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769A -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769A
KR20110094769A KR1020100014378A KR20100014378A KR20110094769A KR 20110094769 A KR20110094769 A KR 20110094769A KR 1020100014378 A KR1020100014378 A KR 1020100014378A KR 20100014378 A KR20100014378 A KR 20100014378A KR 20110094769 A KR20110094769 A KR 2011009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word
input
learn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광필
Original Assignee
백광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광필 filed Critical 백광필
Priority to KR102010001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769A/ko
Publication of KR2011009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7Combinations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presentation, e.g. film, sli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의 음성 및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음성데이터를 따라 발성한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A/D 및 D/A 변환부와, 학습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학습자의 음성에 대한 결과치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LCD 화면과, LCD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어 및 숫자 입력부로 구성되어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하고, 그 결과치를 LCD 화면에 출력시켜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고, 외국어의 문장 또는 단어를 퀴즈나 게임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외국어의 흥미를 더욱 고취시킴은 물론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어 학습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LANGUAG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국어의 원음(原音)과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을 비교한 결과치를 출력하여 학습자 발음의 정확도를 평가 및 교정할 수 있고, 특히 외국어의 문장, 단어 등을 퀴즈(quiz) 또는 게임(game) 등의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함으로써, 학습 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전문화 및 국제화에 따라서 외국어의 학습이 중요시되며, 그 학습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형편이다. 최근들어 외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다양한 어학 학습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문장단위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어학용 카세트 플레이어나 음성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LCD 화면에 출력되는 캡션 카세트 플레이어, 인터넷(internet)을 통해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학습용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공된 어학 학습장치들은 단지 외국어의 음성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문장, 단어와 같은 문자정보가 스피커 및 LCD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어 청각 및 시각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어의 원음에 대한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 및 교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어학 학습장치는 주로 외국어를 체계적으로 학습한 성인층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외국어를 처음 접하거나 체계적인 학습을 하지 않은 어린이들이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특히 단시간 내에 싫증이 유발되므로 학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하고, 그 결과치를 LCD 화면에 출력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어의 문장 또는 단어를 퀴즈나 게임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외국어의 흥미를 더욱 고취시킴은 물론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어 학습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장치의 특징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에 있어서, 외국어의 음성 및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따라서 발성한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A/D 변환부로부터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한 D/A 변환부 및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이를 비교한 학습자의 음성에 대한 결과치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LCD 화면과, LCD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어 및 숫자 입력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의 특징은,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외국어의 단어학습 및 난이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난이도 설정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음성정보 및 단어에 대한 문제가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와,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단어문제에 대한 알파벳을 입력하고, 입력된 알파벳이 LCD 화면에 표시된 단계와, 단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단어의 정,오답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단계에서 입력된 단어가 정답일 때 정답 멘트와 LCD 화면에 출력된 단어를 발음하는 출력단계를 실시하고, 오답일 경우 재시도 음성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가 실시되며, 재시도 출력단계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면 정답에 대한 단어와 발음을 출력시키는 단계와, 판단단계에서 입력된 알파벳이 정답일 경우 단어 발음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따라하는 학습자의 발음 입력단계와, 발음 입력단계로부터 입력된 발음과 외국어의 원음과 비교하는 단계와, 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와 평가를 LCD 화면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와, 단계에서 단어에 대한 문제출력이 완료되면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종료가 선택하면 어학 학습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며, 종료를 선택하지 않으면 문제를 풀기 위한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에 의하면,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하고, 그 결과치를 LCD 화면에 출력시켜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고, 외국어의 문장 또는 단어를 퀴즈나 게임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외국어의 흥미를 더욱 고취시킴은 물론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어 학습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학 학습방법에서 단어학습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어학 학습장치는 음성 및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0)와, 데이터 저장부(10)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따라 발성한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12)와, 음성 입력부(12)와 데이터 저장부(10)의 음성신호를 변화하여 스피커(14)로 출력하는 A/D 및 D/A변환부(16)(18)와, 학습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아 비교한 다음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20)와, 학습자가 임의로 학습을 선택할 수 있는 학습모드 선택부(22) 그리고, 각종 정보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단어 및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어, 숫자 입력부(24)(26) 및 단어에 대한 정보를 암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힌트(hint) 입력부(28)와, 숫자 입력부(26)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장치(도시되지않음), 학습모드 선택부(22)의 선택에 따라 학습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 데이터 저장부(10) 및 메모리부(30)와 중앙처리부(20)에서 비교한 결과치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32)로 구성되며, 통신선로를 통해 PC로부터 다운로드된 새로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저장부(10) 및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4)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10)는 음성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문장, 단어, 숫자 등이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ROM)가 사용되며, 학습자에 따라서 그 수준(난이도)을 달리하여 다양한 등급으로 다수개 제공되고, 각각의 데이터 저장부(10)에는 외국어의 문장, 단어 또는 숫자만을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20)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된 학습자의 발음과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된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하기 위한 음성인식이 포함된다. 즉, A/D 변환부(16)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학습자의 발음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한 다음 그 결과치를 LCD(32) 화면과 D/A 변환부(18)를 거쳐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스피커(14)로 동시에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입력부(12)는 통상적으로 마이크가 사용된다.
