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519Y1 -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519Y1
KR200379519Y1 KR20-2004-0036843U KR20040036843U KR200379519Y1 KR 200379519 Y1 KR200379519 Y1 KR 200379519Y1 KR 20040036843 U KR20040036843 U KR 20040036843U KR 200379519 Y1 KR200379519 Y1 KR 200379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fitted
proje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석
Original Assignee
김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석 filed Critical 김관석
Priority to KR20-2004-0036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블록 상면에 문장의 일부분, 단어, 글자, 그림이나 도안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 되어있는 블록들로 구성되는 블록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블록상면에 문장의 일부분, 글자 또는 단어가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문장의 일부분, 글자 또는 단어가 어순, 문법, 의미가 통하도록 옳게 배열되면 블록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끼움되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문장의 일부분, 글자 또는 단어가 어순, 문법, 의미가 맞지 않게 배열되면 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아이들의 조합력이나, 문장학습능력 및 외국어학습능력 등을 쉽게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블록완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록완구{BLOCK TOY}
본 고안은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와 조립이 자유로운 블록을 조립시켜 단어 또는 문장을 표현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된, 단어 또는 문장학습용 블록완구로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높이고 아이들 스스로도 문장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대부분이 블록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문자를 인쇄 또는 부착하여 두거나 완성된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갖는 블록을 구비하여 적절히 배치함으로서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어린 아이들의 경우 정확한 문장 어순이나 문법,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기존의 블록완구 등을 가지고서는 아이들 스스로가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학습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블록완구는 단어 전체를 선택한 후 학습판위에 자석이나 부직포를 이용해서 부착하는 방식이 많아 학습과정에서 단어의 정확한 조합을 모르는 아이들이 스스로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을 습득해 나갈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이들 스스로가 외국어 및 자국어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 및 문장학습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는, 블록 상면에 글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문장의 일부분, 글자 또는 단어가 어순, 문법, 의미가 통하도록 옳게 배열되면 블록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끼움되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문장의 일부분, 글자 또는 단어가 어순, 문법, 의미가 맞지 않게 배열되면 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는,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및 상기 다수의 블록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글자가 있는 착탈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는, 상면에 글자, 그림 또는 도안을 쓰거나 지울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는, 상면에 그림의 일부분 또는 도안의 일부분이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그림의 일부분이나 도안의 일부분 간의 배열이 맞으면 블록 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그림의 일부분이나 도안의 일부분 간의 배열이 틀리면 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는,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및 상기 다수의 블록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그림의 일부분 또는 도안의 일부분이 있는 착탈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설명의 간결함과 명확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10)는, 다수의 블록(B1, B2, B3, B4, B5, B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블록 각각의 상면에는 일정한 단어들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 되어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알파벳 문자나,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 되어있을 수도 있으며, 문장의 일부분, 그림의 일부분, 도안의 일부분 등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 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 단어라 함은, 문자, 문장의 일부분, 그림의 일부분, 도안의 일부분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또, 블록 각각의 측면에는 일정한 형상의 돌기(1a 내지 4a)나 돌기 홈(1b 내지 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의 배열과정을 통해 올바른 문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블록은 양 측면이 아닌 일 측면에만 돌기 또는 돌기 홈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돌기(1a 내지 4a)나 돌기 홈(1b 내지 4b)들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단어의 배열이 어순, 문법, 의미, 형태에 맞으면 블록 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단어의 배열이 어순, 문법, 의미, 형태에 맞지 않으면 블록 간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된다.
도2는, 도1의 블록완구(10)에서 문장의 배열이 올바르게 된 경우의 블록의 조립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나는 소년이다"나 "I am a boy"와 같이 어순, 문법, 의미가 맞도록 블록을 조립시킨 경우에는, 상호 인접하는 블록들 간에 형성된 돌기(1a 내지 4a)나 돌기 홈(1b 내지 4b)의 형상이 서로 적절히 대응되어 블록이 알맞게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블록의 조립이 적절히 이루어진다는 것은 문장의 배열이 잘 되었다는 것이고, 이러한 시각적/촉각적인 사실인식은, 블록완구(10)를 가지고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에게 높은 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3은, 도1의 블록완구(10)에서 문장의 배열이 틀린 경우 블록에 형성된 돌기(1a 내지 4a)나 돌기 홈(1b 내지 4b) 간에 상호 형상이 맞지 않아서 블록 간에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문장의 배열이 맞는 블록 간에는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고, 문장의 배열이 틀린 블록 간에는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아이들은 문장의 배열이 틀렸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나는 소년이다' 와 같이 자국어 단어가 인쇄되어 있는 블록과 "I am a boy"와 같이 외국어 단어가 인쇄되어 있는 블록 상호 상하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이 한글 문장과 영어 문장을 상호 비교하면서 어순의 차이, 배열, 의미 등을 학습할 수 있어서, 이중 언어 학습(Billingual Education)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제1응용 예>
도4는 제1실시 예에 대한 제1응용 예로써, 하나의 블록에 돌기와 돌기 홈이 함께 형성되어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블록에 두개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블록에는 그러한 두개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실시 예의 제2응용 예>
도5는 제1실시 예에 대한 제2응용 예로써, 블록들에 서로 직경의 크기가 다른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을 상호간에 다르게 형성시켜도,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실시 예의 제3응용 예>
도6은 제1실시 예에 대한 제3응용 예로써, 하나의 블록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응용 예는 돌기나 돌기 홈들의 형상은 같지만, 그 형성된 개수에 의하여 블록들 상호간에 적절히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1실시 예의 제4응용 예>
도4는 제1실시 예에 대한 제4응용 예로써, 블록들에 상호간에 배치위치가 다른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응용 예에 의하는 경우에도 돌기나 돌기 홈의 배치위치에 의하여 블록들 상호간에 적절히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8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80)에서, 다수의 블록 각각의 상면에는 필기도구(P)로 글자를 쓰거나 지울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 블록 각각의 측면에는 상술한 제1실시 예 및 응용 예들에서와 같이, 일정한 형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아이들을 학습시키는 부모나 유치원의 선생님들은, 블록들을 적절히 조립시킨 후, 조립된 블록의 상면에 단어를 쓴 후, 블록을 다시 흐트러트리고 나서 아이들로 하여금 블록을 조립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부모나 선생님 들이 임의의 문장을 썼다 지웠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수의 블록으로도 무수히 많은 문장들에 대한 표현과 학습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창의적인 학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4실시 예의 경우에도, 돌기나 돌기 홈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1실시 예 및 그 응용 예들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3실시 예>
도9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9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90)는, 다수의 블록(B)과, 착탈판(102a, 102b, 10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수의 블록(B)은, 그 측면에 일정한 형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그 상면에 결합구조를 가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착탈판(102a, 102b, 102c)은, 단어가 있고, 블록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블록과 착탈판(102a, 102b, 102c)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로는, 밸크로테잎(찍찍이), 돌기와 홈, 자석과 자성체 등과 같이, 상호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구조이거나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착탈판(102a, 102b, 102c)은, 스티커와 같이 자체 결합구조만 가지고도 블록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도, 아이들을 학습시키는 부모나 유치원의 선생님들은, 블록을 적절히 조립시킨 후, 조립된 블록의 상면에 알맞은 단어를 가지는 착탈판(102a, 102b, 102c)를 결합시킨 후, 다시 블록을 흐트러트리고 나서 아이들로 하여금 블록을 조립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는 경우에도, 착탈판을 활용하여 일정 수의 블록으로도 무수히 많은 문장들에 대한 표현과 학습이 가능한 블록완구(90)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을 구체화한 일예들에 불과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즉, 본 고안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러한 내용의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는 기술사상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이들이 블록완구의 조립놀이를 즐기면서도, 여러 단어 또는 문장 등을 연결하여 단어 또는 문장 등을 스스로 습득하여 나갈 수 있으며, 특히, 외국어 학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국어와 외국어를 상호 비교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국어와 외국어 간의 어순, 의미 등을 비교하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 언어 학습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블록 상면에 착탈판을 이용하거나,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일정 수의 블록으로도 무수히 많은 문장들에 대한 표현과 학습이 가능하다.
넷째, 돌기와 돌기 홈의 모양, 배치, 개수 등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긴 문장에 대한 표현과 학습이 가능하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블록완구의 적절한 조립예를 보여주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블록완구의 부적절한 조립예를 보여주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블록완구의 적절한 조립예를 보여주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의 블록완구의 부적절한 조립예를 보여주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8은, 도7의 블록완구의 적절한 조립예를 보여주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블록 : B 돌기 : 1a, 2a, 3a, 4a
돌기 홈 : 1b, 2b, 3b, 4b 착탈판 : 102a, 102b, 102c

