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241B1 -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241B1
KR102552241B1 KR1020220075258A KR20220075258A KR102552241B1 KR 102552241 B1 KR102552241 B1 KR 102552241B1 KR 1020220075258 A KR1020220075258 A KR 1020220075258A KR 20220075258 A KR20220075258 A KR 20220075258A KR 102552241 B1 KR102552241 B1 KR 10255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english
delete delete
dial
english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하이텍
Priority to KR102022007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15Compounds containing carbon-to-nitrogen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09B1/2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and bearing the symbols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는 일 측에 스피커와 버튼을 구비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의 인식부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 바디; 상기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26개의 알파벳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쇄된 키를 포함하는 다이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내장된 것으로, 복수의 영단어와 발음을 저장한 영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영단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발음을 학습자에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제 모듈과, 상기 학습자의 상기 다이얼 조작으로 상기 기준 행에 배열된 알파벳을 상기 인식부로 인식한 다음 상기 출제 모듈을 통해 출력된 영단어의 스펠링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 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English word learning device that arranges English words by dial operation}
본 발명은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이얼의 회전 조작을 통해 원하는 알파벳을 배열하여 단어를 조합하고, 그를 기반으로 영단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영단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국가 간 또는 민족 간의 장벽이 차츰 허물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세계 공통어나 다름없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영어는 외국어의 개념을 넘어 제 2 언어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정복하기를 위해서 회화 또는 문법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ESL(English Second Language)상황도 아닌 EFL(English foreign Language) 상황이기 때문에, 영어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환경 상 영어 교육에 더욱 더 노력을 기울여야만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영어 학습, 그중에서도 영어 구사의 기본이 되는 영단어 학습을 위해 종래에 많은 장치 및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38696호에 ‘외국어 단어 학습용 회전 원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외국어 단어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회전 원반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 단어'와 '한글해석'을 윗판의 좌, 우의 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도록 했고, 또한 외국어 단어의 철자법을 쓰기연습종이에 반복해서 쓰도록 함으로써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집중하게 해서 손과 눈을 통해서 학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확실하게 효과적으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 원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 원반은 회전 원반에 적혀있는 단어에 대해서만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의도에 의한 단어 조합, 그에 따른 스펠링 암기 교육까지 이어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이얼 회전 방식을 통해 학습자가 본인이 암기한 알파벳을 조합하여 영단어의 스펠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하고 진보한 영단어 학습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다.
한국 등록실용 제 20-0238696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이얼 회전 조작에 의해 알파벳 배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영단어 학습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학습 장치를 쉽게 손으로 잡고 이용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내부에 삽입된 컨트롤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는 일 측에 스피커와 버튼을 구비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의 인식부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 바디; 상기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26개의 알파벳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쇄된 키를 포함하는 다이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내장된 것으로, 복수의 영단어와 발음을 저장한 영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영단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발음을 학습자에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제 모듈과, 상기 학습자의 상기 다이얼 조작으로 상기 기준 행에 배열된 알파벳을 상기 인식부로 인식한 다음 상기 출제 모듈을 통해 출력된 영단어의 스펠링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 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양 측 둘레 부위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에 의하면,
