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299B1 -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299B1
KR101723299B1 KR1020150107398A KR20150107398A KR101723299B1 KR 101723299 B1 KR101723299 B1 KR 101723299B1 KR 1020150107398 A KR1020150107398 A KR 1020150107398A KR 20150107398 A KR20150107398 A KR 20150107398A KR 101723299 B1 KR101723299 B1 KR 10172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unit
feeding
cage nu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301A (ko
Inventor
구창회
Original Assignee
대기 이에스티(주)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 이에스티(주),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상기 filed Critical 대기 이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5010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2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of screw-thre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09Sorting of fasteners, e.g. screws, nuts,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64Workpiece; Machine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된 케이지 너트를 수용하여 검사가능하도록 공급하는 케이지 너트공급부(100);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로부터 낱개 공급되는 케이지 너트를 검사 가능하도록 검사유니트부측으로 피딩시키는 검사대상피딩부(200);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로부터 피딩되는 케이지 너트를 고정시킨 후, 제1, 제2, 제3, 제4 카메라의 작동에 의해 촬상이미지를 얻은 후, 제어부(350)의 판단에 의해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유니트부(300); 상기 검사유니트부(300)에서 검사된 케이지 너트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불량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케이지 너트를 분리하여 배출하게 되는 검사대상배출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생산된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를 비교적 쉽게 자동화 장치에 의해 판단, 판별 가능하도록 하여 확인된 검사 결과치를 제어부에서 판단, 판독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제품의 자동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 장치의 트레이부측으로 유도, 수거 가능하도록 하여,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의 자동 검출에 의한 검사 작업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Cage nuts checking devic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구성품들의 원할한 결합 및 조립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케이지 너트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지 너트의 상면, 하면, 전면, 측면의 촬영을 통한 촬상 이미지를 얻은 후 제어부에 의해 허용오차 범위내 여부를 판독한 후, 불량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와 정상 제품군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를 자동 분류하여 정상적 제품군과 불량제품군의 선별 적재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불량 제품을 걸러내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케이지 너트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지 너트는, 칼라 너트(collar nut)가 적절한 수단을 매개로 부동 방식
(floating manner)으로 지탱되는 U형 단면의 케이지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케이지 너트는 여러 구성품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완성품으로 제작되는 자동차는 각각의 구성품들이 원활하게 결합 되도록 조립 공차를 감안하여 제작된다.
이후 각 구성품들은 모재패널에 결합되며, 모재패널에는 각각의 구성품들이 신속하게 체결되도록 체결공에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동되는 케이지 너트가 부착된다. 그러한 케이지 너트들의 목적은 모터 또는 모터 차량의 시트들과 같은 장착될 부품들과 차체의 고정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장착 공차(tolerance)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너트 본체는 케이지에서 충분한 유격(play)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지 너트는 각 부속품들의 정위치 설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생산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 설정에 대한 오류가 발생 된 하자 있는 케이지 너트의 경우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 되어, 자동차의 전체적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지적된다.
