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46B1 - 시트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46B1
KR101044546B1 KR1020080086839A KR20080086839A KR101044546B1 KR 101044546 B1 KR101044546 B1 KR 101044546B1 KR 1020080086839 A KR1020080086839 A KR 1020080086839A KR 20080086839 A KR20080086839 A KR 20080086839A KR 101044546 B1 KR101044546 B1 KR 10104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conveying
reference plane
upright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345A (ko
Inventor
신이찌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7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02Forming articles into a stream;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e.g. spacing, orientating
    • B07C1/025Devices for the temporary stacking of objects provided with a stacking and destacking device (interstack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3S-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2Orientation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321Standing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1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 B65H2301/33212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2Turning, overturning according to a determined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4Modifying, selecting, changing direction of displacement
    • B65H2301/342Modifying, selecting, changing direction of displacement with change of plane of displacement
    • B65H2301/3421Modifying, selecting, changing direction of displacement with change of plane of displacement for changing level of plane of displacement, i.e.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in parallel planes after at least two changes of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 B65H2404/2612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forming serpentine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상부 및 하부측 스택커로 우편물(P)을 선별적으로 전달하는, OCR/VSC 통합 시스템용 시트 이송 장치(20)가 분기 게이트(31)로부터 아래쪽 스택커로 분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32a)와, 분기 게이트(31)로부터 위쪽 스택커로 분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32b)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32b)는 제1 비틀림부(33)와, S자형 상승부(34)와, 제2 비틀림부(35)를 포함한다. 우편물(P) 각각은 제1 비틀림부(33)에 의해 기울어지고 나서, 그 기울어진 자세가 유지된 채로 S자형 상승부(34)에 의해 상승되고, 제2 비틀림부(35)에 의해 직립 자세로 회복된다.
Figure R1020080086839
우편물, 컨베이어 벨트, 제1 비틀림부, S자형 상승부, 제2 비틀림부

Description

시트 이송 장치{SHEET CONVE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직립의 종이 시트를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하기 위한 시트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편 번호로서 표현되고 주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이미 읽어 들여진 우편물을, 주소에 대응하는 스택커 안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트 이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OCR/VSC 통합 시스템은 우편물을 전달하기 위한 수십 또는 그 이상의 스택커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OCR/VSC 통합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스택커가 여러 단으로 적층되어 있다.
삭제
보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OCR/VSC 통합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송 장치는 그들의 주소 정보가 이미 읽혀진 우편물을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하고 나서 각 단의 지정된 스택커 안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우편물을 전달하는 경우, 직립 자세의 우편물을 그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서 전달하기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그러므로, 통상, 납작하게 누워 이송된 우편물들이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된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9-155297호는, 예를 들어, 우편물이 그 이송 자세가 변경됨이 없이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의 경로로 납작하게 누워 전달된 후, 직립 자세로 90°비틀어지고 스택커 안으로 수집되는 OCR/VSC 통합 시스템용 이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우편물들이 각각의 스택커에 서로 수평으로 적층되는 경우, 조작자가 우편물을 각 스택커로부터 제거할 때 우편물이 개개로 흐뜨러지도록 야기시키는 수가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개시된 장치에서는, 우편물들이 납작하게 누워 이송되고, 그들이 각 스택커 안으로 수집될 때에 직립으로 되는데, 이것은 조작자에 의한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납작하게 누워 전달되는 우편물들이 비교적 짧은 거리에 걸쳐 급격히 90° 회전된다. 