1) 학습자로 하여금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알파벳을 배열하고 이를 통해 영단어를 조합한 학습 장치와 연동되어 영어 발음 퀴즈, 한-영 변환 퀴즈, 영단어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몰입도를 높이고 영단어에 대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며,
2) 손에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져 유아, 학생,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 까지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 재질의 손잡이를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하여 내장된 컨트롤러에 대한 보호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영단어 학습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베이스 바디와 다이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키의 배면에 자석이 구비된 다이얼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자석이 구비된 다이얼과 베이스 바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키 별로 구비된 알파벳 및 알파벳에 대응된 자석 회전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키 출력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게임 모드 진행 결과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단어 학습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베이스 바디와 다이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는 베이스 바디(100)와 다이얼(200), 그리고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 바디(100)는 바람직하게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 내부에 컨트롤러(300)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 측에 스피커(130)와 버튼(140)을 구비한 상태에서 표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준 행(101)을 따라 복수 개의 인식부(1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베이스 바디(100)는 파이프와 유사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져 중공 내부에 컨트롤러(300)를 수용하여 일체화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람직하게 스피커(130) 및 버튼(140)은 베이스 바디(100)의 중공을 폐쇄하도록 베이스 바디(100)의 양 단부, 그중에서도 양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130)와 버튼(140)이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스피커(130)와 버튼(140)이 일체화되도록 스피커(130)가 버튼(140)의 일 측에 설치되어 버튼(130)의 누름 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30) 및 버튼(140)의 일체화 구성이 베이스 바디(100)의 양 단면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 단면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베이스 바디(100)에는 스피커(13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부나, 후술할 모드 조작이나 전원 on/off 제어를 위한 조작부 및, 이어폰 삽입을 위한 이어폰 연결부나 충전 케이블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부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 바디(100)의 양 측 둘레 부위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120)가 형성될 수 있어, 학습자가 탄성 재질의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후술할 다이얼(200)을 회전 조작하여 영단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손잡이(120)는 바람직하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영단어 학습 장치가 쉽게 구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내장된 컨트롤러(300)를 보호하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준 행(101)을 형성하고, 기준 행(101)을 따라 복수 개의 인식부(110)가 베이스 바디(100)의 표면 일 측에 장착되는데, 이러한 인식부(110)는 바람직하게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 센서를 통해 후술할 다이얼(200)에 포함된 26개의 키(210)에 각각 대응되는 알파벳을 컨트롤러(3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이얼(200)에 구비된 26개의 키(210)를 인식하는 인식부(110)에 있어, 인식부(110)를 통한 키(210)의 인식 방법에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센서일 수 있는 인식부(110)에 있어서도 센서의 종류에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그러나 후술하겠으나 인식부(110)를 구성하는 센서는 가장 바람직하게 전위차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인식부(110)는 후술할 다이얼(20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만약 도 1,2 에서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에 7개의 다이얼(200)이 끼움 결합되는 경우 7개의 인식부(110)가 기준 행(101)을 따라 구비되어야 한다.
다이얼(200)은 베이스 바디(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베이스 바디(100)의 외주면 일 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기준 행(101)에 형성된 인식부(110)와 대응되도록 각각의 다이얼(200)이 위치하여, 베이스 바디(100)에 끼움 결합된 다이얼(200)이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인식부(110)와 연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이얼(200)은 26개의 알파벳(여기서 알파벳이라 함은 영어 알파벳을 의미한다)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쇄된 키(210)를 포함하는데, 따라서 26개의 키(210)는 A부터 Z 중 어느 하나의 알파벳과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200)의 회전에 따라 특정 키(210)가 인식부(110)와 접촉되면서 인식부(110)와 접촉된 키(210)에 대응된 알파벳을 후술할 컨트롤러(300)가 인식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다이얼(200)의 경우 26개의 키(210)로 구성된 것이며, 링과 같이 중공을 포함한 형상으로 베이스 바디(100)의 표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다. 