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855B1 -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 Google Patents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855B1
KR101046855B1 KR1020040039113A KR20040039113A KR101046855B1 KR 101046855 B1 KR101046855 B1 KR 101046855B1 KR 1020040039113 A KR1020040039113 A KR 1020040039113A KR 20040039113 A KR20040039113 A KR 20040039113A KR 101046855 B1 KR101046855 B1 KR 10104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mmon contact
common
main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488A (ko
Inventor
오바타히로유키
도이다케타로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중계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 1, 제 2의 접속단자가 장착된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01∼208)와,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50)가 배열 설치된 본체 커넥터(11)를 구비하고, 이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50)에 접속되는 제 3의 접속단자 및 그 제 2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제 4의 접속단자를 장착하고, 커먼 콘택트(50)와 제 3의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또한 본체 커넥터(11)와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각 분기 커넥터(201∼208)의 제 l의 접속단자가 각각 커먼 콘택트(50)에 접속되며, 제 2의 접속단자가 제 4의 접속단자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Relay connection circuit and relay connector}
도 l은 본 발명의 중계 접속 회로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체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정면도, 도 3의 (c)는 배면도.
도 4는 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의 (a)는 정면도, 도 4의 (b)는 우측면도, 도 4의 (c)는 평면도, 도 4의 (d)는 저면도, 도 4의 (e)는 좌측면도.
도 5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5의 (a)는 A-A선의 단면도, 도 5의 (b)는 B-B선의 단면도.
도 6은 단락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6의 (a)는 정면도, 도 6의 (b)는 우측면도, 도 6의 (c)는 평면도, 도 6의 (d)는 저면도, 도 6의 (e)는 배면도.
도 7은 도 6의 (a)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7의 (a)는 A-A선의 단면도, 도 7의 (b)는 B-B선의 단면도, 도 7의 (c)는 단락 콘택트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2개의 커먼 콘택트를 나타내고, 도 8의 (a)는 한쪽의 커먼 콘택트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측면도, 도 8의 (c)는 다른 커먼 콘택트의 평면도, 도 8의 (d)는 그 측면도.
도 9는 중계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9의 (a)는 평면도, 도 9의 (b)는 정면도, 도 9의 (c)는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중계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0의 (a)는 도 9 (b)의 A-A선의 단면도, 도 10의 (b)는 B-B선의 단면도, 도 10의 (c)는 C-C선의 단면도, 도 10의 (d)는 D-D선의 단면도, 도 10의 (e)는 전원 단자의 외관 사시도, 도 10의 (f)는 신호 단자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9 (c)의 E-E 선의 단면도,
도 12는 공작 기계와 복수의 센서 사이에 있어서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접속 회로를 나타내며, 도 12의 (a)는 일예의 접속 회로, 도 12의 (b)는 다른 접속 회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계 커넥터 11 : 본체 커넥터
11a : 앞 벽면 11b : 뒤 벽면
201∼208 : 분기 커넥터
21d1, 21f1 : 오목 형상 홈(위치 결정 수단)
30 : 단락 커넥터 35 : 단락 콘택트
50, 501, 502 : 커먼 콘택트 601, 602 : 전원 단자
60' : 신호 단자 7Ol, 7O2 : 전원 단자
70' : 신호 단자 l0Oc : 중계 접속 회로
102c : 기판 커넥터 103l∼1O38 : 전원 공급 선
1041∼1048 : 신호선
본 발명은,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하는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작 기계는, 그 주위에 많은 센서가 설치되며, 이들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공작 기계 내에 설치된 기판 커넥터와 각 센서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전원 공급선(이하, 전원선이라 한다.) 및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전원선 및 신호선은, 공작 기기 등이 근래 다기능화됨에 따라 그 개수도 증대하고 있다.
도 12는, 공작 기계와 복수의 센서 사이에 있어서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주지의 접속 회로를 나타내며, 도 12의 (a)는 일례의 접속 회로, 도 12의 (b)는 다른 접속 회로이다.
접속 회로(100A)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작 기계 내에 설치된 기판 커넥터(l02A)가 플러그형 커넥터(102a)와 소켓형 커넥터(102b)로 이루어지며, 플러그형 커넥터(102a)에 복수개의 전원선(103l∼l038) 및 신호선(1041∼l048)이 각각 접속되고, 그들의 선단부가 복수개의 센서(S1∼S8)에 접속된 것이다.
이 접속 회로에서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센서(S1∼S8)에 2개의 전원선과 1개의 신호선이 접속된 8개의 센서를 기판 커넥터(102A)에 접속하려고 하면, 기판 커넥터(102A)의 플러그형 커넥터(102a) 및 소켓형 커넥터(102b)는, 각각 24개의 콘택트가 필요해진다. 한편, 각 센서(S1∼S8)와 플러그형 커넥터(l02a)와의 사이에도, l6개의 전원선과 8개의 신호선이 필요해진다.
