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176A -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176A
KR20150126176A KR1020140053448A KR20140053448A KR20150126176A KR 20150126176 A KR20150126176 A KR 20150126176A KR 1020140053448 A KR1020140053448 A KR 1020140053448A KR 20140053448 A KR20140053448 A KR 20140053448A KR 20150126176 A KR20150126176 A KR 2015012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pronunciation
image
meaning
sp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언 동우 김
Original Assignee
라이언 동우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언 동우 김 filed Critical 라이언 동우 김
Priority to KR10201400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176A/ko
Publication of KR2015012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자를 통하여 단어를 학습하는 사용자들에게 영어단어를 음과 뜻으로만 암기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 않고, 그 단어로 연상되는 이미지(그림)를 통하여 단어의 발음과 스펠링을 유추해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쉽게 익히고 암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어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 단어 선택부와, 의미 이미지 DB 및 발음 이미지 DB에 미리 저장된 의미 및 발음 이미지 중 상기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및 발음 이미지를 검출하여 하나로 결합된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어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암기 단어 DB에 저장하는 암기 처리부와, 상기 암기 단어 DB에 저장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고, 입력된 단어 스펠링 또는 발음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매칭 여부를 통해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는 퀴즈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A word study system using infinity mnemotechnique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단어 암기를 위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억법에 대한 아무런 이론적 이해나 훈련이 없이도 방대한 양의 정보를 짧은 시간 안에 머릿속에 축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어단어 학습교재는 영어를 공부하고자하는 사람들이 사전을 찾는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빈번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영어단어를 정리한 것을 말한다. 종래의 영어단어 학습교재는 영어단어와 발음기호 및 그 뜻이 기록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영어단어를 암기하려고 할 때는 가장 일반적으로 백지 또는 연습장에다 해당 단어를 10회 내지 20회 정도 연속 필사하거나 눈으로 수십 차례 묵독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그런데, 상기 방법은 영어단어를 공부할 때 동일 단어를 기계적으로 반복해서 쓰고 수십 차례 다시 읽고 암기해야하는 인내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영어단어를 접두사나 접미사 등으로 어휘 분석을 하거나 그 단어의 동의어와 반의어 혹은 파생어 등을 제시하여 암기하도록 하는 교재, 또는 단어를 청취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단어 녹음테이프 및 교재도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영어단어 학습교재는 단어를 암기할 때 종이에 10회 내지 20회 반복해서 쓰는 지루함 등으로 인해 학습 능률이 저하되며 단순한 반복과정을 통해 암기된 단어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망각되기 때문에 이를 다시 암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모국어를 학습한 사용자가 외국어를 학습할 때에는 유아기 및 아동기에서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2외국어의 단어 철자에 대응하는 모국어 뜻을 매핑하여 단순 암기하는 전통적 암기방식으로 외국어를 학습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 암기력에 의존하는 외국어 학습방법은 단기적인 효과만을 가져올 뿐 학습자의 단어력과 문장 구사력을 지속적으로 배양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어휘 분석에 의한 영어단어 학습교재는 분석된 접두사나 접미사 등을 제외하면 단순히 나열된 알파벳을 기계적으로 암기해야 되므로 효과가 미비하고, 녹음테이프 등에 의한 학습 방법은, 청각적인 수단을 통해 영어단어를 학습한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하더라도, 그 학습 효과가 크지 않아 반복 필사과정이 또다시 요구되므로 상기한 방법과 큰 차이 없는 인내와 노력을 들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부터 벗어나 보다 쉽고 용이하게 영어단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한 학습용 교재나 교구 등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67715호 : 영어단어 학습용 카드 등록특허공보 제10-0767575호 :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철자를 통하여 단어를 학습하는 사용자들에게 영어단어를 음과 뜻으로만 암기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 않고, 그 단어로 연상되는 이미지(그림)를 통하여 단어의 발음과 스펠링을 유추해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쉽게 익히고 암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의 특징은 단어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 단어 선택부와, 의미 이미지 DB 및 발음 이미지 DB에 미리 저장된 의미 및 발음 이미지 중 상기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및 발음 이미지를 검출하여 하나로 결합된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어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암기 단어 DB에 저장하는 암기 처리부와, 상기 암기 단어 DB에 저장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고, 입력된 단어 스펠링 또는 발음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매칭 여부를 통해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는 퀴즈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어 컨텐츠 생성부는 발음 음성 DB에 저장되어 있는 발음 음성 중 상기 단어 선택부에서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의 발음 음성을 검출하여 생성되는 단어 컨텐츠에 함께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는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스펠링과, 상기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 이미지와, 상기 단어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주는 발음 이미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음 이미지는 의미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의미 