그러므로, 각 우편물의 이송 자세가 균형을 잃기 쉽다. 우편물이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비틀려지면, 특히, 그들이 무겁다면, 그들의 자세가 납작하게 누운 자세로부터 직립 자세로 변경될 때에 큰 원심력이 그들에게 작용할 것이다. 그 결과, 두 컨베이어 벨트 사이로부터 우편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시트의 이송 자세를 악화시키지 않고 직립의 종이 시트를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할 수 있는 시트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는, 제1 높이의 제1 경로 상에서 종이 시트를 직립 자세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와, 직립 자세로 이송되는 종이 시트를 기울이고, 기울어진 종이 시트를 그 이송 방향이 시프트된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기울어진 종이 시트를 제2 높이의 제2 경로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와, 기울어진 종이 시트를 그 자세가 직립으로 회복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3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서는, 제1 높이의 제1 경로상에서 직립 자세로 이송된 종이 시트가 기울어진 후에, 그 이송 방향이 시프트된 상태로 이송되고, 제2 높이의 제2 경로로 안내된다. 그 후, 종이 시트의 이송 자세가 직립 자세로 회복된다. 이 구성에 의해, 종이 시트가 이송 자세를 악화시키지 않고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종이 시트가 비틀려 이송되는 때에 90°미만으로 기울여지므로, 비틀림 이송 중에 종이 시트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종이 시트의 이송 자세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는, 직립 자세로 이송되는 종이 시트의 하부 에지가 접촉하여 유지되는 대체로 수평한 제1 기준면과, 제1 기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며 제1 기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제2 기준면과, 제1 기준면의 높이와는 다른 높이에서 제1 기준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제2 기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제3 기준면과, 제1 내지 제3 기준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쌍을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종이 시트를 이송하기 위해 주행하는 중에 종이 시트를 사이에 끼워 종이 시트의 하부 에지가 제1 내지 제3 기준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허용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종이 시트의 이송 자세가 그 이송 중에 변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서는, 제1 기준면 상에서 직립 자세로 이송되는 종이 시트가 제1 기준면에 대해 기울어진 제2 기준면을 사용하여 기울어진 후에, 제1 기준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며 제1 기준면의 높이와는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제3 기준면 상에서 이송됨으로써, 종이 시트의 이송 자세가 직립 자세로 회복된다. 따라서, 종이 시트가 서로 다른 높이로 직립 자세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종이 시트가 비틀려져 이송되는 때에, 90°미만으로 경사지므로, 즉, 제1 기준면에 대한 제2 기준면의 경사 각도가 90°미만으로 설정되므로, 비틀림 이송 중에 종이 시트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이 시트의 이송 자세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이점은 뒤따르는 설명에서 제시되며, 일부는 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은 이하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수단과 조합에 의해 구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추후, 상세히 설명함)를 포함하는 OCR/VSC 통합 시스템(OVIS)을 위에서 본 개략도이다. OVIS는 우편 엽서와 봉인된 편지 등의 우편물 같은 지엽류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OVIS에서, 각 우편물의 화상이 읽혀 들여지고, 읽혀 들여진 화상에 포함된 배송 구역 정보(이후, 간단히 "구역 정보"라고 함)가 인식된다. 인식된 구역 정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각 우편물상에 잉크 젯 프린터(IJP)에 의해, 인쇄되고, 구역 정보에 대응하는 스택커에 수집된다.
또한, 구역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우편물에 관해서는, 그로부터 읽어들인 화상 데이터가 비디오 코딩 시스템(VCS)으로 보내진다. VCS에서는, 조작자가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키(keying) 조작을 행하여 우편 번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우편 번호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바코드가 그 이송 중에 IJP에 의해 인쇄되고, 대응하는 스택커에 수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VIS는 피더(1), 픽업 유닛(2), 배척물 수집기(3), 바코드 리더(4), 문자 인식 유닛(5)(OCR), 지연 이송 유닛(6), IJP(7), 바코드 리더(8), 분기부(9) 및 일군의 스택커(10)를 포함하고 있다. OVIS는 복수의 VCS(11)와 OVIS의 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더 포함한다.
조작자가 수작업으로 복수의 우편물을 피더(1)에 장착하면 제어부(15)가 제어를 시작하고, 픽업 유닛(2)은 상기 우편물을 하나씩 픽업하여 그들을 이송 경로(도시되지 않음)로 운반한다. 이때, 내부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우편물이나 비규격의 우편물은 배척물 수집기(3) 안으로 수집된다.