물론, 신호선이 1개가 아니고 복수 개로 되어서 센서의 개수가 증가하면, 그 만큼, 신호선의 개수도 증대하고, 이에 따라 기판 커넥터도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도 l2의 (b)에 나타내는 접속 회로(100B)에서는, 각 센서(S1∼S8)와 기판 커넥터(102B)와의 사이에, 중계 커넥터(105l∼1058)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접속 회로에 있어서도, 상기 접속 회로(l00A)와 동일한 개수의 전원선 및 신호선이 필요해지고, 그것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일은 없다.
또, 아래와 같은 특허 문헌 1에는 크로스오버 배선(crossover wiring)을 배열 설치한 분기 커넥터를 사용한 전기 회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전기 회로는 띠 형상의 공통 도체부(크로스오버 배선)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제 1, 제 2의 탭 콘택트가 형성된 평판의 분기 도체가 배열 설치된 분기 커넥터를 사용하며, 제 1의 탭 콘택트에 전원선을 접속하고, 제 2의 탭 콘택트에 복수개의 전기 부품을 접속한 것이다.
이 전기 회로에 의하면, 전원선으로부터 공통 도체를 거쳐서 복수개의 전기 부품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 특허 문헌 1 > : 특개평 9-115626 공보(도 7,제 4면 좌측란).
그러나, 상기 주지의 접속 회로에서는 전원선이 대단히 많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기판 커넥터의 콘택트 수도 많아져서 대형의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반면, 공작 기계 등은 매년 다기능화와 함께 소형화되고, 회로 기판에는 복수의 부품 및 이들 부품을 접속하는 배선이 복잡하게 둘러쳐져서, 대형 커넥터를 실장할 수 있는 스페이스의 확보가 극히 곤란한 설계 환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공작 기계 등은, 다기능화와 함께 소형화될 경향에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접속 회로를 사용한 설계가 해마다 곤란한 상황으로 되고 있다.
이 과제는,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분기 커넥터를 사용해도 해결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분기 커넥터는 크로스오버 배선을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하여 분기 접속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선, 예를 들면 전원선 및 신호선 등의 접속 회로를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주변 기기에 있어서의 회로 설계를 용이하게 한 중계 접속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중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중계 접속 회로는, 주 기기 등에 설치된 기판 커넥터와 복수개의 서브 기기와의 사이에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를 갖는 중계 커넥터를 배열 설치하고, 이 중계 커넥터와 이 복수개의 서브 기기를 이 서브 기기마다 제 1, 제 2의 접속선으로 접속하고, 이 제 l의 접속선(전원선(1031~1038))을 각각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하고, 이 커먼 콘택트 및 이 제 2의 접속선(신호선(1041~1048))을 이 기판 커넥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먼 콘택트는 단락 커넥터를 상기 중계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기판 커넥터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계 접속 회로에 의하면, 제 l의 접속선(전원선(1031~1038))을 커먼 콘택트에 접속하고, 이 커먼 콘택트 및 제 2의 접속선(신호선(1041~1048))을 기판 커넥터에 접속하므로, 중계 커넥터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 단락 커넥터를 중계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커먼 콘택트가 기판 커넥터에 접속되므로, 단락 커넥터의 착탈에 의하여, 회로의 절단·접속이 가능하다. 또, 제 1, 제 2의 접속선에는 다른 종류의 접속선, 예를 들면 전원선 및 신호선 등을 사용하여 접속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는, 제 1, 제 2의 접속단자가 장착된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와,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가 배열 설치된 본체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 하우징 안에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되는 제 3의 접속단자 및 이 제 2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제 4의 접속단자를 장착하고, 이 커먼 콘택트와 이 제 3의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다시 이 본체 커넥터와 이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이 각 분기 커넥터의 제 1의 접속단자가 각각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되고, 이 제 2의 접속단자가 이 제 4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중계 커넥터에 의하면, 본체 커넥터의 한 측면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먼 콘택트는, 띠 형상의 판체 기부로부터 복수개의 탭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임립(林立)하고 거의 빗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커먼 콘택트는, 복수개가 상기 본체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먼 콘택트는 한 쌍의 동일 형상의 커먼 콘택트로 형성되고, 한쪽의 커먼 콘택트는 기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었을 때, 한쪽의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 선단이 다른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 커먼 콘택트와 제 3의 접속단자가 단락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며, 상기 단락 커넥터는 본체 커넥터의 앞 벽면 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커먼 콘택트를 사용하면, 다른 형상의 커먼 콘택트를 1 종류의 커먼 콘택트를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단락 커넥터는, 본체 커넥터의 앞 벽면 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므로, 단락 커넥터의 착탈이 간단하게 된다. 또, 단락 커넥터의 착탈에 의하여, 전기 회로의 회로의 절단·접속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또, 상기 복수의 분기 커넥터는 각각의 하우징 외주 벽면에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구멍에 각각 위치 결정되어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분기 커넥터는 각각 개별의 위치 결정 수단이 설정됨으로써, 본체 커넥터에 잘못하여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l은 본 발명의 중계 접속 회로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접속 회로(100C)는, 중계 커넥터(10)를 사용하여 기판 커넥터(102c)로부터 복수의 기기, 예를 들면 센서(S1∼S8)에 전력의 공급 및 신호의 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중계 커넥터(10)는 그 일 측단이 전원선(103) 및 신호선(1041∼1048)에 의하여 기판 커넥터(l02c)에 접속되고, 다른 측단에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01∼208)가 설치되고, 이들 분기 커넥터가 전원선(lO31∼1038, 제1 접속선) 및 신호선(1041∼1048, 제2 접속선)에 의하여 센서(S1∼S8)에 접속된다.