이미지와 연결되며,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발음이 발생되는 순서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음 이미지는 발음에 이용되는 글자에 하이라이트, 색상, 굵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의 특징은 (A) 단어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의미 이미지 DB 및 발음 이미지 DB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선택된 단어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암기가 선택되면, 단말기 화면에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를 암기 단어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학습이 선택되면, 상기 암기 단어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로부터 단어 암기가 수행된 단어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한 단어 컨텐츠 및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F)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 오답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는 정보를 단어 컨텐츠에 추가하여 단말기 화면에 다시 표시하는 단계와, (G)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 정답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학습 성취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단어 스펠링 및 발음 이미지를 삭제하고, 단어 의미 및 의미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단계와,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에 해당 단어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선택 아이콘과, 상기 단어 컨텐츠의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추가로 표시되도록 요청되는 힌트 아이콘을 단말기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G) 단계는 오답이나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소모성 재화의 보유량이 줄어드는 단계와, 상기 소모성 재화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정답 단어를 입력한 경우, 별도의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어단어를 음과 뜻으로만 암기하고 이해하지 않고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보다 단어의 발음과 스펠링을 유추해낼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익히고 암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단어와 형상화된 이미지를 통하여 암기하기 때문에 쉽고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학습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기억법에 대한 아무런 이론적 이해나 훈련이 없이도 방대한 양의 정보를 짧은 시간 안에 머릿속에 축적할 수 있으며, 이는 외국어 단어부터 각종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단어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단어 컨텐츠의 구성을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는 도 3의 단어 암기가 선택된 경우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어 컨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a, 5b는 도 3의 단어 학습이 선택된 경우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어 컨텐츠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단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 DB(101)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 단어 선택부(102)와, 의미 이미지 DB(103) 및 발음 이미지 DB(104)에 미리 저장된 의미 및 발음 이미지 중 상기 단어 선택부(102)에서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및 발음 이미지를 검출하여 하나로 결합된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어 컨텐츠 생성부(106)와, 상기 단어 컨텐츠 생성부(106)에서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암기 단어 DB(108)에 저장하는 암기 처리부(107)와, 상기 암기 단어 DB(108)에 저장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단어 스펠링 또는 발음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매칭 여부를 통해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관리하고, 학습 성취도 DB(110)에 저장하는 퀴즈 처리부(10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 컨텐츠 생성부(106)는 발음 음성 DB(105)에 저장되어 있는 발음 음성 중 상기 단어 선택부(102)에서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의 발음 음성을 검출하여 생성되는 단어 컨텐츠에 함께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어 컨텐츠 생성부(106)에서 생성된 단어 컨텐츠는 암기하고자 하는 영단어(뜻, 스펠링)와, 상기 영단어의 의미(뜻)를 나타내는 의미 이미지와, 상기 영단어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주는 발음 이미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음 이미지는 의미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의미 이미지의 부분들에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발음 이미지는 영단어의 정확한 발음을 나타내지 않으며, 본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줄 수 있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단어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된 단어 컨텐츠의 구성을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영단어의 의미 및 스펠링인 “지루한” 및 “Banal”이 구성된다. 이어, 영단어의 의미인 “지루한”을 나타내는 지루해하고 있는 여자인 의미 이미지가 중앙에 구성된 후, 상기 “Banal”의 발음인 “배널”에 대한 힌트를 나타내는 “배”와 “널판지”의 발음 이미지가 상기 의미 이미지와 함께 구성된다.
아울러,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아. 영단어의 의미인 스펠링인 “날씬한” 및 “svelte”가 구성된다. 이어, 영단어의 의미인 “날씬한”을 나타내는 날씬한 발레리나인 의미 이미지가 중앙에 구성된 후, 상기 “svelte”의 발음인 “스벨트”에 대한 힌트를 나타내는 “스키”와 “벨트”의 발음 이미지가 상기 의미 이미지와 함께 구성된다.
이때,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발음 이미지는 책과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발음이 발생되는 순서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음 이미지는 발음에 이용되는 글자에 하이라이트, 색상, 굵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영단어의 발음 학습에 있어 보다 높은 학습효과 및 편안함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뒤에 배경은 생성된 단어 컨텐츠에 포함된 연결된 이미지(의미 이미지 + 발음 이미지)의 윤곽이 잘 보이도록 검은색이나 흰색으로 구성된다. 이는 두뇌가 연결된 이미지의 윤곽과 연결부위를 자동적으로 기억하는 두뇌의 속성을 활용한 것이다.
