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93B1 - 문자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문자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93B1
KR102216093B1 KR1020190053584A KR20190053584A KR102216093B1 KR 102216093 B1 KR102216093 B1 KR 102216093B1 KR 1020190053584 A KR1020190053584 A KR 1020190053584A KR 20190053584 A KR20190053584 A KR 20190053584A KR 102216093 B1 KR102216093 B1 KR 10221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lock
character
triangular pillar
language
block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338A (ko
Inventor
박상훈
박건준
박민준
Original Assignee
박상훈
박건준
박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박건준, 박민준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102019005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육면체에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언어를 놀이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문자 블록 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는 적층하거나 측면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태의 복수개의 문자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블록은 상하면과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에는 각각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자 블록 세트 {Letter block set for educa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육면체 또는 다면체에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언어를 놀이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문자 블록 세트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이상인 경우에는 책이나 시청각 자료를 통하여 언어를 배우게 되는데, 유아기나 처음 문자를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난감과 같이 유희도구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두뇌가 발달하기 시작하는 어린아이들은 지식에 대한 습득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교육이나 학습에 대한 동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재미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나 다양한 교구를 이용한 교육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학습용 교구가 지나치게 어렵거나 복잡한 경우에는 주의력이나 집중력이 떨어져서 학습교구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반면 지나치게 간단하고 쉬운 경우에는 쉽게 싫증을 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충분한 교육이 어렵다. 따라서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소재를 가지고 간단하면서도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나 교구가 필요하다.
한편, 상술한 교구로서 글자 등을 교육하기 위한 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통상 블록을 연결하여 단어나 문장을 만들도록 함으로써 교구 교육을 게임식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훈민정음은 (訓民正音)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이며, 동시에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참조하면, 훈민정음(한글)은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문자 중 가장 과학적이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배우기도 쉬운 문자로 매우 독창적이며 창제 과정이 정확하게 기록된 유일한 문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민조차도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바탕을 알지 못하고 단순 암기식으로 교육받고 있다.
따라서, 훈민정음의 과학적 원리를 교육기구에 적용하여 한글을 쉽게 배우고,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고, 더불어 예들 들면 영어와 같은 외국어와 함께 교육을 하도록 하여 언어 습득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라직하지만, 실제로는 한글 교육 또는 외국어 낱말 교육에 치우진 교구만이 제공되는 것이 현실이다.
공개특허 10-2017-0068884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블록에 서로 다른 언어가 발음에 따라 디자인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복수개의 블록을 배열하여 낱말을 만들어 교구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층하거나 측면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개의 문자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블록은 복수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에는 각각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의 상하면에는 밀착되는 다른 문자 블록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을 쌓아 올린 경우, 측면 중 일면을 따라 제1언어로 특정단어를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측면 중 타면에는 제2언어로 상기 특정단어에 해당하는 유사한 발음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에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틀 형태의 사각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격벽은 상측에 결합되는 문자 블록의 하면 공동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은 평면 상 대각선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삼각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로 나뉘고,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 중 하나의 제1삼각기둥부재에는 제1언어가, 나머지 제2삼각기둥부재에는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에 형성된 제1언어와 유사한 발음의 제2언어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와 제2삼각기둥부재의 밀착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와 제2삼각기둥부재의 밀착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된 동일한 형태의 음양각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발음이 같지 않으면 상기 음양각부에 의해 밀착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양각부는 글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양각부는 점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블록의 측면에는 발광체가 설치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같은 발음으로 블록에 음양각되어 있고 이를 쌓아올리거나 배열하여 단어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의 발음을 단어별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음양각된 문자 블록이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된 상태로 제공되어 서로 발음이 맞는 경우에만 밀착면의 접합이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 언어의 발음을 게임하는 것과 같이 빠르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3) 본 발명은 교육목적에 놀이를 하면서 조형미나 미술적 감각도 자연스럽게 받아드리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의 교구 사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의 교수 사용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 2는 상부에서 바라 본 시점이고, 도 3은 하부에서 바라 본 시점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구 사용례의 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의 문자 블록 하나의 예에 대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와 마찬가지로 문자 블록 세트의 다른 문자 블록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문자 블록의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립스틱 제품을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블록과 결합한 제품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10에는 독도를 뜻하는 문자블록이, 도 11에는 코리아라는 문자블록이 실제로 만들어진 사진을 보여준다.