중계 커넥터(10) 안에는, 커먼 콘택트(5O1, 502)가 배열 설치되고, 이들 커먼 콘택트(5O1, 502)에 각 센서(Sl∼S8)의 전원선(103l∼1038)이 각각 접속된다. 이들 커먼 콘택트(5O1, 502)는, 단락 커넥터(30)의 결합에 의하여 2개의 전원선(103a, 103b)과 접속되며, 기판 커넥터(102c)에 접속된다. 중계 커넥터(10)와 기판 커넥터(102c)는 각각 신호선(104l∼1048)에 의하여 접속된다.
삭제
이 접속 회로(100C)에 의하면, 복수 센서(S1∼S8)의 전원선(103l∼1038)은 각각 커먼 콘택트(5O1, 5O2)에 접속되고, 이들 커먼 콘택트(5O1, 5O2 )가 기판 커넥터(102c)에 접속되므로, 중계 커넥터(10)와 기판 커넥터(102c) 사이의 전원선은 2개로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접속 회로와 비교하면, 전원선의 개수는 16개로부터 2개로 감소하고 있다. 또, 기판 커넥터의 콘택트도 종래 24개를 필요로 하고 있던 것이 10개로 되므로, 결과로서 기판 커넥터도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기판 공간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지므로 회로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한, 전원선 및 신호선의 개수는, 상기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회로 설계에 따라 임의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개수를 선택해도 상기의 중계 접속 회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 사이의 전원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중계 커넥터(l0)는, 본체 커넥터(11)와 이 본체 커넥터(11)의 앞 벽면(11a)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O1∼208) 및 단락 커넥터(30)와, 뒤 벽면(11b)에 설치되는 커먼 콘택트(50) 및 접속단자(60)로 이루어진다.
본체 커넥터(11)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에 따라 그 앞 벽면(11a)에 복수개의 개구구멍(11a0∼11a8)이 형성되며, 그들 개구구멍에 분기 커넥터(2O1∼208)및 단락 커넥터(30)가 삽입된다.
각 분기 커넥터(2O1∼208) 및 단락 커넥터(30)의 하우징에는, 각각 작은 개구구멍이 형성되며, 이들 작은 개구구멍에는 접속단자(70)가 설치된다. 즉, 각 분기 커넥터(2O1∼208)에는, 각각 3개의 접속단자(70)(도 2에서는 1개만 도시)가 장착된다. 3개의 접속단자 중 2개는 전원 단자, 나머지 1개는 신호 단자로서 사용된다. 또, 단락 커넥터(30)에는 단락 콘택트(35)가 장착된다.
본체 커넥터(11)의 뒤 벽면(11b)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2개의 오목 형상 홈과 복수개의 작은 개구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오목 형상 홈에 커먼 콘택트(50)가, 작은 개구구멍에 접속단자(60)(도 2에서는 1개만 도시)가 각각 장착된다. 이들 접속단자(60)는 후술하겠지만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계 커넥터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부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체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정면도, 도 3의 (c)는 배면도이다.