한편, 도 2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영단어뿐만 아니라 “과전법”과 같이 한국사 내용에 적용되는 단어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와 같이 모든 학습내용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단어 DB(101)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S101),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의미 이미지 DB(103) 및 발음 이미지 DB(104)에서 검출한다(S102). 이때, 선택되는 단어는 레벨별로 단어들이 서로 다른 군을 형성하여 단어 DB(101)에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레벨이 선택되면, 선택된 레벨로 형성된 군에 저장된 단어들이 랜덤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선택된 단어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 컨텐츠를 생성한다(S103). 이때, 상기 생성되는 단어 컨텐츠는 암기하고자 하는 영단어 의미, 영단어의 스펠링, 상기 영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 이미지, 상기 영단어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주는 발음 이미지를 하나의 컨텐츠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발음 이미지는 의미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의미 이미지의 부분들에 연결된다. 상기 단어 컨텐츠의 상세한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 위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암기가 선택되면(S103),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한다(S105). 즉,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영단어의 의미인 스펠링인 “날씬한” 및 “svelte”를 표시한다. 그리고 영단어의 의미인 “날씬한”을 나타내는 날씬한 발레리나인 의미 이미지가 중앙에 표시되고, 상기 “svelte”의 발음인 “스벨트”에 대한 힌트를 나타내는 “스키”와 “벨트”의 발음 이미지가 상기 의미 이미지와 함께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 시간(일예, 10초) 동안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보고 단어의 발음과 의미를 속으로 또는 소리 내어 여러 번 말한다. 즉, 의미 이미지를 보고 “날씬한”이라고 말하고, 발음 이미지를 보면서 “스벨트”라고 말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에 발음 음성이 함께 결합된 경우에는 발음 음성도 함께 지원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단어는 암기 단어 DB(108)에 저장된다(S106).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학습이 선택되면(S103), 도 5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암기 단어 DB(108)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로부터 단어 암기가 수행된 단어의 단어 컨텐츠를 검출한다(S107).
이어, 상기 검출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한 단어 컨텐츠와,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한다(S108).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단어 스펠링 및 발음 이미지를 삭제하고, 단어 의미 및 의미 이미지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에 해당 단어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선택 아이콘과, 상기 단어 컨텐츠의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추가로 표시되도록 요청되는 힌트 아이콘이 포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알파벳 선택 아이콘은 해당 단어의 알파벳을 제외한 다른 알파벳이 적어도 1개 이상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거나(S109), 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S111) 오답으로 판단되면(S112), 해당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는 정보를 단어 컨텐츠에 추가하여 단말기 화면에 다시 표시한다(S110). 즉, 도 5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①과 같이 표시된 알파벳 선택 아이콘 중 해당 단어에 포함되지 않는 알파벳을 적어도 하나 삭제하거나, ②와 같이 입력창에 해당 단어의 알파벳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③과 같이 단어 컨텐츠에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는 정보가 추가된 단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입력창에 단어 스펠링을 기재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S111) 정답으로 판단되면(S112),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학습 성취도 DB(110)에 저장한다(S113).
한편, 상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퀴즈 등에 게임적인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퀴즈 진행 시 소모성 재화를 이용하도록 하며, 오답이나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소모성 재화의 보유량이 줄어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모성 재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답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별도의 코인을 지급하여 성취욕이나 재미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을 구현함에 따라, 이를 진행한 사용자들 간의 단어 퀴즈 대결을 통한 베틀모드를 이용하여 대전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단어 학습 성취도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로직으로 단어를 암기한 유저들 간의 대결이라는 재미적인 측면과 동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틀모드를 이용한 대전게임의 경우, 상기 설명한 학습 퀴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의미 이미지'를 통해 단어를 유추하여 맞추는 형태로 진행되게 된다. 상기 배틀모드를 이용한 대전게임은 '힌트 이미지' 단계는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완성된 무한 기억 단어의 원리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나아가 사용자들 간의 대결로서 각 단어별로 시간 제한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다 급박한 상황에서 무한 기억 단어의 학습 성취도를 판가름해 볼 수 있어 학습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틀모드는 기본적으로 '의미 이미지'만을 가지고 배틀을 하지만 코인을 사용해서 '힌트 이미지'를 볼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단어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 단어 선택부와,
    의미 이미지 DB 및 발음 이미지 DB에 미리 저장된 의미 및 발음 이미지 중 상기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및 발음 이미지를 검출하여 하나로 결합된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어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암기 단어 DB에 저장하는 암기 처리부와,
    상기 암기 단어 DB에 저장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고, 입력된 단어 스펠링 또는 발음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매칭 여부를 통해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는 퀴즈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을 포함하는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내부에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컨텐츠 생성부는
    발음 음성 DB에 저장되어 있는 발음 음성 중 상기 단어 선택부에서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의 발음 음성을 검출하여 생성되는 단어 컨텐츠에 함께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는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스펠링과, 상기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 이미지와, 상기 단어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주는 발음 이미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이미지는 의미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의미 이미지와 연결되며,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발음이 발생되는 순서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이미지는 발음에 이용되는 글자에 하이라이트, 색상, 굵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처리부는 상기 정답 및 오답의 판단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관리하고, 학습 성취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시스템.