학습모드 선택부(22)는 학습난이도버튼, LCD(32) 화면에 출력된 문장 또는 단어의 발음을 반복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버튼과, 어학 학습장치를 초기화시키기는 리셋버튼 및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들을 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하기 위한 단어게임버튼과 숫자를 가감승제(+, -, ×, ÷)하기 위한 연산버튼 등을 포함하고 있다.
힌트 입력부(28)는 LCD(32) 화면에 출력된 문장이나 단어에 관련된 힌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국어 단어의 뜻을 상징하는 캐릭터, 음향, 해석 등 각종 모양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힌트 입력부(28)의 캐릭터, 음향, 해석등의 모양은 LCD(32) 화면에 색인되어 터치(touch)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30)는 학습모드 선택부(22) 중에서 단어게임버튼의 입력시 게임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고, 학습자의 임의 호출시 저장된 데이터들이 LCD(32)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학습자가 어학 학습장치의 학습모드를 선택(S10)한 상태에서 외국어의 단어학습을 선택(S12)한 다음 학습자는 자신의 어학 능력에 알맞은 난이도를 설정(S14)하면, 중앙처리부(20)에서는 학습자가 선택한 외국어와 난이도에 해당하는 음성신호 및 단어를 데이터 저장부(10)로부터 수신하고, 선택한 문제의 단어를 LCD(32)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16)을 실시함과 동시에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4)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난이도가 낮은 문제를 선택(S16)하면, LCD(32) 화면에는 " PIG" 단어 중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한 개의 공란이 있는 " P_G" 라는 단어와 " 피그" 라는 발음을 함께 출력하게 된다. 이때, 학습자는 단어 입력부(24)를 조작하여 공란에 들어갈 알파벳을 입력(S18)하면, 입력된 알파벳은 " P IG" 로 표시단계(20)를 실시한다. 만약, 난이도 설정단계(S14)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선택(S16)하면 LCD(32) 화면에는 단어가 전부 공란 " _ _ _ " 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 피그" 라는 발음만 출력된다. 따라서, 난이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LCD(32)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란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어학 학습장치는 학습자의 정답을 판단하는 단계(S20)를 거쳐 정답이 맞을 경우에는 " 잘했어요!" 라는 정답 멘트의 출력단계(S24)를 실행한 후 LCD(32)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다시 한번 발음하는 단계(S26)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단계(S26)에서 학습자가 현재 LCD(32) 화면에 표시된 단어의 발음을 입력(S28)하면, 이 입력신호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A/D 변환부(16)를 거쳐 중앙처리부(20)로 수신되고, 중앙처리부(20)에서는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현재 표시된 외국어의 원음을 비교하는 단계(S30)를 실시하고, 그 비교결과를 LCD(32) 화면에 다수의 레벨로 출력하는 단계(S32)를 실시함과 동시에 " 나쁨, 중간, 좋음" 라는 음성멘트를 출력하는 단계(S34)를 실시한 다음 종료 단계(S36)를 실시한다. 이때, 종료단계(S36)에서 종료를 실행하지 않으면, 어학 학습장치는 또 다른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S16)로 복귀된다.
한편, 단어 발음 출력단계(S26)에서 학습자가 발음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어학 학습장치는 학습장의 발음이 입력되는 설정시간까지 대기상태로 있다가 설정시간이 경과(S38)되면 종료단계(S36)를 실시하다.
또한, 입력된 단어의 정답을 판단하는 단계(S22)에서 정답이 아닐 경우에는 " 틀렸어요! 다시하세요" 라는 재시도 음성텐트를 출력하는 단계(S40)가 실시되고, 이때, 재시도 음성멘트는 설정횟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단어 입력단계(S18)가 실행되며, 설정횟수가 초과되는 단계(S42)가 되면 정답을 LCD(32) 화면에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44)를 실시함과 이와 병행하여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단계(S46)를 실시한 다음 문제출력 단계(S16)로 복귀된다.