또한 상기한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분리하는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지 않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일일이 식별하여 불량 유무를 판단한 후 불량 제품을 걸러내는 수작업에 의존되는 경우가 많아, 불량품의 정확한 검출이 숙련도에 따라 상이하여 불량품 제거 작업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공개 20-2009-0012771 (2009. 12/ 15 공개) 특허공개 10-2013-0130796 (2013. 12. 02 공개) 특허공개 10-2013-0036230 (2013. 04. 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를 자동 확인하고, 그 확인된 검사 결과치를 제어부에서 판단, 판독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케이지 너트는 본 발명 장치의 하방향으로 낙하 처리되고, 양호한 제품은 트레이부측으로 유도되어 수거 가능하도록 하여,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를 자동 검출하여 검사 작업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조된 케이지 너트를 수용하여 검사가능하도록 공급하는 케이지 너트공급부(100),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로부터 낱개 공급되는 케이지 너트를 검사 가능하도록 검사유니트부측으로 피딩시키는 검사대상피딩부(200),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로부터 피딩되는 케이지 너트를 고정시킨 후, 제1, 제2, 제3, 제4 카메라의 작동에 의해 촬상이미지를 얻은 후, 제어부(350)의 판단에 의해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유니트부(300),
상기 검사유니트부(300)에서 검사된 케이지 너트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불량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케이지 너트를 분리하여 배출하게 되는 검사대상배출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된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를 비교적 쉽게 자동화 장치에 의해 판단, 판별 가능하도록 하여 확인된 검사 결과치를 제어부에서 판단, 판독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제품의 자동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 장치의 트레이부측으로 유도, 수거 가능하도록 하여, 케이지 너트의 불량 유무의 자동 검출에 의한 검사 작업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검사대상피딩부와 검사유니트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검사대상피딩부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검사대상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를 불량배출가이드를 통하여 불량트레이부에 적재 수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케이지 너트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 너트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와,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에서 케이지 너트를 하나씩 피딩시키기 위한 검사대상피딩부(200)와,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에 의해 피딩 되는 케이지 너트를 검사하는 검사유니트부(300)와,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케이지 너트를 분리 분별하여 선택적 배출이 되도록 하는 검사대상배출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호퍼부(110)와 진동정렬공급부(120)로 구분되는데 상기 호퍼부(100) 및 진동정렬공급부(120)는 통상적 구조를 채택하는바,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호퍼부(110)와 진동정렬공급부(120)는 기대(130)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생산된 케이지 너트(10)는 호퍼부(110)측으로 무작위로 공급된 후, 진동정렬공급부(120)에 의해 외부로 케이지 너트(10)가 낱개씩 배출 공급된다.
상기 진동정렬공급부(120)의 외측으로는 배출가이드(121)가 돌출 형성되어, 케이지 너트(10)를 낱개씩 배출하여 검사대상피딩부(200)에 의해 피딩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는 상기한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의 진동정렬공급부(120)에서 배출가이드(121)를 따라 배출되는 케이지 너트(10)를 픽업하여 검사유니트부(300)측으로 피딩 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먼저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검사대상피딩부(200)와 후술하게 되는 검사유니트부(300)를 설치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사각형태의 틀을 이루며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10)을 구획하여 하단부측에 작업대(211)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대(211) 상면에 검사대상피딩부(200)가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 상면으로 제2구획플레이트(212)를 형성하여, 상기 제2구획플레이트(212) 상면에 제어부(350)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작업대(211)에 설치되는 검사대상피딩부(200)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의 배출가이드(121) 단부측과 연결되도록 작업대(211) 상면으로 고정되는 피딩테이블(220)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테이블(220) 상면으로 상기 배출가이드(121)로부터 배출되는 케이지 너트(10)를 가이드하며 정렬하기 위한 정렬블럭(230)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테이블(220) 상방으로 케이지 너트(10)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분배공급유니트(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공급유니트(240)는, 피딩테이블(220) 상방측으로 이격 고정 되는 이송레일(241)을 따라 일측의 실린더(242) 동작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243)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243)의 전면측에 가이드블럭(245)을 복수개 이격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245)의 측단에 구비되는 상하실린더(246)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피딩핀고정블럭(247)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핀고정블럭(247) 하단으로 케이지 너트(10)를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핀(248)이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블럭(245)의 상하실린더(246) 작동에 따라 복수개의 피딩핀고정블럭(247)이 연동 상하 승하강되도록 하는 상하이송바(249)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검사대상피딩부(200)는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로부터 낱개로 정렬되며 진동정렬공급부(120)를 통해 배출가이드(121)측으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배출가이드(121) 단부측과 연결되는 피딩테이블(220) 상면 일측으로 구비된 정렬블럭(230) 사이로 공급되고, 상기 정렬블럭(230)을 따라 진입되는 케이지 너트(10)를 후술하는 검사유니트부(300)측으로 피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피딩 동작을 위해, 전술한 실린더(242)의 동작에 의해 이송레일(241)을 따라 이송플레이트(243)가 정렬블럭(230)측으로 이송된 후, 가이드블럭(245) 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실린더(246)의 작동에 의해 복수개의 가이드블럭(245)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피딩핀고정블럭(247)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딩핀고정블럭(247)의 하강에 의해, 그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피딩핀(248)이 케이지 너트(10)의 중앙 너트돌출관측으로 삽입된 후, 재차 실린더(242)의 역동작에 의해 정위치로 회귀된 후 검사유니트부(300)의 검사를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렬블럭(230)으로 정렬되며 진입되는 케이지 너트(10)를 순차적으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피딩핀(248)이 케이지 너트(10)의 중앙 너트돌출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이송바(249)의 일측단으로 텐션스프링바(243a)를 고정한다.