이때 다이얼(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키(210)의 표면에는 26개의 알파벳이 각각 인쇄되어 있으며, 각각의 키(210)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는 해당 키(210)에 인쇄된 알파벳과 대응된다. 따라서 다이얼(200)의 회전에 따라 특정 키(210)에 구비된 단자가 인식부(110)와 접촉되면서 해당 키(210)에 대응된 알파벳이 후술할 컨트롤러(300)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행(101)을 따라 인식부(110)가 배열되므로 인식부(110)에 대응되는 위치, 다시 말해 기준 행(101)에 위치된 키(210)의 알파벳을 인식부(110)가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다이얼(200)은 배면에 치형 구조를 포함하거나 스토퍼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져 부분적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준 행(101)에 특정 키(2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이얼(200)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다이얼 회전형 자물쇠의 스토퍼 구조를 참조하면 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바디(100)와 맞닿는 키의 배면, 다시 말해 다이얼(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키(210)의 배면에는 인식부(110)가 인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단자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단자가 해당 키(210)에 인쇄된 알파벳과 연동 처리되어, 인식부(110)를 통한 해당 단자의 인식을 통해 키(210)에 인쇄된 알파벳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더불어 인식부(110)는 실시간으로 알파벳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혹은 학습자가 각각의 다이얼(200)의 회전 조작을 완료하여 기준 행에 원하는 알파벳 배열을 완성한 상태에서 버튼(140)을 누르도록 하고, 버튼(140)의 눌림조작에 따라 인식부(110)가 작동되어 기준 행(101)에 배열된 키(210)의 알파벳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러(300)는 스피커(130)를 통해 특정 영단어의 발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인식부(110)를 통해 기준 행(101)에 배열된 키(210)의 알파벳을 인식하고, 이를 출력된 영단어의 스펠링과 비교 처리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트롤러(300)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바디(100)의 중공에 내장된 것으로, 통신 및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통신부는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의 영단어 학습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컨트롤러(30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때, 컨트롤러(300)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컨트롤러(300)는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 출제 모듈(320), 판단 모듈(330), 안내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는 복수의 영단어와 해당 영단어의 발음을 저장한 것으로,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저장되는 영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의 개수는 다이얼(200)의 개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이얼(200)의 개수가 7개인 경우, 다이얼(200)에 개수와 대응되도록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는 영단어는 7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 단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NGLISH’나 ‘PHONICS’와 같이 7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 영단어가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될 수 있다.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는 각각의 영단어 뿐 아니라 해당 영단어의 발음을 함께 저장하는데, 이때 발음은 바람직하게 영어를 네이티브로 구사하는 원어민이 해당 영단어를 발음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ENGLISH’란 단어가 저장된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는 ‘ENGLISH’라는 단어 뿐 아니라 해당 단어가 E-N-G-L-I-S-H라는 각각의 알파벳 배열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정보(다시 말해 영단어의 스펠링)를 저장하고, 나아가 ‘잉글리쉬’라는 해당 단어의 발음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는 해당 단어가 지닌 뜻인‘영어, 영국인’라는 한국어 단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는 각각의 영단어는 해당 영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 및 그의 배열 순서인 스펠링과 해당 영단어의 발음, 그리고 해당 영단어의 뜻인 한국어 단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제 모듈(320)은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영단어 중 어느 하나의 발음을 스피커(130)를 매개로 하여 학습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영단어 중 무작위로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추출된 영단어의 발음을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하는 무작위 퀴즈 형식을 취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300)와 연동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복수의 영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한 뒤,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영단어 중 어느 하나의 발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단 모듈(330)은 출제된 퀴즈에 대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출제 모듈(320)을 통해 스피커(130)를 매개로 특정 영단어의 발음이 출력되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된 발음을 들은 학습자가 다이얼(200)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 후 다이얼(200)이 회전되면서 특정 키(210)가 기준 행(101)에 배열되고, 기준 행(101)에 위치된 키(210)의 알파벳, 다시 말해 기준 행(101)에 배열된 알파벳이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다. 