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638B1 - 수납용기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용기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638B1
KR101045638B1 KR1020080071485A KR20080071485A KR101045638B1 KR 101045638 B1 KR101045638 B1 KR 101045638B1 KR 1020080071485 A KR1020080071485 A KR 1020080071485A KR 20080071485 A KR20080071485 A KR 20080071485A KR 101045638 B1 KR101045638 B1 KR 10104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ward
cylinder
storage container
dow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69A (ko
Inventor
함영준
Original Assignee
(주) 예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예스티 filed Critical (주) 예스티
Priority to KR102008007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6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용기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쇠를 포함하고 있는 핑거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핑거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업다운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하운동에 따라 인접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를 전후로 가동시킬 수 있는 캠(Cam)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착탈장치를 마련할 수 있으며, 정밀한 착탈동작의 제어가 가능하고, 전자기기가 수납된 용기를 고정한 후, 테스트 장비와 수납용기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미세한 정도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수납용기와 핑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압력을 줄일 수 있다.
착탈장치, 매거진, 수납용기, 캠

Description

수납용기 착탈장치{APPARATUS FOR ATTACHING/REMOVING OF MAGAZINE}
본 발명은 챔버로 유입되는 수납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다운플레이트 및 업다운실린더와 전후진플레이트 및 전후진실린더를 통해서, 수납용기를 고정하는 핑거가 상하 및 전후로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착탈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수납용기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번인검사(burn-in test)는, 전자기재를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전에 또는 시스템에 장착하기 전에 초기 불량소자를 찾아내기 위한 신뢰성 검사의 일종이다.
여기서, 번인검사는 전자기재를 특정 환경스트레스 상태에 놓고, 결함이나 이상이 있거나, 곧바로 불량이 될 것 같은 전자기재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번인검사는, 약 80 ~ 125℃의 높은 온도로 전자기재에 열적 스트레스를 가하는데 번인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반도체 소자는 높은 온도와 높은 전계가 인가된 상태에서 동작하므로 불량 메커니즘이 가속된다.
따라서, 수명이 길지 않은 초기 불량 전자기재들은 번인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가혹조건을 견디지 못하고 불량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번인검사를 통과한 양품 전자기재는 오랜 기간의 수명을 보장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번인검사가 진행되는 챔버 내부로 운반된 수납용기(매거진, magazine)는 수납용기에 포함된 반도체소자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 Solid State Disk) 등의 전자기재와 챔버의 테스트장비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서, 챔버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납용기 고정을 위해서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수납용기를 테스트장비에 착탈시키는 경우, 착탈을 위한 인력이 추가적으로 투입되어야 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챔버 내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착탈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화 기계를 이용하여 수납용기의 착탈동작을 수행하는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 수납용기 착탈을 위해서 후크 등을 사용하여 수납용기를 지속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힘을 가함으로써, 챔버의 테스트 장비와 수납용기 내의 전자기재에 물리적인 압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신속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용기를 고정시키는 핑거의 전후진 및 상하이 동이 독립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정밀한 착탈동작 제어가 가능한 수납용기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가 수납된 용기를 고정한 후, 테스트 장비와 수납용기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수납용기와 핑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압력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실린더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파악하고 통제하는 것이 용이한 수납용기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는, 수납용기에 착탈거치되어 수납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쇠를 포함하는 핑거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핑거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업다운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하운동에 따라 인접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를 전후로 가동시킬 수 있는 캠(Cam)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마련된 캠 구조에 의해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전후로 가동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핑거가 상하전후로 이동하여, 챔버 내에 유입된 수납용기를 잡아당겨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수납용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캠 구조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내부에 사선으로 마련된 캠 홈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가동될 때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가이드블록고정부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업다운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까지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캠 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하게끔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블록가동부와,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가 전후로 가동될 때, 가이드로서 제공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상기 업다운실린더와의 체결을 위한 일(一)자형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서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가 관통하는 부분에 | 형 홈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상하로 가동되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와 위치가 고정된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실린더는 실린더의 기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제한부를 포 함하고, 상기 전후진실린더의 샤프트 말단에 설치된 상기 가동제한부의 기동범위 내에 중간정지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전후진실린더의 가동범위를 축소시킬수 있는 중간정지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에 각 실린더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는,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핑거와 한 개의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한 