이송 경로 상으로 운반되고 처리될 수 있는 우편물은 바코드 리더(4)로 보내지고, 여기서 이전에 우편물 상에 인쇄된 바코드가 읽혀 들여진 후에, 문자 인식 유닛(5)으로 보내지고, 여기서 우편 번호나 주소 등 각각의 우편물에 제공된 구역 정보가 인식된다. 문자 인식 유닛(5)을 통과하면서 비디오 코딩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되는 우편물들은 지연 이송 유닛(6)으로 이송된다.
지연 이송 유닛(6)은 구역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우편물에 대해 VCS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VCS(11)에 대해서 요구되는 시간을 얻기 위해 제공된다. 즉, VCS(11)에서는, 구역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우편물의 화상이 모니터되어 표시되고, 조작자는 소정 기간 내의 키 조작에 의해 우편 번호와 같은 구역 정보를 입력한다.
바코드 리더(4)와 문자 인식부(5)를 통해서, 또는 VCS 처리에 의해 취득한 구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포맷의 바코드가 IJP(7)에 의해 각 우편물 상에 인쇄된다. 이렇게 인쇄된 바코드는 바코드 리더(8)에 의해 검증된다.
그 후, 각 우편물의 구역 목적지가 그것의 구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판정되고, 각 우편물이 판정된 구역 목적지에 대응하는 스택커 안으로 수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편물이 안내되는, 스택커 그룹(10)에 포함된 복수의 스택커가 152개의 스택커가 이송 방향으로 두 개의 이웃하는 라인(상부와 하부 라인)에 배치되도 록, 즉, 그들 중앙 점에서 되접히는 총 304개의 스택커가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각 라인의 적어도 최하류측 스택커는 오버 플로우 스택커(OVF)로서 할당된다.
이미 그 구역 목적지가 판정된 각 우편물은, 분기부(9)에 제공되고 추후 설명되는 선별/이송 장치(20)(시트 이송 장치)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경로로 전달된다. 각 경로로 전달된 우편물 각각은 각 경로의 스택커에 포함되고 구역 목적지로서 지정된 스택커 안으로 수집된다. 지정된 스택커 안으로 수집될 수 없는 우편물이 있다면, 그 우편물은, 만일 있다면, 지정 스택커에 대한 멀티 스택커로서 할당된 또 다른 스택커 안으로 수집되거나, 또는 할당된 멀티 스택커가 없는 경우에는 OVF 안으로 수집된다. 예를 들어, 어떤 스택커가 우편물로 채워졌거나 또는 스택커의 게이트가 고장이라면, 이 스택커에 할당된 우편물은 OVF 안으로 수집된다.
도2는 분기부(9)에 구비되는 선별/이송 장치(20)[이후, 간단히 "이송 장치(20)"라고 함]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는 도1의 화살표 Ⅱ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이송 장치(20)를 도시한다. 도3의 (a)는 위에서 본 이송 장치(20)를 도해하는 평면도이고, 도3의 (b)는 이송 장치(20)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OVIS에서는, 각 우편물의 이송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본적으로, 각 우편물이 그 우편물의 하단 에지를 가이드 면과 접촉시키기 위해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쌍으로 된 벨트) 사이에 유지되는 직립 자세로 이송된다. 또한, 전술한 OVIS에서는, 조작자의 우편물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우편물이 그에 대응하는 스택커 안으로 직립을 유지한 채로 수집된다. 그러므로, 분기부(9)에 구비된 이송 장치(20)가 직립 자세로 이송되는 우편물을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한 후에, 그들의 이송 자세를 변경함이 없이 스택커 그룹(10)의 스택커 안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삭제
그러나, 직립 자세로 이송된 우편물이 그 이송 자세를 변경함이 없이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전달되는 경우, 이송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우편물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뛰쳐나올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분기부(9)에서의 이송 자세의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송 자세의 악화를 억제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20)는 하부 기면(21)(제1 기준면), 상부 기면(23)(제3 기준면) 및 경사 기면(22)(제2 기준면)을 포함한다. 하부 기면(21)은 하측 스택커(도시하지 않음)의 바닥과 대체로 평탄하며 우편물(P)을 직립 자세로 이송하기 위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상부 기면(23)은 상측 스택커(도시하지 않음)의 바닥과 대체로 평탄하며, 하부 기면(21)의 우측부[즉, 우편물(P)의 이송 방향에 대해 하류측 부분] 위에서 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경사 기면(22)은 기울어져서 하부 기면(21)과 상부 기면(23)을 연결한다.