이때 판단 모듈(330)은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이 출제 모듈(320)을 통해 출력된 영단어의 스펠링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출제 모듈(320)을 통해 ‘ENGLISH’라는 영단어의 발음이 출력된 경우, 판단 모듈(330)은 해당 발음이 출력된 이후 학습자가 다이얼(200) 조작을 수행함에 따라, 기준 행(101)에 ‘ENGLISH’이라는 알파벳 배열이 완성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이 출제된 퀴즈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첫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E, 두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N, 세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G, 네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L, 다섯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I, 여섯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S, 일곱 번째 다이얼(200)로부터 H가 인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해당 영단어의 스펠링, 즉 해당 영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과 해당 알파벳의 배열 순서에 맞게 각각의 다이얼(200)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정답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안내 모듈(340)은 판단 모듈(330)을 통한 판단 결과를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 모듈(330)을 통해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이 영단어의 스펠링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답입니다’라는 멘트 또는 정답을 알리는 알림음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판단 모듈(330)을 통해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이 영단어의 스펠링과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답입니다’라는 멘트 또는 오답을 알리는 알림음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영단어 학습 장치에 따르면, 영단어에 대한 발음을 제공하여 퀴즈를 출제한 뒤, 학습자로 하여금 다이얼(200)의 회전에 따라 알파벳을 배열하고 이를 통해 영단어를 조합하도록 하고, 출제된 영단어와 학습자가 조합한 영단어를 비교 처리하여 정답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영단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다이얼(2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알파벳을 배열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스펠링 암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키의 배면에 자석이 구비된 다이얼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자석이 구비된 다이얼과 베이스 바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키 별로 구비된 알파벳 및 알파벳에 대응된 자석 회전의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이스 바디(100)에 구비된 인식부(110)를 통한 알파벳 인식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베이스 바디(100)의 기준 행(101)을 따라 구비된 인식부(110)는 바람직하게 자석(211)의 회전각을 인식하는 전위차 센서일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다이얼(200)의 내주면, 다시 말해 다이얼(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키(210)의 배면에 구비되는 단자는 바람직하게 자석(211)일 수 있는데, 이때 자석(211)은 각각의 키(210)마다, 다시 말해 알파벳 마다 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때 한 바퀴를 회전하는 각도가 360°이므로, 이를 알파벳의 개수인 26개로 나누면 개별 알파벳은 각각 13.85°씩 회전된다.
예를 들어 알파벳 A에 대응된 키(210)의 배면에 위치한 자석(211)을 알파벳 A 자석이라 하자. 이때 알파벳 A 자석의 경우 N극과 S극이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이 상태가 기준인 0°의 회전 상태가 된다.
알파벳 B의 대응된 키(210)의 배면에 위치한 자석(211)(알파벳 B 자석)은 알파벳 A 자석 대비 시계 방향으로 13.85°회전되어 있고, 알파벳 C 자석은 알파벳 B 자석 대비 시계 방향으로 13.85°회전된다.
다시 말해 알파벳 A는 회전각 0°에 대응되고, 알파벳 B는 회전각 13.85°에 대응되며, 알파벳 C는 27.7°와 대응되고, 순차적으로 이어져 알파벳 Z는 346.15°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개별 알파벳은 각각 서로 다른 회전각과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별 알파벳에 대응된 키(210)의 배면에 각각 구비된 자석(211)의 경우 각 알파벳에 대응된 회전각을 갖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데, 따라서 각각의 자석은 그 N-S극의 배열 위치가 달라 위상이 서로 다르다.
나아가 인식부(110)를 구성하는 센서는 바람직하게 전위차 센서일 수 있는데, 각각의 알파벳에 대응된 자석(211)이 서로 다른 회전각을 가지고 회전되어 있는 경우, 전위차 센서는 위상이 서로 다른 자석(21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전위차를 감지하여 전위차 센서에 접촉된 자석(211)의 회전각을 파악하고, 해당 회전각에 대응된 알파벳을 파악함으로써 전위차 센서를 매개로 하여 기준 행(101)에 배열된 키(210)의 알파벳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알파벳마다 서로 다른 회전각을 대응시킨 뒤, 해당 각도에 따라 회전된 자석(211)을 키(210)의 배면에 장착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센서만으로 알파벳 26개를 모두 파악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 위험을 최소화하고 인식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키 출력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게임 모드 진행 결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기반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학습자의 다이얼(200) 조작에 의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영단어 학습 장치의 다이얼(200) 회전 조작에 의한 알파벳 배열을 학습 장치 뿐 아니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과 영단어 학습 장치 사이의 연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문제 출제자가 소지한 상태에서 문제 출제자가 영단어의 발음이나 한국어 뜻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그를 듣고 영단어 학습 장치의 다이얼을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게임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없는 