개의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와 한 개의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한 개의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한 개의 상기 중간정지실린더로 마련된 착탈장치부가 2 개로 한 조를 이루게 되고, 상기 착탈장치부가 이루는 조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가 공압식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개의 업다운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핑거가 8 개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작동이 신속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수납용기용 착탈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를 고정시키는 핑거의 전후진 및 상하이동이 독립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정밀한 착탈동작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기가 수납된 용기를 고정한 후, 테스트 장비와 수납용기간에 전 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미세한 정도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수납용기와 핑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실린더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파악하고 통제하는 것이 용이한 착탈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 한 조의 전면과 후면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업다운플레이트에 마련된 핑거가 전진, 후진, 상승, 하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실린더 및 업다운 플레이트와 전후진실린더 및 전후진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중간정지실린더와 중간정지블록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에서 중간정지블록을 생략한 나머지 상부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는, 수납용기에 착탈거치되어 수납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쇠(100)를 포함하는 핑거(10)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핑거(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업다운플레이트(20)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하운동에 따라 인접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를 전후로 가동시킬 수 있는 캠(Cam)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후진플레이트(30)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실린더(40)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실린더(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핑거(10)는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 말단에 상방으로 형성되는 걸림쇠(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핑거(10)는 상기 핑거(10)의 전면 말단에 형성된 걸림쇠(100)를 통 해서 실질적인 수납용기 고정을 수행하고, 후면에 마련된 턱(110)을 통해서 고정된 수납용기를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핑거(10)는 한 개의 핑거가 독자적으로 수납용기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납용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4 개의 핑가(1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는 몸체가 직사각형의 얇은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핑거(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마다 상기 핑거(10)가 한 개씩 설치가 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핑거(10)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개의 업다운플레이트(20)마다 8 개의 상기 핑거(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2 개의 핑거(10)가 짝을 이루어 챔버에 유입되는 수납용기를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짝을 이루는 핑거(10)들 사이의 간격이 멀게 마련되어 수납용기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핑거(10) 짝들 사이의 간격은 좁게 마련됨으로써, 수납용기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는 동시에 한 번에 많은 수납용기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와 후술하는 업다운실린더(40)가 결속되는 부분에 일(一)자형 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내부에는 | 형 홈(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접하여 마련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는 몸체가 직사각형의 얇은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전후진실린더(50)와의 용이한 체결을 위하여, 상기 전후진실린더(50)와 결합되는 부분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ㄴ"자 형으로 꺾인 모습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는(30)는 후술하는 전후진실린더(50)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을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Cam)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캠이란, 서로 다른 운동방향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운동방식을 가진 두 개의 물체를 연결해주는 운동력 전달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각 물체의 운동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모습을 가진다.
즉, 회전운동과 상하왕복운동을 연결하기 위해서 판형의 판캠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평왕복운동과 상하왕복운동을 연결하기 위해서 직동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운동과 좌우한정운동을 연결하기 위해서 확동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캠 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이 전후진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전달되는데, 캠의 구조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캠 구조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내부에 사선으로 마련된 캠 홈(320)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하로 가동될 때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가이드블록고정부(340)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업다운플 레이트(20)와 업다운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를 함께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까지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캠 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전후로 이동하게끔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블록가동부(360)와,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가 전후로 가동될 때, 가이드로서 제공되는 가이드레일(3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선 홈(320)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전면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내려갈수록 전후진플레이트(30)의 후면쪽으로 비스듬히 내려오면서 마련된 길고 가는 형상의 개구로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선 홈(320)의 경사에 따라서 전후진플레이트(30)의 움직이는 거리 대비 업다운플레이트(20)의 움직이는 거리가 달라진다.
즉, 사선 홈(320)의 경사가 90˚에 가까워지면,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 거리에 비해서 업다운플레이트(20)의 전후이동거리가 짧아진다.
반대로, 사선 홈(320)의 경사가 0˚에 가까워지면,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 거리에 비해서 업다운플레이트(20)의 전후이동거리가 길어진다.
그리고, 사선 홈(320)의 경사가 45˚에 가까워지면,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 거리와 업다운플레이트(20)의 전후이동거리가 같아진다.