  8. (A) 단어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를 기반으로 해당 단어로 연상되는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의미 이미지 DB 및 발음 이미지 DB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의미 이미지 및 발음 이미지를 선택된 단어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암기가 선택되면, 단말기 화면에 상기 생성된 단어 컨텐츠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를 암기 단어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단어 학습이 선택되면, 상기 암기 단어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로부터 단어 암기가 수행된 단어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단어 컨텐츠에 구성된 단어 의미, 단어 스펠링, 의미 이미지,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삭제한 단어 컨텐츠 및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F)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단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 오답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는 정보를 단어 컨텐츠에 추가하여 단말기 화면에 다시 표시하는 단계와,
    (G)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 스펠링과 저장되어 있는 정답 단어의 스펠링을 비교하여 정답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학습 성취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선택되는 단어가 레벨별로 서로 다른 군을 형성하여 단어 DB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암기하고자 하는 영단어 의미, 영단어의 스펠링, 상기 영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 이미지, 상기 영단어의 발음에 대한 힌트를 주는 발음 이미지를 하나의 컨텐츠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단어 스펠링 및 발음 이미지를 삭제하고, 단어 의미 및 의미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단계와,
    단어 스펠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에 해당 단어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선택 아이콘과, 상기 단어 컨텐츠의 단어를 유추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추가로 표시되도록 요청되는 힌트 아이콘을 단말기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선택 아이콘은 해당 단어의 알파벳을 제외한 다른 알파벳이 적어도 1개 이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표시된 알파벳 선택 아이콘 중 해당 단어에 포함되지 않는 알파벳을 적어도 하나 삭제하거나, 입력창에 해당 단어의 알파벳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단어 컨텐츠에 발음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오답이나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소모성 재화의 보유량이 줄어드는 단계와,
    상기 소모성 재화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정답 단어를 입력한 경우, 별도의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기억 테크닉을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1020140053448A 2014-05-02 2014-05-02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48A KR20150126176A (ko) 2014-05-02 2014-05-02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48A KR20150126176A (ko) 2014-05-02 2014-05-02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76A true KR20150126176A (ko) 2015-11-11

Family

ID=5460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48A KR20150126176A (ko) 2014-05-02 2014-05-02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17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75B1 (ko) * 2016-06-23 2017-02-08 조희만 스피드퀴즈 게임기
KR20180095314A (ko) * 2017-02-17 2018-08-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소 이미지와 음소분석 알고리즘 적용 한글 읽기 학습 시스템
CN108961932A (zh) * 2018-07-03 2018-12-07 万秀英 一种英语单词记忆架
CN112256898A (zh) * 2020-11-05 2021-01-22 深圳小象智多分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英语单词想象力图像记忆训练系统
KR20220055371A (ko) * 2020-10-26 2022-05-03 하원복 연상카드와 매칭 테스트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2528760B1 (ko) * 2022-04-19 2023-05-03 한경은 유아용 단어학습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75B1 (ko) * 2016-06-23 2017-02-08 조희만 스피드퀴즈 게임기
KR20180095314A (ko) * 2017-02-17 2018-08-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소 이미지와 음소분석 알고리즘 적용 한글 읽기 학습 시스템
CN108961932A (zh) * 2018-07-03 2018-12-07 万秀英 一种英语单词记忆架
KR20220055371A (ko) * 2020-10-26 2022-05-03 하원복 연상카드와 매칭 테스트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N112256898A (zh) * 2020-11-05 2021-01-22 深圳小象智多分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英语单词想象力图像记忆训练系统
KR102528760B1 (ko) * 2022-04-19 2023-05-03 한경은 유아용 단어학습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626B2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learning
US20170287356A1 (en)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elzl What makes second language perception<? br?> of Mandarin tones hard? A non-technical review of evidence<? br?> from psycholinguistic research
Ellis Task-based language teaching for beginner-level young learners
CN109389873B (zh) 计算机系统和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JP2005164943A (ja) 学習支援プログラム、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装置及び記録媒体
Budiharso Reading strategies in EFL classroom: A theoretical review
Marciano et al. Evaluating multiple aspects of educational computer gam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KR20110111193A (ko) 기능성 게임형 언어 학습 방법 및 장치
US11587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anguage learning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KR20090009626U (ko)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대 요소를 이용한 영어학습프로그램
US20140120502A1 (en) Language learning using electronic book
KR2009003833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38371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発音学習支援方法及び発音学習支援装置
KR20210060040A (ko) 외국어 말하기 학습 서버 및 방법
KR20130058840A (ko) 외국어 학습방법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Watts et al. Da symbol dat under da stuffs: Teaching the language of maths to Aboriginal learners of Standard Australian English as a second dialect
KR20020058147A (ko) 인터넷을 통한 단계별 학습 방법
KR20090054951A (ko)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TWM467143U (zh) 語言自學系統
KR101440394B1 (ko) 단어 학습 방법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