단어에 대해서도 문제 출제가 가능해지며, 문제 출제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학습자의 다이얼(200) 조작에 의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출제한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를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알파벳 배열의 원격 출력이 가능해지는 경우, 다른 학습자와 원격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인데, 이때 게임 모드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학습자가 각각 소지한 학습 장치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게임 모드는 복수의 학습자 가 참여하는 퀴즈 또는 학습자 사이의 퀴즈 출제 및 정답 입력 등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게임 모드의 진행 방식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연동 구성에 따르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학습 장치의 조작을 통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학습자가 같이 참여하는 원격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학습 장치의 이용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게임 모드의 일 실시예로서,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에게 문제를 출제하고 힌트를 제공한 뒤 다른 학습자가 이를 맞추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문제를 출제하는 학습자를 제 1 학습자, 문제를 푸는 학습자를 제 2 학습자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며, 제 1,2 학습자는 각각 모두 본 발명의 학습 장치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만약 제 1,2 학습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한 게임 룸에 입장하거나 게임 코드를 입력하는 경우 게임 모드가 진행되는데, 이때 게임 모드의 진행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제자인 제 1 학습자가 문제를 출제하게 된다. 이때 문제 출제 방식은 제 1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습 장치의 다이얼(200)을 조작하도록 하여 기준 행(101)에 알파벳을 배열하게 하고, 이때 제 1 학습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을 출제 단어로 인식한다.
나아가 제 1 학습자는 본인이 입력한 출제 단어에 대한 음성 힌트를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게 되고, 제 2 학습자가 소지한 학습 장치의 스피커(130)를 통해 입력된 음성 힌트를 출력한다.
그 후 제 2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습 장치의 다이얼(200)을 조작하도록 하여 기준 행(101)에 알파벳을 배열하게 하고, 이때 제 2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과 출제 단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제 1,2 학습자가 각각 소지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나아가 제 2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 역시 제 1,2 학습자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만약 제 2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이 출제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다시 말해 제 2 학습자가 오답을 입력한 경우) 제 2 학습자가 어떠한 오답을 입력했는지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 1,2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자 간 문제 출제를 통한 게임 모드 진행에 따르면,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에게 문제를 출제하고 스펠링을 맞추는 게임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전에 나와 있지 않아 영단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기 어려운 단어에 대해서도 문제 출제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 간 비밀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여기서 모르는 학습자와 게임 모드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게임 모드의 진행 여부를 암호 입력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암호와 상기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의 일치 여부에 따라 게임 모드의 진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학습 장치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파벳 배열로 이루어진 암호를 설정하도록 한 상태에서, 게임 모드 진행 요청 시 학습자로 하여금 암호 입력을 요청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다이얼(200)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 기준 행(101)의 알파벳 배열과 기 설정된 암호를 비교 처리하여 암호와 알파벳 배열이 일치하는 경우 게임 모드를 진행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게임 모드를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약속된 학습자끼리 미리 암호를 설정하도록 하고, 암호 입력에 따라 게임 모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어 원하는 학습자끼리만 게임 모드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베이스 바디 101 : 기준 행
110 : 인식부 120 : 손잡이
130 : 스피커 140 : 버튼
200 : 다이얼 210 : 키
211 : 자석 300 : 컨트롤러
310 : 영단어 데이터베이스 320 : 출제 모듈
330 : 판단 모듈 340 : 안내 모듈

Claims (8)

  1.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로서,
    일 측에 스피커와 버튼을 구비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의 인식부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 바디;
    상기 기준 행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26개의 알파벳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쇄된 키를 포함하는 다이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내장된 것으로, 복수의 영단어와 발음을 저장한 영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영단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발음을 학습자에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제 모듈과, 상기 학습자의 상기 다이얼 조작으로 상기 기준 행에 배열된 알파벳을 상기 인식부로 인식한 다음 상기 출제 모듈을 통해 출력된 영단어의 스펠링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 모듈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통신부를 포함한 컨트롤러;