도 12 내지 도 20에는 다면체 중 오면체에 문자블록을 적용한 것을 보여주는 실시예들이다.
도 20은 문자블록에 수화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블록 세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블록 세트(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문자 블록(110-15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문자 블록(110-150)은 적층하거나 측면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문자 블록(110-150)은 상하면과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에는 각각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문자 블록(110-150)의 상하면에는 밀착되는 다른 문자 블록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문자 블록(110-150)을 쌓아 올린 경우, 측면 중 일면을 따라 제1언어로 특정단어를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측면 중 타면에는 제2언어로 상기 특정단어에 해당하는 유사한 발음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 블록(110-150)에는 내부에 공동(110b, 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 블록(110-15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틀 형태의 사각 격벽(120b)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격벽(120b)은 상측에 결합되는 문자 블록의 하면 공동(110b)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이렇게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문방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필통 등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내부타공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100)를 사용하여 하나의 단어를 쌓아 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면에는 한글로 '세울'을, 우측면에는 영문자로 'SEOUL'을 나타내도록 다섯 개의 문자 블록(110-150)이 쌓아 올려져 있다. 물론 그 반대편에도 동일하게 한글과 영문이 각각 음각 양각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맨 위 문자 블록(110)에는 한글 시옷(ㅅ)이 한쪽 면에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으면, 인접하는 다른 면에는 발음이 유사한 영문자(S)가 음각 양각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하여 한 언어도 단어를 만들어 쌓아올리거나 배열하게 되면, 다른 면에는 이와 유사한 발음으로 다른 언어가 배열될 것이다.
물론, 하나의 낱말이 여러 가지 발음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우리말의 두 개의 이상의 발음과 유사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발음될 수 있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문자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문자 블록(110-150)이 쌓이는 방식을 보여준다. 우선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자석(110c)은 상면 중앙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문자 블록(110-150) 내부에 공동을 형성한 경우 테두리 부분에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상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면은 같은 언어로 같은 낱말이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을 것이고, 이를 쌓아 올리면 동일한 언어로 쌓아올려질 것이다. 즉 영문이 음각 또는 양각된 면의 상부측에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이 설치되어 있으면 같은 면이 영문으로부터 쌓아올려진 경우에만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이 서로 자력에 의해 붙게 되고, 사용자가 영문이 아닌 한글 낱말이 중간에 위치하게 되면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이 서로 밀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문자 블록 하나가 제대로 쌓아올려지지 않고 반듯하게 배열이 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바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문자 블록(110-150) 내부에는 공동(110b,120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하부로 관통하는 육면체 공동(120c)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그 공동(120c)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치수가 조절된 사각형 형태의 격벽(120b)을 문자 블록(120) 상면에 형성하고, 이를 삽입하여 쌓아올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격벽(120b)과 공동(110b)이 조립됨에 따라 더욱 정확한 위치가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문자 블록(110-150) 하면에 자석(110a, 110c, 120a, 120d, 130a, 150d)이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문자 블록 내부에 형성된 공동(120c) 또한 관통하는 형태의 공동일 수도 있고, 일정 깊이까지만 공동(110b)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는 음각 또는 양각되는 낱말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쌓아올려진 문자 블록(110-15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바, 맨 위에 S자 문자 블록(110)과 그 아래의 E자 문자 블록(120)은 격벽(120b)과 공동(110b)의 결합뿐만 아니라 자석에 의해서도 결합이 이루어지고, 중간의 O, U자 문자 블록(130,140)은 가운데가 관통되는 공동이 형성되어 상하면의 자석에 의해 서로 자력으로 밀착된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더불어,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문자 블록의 외면에 LED를 설치하여 조명하건, 문자 블록 제조 시, 에폭시에 발광물질을 도포하여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추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는, 문자 블록(210)이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기술 구성이 추가된 것이다.
