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809B1 - 학습용 퍼즐 - Google Patents

학습용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809B1
KR101046809B1 KR1020090071138A KR20090071138A KR101046809B1 KR 101046809 B1 KR101046809 B1 KR 101046809B1 KR 1020090071138 A KR1020090071138 A KR 1020090071138A KR 20090071138 A KR20090071138 A KR 20090071138A KR 101046809 B1 KR101046809 B1 KR 10104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display unit
puzzle
word display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597A (ko
Inventor
한동오
Original Assignee
한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오 filed Critical 한동오
Priority to KR102009007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8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09B1/2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and bearing the symbols on a surfac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로 하여금 단어가 기재되어 있는 원통형 퍼즐를 돌려가면서 기재되어 있는 단어로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진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퍼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이 절개되어 제 1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일측에 제 2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본체(100)와, 상기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표식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와, 상기 제 1 통공(110)을 통해 상기 단어 표시부(200)의 표식수단(210)을 캡쳐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인식부(300)와, 상기 인식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식수단(210)을 캡쳐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어 표시부(200) 상의 단어를 인식하여 학습자에 의해 형성된 문장이 정상적인 문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정상적인 문장이 형성된 경우 램프점등 제어신호를 제어부(400)와, 상기 램프점등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되는 램프(500)로 이루어진다.
영어, 학습, 퍼즐, 자석, 오디오, 램프, 멜로디, 조립