상기 텐션스프링바(243a)는 상하이송바(249)의 일측단 즉, 정렬블럭(230) 방향측으로 향하며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정렬블럭(230)을 통해 정렬되며 공급되는 케이지 너트(10)를 정렬블럭(230)을 통과시키며 이송플레이트(243)의 최좌측단의 가이드블럭(245)에 구비되는 피딩핀고정블럭(247) 하단의 피딩핀(248)이 위치되는 위치에 케이지 너트(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텐션스프링바(243a)가 유도하는 케이지 너트(10)는 정렬블럭(230)의 선단측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검사대상피딩부(200)의 분배공급유니트(240)에 의해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피딩테이블(220)에 정렬되어야 하는바, 상기 정렬블럭(230)의 선단 내측방향으로 텐션스토퍼(2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스프링바(243a)는 상하이송바(249)의 일측단에 그 일단이 고정되므로, 상하이송바(249)와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는데, 정렬블럭(230)방향으로 이송플레이트(243)가 이동될 때에는 상하이송바(249)가 들려진 상태 즉 텐션스르링바(243a)가 들려진 상태에서 정렬블럭(230) 방향으로 이송되므로, 이미 이격 정렬되어 있는 케이지 너트(10)의 정렬 상태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송된 후, 상하이송바(249)의 하강에 따라 텐션스프링바(243a) 또한 연동하여 하강된 후, 정렬블럭(230)으로 정렬되어 있는 케이지 너트(10)의 상단측과 접하며 끄는 상태로 케이지 너트(10)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분배공급유니트(240)에 의해 상기 피딩핀(248)이 케이지 너트(10)를 적정 간격 이격 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케이지 너트(10)를 검사유니트부(300)측으로 하나씩 공급하여 검사 가능하도록 진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배공급유니트(240)에 의해 하나씩 공급되는 케이지 너트(10)를 검사하는 검사유니트부(300)는 제1,2,3,4카메라(310,320,330,340)에 의해 케이지 너트(10)를 촬상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그 얻은 이미지를 제어부(350)측으로 송출하여 제품의 불량 유무를 판독하게 된다.
케이지 너트(10)의 불량 유무를 판독함에 있어서, 케이지 너트(10)의 구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 7은 케이지 너트(10)를 도시한 것인데 그 구성들은 길이방향에서 일측방이 개구되고 타측방이 절곡 되며 막혀지도록 하고 양측이 각각 절곡 되는 형태를 갖으며 개구되는 방향의 상단측으로 가이드공(12)을 갖는 모재패널(11)과, 상기 모재패널(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면으로 돌출되는 너트돌출관(14)을 갖는 너트부(13)를 이루고, 상기 너트돌출관(14)과 모재패널(11) 상면 사이에 게재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공(12) 내주면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절연고정체(15)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고정체(15) 상면에 링형태의 절연체(16)가 끼워지며, 상기 너트돌출관(14) 외주면으로부터 걸림돌부(14a)를 형성하여 상기 절연체(16)를 구속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절연고정체(15) 외주면으로는 돌출리브(15a)를 형성하여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재패널(11) 가이드공(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리브(15a)에 의해 절연고정체(15)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지 너트(10)를 검사하고자 할 때, 모재패널(11)의 길이 및 폭의 허용오차 범위를 검사하게 되고, 아울러 케이지 너트(10)의 너트돌출관(14) 외주면으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돌출되도록 하는 걸림돌부(14a)의 형성 유무 및 걸림돌부(14a)가 정확하게 절연체(16) 상면을 구속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야 하며, 케이지 너트(10)의 너트부(13) 하부측을 검사하여 너트부(13)의 하부측이 모재패널(11) 내부에서의 유동성 여부 등을 검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검사유니트부(300)는 네 개의 카메라(310~340)를 채택하였다.