만약, 학습자가 LCD(32)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란을 갖는 단어와 스피커(14)를 통해 출력되는 단어의 발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경우 힌트 입력부(28)를 조작하면, LCD(32) 화면에는 표시된 단어의 힌트입력 단계(S48)가 실행된다. 즉, LCD(32) 화면에 표시된 단어에 대한 캐릭터, 음향 또는 해석 등의 힌트를 입력(S48)하면, 어학 학습장치는 입력된 힌트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S50)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단계(S52)에서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학습모드 선택(S10)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학을 선택하는 단계(S54)을 실시한 다음 가감승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S56)하면, LCD(32) 화면에는 이에 상응하는 문제가 출력(S58)된다. 예를 들어, 가감승제 중에서 더하기를 선택할 경우 LCD(32) 화면에는 " 2 + 5= _" 라는 문제가 표시된다. 이때, 학습자는 숫자 입력부(26)를 조작하여 문제에 맞는 숫자를 입력(S60)하면, LCD(32) 화면에 입력된 숫자가 표시되는 단계(S62)가 실시되고, 정답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를 실시하게 된다. 그 후, 입력된 값이 정답 또는 오답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정답 텐트 출력단계(S24) 또는 재시도 음성멘트 출력단계(S40)의 루틴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외국어의 문장, 단어 및 수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 지속적으로 외국어와 숫자가 학습되고, 특히 단어에 대한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 및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학습자가 학습모드 선택(S10)을 선택한 다음 단어게임을 선택(S66)하고, 학습자의 능력에 적합한 게임속도를 설정(S68)한다. 그러면, LCD(32) 화면에는 전부 공란인 문제가 출력(S70)되어 표시됨과 동시에 단어에 대한 발음만 출력(S72)된다. 그 후, 학습자는 발음만 들을 상태에서 단어 입력부(24)를 조작하여 알파벳을 입력(S74)한다. 이때, LCD(32)에 표시된 공란의 문제에 대한 알파벳을 설정 시간내에 입력하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S76)되었을 경우에는 단어의 입력에 상관없이 그 다음 문제가 출력된다.
그리고, LCD(32) 화면에 표시된 문제가 마지막인 단계(S78)가 실시되고, 마지막 문제의 알파벳이 입력될 경우, 어학 학습장치는 엔딩 멘트를 출력(S80)한 다음 단어 게임에 대한 정답 및 오답에 대한 단어들을 LCD(32) 화면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82)를 실시하고, 출력된 결과에서 정답이 전체 문제에 대해 80% 이상인가 판단(S84)한 다음 80% 이상이면, 메모리부(30)에 저장하는 단계(S86)를 실시한다.
따라서,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학습자의 호출신호가 입력될 때 LCD(32) 화면에 표시되므로 틀린 문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인터페이스(34)를 통하여 PC에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10 : 데이터 저장부 12 : 음성 입력부
14 : 스피커 16,18 : A/D 및 D/A 변환부
20 : 중앙처리부 22 : 학습모드 선택부
24 : 단어 입력부 26 : 숫자 입력부
28 : 힌트 입력부 30 : 메모리부
32 : LCD 34 :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에 있어서,
    외국어의 음성 및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따라서 발성한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치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한 D/A 변환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이를 비교한 학습자의 음성에 대한 결과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장, 단어, 숫자 등의 데이터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LCD 화면과,
    상기 LCD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어 및 숫자 입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국어의 음성 및 문장, 단어, 숫자 등의 학습등급이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다수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외국어의 음성과 문장, 음성과 단어 및 음성과 숫자가 각각 독립되어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장치에는 학습자 임의로 학습을 선택할 수 있는 학습난이도버튼과,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 문장, 단어 및 숫자의 음성데이터를 반복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버튼과, 상기 어학 학습장치를 초기화시키는 리셋버튼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들을 설정된 시간 내에 학습하기 위한 단어게임버튼, 그리고 숫자를 가감승제하기 위한 연산버튼 등이 마련된 학습모드 선택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장치에는 상기 LCD 화면에 표시된 외국어의 단어와 숫자에 대한 정보를 암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단어의 뜻을 상징하는 캐릭터, 음향, 해석 등을 나타내는 모양이 색인된 힌트 입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장치에는 상기 학습모드 선택부 중에서 단어게임버튼 선택시 단어게임의 결과를 저장하고, 저장된 결과가 학습자의 호출시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중앙처리부로 수신되어 LCD 화면으로 출력되는 메모리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장치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메모리부에 각각 저장된 데이터들과 통신선로를 통해 PC로부터 다운로드된 새로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8.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외국어의 단어학습 및 난이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난이도 설정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음성정보 및 단어에 대한 문제가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단어문제에 대한 알파벳을 입력하고, 입력된 알파벳이 LCD 화면에 표시된 단계와,
    상기 단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단어의 정,오답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입력된 단어가 정답일 때 정답 멘트와 LCD 화면에 출력된 단어를 발음하는 출력단계를 실시하고,
    오답일 경우 재시도 음성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가 실시되며, 재시도 출력단계가 설정횟수를 초과하면 정답에 대한 단어와 발음을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입력된 알파벳이 정답일 경우 단어 발음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따라하는 학습자의 발음 입력단계와,