여기서, 상기 사선 홈(320)의 경사가 45˚이하가 되면, 전후진플레이트(30)와 업다운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가이드블록가동부(36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사선 홈(320)의 경사가 45˚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사선 홈(320)의 모습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승하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후진하여,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핑거(10)가 수납용기를 당겨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선 홈(320)은 상기 각 전후진플레이트(30) 마다 4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넓은 측면과 얇은 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수평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있지는 않지만,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의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와 접하는 면에 일(一)자형 홈이 있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상하운동과는 무관하게,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가 후술하는 가이드블록가동부(360)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수평적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시 궤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와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 사이의 마찰 력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에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340)가 접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롤러(30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300)는 각 가이드블록고정부(340)마다 2 개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는 직사각형 판과 판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원기둥을 통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와 전후진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두 부분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는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와 전후진플레이트(30)를 관통하는 상기 원기둥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복수 개의 링(364)과 와셔(36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의 원기둥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하로 운동할 때, 상기 사선 홈(320)의 경사를 따라 전후로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전후 운동을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80)은 챔버의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가 전후로 운동시 궤도로서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80)은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가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38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마련된 상기 캠 구조의 작동 순서는 아래와 같다.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기본 상태가 상승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사선 홈(320)을 따라 가이드블록가동부(36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는, 상기 사선 홈(320)이 전후진플레이트(30)의 전면 방향 윗쪽에서 후면 방향 아래쪽으로 마련되어있음으로 인해, 전후진플레이트(30)가 하강할 때 전면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의 원기둥이 전후진플레이트(30) 상에서는 후면 아래쪽에서 전면 윗쪽으로 상대적인 사선이동을 한 것이지만, 절대적인 위치의 관점에서, 이 사선이동은 전후진플레이트(30)의 하강운동과 가이드블록가동부(360)의 원기둥부의 전진운동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는 챔버 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380)을 따라 수평으로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 형 홈(24)을 수평 전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 전체가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360)의 원기둥이 상기 사선 홈(320)을 따라 전면 윗쪽에서 후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아이드블록가동부(360)가 업다운플레이트(20)의 | 형 홈(24)을 뒤로 잡아당겨, 전체 업다운플레이트(20)가 후진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일(一)자형 홈(22)이 있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상하운동에 의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전후로 이동될 때,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수직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 형 홈(24)이 있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의한 핑거(10)의 상하운동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에 의한 핑거(10)의 전후진운동은 별개의 동작으로, 제어신호에 따라서 독자적으로 상기 핑거(10)의 전후상하 운동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업다운실린더(40)은 수평방향 단면이 원인 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끝에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업다운실린더(40)의 동력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전달이 된다.
한편, 상기 전후진실린더(50)도 상기 업다운실린더(40)와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와 샤프트로 마련되며, 샤프트를 통해서 결합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10)의 강한 고정력을 위해 상기 업다운실린더(40)보다 큰 구경의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진실린더(50)는 파이프의 지름이 125mm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와 연결된 샤프트의 반대쪽 끝에 상기 전후진실린더(50)의 기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제한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제한부는 상기 업다운실린더(40)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후진실린더(50)의 샤프트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제한부(500)도 함께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 실린더의 구조물에 상기 가동제한부(500)가 걸리는 한도까지 상기 샤프트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동제한부(500)가 이동하는 폭 만큼 상기 전후진실린더(50)의 샤프트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에 의해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를 전후진시키게 되므로, 상기 가동제한부(500)의 이동거리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핑거(10)의 이동거리가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동제한부(5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핑거(10)의 전후 