본체 커넥터(11)는, 앞 벽면(11a), 뒤 벽면(11b), 위 벽면(11c), 바닥 벽면 (11d), 우측 벽면(11e) 및 좌측 벽면(11f)을 갖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된다. 그 하우징의 외부 주위에는, 앞 벽면(11a)의 부근에 소정 폭길이로 돌출한 플랜지(1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2)의 양단부에 기기 장착용의 설치구멍(12a, 12b)이 형성된다. 또, 본체 커넥터의 위 벽면(11c)에는, 장착될 분기 커넥터(2O1∼208), 단락 커넥터(30) 및 각 접속단자(60, 70)를 나타내는 기호가 붙여져 있다. 부여된 기호 중 P는 단락 커넥터를, P1, P2는 전원 단자를, 그리고 S1∼S8은 분기 커넥터 또는 신호 단자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 커넥터의 앞 벽면(11a)에는,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0l∼208)와 1개의 단락 커넥터(3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개구구멍(11a0∼11a8)이 형성되고, 이들 개구구멍 중, 좌측단부의 개구구멍(11a0)에는, 단락 커넥터(30)가 삽입되며 그 밖의 개구구멍(11a1∼11a8)에는 각각 분기 커넥터(2O1∼208)가 삽입된다. 각 개구구멍(11a0∼11a8) 안에는, 각각 삽입될 커넥터가 잘못하여 다른 개구구멍에 삽입할 수 없도록 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개구구멍(11a0)에서는 양측의 내벽에 선형상의 리브(130, 13'0)가 형성된다. 또, 다른 개구구멍에서도 동일하게 리브가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개구구멍(11a3)에서는 리브(133, 13'3)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체 커넥터의 뒤 벽면(11b)에는, 2개의 오목 형상 홈(13a, 13b)과 복수개의 작은 개구구멍(14a, 14b, 141∼148)이 형성된다. 각 오목 형상 홈(13a, 13b)에는 커먼 콘택트(5O1, 502)가 각각 장착된다(도2 참조).
또, 각 작은 개구구멍(14a, 14b, 141∼148) 중, 작은 개구구멍(14a, 14b)에는 전원 단자(601, 602, 도 10 참조)( 기호 P1, P2가 부여되어 있다.)가 삽입되고, 다른 작은 개구구멍(141∼148)에는 신호 단자(60', 도 10 참조)가 삽입된다. 또한, 오목 형상 홈(13a, 13b) 및 복수개의 작은 개구구멍(14a, 14b, 141∼148) 안에는, 각 접속단자가 고정되는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은 도 11에 나타나 있다.
도 4는 분기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4의 (a)는 정면도, 도 4의 (b)는 우측면도, 도 4의 (c)는 평면도, 도 4의 (d)는 저면도, 도 4의 (e)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5의 (a)는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B-B 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의 단면도는 접속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0)는, 각각 거의 동일 형상의 하우징으로부터 형성되고 있으므로, 그 하나의 하우징(21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다른 하우징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하우징(213)은, 앞 벽면(2la), 뒤 벽면(21b), 위 벽면(21c), 바닥 벽면(21d), 좌측 벽면(2le) 및 우측 벽면(21f)으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직사각체적의 작은 상자 형상을 이루고,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우징의 위 벽면(2lc)에는 도 4의 (c)에 나타낸 것처럼, 기호 '3'이 부여되고,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201∼208) 중, 본체 커넥터(11)의 개구구멍(11a3)에 삽입되는 분기 커넥터(2O3)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위 벽면(21c)에는, 본체 커넥터(11)와 계합하는 계지 수단이 형성된다. 이 계지 수단은 도 4의 (c) 및 도 5의 (a)에 나타낸 것처럼, 탄성편(2lc1)과 이 탄성편(2lc1)의 도중에 형성된 계지 폴(2lc2)과, 탄성편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부(2lc3)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13)의 우측 벽면(21f) 및 바닥 벽면(21d)에는, 본체 커넥터 개구구멍 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리브(133, 13'3)에 끼워져 들어가는 오목 형상 홈(21f1, 21d1)이 형성된다. 이들 오목 형상 홈(21f1, 2ld1)은 각 분기 커넥터의 하우징(211∼218)마다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본체 커넥터 개구구멍 내의 위치 결정 리브와 대응하여, 잘못된 개구구멍에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 결정 키(key)로서 기능 한다.
하우징의 측 벽면 및 바닥 벽면의 오목 형상 홈 및 노치 단차부의 위치를 임의로 조합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의 위치 결정 키가 가능해진다. 또, 바닥 벽면의 노치 단차부는 오목 형상 홈이라도 무방하다.
각 분기 커넥터의 하우징(211∼218)은, 이 위치 결정 키로 되는 오목 형상 홈 및 노치 단차부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하우징(213)은 그 앞 벽면(21a)의 외주에 소정 폭의 플랜지(21a1)가 설치되고, 또 그 앞 벽면(21a)에 4개의 개구구멍(22a∼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구멍(22a∼22d) 중, 도 5의 (a), (b)에 나타낸 것처럼, 3개의 개구구멍(22a∼22c)은 앞 벽면(21a)으로부터 뒤 벽면(21b)으로 관통하고, 나머지 개구구멍(22d)은 뒤 벽면(21b)이 폐쇄 되어있다. 뒤 벽면(21b) 측에서의 관통구멍(22a1∼22c1)의 출구는, 좁아져 작은 개구로 되어서, 이들 개구(22a2∼22c2)에 각 접속단자의 탭 콘택트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또, 관통구멍(22a1∼22c1) 안에는, 접속단자를 걸어맞춤하는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구멍(22a∼22c) 중, 개구구멍(22a)에는 신호선이 접속된 접속단 자(70')가 장착되고, 각 개구구멍(22b, 22c)에는, 전원선이 접속된 전원 단자(701, 702)가 장착된다. 전원선 및 신호선의 접속단자(7O, 70')는, 도 1O의 (e)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한 타입의 암형 콘택트에 각각 전원선 및 신호선이 접속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전원선 및 신호선의 접속단자는 다른 타입의 것이라도 된다.