각 우편물(P)은, 기본적으로 그 하부 에지가 기면(21, 22, 23)과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그리고 표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유지되면서(이 상태가 위에서 언급한 "직립"을 나타낸다) 이송 장치(20)에 의해 이송되고, 이에 의해 각 우편물(P)의 이송 자세가 2회 비틀림 된다.
도2, 도3의 (a),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게이트(31)가 입구측, 즉, 하부 기면(21)의 좌측에 제공된다. 분기 게이트(31)는 우편물(P)을 두 방향으로 선별적으로 분기한다. 분기 게이트(31)는 바코드 리더(4)와 문자 인식 유닛(5)을 통해 취득된 구역 정보, 또는 상술한 VCS 처리에 의해 취득된 구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각 우편물(P)의 이송 방향은 분기 게이트(31)에 의해 선별적으로 절환되어 스택커 그룹(10)에 포함되어 있는 하부측 스택커와 상부측 스택커 중의 하나로 인도된다.
각 우편물(P)은 이송 경로를 따라 제공된 컨베이어 벨트(32) 쌍의 주행에 따라 각 벨트 쌍 사이에 그 양 표면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된다. 컨베이어 벨트(32) 쌍은 컨베이어 벨트(32a)와 컨베이어 벨트(32b)의 쌍을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32a)의 쌍은 분기 게이트(31)를 통해 분기부(9)의 입구로부터 스택커 그룹(10)에 이르는 분기부(9)의 출구까지 연장하는 하부 이송 경로를 따라 제공된다. 유사하게, 컨베이어 벨트(32b)의 쌍은 분기부(9)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부 이송 경로를 따라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컨베이어 벨트의 쌍은 무한 벨트(323)이고, 각 무한 벨트(323)는 한 쌍의 롤러(321, 322)에 감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장력을 부여한다. 각 무한 벨트의 쌍은 각 우편물(P)을 그들 사이에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청구항에서 언급한 "컨베이어 벨트 쌍"은 우편물(P)의 이송 방향으로 제공되는 컨베이어 벨트 쌍을 포함한다.
삭제
분기 게이트(31)로부터 하부측 스택커에 제공되는 컨베이어 벨트(32a) 쌍은 하부 기면 위에서 하부 기면(21)을 따라 적절히 만곡되어 배치된다. 하부측 스택커에 할당되는 우편물(P)은 그들의 하부 에지가 하부 기면(21)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32a) 쌍에 의해 직립으로 이송된다. 그 하부 에지가 하부 기면(21)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이렇게 이송된 우편물(P) 각각은 그 이송 자세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 스택커 그룹(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분기 게이트(31)와 상부측 스택커 사이에 제공되는 컨베이어 벨트(32b) 쌍은 어떤 위치에서는 복잡하게 비틀려 있고 만곡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32b)의 쌍은 우편물(P)의 이송 방향으로 제1 비틀림부(33), S자형 상승부(34) 및 제2 비틀림부(35)를 이 순서대로 형성시켜 포함한다. 제1 비틀림부(33)는 시계 방향으로(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에 걸쳐 비틀려 있고 이에 의해 하부 기면(21)과 경사 기면(22) 사이에서 각 우편물(P)을 기울게 한다. S자형 상승부(34)는 경사 기면(22) 상에서 S자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2 비틀림부(35)는, 제1 비틀림부(33)와 동일한 각도에 걸쳐, 반시계 방향으로(또는 시계 방향으로) 비틀림되어, 각각의 기울어진 우편물(P)을 그것의 직립 상태로 회복시킨다.