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가동제한부(500)의 기동경로 상에 중간정지블록(600)을 끼워넣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정지블록(600)은 상기 전후진실린더(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정지실린더(60)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중간정지실린더(6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간정지블록(600)을 작동시켜, 상기 가동제한부(50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실린더(40)와 상기 전후진실린더(50)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6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7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700)는 상기 업다운실린더(40)의 가동제한부와 상기 전후진실 린더(50)의 가동제한부(500)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60)의 상기 중간정지블록(6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700)가 상하로 각각 2 개가 마련될 수 있어, 상기 가동제한부(500)에 연결된 상기 업다운실린더(40)와 전후진실린더(50)의 상승 및 하강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정지블록(600)의 전후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정지블록(600)의 기동경로 전방에 1 개의 감지센서(70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700)를 통해서 상기 실린더들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정확한 실린더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실린더의 오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다운실린더(40)와 상기 전후진실린더(50)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60)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공압식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기름이 유출되는 현상이 없고 용이하게 직선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공압식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업다운플레이트(2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핑거(10)와 한 개의 업다운플레이트(20)와 한 개의 전후진플레이트(30)와 한 개의 업다운실린더(40)와 한 개의 전후진실린더(50)와 한 개의 중간정지실린더(60)로 마련된 착탈장치부가 2 개로 한 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한 조를 이루는 착탈장치부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조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에 마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챔버의 넓이에 따라서 착탈장치에 포함되는 착탈장치부의 수를 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8 개의 핑거가 마련되고, 4 개의 핑거로써 한 개의 수납용기를 고정하는 경우, 상기 2 개의 조로써 마련된 착탈장치는 한 번에 8 개의 수납용기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동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핑거(10)는 업다운플레이트(20)와 연결된 업다운실린더(40)가 하강 상태에 있고, 전후진플레이트(30)에 연결된 전후진실린더(50)도 하강 상태에 있음으로써, 전진 - 하강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챔버 내에 수납용기가 유입되어 착탈장치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업다운실린더(40)에 의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핑거(10)가 상기 수납용기의 착탈부에 닿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전후진실린더(50)에 의해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가 상승하여, 이에 따라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30)의 캠 구조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가 후진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업다운플레이트(20)가 후진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에 마련된 핑거(10)의 걸림쇠(100)에 결합된 상기 수납용기의 착탈부를 끌어당겨, 착탈장치부 사이에 마련된 테스트기기와 상기 수납용기 내부에 있는 전자기재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10)를 통해서 수납용기가 18mm 정도 당겨지게 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번인검사가 진행되기에 앞서, 상기 전자기재와 테스트기기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전후진실린더(5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중간정지실린더(60)가 중간정지블록(600)을 상기 전후진실린더(50)의 가동제한부(500)의 하부에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전후진실린더(50)는 미세한 정도로만 하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제한부(500)로 인해, 상기 전후진실린더(50)를 통해 전후진플레이트(30)가 하강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와 상기 핑거(10)가 3mm 정도만 전진하게 되는데, 이 거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핑거(10)가 상기와 같이 미세하게 전진할 때, 상기 핑거(10)의 턱(110)부분이 상기 수납용기의 착탈부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테스트기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전자기재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면서도 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물리적인 압력을 완화할 수 있어, 양호한 번인검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번인검사가 완료된 후, 상기 가동제한부(500)와 맞물린 중간정지블록(600)을 용이하게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제한부(500)가 연결된 전후진실린더(50)가 미세한 정도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정지실린더(60)가 중간정지블록(600)을 후진시켜 상기 가동제한부(500)의 기동범위에 장애물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전후진실린더(50) 및 전후진플레이트(30)가 하강하여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핑거(10)가 핑거(10)에 마련된 턱(110)으로 상기 수납용기의 착탈부를 밀어내어, 상기 수납용기의 전자기재와 챔버의 테스트기기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업다운실린더(40) 및 업다운플레이트(2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핑거(10)가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핑거(10)는 기본적인 상태인 전진 - 하강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차후에 유입되는 수납용기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0)와 전후진플레이트(30)는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함으로, 상기와는 다른 동작순서를 가질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작동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 한 조의 전면과 후면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업다운플레이트에 마련된 핑거가 전진, 후진, 상승, 하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실린더 및 업다운플레이트와 전후진실린더 및 전후진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업다운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의 중간정지실린더와 중간정지블록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 착탈장치에서 중간정지블록을 생략한 나머지 상부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핑거 20 : 업다운플레이트