Description

학습용 퍼즐{Puzzel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용 퍼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로 하여금 단어가 기재되어 있는 원통형 퍼즐를 돌려가면서 기재되어 있는 단어로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진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퍼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중에서도 그림조각 맞추기 퍼즐은 그림이나 사진을 여러 조각으로 재단하여 그 조각들을 분리시킨 후 다시 끼워 맞추어 원래의 그림이 완성되도록 하는 놀이이다.
이러한, 그림조각 맞추기 퍼즐은 성장기 어린이의 지능발달에 도움이 되므로 놀이용이나 학습용으로 즐겨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에는 퍼즐그림을 달리하거나 퍼즐의 형상을 다양화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퍼즐은 주로 어린이들의 단순 놀이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회생활 과목에 관련된 다양한 학습을 도와줄 수 없었으므로 어린이들에게 놀이의 흥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학습의 효과를 높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은 기대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그림조각 맞추기 퍼즐은 단순하게 퍼즐의 조각들을 분리시킨 후 다시 끼워 맞추는 등의 용도 외에는 사용할 수 없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학습용 퍼즐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한편 영어 문장 만들기 도구들은 주사위류 등과 같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자신이 만든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지 확인할 길이 없어 학습 효과가 떨어지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상당한 실력을 갖춘 영어 교사가 일일이 맞는 문장인지 확인해줘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학습자로 하여금 단어가 기재되어 있는 원통형 퍼즐를 돌려가면서 기재되어 있는 단어로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진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퍼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은 일측이 절개되어 제 1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일측에 제 2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본체(100)와, 상기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표식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와, 상기 제 1 통공(110)을 통해 상기 단어 표시부(200)의 표식수단(210)을 캡쳐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인식부(300)와, 상기 인식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식수단(210)을 캡쳐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어 표시부(200) 상의 단어를 인식하여 학습자에 의해 형성된 문장이 정상적인 문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정상적인 문장이 형성된 경우 램프점등 제어신호를 제어부(400)와, 상기 램프점등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되는 램프(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본체(100)는 철성분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어 표시부(200)는 팔찌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본체(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자석성분으로 이루어져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원통형 본체(100)에는 임의의 영문법에 따라 문장을 이룰 수 있는 순서 로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단어 표시부(200)에 구비된 표식수단(210)은 단어 표시부(200)의 외측면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를 인식할 수 있는 미리 약속되어 있는 기호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식부(300)는 스캐너이거나 또는 CCD 촬상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학습자로 하여금 단어가 기재되어 있는 원통형 퍼즐를 돌려가면서 기재되어 있는 단어로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진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영어 학습에 매우 유용한 학습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퍼즐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개되어 제 1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일측에 제 2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본체(100)와, 상기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표식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와, 상기 제 1 통공(110)을 통해 상기 단어 표시부(200)의 표식수단(210)을 캡쳐하여 전기적 신호 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인식부(300)와, 상기 인식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식수단(210)을 캡쳐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어 표시부(200) 상의 단어를 인식하여 학습자에 의해 형성된 문장이 정상적인 문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정상적인 문장이 형성된 경우 램프점등 제어신호를 제어부(400)와, 상기 램프점등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되는 램프(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본체(100)의 제 2 통공부(120) 후면에는 스피커(600)가 탑재된다.
상기 원통형 본체(100)는 철성분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어 표시부(200)는 팔찌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본체(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자석성분으로 이루어져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원통형 본체(100)에는 임의의 영문법에 따라 문장을 이룰 수 있는 순서로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단어 표시부(200)에 구비된 표식수단(210)은 단어 표시부(200)의 외측면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를 인식할 수 있는 미리 약속되어 있는 기호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식부(300)는 스캐너이거나 또는 CCD 촬상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학습용 퍼즐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는 원하는 단어가 표시되어 있는 단어 표시부(200)를 문장에 맞게 선택한 후 원통형 본체(100)에 끼워서 학습용 퍼즐을 완성시킨다.
그리고, 학습자는 원통형 본체(100)에 끼워진 단어 표시부(200)를 각각 원통형 본체(100)를 중심으로 돌려서 문장입력표식(130)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원형통 본체(100)에 결합된 문장 표시부(200)가 모두 또는 일부 회전하여 하나의 문장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들은 제어부(400)를 통해 지속적으로 감시된다. 그러므로 제어부(400)는 일정시간동안 문장 표시부(200)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학습자가 문장을 완료하였음을 인지하고 인식부(300)를 제어하여, 문장 표시부(200)의 후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또는 이미지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기호 또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자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인식된 문장을 문장 인식 방법에 의해 정상적인 문장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정상적인 문장상태인 경우 스피커(600)를 통해 완성된 문장을 오디오신호로 출력하여 학습자가 자신이 문장을 올바로 작성했음을 인식하는 동시에 듣기 학습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를 램프(500)로 램프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램프(500)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또는 점멸되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의 흥미를 더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0)의 문장 인식 방법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면, 상기 제어 부(400)는 상기 미리 약속되어 있는 기호 또는 이미지를 해당 단어에 매칭시켜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켜 두고, 상기 인식수단(300)을 통해 인식된 기호 또는 이미지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호 또는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호 또는 이미지와 매칭되어 저장된 단어를 읽어들여 학습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단어를 인식한다.
상술한 각각의 원형 퍼즐인 단어 표시부(200)는 10개의 단어가 기재되어 있고 퍼즐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자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 퍼즐인 단어 표시부(200)를 돌리면서 단어를 조합해 올바른 문장을 완성하면 그 문장을 정확한 원어민의 발음으로 읽어준다. 완성된 문장이 틀린 문장일 경우 제어부(400)는 어떠한 반응도 일어나지 않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흥미 요소를 주기 위해서 올바른 문장을 만들면 불이 들어온다든지 아니면 적절한 음악이 나오게 할 수도 있습니다.
상기 원형 퍼즐인 단어 표시부(200)는 문장의 난이도에 따라 4개~8개 정도가 적당하며 학습자 스스로 원형 퍼즐 개수를 줄이거나 늘려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형 퍼즐인 단어 표시부(200)에 적혀 있는 퍼즐은 주어로 사용할 수 있는 주격대명사류, 각각의 동사류, 보어나 목적어로 사용할 수 있는 명사류, 접속사, 의문사류 등 영역별로 분류되지만 복합적으로 섞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문장이 되는 경우의 수는 무한하며, 퍼즐을 돌리면서 지속적으로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보조 자료로 1형식~5형식까지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며, 형식을 고려하여 문장 만들기를 연습할 경우 자연스럽게 문장 구성 체제 학습에도 큰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퍼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원통형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단어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퍼즐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통형 본체
200 : 단어 표시부
300 : 인식부
400 : 제어부
500 : 램프

Claims (7)