상기 각 카메라(310~340)은 피딩테이블(2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딩테이블(220) 상방으로 수직상 고정되는 제1카메라고정대(311)를 구비하여 제1카메라고정대(311)에서 직하방으로 제1카메라(310)가 설치된다.
제1카메라(310)는 케이지 너트(10)의 상면을 촬상하여 상면 이미지를 얻도록 하므로서, 너트돌출관(14) 외주면으로 돌출 성형되는 걸림돌부(14a) 및 이와 결속되는 절연체(16)의 결속 유효성 여부 판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카메라(320)는 피딩테이블(220) 전방측에 구비되어, 케이지 너트(10)의 전면측을 촬상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카메라(330)는 피딩테이블(220)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케이지 너트(10)의 측면 촬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제4카메라(340)는 피딩테이블(220) 하부측에서 수직상방측으로 케이지 너트(10) 하방측을 촬상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유니트부(300)의 각 카메라(310~340)에 의해 케이지 너트(10)의 상방, 측면, 전면 및 하방측의 촬상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그 촬상 이미지는 제어부(350)측으로 정보가 송출된 후, 제어부(350)에서 촬상된 이미지들을 판독하여 케이지 너트(10)의 정상적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는지 결정한 후, 검사대상배출부(400)측으로 이송 배출하게 된다.
상기 검사대상배출부(400)에서는 검사유니트부(300)에 의해 검사된 케이지 너트(10) 중 양호한 케이지 너트(10)는 피딩테이블(220) 전방측의 배출가이드를 통해 트레이부측으로 수용되도록 하고, 불량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10)는 피딩테이블(220) 하방으로 낙하 처리되어 수거되도록 하였다.
즉, 도 6 내지 도 7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검사대상배출부(400)는 피딩테이블(220) 전방측으로 연결되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가이드(410)가 구비되어 적합한 케이지 너트(10)가 트레이부(420)측으로 배출, 적재 수용되도록 하고, 배출가이드(410) 중앙부분을 분리하되 승강실린더(43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가이드(431)를 형성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10)는 상기 승강가이드(431)의 상승에 의해 낙하처리된 후 측방의 불량배출가이드(440)를 따라 불량트레이부(450)측으로 수거 처리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검사대상배출부(400)측으로 검사된 케이지 너트(1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플레이트(243)의 전단측에 케이지 너트를 푸싱하여 배출가이드(410)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푸싱바(250)를 구성하여 이송플레이트(243)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케이지 너트(10)를 푸싱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조립이 완성된 케이지 너트(10)는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의 호퍼부(110)측으로 무작위 수용된 후, 진동정렬공급부(120)를 통하여 배출가이드(121)를 따라 검사대상피딩부(200)의 피딩테이블(220)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피딩테이블(220)측의 정렬블럭(230)측으로 진입된 케이지 너트(10)는 텐션스토퍼(231)에 의해 일단 정지된 상태에서 검사대상피딩부(200)의 분배공급유니트(240)에 의해 케이지 너트(10)의 중앙측 너트돌출관(14) 내부로 피딩핀(248)이 삽입되어 전방향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적 과정에 의해 피딩테이블(220)에 정렬되며 검사유니트부(300)에 진입된 케이지 너트(10)는 제1,2,3,4카메라(310~340)에 의해 촬상되어 그 해당 이미지는 제어부(350)측으로 송출된다.