    상기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기준 행의 알파벳 배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기능과, 다른 학습자와 게임 모드를 진행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기준 행의 알파벳 배열과 기 설정된 암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게임 모드의 진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 3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양 측 둘레 부위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에서 상기 키의 배면에는,
    각각의 알파벳별로 순차적으로 특정 각도로 회전된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자석의 회전각을 인식하는 전위차 센서를 통해 상기 키의 알파벳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능은,
    제 1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기준 행의 알파벳 배열을 출제 단어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출제 단어에 대한 음성 힌트를 입력받은 뒤, 상기 음성 힌트를 제 2 학습자가 소지한 상기 학습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학습자의 조작에 의한 기준 행의 알파벳 배열과 상기 출제 단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상기 제 1,2 학습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75258A 2022-06-21 2022-06-21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KR10255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58A KR102552241B1 (ko) 2022-06-21 2022-06-21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58A KR102552241B1 (ko) 2022-06-21 2022-06-21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241B1 true KR102552241B1 (ko) 2023-07-07

Family

ID=8715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58A KR102552241B1 (ko) 2022-06-21 2022-06-21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2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768U (ja) * 1981-09-02 1983-03-10 神津 恒義 英単語スペリング教習具
KR840000365U (ko) * 1982-06-09 1984-02-24 장병철 흑판 지우개
KR200238696Y1 (ko) 2000-12-08 2001-09-25 박태호 외국어 단어 학습용 회전 원반
KR20100092326A (ko) * 2009-02-12 2010-08-20 안경모 다기능 멀티미디어 큐브
KR20110013597A (ko) * 2009-08-03 2011-02-10 한동오 학습용 퍼즐
KR20120017863A (ko) * 2010-08-20 2012-02-29 이승훈 회전맞춤형 단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20160100106A (ko) * 2015-02-13 2016-08-23 권혜영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768U (ja) * 1981-09-02 1983-03-10 神津 恒義 英単語スペリング教習具
KR840000365U (ko) * 1982-06-09 1984-02-24 장병철 흑판 지우개
KR200238696Y1 (ko) 2000-12-08 2001-09-25 박태호 외국어 단어 학습용 회전 원반
KR20100092326A (ko) * 2009-02-12 2010-08-20 안경모 다기능 멀티미디어 큐브
KR20110013597A (ko) * 2009-08-03 2011-02-10 한동오 학습용 퍼즐
KR20120017863A (ko) * 2010-08-20 2012-02-29 이승훈 회전맞춤형 단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20160100106A (ko) * 2015-02-13 2016-08-23 권혜영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0106호(2016.8.23. 공개)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1122A (zh) 一种智能机器人教学系统及学生学习方法
KR20120075574A (ko)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101899865B1 (ko) 스마트 큐브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CN110246379A (zh) 一种英语单词记忆训练系统
JP2005164943A (ja) 学習支援プログラム、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983109B1 (ko) 영어 단어 암기 시스템 및 온라인 영어 단어 암기 방법
KR102552241B1 (ko) 다이얼 조작으로 영단어를 배열하는 영단어 학습 장치
KR20200113143A (ko) 오디오 정보와 음성인식 결과를 이용한 언어학습자 말하기 교정시스템
CN107436949A (zh) 一种基于自主互动模式的高效学习手机app
WO2018074023A1 (ja) 単語学習支援装置、単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単語学習支援方法
KR20130015411A (ko) 자기 주도형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9626U (ko)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대 요소를 이용한 영어학습프로그램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KR20100136203A (ko) 수준별 맞춤 대화형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8446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476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TWM467143U (zh) 語言自學系統
KR101385548B1 (ko) 문답식 단어 연상기억 방법
KR20110058016A (ko) 단어 암기 방법 및 시스템
Shivakumar et al. AI-ENABLED LANGUAGE SPEAKING COACHING FOR DUAL LANGUAGE LEARNERS.
US201301496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aching a non-native language
US20220383772A1 (en)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EP3614330A1 (en)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binary principle, and method therefor
JP5833280B1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