    상기 발음 입력단계로부터 입력된 발음과 외국어의 원음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와 평가를 LCD 화면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단어에 대한 문제출력이 완료되면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종료가 선택하면 어학 학습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며, 종료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문제를 풀기 위한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모드 선택 단계에서 수학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가감승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가감승제 선택 단계에서 가감승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 상응하는 문제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숫자 입력부를 조작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숫자의 정,오답을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모드 선택 단계에서 단어게임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학습자의 능력에 알맞는 게임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와,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문제와 이에 대한 발음이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문제에 대한 단어를 설정시간 내에 입력되는 단어 입력단계와,
    상기 단어 입력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알파벳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단어의 입력 여부에 상관없이 다음 문제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문제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문제가 마지막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마지막 문제에 대한 단어가 입력될 때 엔딩 멘트 및 게임 결과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결과에 대한 정답이 전체 문제에 대해 80%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정답이 80% 이하이면 종료단계로 복귀되고, 80% 이상이면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방법.
KR1020100014378A 2010-02-17 2010-02-17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KR20110094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378A KR20110094769A (ko) 2010-02-17 2010-02-17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378A KR20110094769A (ko) 2010-02-17 2010-02-17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769A true KR20110094769A (ko) 2011-08-24

Family

ID=4493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378A KR20110094769A (ko) 2010-02-17 2010-02-17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7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2990A (zh) * 2013-01-23 2014-07-23 郭毓斌 一种语言学习装置
ES2784480A1 (es) * 2020-04-17 2020-09-28 Martin Jose Javier Prieto Sistema de resolucion de adivinanzas, acertijos y enigmas basado en reconocimiento de voz
KR20210119030A (ko) * 2020-03-24 2021-10-05 조안호 음성인식을 이용한 연산 학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2990A (zh) * 2013-01-23 2014-07-23 郭毓斌 一种语言学习装置
KR20210119030A (ko) * 2020-03-24 2021-10-05 조안호 음성인식을 이용한 연산 학습 방법
ES2784480A1 (es) * 2020-04-17 2020-09-28 Martin Jose Javier Prieto Sistema de resolucion de adivinanzas, acertijos y enigmas basado en reconocimiento de voz
WO2021209662A1 (es) * 2020-04-17 2021-10-21 Jose Javier Prieto Martin Sistema de resolución de adivinanzas, acertijos y enigmas basado en reconocimiento de voz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3780B (zh) 课程内容推荐方法和装置
KR100687442B1 (ko) 학습자 주도형 외국어 학습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476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JP6466391B2 (ja) 言語学習装置
JP6166831B1 (ja) 単語学習支援装置、単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単語学習支援方法
JP7376071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発音学習支援方法及び発音学習支援装置
KR2003000644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 학습장치 및 어학 학습방법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KR20090009626U (ko)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대 요소를 이용한 영어학습프로그램
WO2009032425A1 (en)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54951A (ko)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CN114255759A (zh) 用机器实施的口语训练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40107067A (ko) 이미지 데이터와 원어민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6155102B2 (ja) 学習支援装置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2001051587A (ja) 外国語学習装置、外国語学習方法、及び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51602B1 (ko) 외국어 학습기 및 학습방법
Shukla Development of a Human-AI Teaming Based Mobile Language Learning Solution for Dual Language Learners in Early and Special Educations
KR102062552B1 (ko) 영어 감각훈련에 기반한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기
WO2023248520A1 (ja) 認知機能検査装置及び認知機能検査プログラム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2127A (ko) 단어의 어원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Rizakhojayeva et al. IMPACT AND EFFECTIVENESS OF MOBILE APPLICATIONS IN TEACHING
Mich et al. Parling, a CALL system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