이송 방향에 대하여, 제1 비틀림부(33)의 상류에 위치된 컨베이어 벨트(32b)는, 각 우편물(P)을 그것의 하부 에지가 하부 기면(21)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직립으로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이송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1 비틀림부(33)에 해당하는 컨베이어 벨트(32b)와 S자형 상승부(34)는 각각의 우편물(P)을 기울어지게 하고 기울어진 우편물(P)을 상부 이송 경로로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이송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2 비틀림부(35)에 대응하고 제2 비틀림부(35)의 하류에 위치된 컨베이어 벨트(32b)는 기울어진 우편물(P)을 그 우편물의 하부 에지가 상부 기면(23)과 접촉을 유지하는 직립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이송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 기면(21)을 따라 분기 게이트(31)의 하류에 제공된 컨베이어 벨트(32a) 쌍은, 직립을 유지한 자세로 분기 게이트(31)로 공급된 각 우편물(P)을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이송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4는 제1 비틀림부(33)에 포함된 컨베이어 벨트들 중에서 하나의 쌍(320)만을 보여준다. 벨트의 각 쌍(320) 사이에 유지된 채로 이송되는 우편물(P) 각각은 본래의 대체로 수직인 자세로부터 각도(θ)에 걸쳐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제4 이송부로 보내진다. 경사 각도(θ)는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323)로 감겨진 각 상류측 롤러(322)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하류측 롤러(321)의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다. 환언하면, 각 우편물(P)의 경사 각도(θ)는 하부 기면(21)에 대한 경사 기면(22)의 경사 각도와 일치한다.
한편, 경사 기면(22)으로부터 상부 기면(23)으로 연장되는 제2 비틀림부(35)는 쌍을 이룬 컨베이어 벨트(320)들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동일한 각도(θ)에 걸쳐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제1 비틀림부(33) 및 제2 비틀림부(35)의 비틀림 각도(θ)는 90°미만으로 설정된다. 비틀림 각도(θ)를 예각으로 설정함으로써, 비틀림된 각 우편물(P)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의 이송 자세의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각도(θ)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각 우편물(P) 사이의 압박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방지함으로써, 그들 사이의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비틀림 각도(θ)가 작을수록, 응력이 더 크게 감소된다. 그러나, 비틀림 각도(θ)가 너무 작으면, S자형 상승부(34)에서의 각 우편물(P)의 상승 속도가 필연적으로 줄어든다. 즉, 비틀림 각도(θ)를 보다 작게 설정하면, S자형 상승부(34)의 컨베이어 벨트(32b)의 전체 길이를 보다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 각 우편물(P)이 소망하는 높이로 상승된 후에 수평 방향으로의 시프트량이 증가되고, 수평 시프트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비틀림 각도(θ)를 응력 허용 범위 내에서 90°미만의 비교적 큰 각도로 그리고 또한 적절한 이송 시간 및/또는 이송 길이를 감안한 견지에서 결정되는 적절한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송 장치(20)의 우편물 이송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분기부(9)의 이송 장치(20)로 공급된 우편물(P)은, 제어부(15)의 제어하에서, 분기 게이트(31)를 통해서 스택커 그룹(10) 중 하부측 또는 상부측 스택커를 향해 전달된다.
분기 게이트(31)를 통해 하부측 또는 상부측 스택커 쪽으로 공급된 우편물(P)은 하부 기면(21)을 따라 제공된 컨베이어 벨트(32a)에 의해 각각 유지되고, 컨베이어 벨트(32a)의 주행에 따라 그들의 하부 에지가 하부 기면(21)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하부 기면(21)을 따라 대체로 평탄하게 이송된다. 이때, 각 우편물(P)의 기면 상에서의 이송 시간과 배출 위치는 컨베이어 벨트(32a)의 길이 및/또는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삭제
한편, 분기 게이트(31)를 통해 상부측 스택커 쪽으로 전달된 우편물(P)은 순차적으로 제1 비틀림부(33), S자형 상승부(34) 그리고 제2 비틀림부(35)를 통과하고, 상부측 스택커를 향해 직립 자세로 이송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S자형 상승부(34)를 통해 우편물(P)이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되지만, 경사 표면의 하부에 S자형 벨트(32b)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보다 낮은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경로에 할당된 각각의 우편물(P)은, 그 하부 에지가 하부 기면(21)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직립 자세에서 제1 비틀림부(33)로 안내된다. 제1 비틀림부(33)를 통과한 후, 각각의 우편물(P)은 각도(θ)에 걸쳐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각 우편물(P)의 경사 각도는 경사 기면(22)의 경사 각도와 제1 비틀림부(33)에 포함된 벨트의 비틀림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각도(θ)에 걸쳐 기울어진 각각의 우편물(P)은 두 번 만곡된 S자형 상승부(34)를 거쳐, 그 하부 에지가 경사 기면(22)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울어진 우편물(P)은 그 이송 방향이 상방으로 시프트된 상태로 이송되고 나서, 대체로 180° 만곡된다. 그 결과, 기울어진 우편물(P)은 그 상측이 아래를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 후, 우편물(P)은 그 이송 방향이 상방으로 시프트된 상태로 이송되고, 대체로 180° 다시 만곡되고 제2 비틀림부(35)로 안내된다.