22 : 일(一)자형 홈 24 : | 형 홈
30 : 전후진플레이트 40 : 업다운실린더
50 : 전후진실린더 60 : 중간정지실린더
100 : 걸림쇠 110 : 턱
300 : 롤러 320 : 사선 홈
340 : 가이드블록고정부 360 : 가이드블록가동부
362 : 와셔 364 : 링
380 : 가이드레일 382 : 이탈방지부
500 : 가동제한부 600 : 중간정지블록
700 : 감지센서

Claims (9)

  1. 수납용기에 착탈거치되어 수납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쇠를 포함하는 핑거와;
    측면에 복수 개의 상기 핑거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업다운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하운동에 따라 인접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를 전후로 가동시킬 수 있는 캠(Cam)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마련된 캠 구조에 의해 상기 전후진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전후로 가동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핑거가 상하전후로 이동하여, 챔버 내에 유입된 수납용기를 잡아당겨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수납용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캠 구조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내부에 사선으로 마련된 캠 홈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가동될 때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가이드블록고정부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업다운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까지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캠 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업다운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하게끔 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블록가동부와;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가 전후로 가동될 때, 가이드로서 제공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상기 업다운실린더와의 체결을 위한 일(一)자형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서 상기 가이드블록가동부가 관통하는 부분에 | 형 홈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가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상하로 가동되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와 위치가 고정된 상기 가이드블록고정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실린더는 실린더의 기동범위를 제한하는 가동제한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후진실린더의 샤프트 말단에 설치된 상기 가동제한부의 기동범위 내에 중간정지블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전후진실린더의 가동범위를 축소시킬수 있는 중간정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에 각 실린더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핑거와 한 개의 상기 업다운플레이트와 한 개의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와 한 개의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한 개의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한 개의 상기 중간정지실린더로 마련된 착탈장치부가 2 개로 한 조를 이루게 되고, 상기 착탈장치부가 이루는 조를 복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상기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중간정지실린더가 공압식 실린더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업다운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핑거가 8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착탈장치.
KR1020080071485A 2008-07-23 2008-07-23 수납용기 착탈장치 KR101045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85A KR101045638B1 (ko) 2008-07-23 2008-07-23 수납용기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85A KR101045638B1 (ko) 2008-07-23 2008-07-23 수납용기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69A KR20100010569A (ko) 2010-02-02
KR101045638B1 true KR101045638B1 (ko) 2011-07-06

Family

ID=4208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485A KR101045638B1 (ko) 2008-07-23 2008-07-23 수납용기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680A (ko) * 1996-08-31 1998-06-05 이종수 표면실장기 컨베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00046257A (ko) * 1998-12-31 2000-07-25 정문술 핸들러의 가열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이송 장치
KR100367994B1 (ko) 2001-03-28 2003-01-14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장치
KR20080079771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씨큐알텍 번인 테스터의 번인보드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680A (ko) * 1996-08-31 1998-06-05 이종수 표면실장기 컨베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00046257A (ko) * 1998-12-31 2000-07-25 정문술 핸들러의 가열챔버에서 테스트 트레이 이송 장치
KR100367994B1 (ko) 2001-03-28 2003-01-14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장치
KR20080079771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씨큐알텍 번인 테스터의 번인보드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69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99B1 (ko)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CN103659267B (zh) 调节器的中壳体组件自动组装机
JP6961907B2 (ja) プローバ
CN104508812A (zh) 将衬底与探针卡抵接的方法
KR101250844B1 (ko) 커넥터 착탈장치 및 테스트헤드
CN104347457A (zh) 一种适于顶针快速更换的芯片剥离装置
KR101045638B1 (ko) 수납용기 착탈장치
CN110329787A (zh) 一种拆垛装置
CN210981181U (zh) 平面轨迹检测装置
CN114966078A (zh) 容器抓取装置和样本分析仪
CN103895901B (zh) 一种蓄电池包装线的电池夹持搬运装置
CN214123854U (zh) 定位机构
KR101316888B1 (ko) 소켓보드 교체장치
CN111558948A (zh) 方形铝壳动力电池机械手
CN210084407U (zh) 抓碗机械手
CN210413339U (zh) 一种晶体拆卸装置
CN109128784B (zh) 机器人腕部与小臂中减速机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06628947B (zh) 皮带上精定位自动夹紧及卸料装置
CN216094899U (zh) 一种轴承套圈车加工轮廓检测装置
CN112098753A (zh) 一种电子组件老化测试系统、方法
CN114540157A (zh) 开关盖装置及核酸提取仪
CN209830806U (zh) 一种上盖板组装设备
JP2006084411A (ja) 電気泳動装置、サンプルトレイ、及び、電気泳動方法
CN116705670B (zh) 一种高温舟的抓取方法和装置
KR101340894B1 (ko) 챔버 내에 테스트 보드를 착탈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