도 6은 단락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6의 (a)는 정면도, 도 6의 (b)는 우측면도, 도 6의 (c)는 평면도, 도 6의 (d)는 저면도, 도 6의 (e)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7의 (a)는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B-B 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 단면도는, 단락 콘택트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락 커넥터(30)는 상기 분기 커넥터와 거의 동일한 세로로 긴 직사각형체의 작은 상자 형상을 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재에 의해 성형된다. 이 하우징(31)은 앞 벽면(31a),뒤 벽면(31b),위 벽면(31d), 바닥 벽면(31c), 우측 벽면(31e) 및 좌측 벽면(31f)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의 바닥 벽면(31c)에 본체 커넥터(11)와 걸어맞춤하는 계지 수단이 형성된다. 이 계지 수단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탄성편 (31c1)과 이 탄성편의 선단에 형성된 계지 폴(31c2)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의 앞 벽면(3la)에는, 단락 콘택트의 두께보다 약간 폭이 넓은 오목 형상 홈(31a1, 31a2)이 앞 벽면(31a)으로부터 뒤 벽면(31b)을 향하여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다. 각 오목 형상 홈(31a1, 31a2)은 도 7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앞 벽면(3la)으로부터 뒤 벽면(31b)을 향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뒤 벽면(3lb) 부근의 폭협부(3l'a1, 31'a2)는, 단락 콘택트를 압입 고정할 수 있는 폭 길이로 형성된다.
뒤 벽면(31b)에는, 각 오목 형상 홈(31a1, 31a2)에 대응하여 뒤 벽면(31b)에 연통하는 각각 2개의 개구구멍(31f1, 31f2, 31e1, 31e2)이 형성된다. 또, 각 오목 형상 홈(3la1, 31a2)의 배면 부근으로부터, 각 측벽면(31f, 31e)을 향해서도 외부로 연통하는 개구구멍 (31'e1, 3l'e2)(또한, 다른 측벽면(31f)에도 개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이 형성된다. 이들 개구구멍은 단락 콘택트가 오목 형상 홈의 바닥부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 창(窓)으로서 기능한다.
각 단락 콘택트는 동일 형상을 가지므로, 그 하나를 도 7의 (c)에 나타낸다. 단락 콘택트(35)는 대향한 2개의 포크 형상 콘택트(37a1, 37a2 와 37b1, 37b2)가 쌍으로 되어서, 즉 4개의 포크형상 콘택트(37a1, 37a2와 37b1, 37b2)가 기부(36)로부터 임립(林立:bristle)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다. 기부(36)는, 소정의 폭 길이를 가지며 기부(36)의 단부로부터 콘택트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단락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고, 이 단락 콘택트가 단락 하우징(31) 안에 수납될 때에, 단락 콘택트(35)의 선단부가 하우징의 앞 벽면으로부터 약간 들어간 상태에서 수납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2개의 단락 콘택트(35, 35')(도 7에서는 한쪽 35만 도시)를 상기 각 오목 형상 홈(31a1, 31a2) 안에 장착한다. 단락 콘택트(35)가 각 오목 형상 홈(31a1, ,31a2) 안에 삽입되면, 각 오목 형상 홈(31a1, 3la2)은, 앞 벽면(3la)으로부터 뒤 벽면(31b)을 향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뒤 벽면(31b) 부근의 폭협부(3l'a1, 31'a2)가 단락 콘택트를 압입할 수 있는 폭 길이로 형성되므로, 이들의 홈내에 압입 고정된다. 그리고, 각 단락 콘택트가 각 오목 형상 홈내에 적절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는, 하우징 뒤 벽면의 개구구멍 및 각 측벽면의 개구구멍을 들여다보는 것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2개의 커먼 콘택트를 나타내며, 도 8의 (a)는 한쪽의 커먼 콘택트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측면도, 도 8의 (c)는 다른 커먼 콘택트의 평면도, 도 8의 (d)는 그 측면도이다.
2개의 커먼 콘택트(50)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플러스용, 마이너스용으로 나누어지고, 2개의 커먼 콘택트(5O1, 502)로 이루어지며, 거의 동일 형상을 가지고, 도전성 띠 형상 금속판으로부터 펀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우선, 각 커먼 콘택트(5O1, 502)의 공통 부분을 설명한다.
