손의 회전면의 외주영역 일부에 상기 회전흙손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흙손의 주위를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평판상의 마감흙손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를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흙손이 접촉 통과한 후의 상기 마감대상 바닥면에 상기 마감흙손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상기 마감흙손을 상기 회전흙손의 회전축심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마감흙손이 앙각을 가지도록 경사시켜 배치하며, 상기 마감흙손을 마감대상 바닥면을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압압수단으로서 중추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마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흙손의 앙각을 변경하기 위한 각도조절기구를 마련한 바닥면 마감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흙손이 상기 평면평활화기에 착탈가능한 바닥면 마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평활화기의 일부에 작업자가 타기 위한 탑승부를 마련한 바닥면 마감장치.
KR1020067010730A 2003-11-21 2004-11-19 바닥면 마감장치 KR101046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2864 2003-11-21
JP2003392864 2003-11-21
PCT/JP2004/017289 WO2005049940A1 (ja) 2003-11-21 2004-11-19 床面仕上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885A KR20060115885A (ko) 2006-11-10
KR101046956B1 true KR101046956B1 (ko) 2011-07-07

Family

ID=3461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730A KR101046956B1 (ko) 2003-11-21 2004-11-19 바닥면 마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24138B2 (ko)
JP (1) JP3892029B2 (ko)
KR (1) KR101046956B1 (ko)
CN (1) CN100432355C (ko)
AU (1) AU2004290744B2 (ko)
HK (1) HK1100962A1 (ko)
WO (1) WO20050499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39B1 (ko) * 2013-04-10 2013-10-29 선일공업 (주) 경량콘크리트 바닥면 마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0139448A (ru) * 2008-02-27 2012-04-10 Сомеро Энтерпрайзиз, Инк. (Us) Бетоноотд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851345B2 (en) * 2008-03-19 2010-12-14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oxide layer on signal traces for electrical isolation in fine pitch bonding
JP5545521B2 (ja) * 2009-12-03 2014-07-09 和男 伊計 押え仕上げ器具及びコンクリート仕上げ装置
KR101036921B1 (ko) * 2010-12-29 2011-05-25 김흠 맨홀 덮개 주변부 마감장치
US8414220B1 (en) * 2012-02-09 2013-04-09 Josei Techno Co., Ltd. Apparatus for flattening floor
TWM435472U (en) * 2012-05-01 2012-08-11 Ming-Zheng Bai Concrete floor leveler
JP6017488B2 (ja) * 2014-04-01 2016-11-02 有限会社上成工業 床面仕上げ装置
CN104328918B (zh) * 2014-11-24 2017-03-29 玛狮工程机械(合肥)有限公司 一种电动抹光机抹盘调速机构
CN106869427A (zh) * 2015-12-26 2017-06-20 日本Sk化研株式会社 覆膜形成方法
TWI588340B (zh) * 2016-02-01 2017-06-21 白明正 混凝土地面鏝光機抹平裝置
CN107119894B (zh) * 2016-02-25 2019-08-16 白明正 混凝土地面镘光机抹平装置
AU2017341672B2 (en) * 2016-10-12 2023-05-25 Rhino Floats Pty Ltd Concreting tools
CN106760449A (zh) * 2017-01-21 2017-05-31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远距离抹平泥浆面的装置
CN106968425A (zh) * 2017-04-25 2017-07-21 柳州三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建筑地面的收光机
CN107762124A (zh) * 2017-10-19 2018-03-06 长沙市凤英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地坪抹光装置
US11501786B2 (en) 2020-04-30 2022-11-1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lementing partially readable and/or inaccurate codes in media
CN111926656A (zh) * 2020-09-08 2020-11-13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刀装置以及抹平设备
JP2022063671A (ja) * 2020-10-12 2022-04-22 有限会社上成工業 床面仕上げ装置
CN112900800B (zh) * 2021-01-19 2022-09-09 湖南熊熊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墙面脱粉现象的刮刀及其施工方法
CN113638292A (zh) * 2021-09-06 2021-11-12 中建中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土建用抹光机
CN115012629B (zh) * 2022-06-02 2023-06-06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具有防空鼓机构的铺贴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4397B1 (en) * 1999-12-28 2001-07-24 Charles Majewski Dual trowel blad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0883A (en) * 1954-03-08 1959-08-25 Garlinghouse Brothers Device for kneading and surfacing plastic material