상기 문자 블록(210)은 평면 상 대각선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삼각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211,212)로 나뉘고,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211,212) 중 하나의 제1삼각기둥부재(211)에는 제1언어가, 나머지 제2삼각기둥부재(212)에는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211)에 형성된 제1언어와 유사한 발음의 제2언어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211)와 제2삼각기둥부재(212)의 밀착면에는 자석(211e,212e)이 설치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211)와 제2삼각기둥부재(212)의 밀착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된 동일한 형태의 음양각부(211f,212f)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발음이 같지 않으면 상기 음양각부(211f,212f)에 의해 밀착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양각부(211f,212f)는 글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점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A자 문자 블록(21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A의 경우에는 한글 낱말 'ㅏ', 'ㅓ', 'ㅐ', 'ㅔ' 등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ㅏ'로 발음되는 것으로 하여 문자 블록(210)이 제조되어 있다. 문자 블록(210)은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211,212)로 이루어지되, 제1삼각기둥부재(211)에는 'A'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고, 제2삼각기둥부재(212)에는 'ㅏ'가 일면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있다. 여기서 제1삼각기둥부재(211)와 제2삼각기둥부재(212)에는 사각형의 측면 두 곳 중 한 곳에만 문자가 양각 또는 음각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211)와 제2삼각기둥부재(212)가 서로 밀착되는 밀착면에는 2개의 자석(211e,212e)이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로 밀착될 때 들러 붙도록 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211)와 제2삼각기둥부재(212)에는 음양각으로 표현된 점자(211f,212f)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점자(211f,212f)는 그 삼각기둥부재(211,212)에 음양각된 문자와 동일한 발음을 하는 점자(211f,212f)가 서로 음양각이 반대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발음의 삼각기둥부재를 자석을 이용하여 붙이는 경우, 점자(211f,212f)의 음양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밀착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잘 붙지 않게 되거나 일부분이 들뜨게 되어 사용자가 틀린 문자를 붙였다는 것을 바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B'문자가 음양각된 삼각기둥부재(221,222)와 이에 해당하는 발음인 'ㅂ'문자가 음양각된 삼각기둥부재(221,222)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전술한 'A'의 문자 블록(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착면에는 각각 자석(221e,222e)이 설치되고, 점자(221f,222f)가 음양각되어 있어 그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립스틱 제품을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블록과 결합한 제품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또한, 도 10에는 독도를 뜻하는 문자블록이, 도 11에는 코리아라는 문자블록이 실제로 만들어진 사진을 보여준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문자 블록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 블록은 육면체가 아니라 대략 오면체를 사용한 것이다. 즉 육면체를 반으로 자른 것과 같은 형태의 문자 블록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쌓아 올린 것이다. 물론 옆으로 정렬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세 개의 면이 측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일면에 영문 'BTS'가, 다른 면에는 'ㅂㅌㅅ'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고, 다른 면은 평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마찬가지로 세 개의 면이 측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적층되어 있고, 일면에는 영문 'BEST'가, 다른 한 면에는 'ㅂㅔㅅㅌ'가 양가 또는 음각되어 있으면, 나머지 면은 평면이다.