각 커먼 콘택트(5O1, 502)는, 도 8의 (a), (c)에 나타낸 것처럼, 거의 빗살형상을 이루어 소정의 폭 길이로 이루어지는 기부(51)로부터 복수개의 탭 콘택트(52a1∼52a9와 52'a1∼52'a9)가 동일 간격으로 임립하여 형성된다.
기부(51)는, 소정의 폭길이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을 하고, 이 띠 형상 조각 위에 거의 등간격으로 개구(51a1∼5la9)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탭 콘택트는, 본체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 그 선단부가 본체 커넥터의 앞 벽면에 근접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탭 콘택트의 도중에는 본체 커넥터에 걸어맞춤하는 돌기(52b1∼52b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커먼 콘택트(501, 502)는, 이하의 부분에서 다르게 되어 있다.
한쪽의 커먼 콘택트(501)는, 각 탭 콘택트(52a1∼52a9)가 기부(51)로부터 곧바로 뻗어 있으나(도 8의 (b) 참조), 다른 커먼 콘택트(502)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는 기부(51) 부근에서 단차부(段部)가 형성되어서 절곡되어 있다. 즉, 이 절곡부(52c)는 도 8의 (d)에 나타낸 것처럼, 각 탭 콘택트(52'a1∼52'a9)가, 기부(51)로부터 거의 90도로 절곡되고, 그 선단이 다시 거의 90도로 절곡되어서 거의 계단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커먼 콘택트(501, 502)를 비교하면, 커먼 콘택트(502)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는 다른 커먼 콘택트(501)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보다, 기부(5l)로부터 각 콘택트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절곡한 분만큼 짧게 되어 있다. 상기 각 커먼 콘택트(501, 502)는, 본체 커넥터의 하우징 안의 오목 형상 홈(13a, 13b)에 각각 압입 장착된다.
이하, 이들 부품을 사용한 중계 커넥터의 조립 및 이 중계 커넥터를 사용한 접속 회로의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이들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한 중계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9의 (a)는 평면도, 도 9의 (b)는 정면도, 도 9의 (c)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중계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10의 (a)는 도 9의 (b)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10의 (c)는 C-C선의단면도이고, 도 10의 (d)는 D-D선의 단면도이다. 이들 단면도는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의 (e)는 분기 커넥터용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의 외관 사시도, 도 10의 (f)는 본체 커넥터용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c)의 E-E선의 단면도이다.
우선, 본체 커넥터(11)의 뒤 벽면(11b)의 오목 형상 홈(l3a, 13b)에 2개의 커먼 콘택트(5O1, 502)를 각각에 압입 장착한다.
각 커먼 콘택트(5O1, 502)를 각각 오목 형상 홈(13a, 13b)에 압입 장착하면, 기부(51)에 형성된 동일 간격의 개구(51a1∼51a9)가 오목 형상 홈(13a, 13b) 안의 돌기(도시 생략)에 끼워 들어가 위치 결정 고정되고, 또한 계지 돌기(52b1∼52b9)도 오목 형상 홈(13a, 13b) 안에 압입되어서 각 콘택트(52a1∼52a9와 52'a1∼52'a9)가 각각 오목 형상 홈(13a, 13b)에 고정된다.
각 커먼 콘택트(5O1, 502)가 오목 형상 홈(13a, 13b)에 장착되면, 한쪽의 커먼 콘택트(502)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는, 다른 커먼 콘택트(50 1)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보다, 기부(51)로부터 각 탭 콘택트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절곡한 분만큼 짧아져 있으므로, 오목 형상 홈(13a, l3b)안에 장착된 상태라도, 한쪽의 각 탭 콘택트(52a1∼52a9)는 다른 각 탭 콘택트(52'a1∼52'a9)보다 각 선단이 앞 벽면의 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된다(도 11 참조). 따라서, 각 탭 콘택트(52a1∼52a9 및 52'a1∼52'a9)에 분기 커넥터(20l∼2O8)가 결합될 때, 분기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사이에서 시간차를 가지고 접속되게 된다.
커먼 콘택트를 장착한 본체 커넥터는 이하에 의해 기판 커넥터 및 복수의 기기와 접속한다.
본체 커넥터(11)와 기판 커넥터(도시 생략)와의 접속은, 미리 기판 커넥터에 접속된 전원선 및 신호선의 선단에 각각 전원 단자(60l, 602) 및 신호 단자(60')를 접속하고, 이들 전원 단자(60l, 602) 및 신호 단자(60')를 본체 커넥터(11)의 복수개의 작은 개구구멍(14a, 14b, 14l∼l48)에 장착함으로써 행한다.