제2 비틀림부(35)를 통과한 후에, 기울어진 우편물(P) 각각이 원래의 직립 자세로 회복되고, 그 하부 에지가 상부 기면(23)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의 직립 자세로 이송 장치(2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경우, 각 우편물(P)의 배출 위치는 상부 기면(23)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32b)를 적절히 만곡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직립 자세의 우편물(P) 각각이 제1 비틀림부(33)에 의해 기울여지고 나서, 경사 기면(22)을 따라 S자형 상승부(34)에 의해 상승되고, 제2 비틀림부(35)에 의해 직립 자세로 회복되기 때문에, 그 이송 자세를 악화시키지 않고서 소망하는 높이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우편물(P)이 S자형 상승부(34)에서 S자형 경로를 따라서 이송되므로, 협소한 공간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승될 수 있고, 이것은 전체 장치의 구성을 조밀하게 만들 수 있다.
[실시예 1]
서로 다른 무게와 사이즈(즉, 이송 경로를 따라서 측정된 상이한 길이와 기면으로부터 측정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우편물과 유사한 40000매의 시험용 매체를 준비하고 상술한 이송 장치(20)에 공급하였다. 제어부(15)의 제어하에 이들 시트 중의 50%는 상부 경로로 전달되었고 나머지 50%는 하부 경로로 전달되었다. 이때, 시험 매체의 경사 각도(θ)는 40°로 설정되었고, 이송 속도는 3.6m/s였고, 이웃한 시험 시트들 사이의 이송 간극은 110㎜로 설정되었다. 테스트 시트는, 구체적으로는, 2g 내지 50g (평균:25g)의 무게, 135㎜ 내지 250㎜의 길이 (평균:210㎜)(이송 경로를 따라서 측정), 85㎜ 내지 170㎜의 높이(안내면으로부터 측정) 및 0.15㎜ 내지 6㎜의 두께를 가졌다.
걸림율(jamming rate)은 0.05%였다. 걸림율은 이송 장치(20)에 공급된 총 시트(실시예1에서는 40000매의 시트)에 대한 걸린 시트의 비율이다. 즉, 실시예1에서 채용한 조건하에서는, 40000매의 시트 중에 포함된 20매의 시트가 걸렸다.
또한, 비교를 위해 종래의 이송 방법에서의 걸림율을 측정하였다. 이 방법에서, 직립 자세로 이송된 시험 시트들은 90° 기울여지고 나서(즉, 이송 자세가 납작하게 누운 자세로 변경됨), 상부 및 하부 경로로 전달되고, 직립 자세로 회복하였다. 다른 조건은 실시예 1에서의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그 결과, 걸림율은 0.2%였다. 즉, 40000매의 시험 시트 중에 포함된 80매의 시험 시트가 걸렸다.
상기 결과로부터 매체의 경사 각도를 90°보다 작게 설정하는 경우 걸림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시예 2]
다른 조건들은 변경시키지 않고서 이송 장치(20)에 의해 이들 시트들 중의 30%가 상부 경로로 전달되었고 나머지 70%가 하부 경로로 전달되었다. 그 결과, 걸림율은 0.02%였다. 즉, 40000매의 시험 시트들 중에서 8매의 시험 시트만이 걸렸다.