이와 같이, 육면체뿐만 아니라, 다른 다면체에도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고하면, 두 개의 언어 중에 한 언어 대신에 수화를 인쇄 또는 음양각 처리하여 수화를 배울 수도 있는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문자 블록 세트
110-150, 210, 220 : 문자 블록
110a, 110c, 120a, 120d, 130a, 150d : 자석
211, 212, 221, 222 : 삼각기둥부재
211f, 212f, 221f, 222f : 점자

Claims (10)

  1. 적층하거나 측면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개의 문자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블록은 복수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측면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에는 각각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서로 다른 언어의 낱말이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문자 블록은 평면 상 대각선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삼각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로 나뉘고, 두 개의 삼각기둥부재 중 하나의 제1삼각기둥부재에는 제1언어가, 나머지 제2삼각기둥부재에는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에 형성된 제1언어와 유사한 발음의 제2언어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와 제2삼각기둥부재의 밀착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삼각기둥부재와 제2삼각기둥부재의 밀착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된 동일한 형태의 음양각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발음이 같지 않으면 상기 음양각부에 의해 밀착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된 문자 블록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블록의 상하면에는 밀착되는 다른 문자 블록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석이 설치된 문자 블록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블록을 쌓아 올린 경우, 측면 중 일면을 따라 제1언어로 특정단어를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측면 중 타면에는 제2언어로 상기 특정단어에 해당하는 유사한 발음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되는 문자 블록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블록에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문자 블록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블록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틀 형태의 사각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격벽은 상측에 결합되는 문자 블록의 하면 공동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삽입된 문자 블록 세트.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양각부는 글자 형태로 이루어진 문자 블록 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양각부는 점자 형태로 이루어진 문자 블록 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블록의 측면에는 발광체가 설치되거나 도포된 문자 블록 세트.
KR1020190053584A 2019-05-08 2019-05-08 문자 블록 세트 KR10221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84A KR102216093B1 (ko) 2019-05-08 2019-05-08 문자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84A KR102216093B1 (ko) 2019-05-08 2019-05-08 문자 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38A KR20200129338A (ko) 2020-11-18
KR102216093B1 true KR102216093B1 (ko) 2021-02-16

Family

ID=7369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84A KR102216093B1 (ko) 2019-05-08 2019-05-08 문자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556U (ko) * 2011-07-25 2011-09-07 추대운 유아용 자석블록
KR101367172B1 (ko) * 2013-02-20 2014-03-13 이도연 알파벳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KR20170068884A (ko) 2015-12-10 2017-06-20 이상민 영어교육용 자석블록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12호(2013.2.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311호(2013.5.15. 공개) 1부.*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5627098호(2016.10.12. 공고) 1부.*
중국특허공개공보 제102890884호(2013.1.23. 공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3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39B2 (en) Teaching aid and method of teaching a learner writing skills
US20230005379A1 (en) Dynamic three dimensional teaching aid
JP2015171392A (ja) 組み合わせ知育玩具
KR101367172B1 (ko) 알파벳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KR20140130583A (ko)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KR200423325Y1 (ko) 퍼즐형 학습교구
KR102216093B1 (ko) 문자 블록 세트
US20110311288A1 (en) Tool for realiz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a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system
KR20130104643A (ko) 도형자석을 이용한 언어 학습도구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US20180130364A1 (en) Education and recreation tool
KR102132552B1 (ko) Ar기술을 활용한 블록형 학습교구
KR20060045051A (ko) 어학 학습용 오락 및 교육 시스템
KR102495612B1 (ko) 스탬프를 이용한 한글 학습용 놀이교구
CN200959179Y (zh) 一种组合卡式娱乐教具
KR200305511Y1 (ko) 교육용 칼라 로직 매트릭스 배열판
KR200330572Y1 (ko) 한자 학습 교재
CN206946722U (zh) 一种英语教学装置
JP2009000948A (ja) カードブック
KR200379519Y1 (ko) 블록완구
KR100645974B1 (ko) 외국어 교육용 교재
KR101620603B1 (ko)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KR20160002168U (ko) 놀이식 학습 교구
KR20080004550U (ko) 주사위 놀이판을 갖는 학습교재
KR101753908B1 (ko) 몸으로 익히는 3d 주기율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