즉, 작은 개구구멍(14a, 14b, 14l∼l48) 중, 작은 개구구멍(14a, l4b)에, 전원 단자(60l, 602)(기호 Pl,P2가 붙여져 있다)를 삽입하고, 작은 개구구멍(14l ∼l48)에 신호 단자(60')를 삽입한다.
2개의 전원 단자(60l, 602) 및 신호 단자(60')가 장착되면, 이미 본체 커넥터(11)의 뒤 벽면(11b)에 2개의 커먼 콘택트(50l, 50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본체 커넥터(11)의 앞 벽면(11a)의 각 개구구멍(11a0∼11a8) 안에는, 커먼 콘택트(50l, 502), 전원 단자(60l, 602) 및 신호 단자(60')의 각각의 탭 콘택트가 돌출하고, 분기 커넥터 및 단락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개구구멍(11a0) 안에는, 각 커먼 콘택트(50l, 502)의 탭 콘택트(52a l, 52'a1)와 각 전원 단자(60l, 602)의 탭 콘택트와의 4개의 콘택트가 돌출한다.
이 배열은, 커먼 콘택트(50l, 502), 탭 콘택트(52al, 52'a1)가 상단에서 병렬하여 배열되고, 2개의 전원 단자(60l, 602)의 탭 콘택트(도시 생략)가 하단에서 병렬하여 배열된다.
또,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장착한 본체 커넥터는, 이하에 의해 복수의 기기에 접속한다.
우선, 단락 커넥터(30)를 본체 커넥터(11)에 설치한다. 단락 커넥터(30)를 상기와 같이 탭 콘택트가 배열된 개구구멍(11a0)에 장착하면, 도 lO의 (a), (b)에 나타낸 것처럼, 한쪽의 단락 콘택트(35)의 한쪽의 콘택트(37a1, 37a2)(도시 생략)는, 각 탭 콘택트(52a1, 52'a1)에, 다른 쪽의 콘택트(37b1, 37b2)는, 각 탭 콘택트에 접속된다. 또, 다른 단락 콘택트도 똑같이 하여 결합한다. 이 단락 커넥터의 장착에 의하여, 각 커먼 콘택트(501, 502)의 콘택트(52al,52'a1)와 전원 단자(601, 60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된다. 이 단락 커넥터(30)는 도 7에 나타내는 계지 폴(31c2)을 공구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본체 콘택트(11)의 개구구멍(11a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복수개의 기기에 접속된 전원선 및 신호선의 선단에 각각 전원 단자(601, 602) 및 신호 단자(6O')를 각 분기 커넥터(201∼206)에 접속하고, 이들 분기 커넥터를 본체 커넥터 앞 벽면의 각 개구구멍(11a1∼11a8)에 각각 삽입한다.
각 분기 커넥터(2O1∼208) 및 단락 커넥터(30)에는, 위치 결정 키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잘못하여 다른 개구구멍에 삽입되는 일이 없고, 또, 본체 커넥터 및 각 커넥터에 각각 식별용의 기호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일치하는 개구구멍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각 개구구멍(11a0∼11a8)에 단락 커넥터(30)및 분기 커넥터(2O1∼208)가 장착되면, 각각은 계지 수단에 의해, 각 개구구멍 내에 계지·고정된다. 또, 각 분기 커넥터(20l∼208)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분기커넥터 하우징(213)의 돌출부(21c3)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분기 커넥터를 본체 커넥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른 분기 커넥터도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본체 커넥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중계 접속 회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주변 기기에 있어서의 회로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 단락 커넥터의 착탈에 의하여 회로의 절단, 접속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의 한쪽으로부터 도출되는 접속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주 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와 복수개의 서브 기기와의 사이에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를 갖는 중계 커넥터를 배열 설치하고, 이 중계 커넥터와 이 복수개의 서브 기기를 이 서브 기기마다 제 l, 제 2의 접속선으로 접속하고, 이 제 1의 접속선을 각각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하고, 이 커먼 콘택트 및 이 제 2의 접속선을 이 기판 커넥터에 접속하며, 상기 커먼 콘택트는, 단락 커넥터를 상기 중계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기판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접속 회로.