상기 제어부(350)측으로 송출된 해당 케이지 너트(10) 이미지를 판독하여 불량 및 정상 유무를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측정 검사하여, 정상적 제품군으로 분류되는 케이지 너트(10)는 그대로 배출가이드(410)를 따라 배출되며 트레이부(420)에 적재 수용되어 제품으로 활용된다.
한편 이와 달리 불량품으로 판별된 케이지 너트(10)는 배출가이드(410) 중앙부위에 분리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되는 승강가이드(431)가 제어부(350)의 신호에 의해 승강실린더(430)가 작동되어 상기 승강가이드(431)가 상승하므로서, 배출가이드(410)측을 통과하려는 불량 판별된 케이지 너트(10)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며 승강가이드(431)가 승강되어 발생된 틈으로 낙하 처리된다.
이와 같이 낙하 처리된 불량 케이지 너트는, 본 발명의 측단으로 연결되는 불량배출가이드(440)를 통하여 배출된 후 불량트레이부(450)에 적재되어 수거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케이지 너트 11; 모재패널
12; 가이드공 13; 너트부
14; 너트돌출관 14a; 걸림돌부
15; 절연고정체 15a; 돌출리브
16; 절연체
100; 케이지 너트공급부 110; 호퍼부
120; 진동정렬공급부 121; 배출가이드
130; 기대
200; 검사대상피딩부 210; 메인프레임
211; 작업대 212; 제2구획플레이트
220; 피딩테이블 230; 정렬블럭
231; 텐션스토퍼 240; 분배공급유니트
241; 이송레일 242; 실린더
243; 이송플레이트 243a; 텐션스프링바
245; 가이드블럭 246; 상하실린더
247; 피딩핀고정블럭 248; 피딩핀
249; 상하이송바
300; 검사유니트부 310; 제1카메라
311; 제1카메라고정대 320; 제2카메라
330; 제3카메라 340; 제4카메라
350; 제어부
400; 검사대상배출부 410; 배출가이드
420; 트레이부 430; 승강실린더
431; 승강가이드 440; 불량배출가이드
450; 불량트레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케이지 너트공급부(100)로부터 낱개 공급되는 케이지 너트를 검사 가능하도록 검사유니트부측으로 피딩시키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 너트공급부(100)의 배출가이드(121) 단부측과 연결되도록 작업대(211) 상면으로 고정되는 피딩테이블(220)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테이블(220) 상면으로 상기 배출가이드(121)로부터 배출되는 케이지 너트(10)를 가이드하며 정렬하기 위한 정렬블럭(230)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테이블(220) 상방으로 케이지 너트(10)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분배공급유니트(240)가 형성되는 검사대상피딩부(200)와, 상기 검사대상피딩부(200)로부터 피딩되는 케이지 너트를 고정시킨 후, 복수의 카메라의 작동에 의해 촬상이미지를 얻은 후, 제어부(350)의 판단에 의해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유니트부(300)에서 검사된 케이지 너트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불량 케이지 너트와 양호한 케이지 너트를 분리하여 배출하게 되는 검사대상배출부(500)로 이루어지는케이지 너트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급유니트(240)는, 피딩테이블(220) 상방측으로 이격 고정 되는 이송레일(241)을 따라 일측의 실린더(242) 동작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243)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243)의 전면측에 가이드블럭(245)을 복수개 이격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245)의 측단에 구비되는 상하실린더(246)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피딩핀고정블럭(247)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핀고정블럭(247) 하단으로 케이지 너트(10)를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핀(248)이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블럭(245)의 상하실린더(246) 작동에 따라 복수개의 피딩핀고정블럭(247)이 연동 상하 승하강되도록 하는 상하이송바(249)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243)의 전단측에 케이지 너트를 푸싱하여 배출가이드(410)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푸싱바(250)를 포함하는,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바(249)의 일측단으로 텐션스프링바(243a)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07398A 2015-07-29 2015-07-29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KR10172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98A KR101723299B1 (ko) 2015-07-29 2015-07-29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98A KR101723299B1 (ko) 2015-07-29 2015-07-29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01A KR20170014301A (ko) 2017-02-08