  1. 학습용 퍼즐에 있어서,
    일측이 절개되어 제 1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일측에 제 2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본체(100)와,
    상기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표식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와,
    상기 제 1 통공(110)을 통해 상기 단어 표시부(200)의 표식수단(210)을 캡쳐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인식부(300)와,
    상기 인식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식수단(210)을 캡쳐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어 표시부(200) 상의 단어를 인식하여 학습자에 의해 형성된 문장이 정상적인 문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정상적인 문장이 형성된 경우 램프점등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학습용 퍼즐은, 상기 램프점등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되는 램프(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100)는 철성분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표시부(200)는, 팔찌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본체(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자석성분으로 이루어져 원통형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100)에는 임의의 영문법에 따라 문장을 이룰 수 있는 순서로 복수의 단어 표시부(20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표시부(200)에 구비된 표식수단(210)은, 단어 표시부(200)의 외측면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를 인식할 수 있는 미리 약속되어 있는 기호 또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300)는 스캐너이거나 또는 CCD 촬상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퍼즐.
KR1020090071138A 2009-08-03 2009-08-03 학습용 퍼즐 KR10104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38A KR101046809B1 (ko) 2009-08-03 2009-08-03 학습용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38A KR101046809B1 (ko) 2009-08-03 2009-08-03 학습용 퍼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97A KR20110013597A (ko) 2011-02-10
KR101046809B1 true KR101046809B1 (ko) 2011-07-05

Family

ID=4377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38A KR101046809B1 (ko) 2009-08-03 2009-08-03 학습용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235B1 (ko) 2010-08-20 2012-07-04 이승훈 회전맞춤형 단어 학습 장치
WO2013009153A2 (ko) * 2011-07-14 2013-01-17 Seo Myeong Jung 교구 및 게임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06B1 (ko) * 2011-12-05 2014-06-13 이명세 퍼즐블록을 이용한 언어학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971637A (zh) * 2017-05-23 2017-07-21 河南城建学院 一种外语趣味学习机及其方法
FR3099283B1 (fr) * 2019-07-24 2022-04-15 Maud Dombreval Dispositif autocorrectif convenant à l’apprentissage d’une règle de grammaire d’une langue romane.
KR102427208B1 (ko) * 2020-01-08 2022-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공 지능 완구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52241B1 (ko) * 2022-06-21 2023-07-07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GEP20237553B (en) * 2022-06-24 2023-10-10 Merab Topuria Language grammar lear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519Y1 (ko) 2004-12-27 2005-03-18 김관석 블록완구
US6881066B1 (en) * 2003-12-22 2005-04-19 Matthew Steven Sarconi Phrase-composing device featuring interlocking collars and gaps exposing content areas on a common shaf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1066B1 (en) * 2003-12-22 2005-04-19 Matthew Steven Sarconi Phrase-composing device featuring interlocking collars and gaps exposing content areas on a common shaft
KR200379519Y1 (ko) 2004-12-27 2005-03-18 김관석 블록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235B1 (ko) 2010-08-20 2012-07-04 이승훈 회전맞춤형 단어 학습 장치
WO2013009153A2 (ko) * 2011-07-14 2013-01-17 Seo Myeong Jung 교구 및 게임 세트
WO2013009153A3 (ko) * 2011-07-14 2013-04-04 Seo Myeong Jung 교구 및 게임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97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809B1 (ko) 학습용 퍼즐
JP5154399B2 (ja) 操作可能な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
EP2053577A1 (e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N201765707U (zh) 一种幼教拼字学习机
CN102394015B (zh) 一种具有双语模式的语音学习机及播放器
KR20060114171A (ko) 유아용 한글블록
KR20160100106A (ko)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KR100602591B1 (ko) 블록완구
EP1726092A2 (en) Reading device
US20060142083A1 (en) Gaming machine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JP6661851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070178B1 (ko) 사용자 참여형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07025811B (zh) 英语拼读魔方及其拼读教学方法
CN100472580C (zh) 数学和汉字的幼儿教具
KR102416461B1 (ko) 학습 및 놀이용 스마트 센서 퍼즐
WO2012056459A1 (en) An apparatus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CN210836625U (zh) 一种英语教学用智能装置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EP3396653A1 (en) Language identification
KR200184044Y1 (ko) 어린이 지능 계발용 전자 학습기
KR102070180B1 (ko) 놀이식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201051316Y (zh) 无线互动学习电子笔及配套教材
JP6795534B2 (ja) 物理的物体と計算機とを組み合わせた出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