  2. 삭제
  3. 제 1, 제 2의 접속단자가 장착된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와, 하우징 안에 커먼 콘택트가 배열 설치된 본체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 하우징 안에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되는 제 3의 접속단자 및 이 제 2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제 4의 접속단자를 장착하고, 이 커먼 콘택트와 이 제 3의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다시 이 본체 커넥터와 이 복수개의 분기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이 각 분기 커넥터의 제 l의 접속단자가 각각 이 커먼 콘택트에 접속되고, 이 제 2의 접속단자가 이 제 4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커먼 콘택트와 상기 제3의 접속단자가 단락 커넥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먼 콘택트는, 띠 형상의 기부로부터 복수개의 탭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임립하여 빗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먼 콘택트는, 복수개가 상기 본체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먼 콘택트는, 띠 형상의 기부로부터 복수개의 탭 콘택트가 소정 피치로 임립(林立:bristle)하여 빗살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본체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먼 콘택트는, 한쌍의 동일 형상의 커먼 콘택트로 형성되고, 한쪽의 커먼 콘택트는 기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었을 때, 한쪽의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 선단이 다른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먼 콘택트는, 한쌍의 동일 형상의 커먼 콘택트로 형성되며, 한쪽의 커먼 콘택트는 기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 안에 배열 설치되었을 때, 한쪽의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 선단이 다른 커먼 콘택트의 탭 콘택트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9. 삭제
  10. 청구항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커넥터는, 본체 커넥터의 앞 벽면 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 커넥터는, 각각의 하우징 외주 벽면에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구멍에 각각 위치 결정되어서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KR1020040039113A 2003-05-30 2004-05-31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KR101046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5436 2003-05-30
JP2003155436A JP2004356057A (ja) 2003-05-30 2003-05-30 中継接続回路及び中継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88A KR20040103488A (ko) 2004-12-08
KR101046855B1 true KR101046855B1 (ko) 2011-07-06

Family

ID=3312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13A KR101046855B1 (ko) 2003-05-30 2004-05-31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4073B2 (ko)
EP (1) EP1482603B1 (ko)
JP (1) JP2004356057A (ko)
KR (1) KR101046855B1 (ko)
CN (1) CN100454685C (ko)
TW (1) TWI287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94B1 (ko) * 2006-06-12 2009-0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4906666B2 (ja) * 2006-11-10 2012-03-28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ー
DE102010009805B4 (de) 2010-03-01 2013-02-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brücke
DE102011001714A1 (de) * 2011-03-31 2012-10-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Querbrücker für eine elektrische Klemme
JP5632420B2 (ja) * 2012-05-07 2014-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間接続構造
JP2014002846A (ja) 2012-06-15 2014-01-09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拡張構造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343860B2 (en) * 2013-01-08 2016-05-1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istribution networks for safety sensors and devices
JP2016207487A (ja) * 2015-04-23 2016-1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806480B1 (en) * 2016-11-28 2017-10-31 Jerome Jablonski Building wiring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WO2018227575A1 (zh) * 2017-06-16 2018-12-20 深圳市得城网络科技有限公司 便捷式中继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19A (ja) * 2001-01-18 2002-08-02 Nichifu Co Ltd Vvfケーブル用中継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984B2 (ja) 1995-10-13 2002-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FR2764445B1 (fr) 1997-06-09 1999-08-20 Entrelec Sa Dispositif d'interconnexion par module(s) a fiches de connexion disposees lineairement et composants mis en oeuvre dans un tel dispositif
US6309244B1 (en) * 1998-07-30 2001-10-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and power shunt contact
CN2383235Y (zh) * 1999-04-13 2000-06-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2002184542A (ja) * 1999-10-25 2002-06-28 Omron Corp センサシステム
JP2003037920A (ja) * 2001-07-24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US6447340B1 (en) * 2001-08-15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790067B2 (en) * 2002-12-17 2004-09-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inger proof power connector
US6699049B1 (en) * 2003-03-26 2004-03-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hous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19A (ja) * 2001-01-18 2002-08-02 Nichifu Co Ltd Vvfケーブル用中継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3702A1 (en) 2005-01-06
EP1482603B1 (en) 2012-01-25
TW200505110A (en) 2005-02-01
US7094073B2 (en) 2006-08-22
EP1482603A3 (en) 2006-01-25
JP2004356057A (ja) 2004-12-16
KR20040103488A (ko) 2004-12-08
EP1482603A2 (en) 2004-12-01
CN100454685C (zh) 2009-01-21
CN1574507A (zh) 2005-02-02
TWI287335B (en) 200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655114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fferential pair terminals with equal length
US10374334B2 (en) Cable connector
JP4177260B2 (ja) モールド形電気コネクタ
US5772452A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US691877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ng circuit boards
EP1895633A1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1046855B1 (ko)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CN103986014A (zh) Usb插座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US7125285B2 (en) Joint connector
US5790660A (en) Shunted modular jack
US6383035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ntaining bus bars
JP5054492B2 (ja) 多極同軸コネクタ
JP6831669B2 (ja) ヒューズモジュール
JP3126066U (ja)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プラグ
JP7248453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469457B2 (ja) ユニット式電子装置
JP2008131843A (ja) 電気接続箱
CN212783906U (zh) 板对线连接器
CN109921249B (zh) 电路体部件、电连接箱以及线束
CN219979879U (zh) 模组连接器
WO2019111694A1 (ja) コネクタ構造体、及び電線用コネクタ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JP4286772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