KR101723299B1 true KR101723299B1 (ko) 2017-04-04

Family

ID=5815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98A KR101723299B1 (ko) 2015-07-29 2015-07-29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491A (zh) * 2018-05-25 2018-11-23 汕头市协成精密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排钉机装置
KR102423260B1 (ko) * 2022-04-14 2022-07-20 (주) 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자동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409B1 (ko) * 2018-05-29 2020-03-04 (주) 성림 스파우트 검사장치
CN109225935A (zh) * 2018-10-16 2019-01-18 宁波赛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视觉检测系统
CN109909163B (zh) * 2019-04-15 2022-02-18 江西景旺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不同长度的销钉的分拣装置
CN111994600A (zh) * 2019-05-27 2020-11-27 山西科硕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螺纹检测设备
CN110711824A (zh) * 2019-10-08 2020-01-21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双耳托板螺母自动排料自动上料系统
KR102484758B1 (ko) * 2020-11-04 2023-01-06 동연스틸주식회사 토잉너트 제조 시스템
CN113443227B (zh) * 2021-06-25 2022-12-13 杭州景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棋具集装系统及棋具集装方法
CN117470766A (zh) * 2023-11-01 2024-01-30 上海中浦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定位数据采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5B1 (ko) * 2005-12-28 2007-06-07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771U (ko) 2009-07-21 2009-12-15 황정식 케이지 너트
DE202010006746U1 (de) 2010-05-12 2010-08-26 Acument Gmbh & Co. Ohg Elektrisch isolierende Käfigmutter
DE102010055554A1 (de) 2010-12-23 2012-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Käfigmutter mit Hal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5B1 (ko) * 2005-12-28 2007-06-07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491A (zh) * 2018-05-25 2018-11-23 汕头市协成精密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排钉机装置
KR102423260B1 (ko) * 2022-04-14 2022-07-20 (주) 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01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99B1 (ko)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CN103547075B (zh) Pcb板自动检测及组装生产设备
JP4563205B2 (ja) 実装された電子部品の検査方法及び装置
KR20190053460A (ko) 스핀들유닛 자동조립시스템과 스핀들유닛 조립방법
KR200189139Y1 (ko) 인쇄회로기판 자동 테스터
KR101859092B1 (ko) 부품 검사장치
KR101650489B1 (ko) 부품선별장치
JP5629342B2 (ja) リベット挿入装置
CN112083317A (zh) 一种高效率工业机器人检测系统
WO2019056477A1 (zh) 一种用于链条装配的检测设备
CN111422613A (zh) 一种花键检测设备
KR101253732B1 (ko) 카시트의 전장품 조립 및 검사를 위한 작업라인의 단자접속장치
CN104284574A (zh) 元件安装系统
KR100966145B1 (ko)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자동 조립장비
CN110125029B (zh) 销轴装配装置及其装配方法
KR20160001001A (ko) 웰딩너트 부착상태 검사장치
CN109037108A (zh) 一种带缺陷检测功能的料饼上料装置
KR20150110170A (ko) 커넥터 검사용 지그
KR101616829B1 (ko) 리벳압입장치
CN109821776B (zh) 一种通用的共模电感电参数测试设备
KR100976739B1 (ko) 반도체 디바이스를 테스트 하기 위한 컨텍터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129056B1 (ko) 소형 압축 스프링의 코일 내경 검사장치
KR101672585B1 (ko) 리벳압입방법
KR101460962B1 (ko) 비전검사장비의 로더장치
KR101602853B1 (ko) 오토 레버 쉬프트 조립검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