US3374717A (en) * 1966-06-27 1968-03-26 John L. Reynolds Jr. Power float
JPS545841B2 (ko) 1973-11-02 1979-03-22
JPS5045025U (ko) * 1973-08-24 1975-05-07
JPS5045025A (ko) 1973-08-29 1975-04-22
JPS5241960Y2 (ko) * 1973-11-02 1977-09-22
JPS6255373A (ja) * 1985-09-04 1987-03-1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コンクリ−ト均し装置
US4848960A (en) * 1987-04-15 1989-07-18 Shimizu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Finishing machine for a concrete surface
US4925341A (en) * 1989-03-20 1990-05-15 Neal Harold L Replaceable cement-trowel blade trailing edge
CN2055514U (zh) * 1989-06-09 1990-04-04 黄明武 电动抹灰缝机
JP2921195B2 (ja) 1991-08-28 1999-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触媒コンバータ用担体の製造方法
US5379479A (en) * 1992-12-31 1995-01-10 Nelson; Jim L. Adhesive spreader
JPH0893212A (ja) * 1994-09-27 1996-04-09 Yoshio Naruse 回転式動力鏝の鏝板取付け構造
JP3540402B2 (ja) 1994-12-28 2004-07-07 株式会社間組 経時硬化性流動体からなる床面の仕上げ装置
US6089786A (en) * 1997-01-15 2000-07-18 Allen Engineering Corp. Dual rotor riding trowel with proportional electro-hydraulic steering
US6106193A (en) * 1997-01-15 2000-08-22 Allen Engineering Corporation Hydraulically driven, multiple rotor riding trowel
US5909981A (en) * 1997-08-25 1999-06-08 Neuber Concrete, A Division Of J. F. Neuber Jr. General Contractor, Inc. Bump cutting for wide-pour concrete floors
JP3357893B2 (ja) * 1999-12-24 2002-12-16 独立行政法人 航空宇宙技術研究所 路面摩擦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US6585451B2 (en) * 2001-10-09 2003-07-01 Ross Wynings Hydraulic drive split lawn roller
JP2004225523A (ja) 2002-11-28 2004-08-12 Yasushi Nishimura コンクリート床面仕上げ機及び仕上げ機用押さえ鏝
US7140804B2 (en) * 2003-06-25 2006-11-28 Rock N Roller, Llc Concrete stamp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4397B1 (en) * 1999-12-28 2001-07-24 Charles Majewski Dual trowel blad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39B1 (ko) * 2013-04-10 2013-10-29 선일공업 (주) 경량콘크리트 바닥면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0962A1 (en) 2007-10-05
JPWO2005049940A1 (ja) 2007-06-07
US20070071553A1 (en) 2007-03-29
KR20060115885A (ko) 2006-11-10
JP3892029B2 (ja) 2007-03-14
AU2004290744A1 (en) 2005-06-02
WO2005049940A1 (ja) 2005-06-02
AU2004290744B2 (en) 2009-05-21
CN100432355C (zh) 2008-11-12
US7524138B2 (en) 2009-04-28
CN1882754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956B1 (ko) 바닥면 마감장치
CN109742690B (zh) 电缆敷设辅助装置
US6374569B1 (en) Vibrating screed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9659879B (zh) 电缆固定机构及电缆敷设辅助装置
US20140286707A1 (en) Self-propelled, powered roller screed device
WO2015151351A1 (ja) 床面仕上げ装置
US10363883B2 (en) Road finishing machine with retainer device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a sensor unit
US5909981A (en) Bump cutting for wide-pour concrete floors
FI93525B (fi) Menetelmä auton korin oikaisemiseksi ja oikaisulaite menetelmän soveltamiseksi
US5638656A (en) Concrete smoothing apparatus
JP2021042529A (ja) 切断装置
US7418959B2 (en) Concrete saw handle bars
JP6418931B2 (ja) 高所作業車
JP2753451B2 (ja) スライド式ダブルフック
JP2021059057A (ja) ミキサー車用の延長シュート
JP2020165288A (ja) 床面施工機
KR200409336Y1 (ko) 착탈이 용이한 자동용접주행장치
JP4390232B2 (ja) 削孔機
CN220362282U (zh) 一种汽车零部件翻转工装
CN209767125U (zh) 电缆固定机构及电缆敷设辅助装置
JP4731209B2 (ja) 床面仕上げ装置
JPH0621497Y2 (ja) 鉄塔のアーム部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装置
NL2033220B1 (en) Vibratory screed device with a quick release mechanism
CA2113147A1 (en) Motion controller handrest with lever lock
CN216690429U (zh) 一种板材安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