Claims (9)

  1. 상면에 글자,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분이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글자,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이 맞으면 블록 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끼움되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글자,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이 틀리면 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2.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및
    상기 다수의 블록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글자,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분이 있는 착탈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3. 상면에 글자, 단어, 문장의 일부분, 그림 또는 도안을 쓰거나 지울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4. 상면에 그림의 일부분 또는 도안의 일부분이 있으며,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그림의 일부분이나 도안의 일부분 간의 배열이 맞으면 블록 간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블록간의 조립 시에 블록의 상면에 있는 그림의 일부분이나 도안의 일부분 간의 배열이 틀리면 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5. 적어도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형성된 다수의 블록; 및
    상기 다수의 블록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그림의 일부분 또는 도안의 일부분이 있는 착탈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나 돌기 홈은, 블록간의 조립 시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상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직경크기에 의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개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은, 형성된 돌기나 돌기 홈의 형성위치에 따라서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KR20-2004-0036843U 2004-12-27 2004-12-27 블록완구 KR200379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43U KR200379519Y1 (ko) 2004-12-27 2004-12-27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43U KR200379519Y1 (ko) 2004-12-27 2004-12-27 블록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845A Division KR100602590B1 (ko) 2004-12-21 2004-12-21 블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519Y1 true KR200379519Y1 (ko) 2005-03-18

Family

ID=4368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843U KR200379519Y1 (ko) 2004-12-27 2004-12-27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809B1 (ko) 2009-08-03 2011-07-05 한동오 학습용 퍼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809B1 (ko) 2009-08-03 2011-07-05 한동오 학습용 퍼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39B2 (en) Teaching aid and method of teaching a learner writing skills
US4044476A (en) Educational methods and devices
KR102035323B1 (ko)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US20210027642A1 (en) Interconnecting alphabet toy
JP3162215U (ja) 教育玩具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100602589B1 (ko) 블록완구
KR200379519Y1 (ko) 블록완구
KR20130104643A (ko) 도형자석을 이용한 언어 학습도구
KR200379518Y1 (ko) 블록완구
KR101690984B1 (ko)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KR102202501B1 (ko) 한글 학습장치
KR102184413B1 (ko)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KR20100114285A (ko) 학습용 퍼즐
CN106492484A (zh) 一种多功能益智积木拼盘
KR200494876Y1 (ko)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200291798Y1 (ko) 한글학습용 퍼즐
KR102608276B1 (ko) 유아 언어 학습 방법
KR200330572Y1 (ko) 한자 학습 교재
KR102409265B1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KR200144759Y1 (ko) 어학 교습구
KR102216093B1 (ko) 문자 블록 세트
KR200266958Y1 (ko) 문자 교습구
TWM451629U (zh) 輔助語言教學之拼圖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