이것은 우편물(P)이 스택커 그룹(10)의 상부측 스택커로 전달되는 경우에만 비틀림되어 이송되므로, 걸림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상부측 스택커에 대한 전달 비율이 낮아진다면 장치의 전체 걸림율이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송 장치(2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계획에 따라서, 걸림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상술한 이송 장치(20)를 포함하는 OVIS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걸림의 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하부측 스택커를 보통은 사용하고 걸림의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상부측 스택커를 보조적인 것으로서 사용한다면 걸림율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측 스택커(10b)가 하부측 스택커(10a)를 위한 멀티 스택커로서 지정되거나, 또는 상부측 스택커(10b)들 중의 일부는 이송 걸림률을 낮추고 OVIS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앞서 언급한 오버플로우 스택커(OVF)로서 사용된다. 이와 다르게는, 상부측 스택커들이 보다 적은 수의 우편물(P)이 전달되는 작은 수량의 구역에 할당된다면, OVIS가 또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들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용이하게 착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한 구체적인 설명 및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송 장치(20)가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우편물(P)을 전달하도록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의 경로로 직립 자세로 전달하려는 다른 매체의 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S자형 경로를 따라서 우편물(P)을 이송하기 위한 S자형 상승부(34)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편물(P)은 3회 또는 그 이상의 회수로 만곡된 경로를 따라서 선형으로 상승 또는 이송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장치(20)가 상부 및 하부측 경로로 우편물(P)을 전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송 장치(20)는 3단 또는 그 이상의 단으로 적층된 스태커들로 우편물(P)을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위에 주어진 전반적인 설명 및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OCR/VSC 통합 시스템(OVIS)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OVIS의 분기부에 구비된 선별/이송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의 (a)는 도2의 선별/이송 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3의 (b)는 도2의 선별/이송 장치를 앞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4는 비틀림 이송을 구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에 유용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2의 선별/이송 장치의 효과적인 사용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개략도이다.

Claims (8)

  1. 종이 시트를 직립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를 거쳐서 직립으로 이송된 종이 시트를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기울여서 다른 임의의 높이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거쳐서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된 종이 시트를 직립 상태로 회복시켜 이송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종이 시트를 비틀면서 이송하고, 비틀어졌을 때에 만곡시키는, 시트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에서의 종이 시트의 경사 각도는 90°미만인, 시트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종이 시트를 끼워 상기 제1 이송부 내지 제3 이송부를 통해 만곡하여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 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쌍은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종이 시트를 기울이는 제1 비틀림부, 및 상기 제3 이송부에서 종이 시트를 직립으로 회복시키는 제2 비틀림부를 포함하는, 시트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시트를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분기하여 직립 그대로 같은 높이에서 이송하는 제4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송부에 대한 종이 시트의 할당률이 상기 제2 및 제3 이송부로의 할당률보다 높게 되도록, 종이 시트의 이송처를 지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이송 장치.
  6. 직립 상태로 이송되는 종이 시트의 하부 에지를 접촉시켜 안내하는 수평한 제1 기준면과,
    상기 제1 기준면에 연속하여 비틀림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제2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에 연속하여 상기 제1 기준면과 평행하게 다른 높이 위치에서 연장된 제3 기준면과,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면 각각에 직교하는 자세로 종이 시트의 상기 하부 에지를 각면(各面)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면을 따라 상기 종이 시트의 자세를 변경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종이 시트를 끼워 만곡하여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 쌍을 포함하는, 시트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면의 상기 제1 기준면에 대한 경사 각도는 90°미만인, 시트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쌍은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 사이에서 종이 시트를 기울이는 제1 비틀림부, 및 상기 제2 기준면과 상기 제3 기준면 사이에서 종이 시트를 직립으로 회복시키는 제2 비틀림부를 포함하는, 시트 이송 장치.
KR1020080086839A 2007-12-27 2008-09-03 시트 이송 장치 KR10104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7803A JP2009155084A (ja) 2007-12-27 2007-12-27 紙葉類搬送装置
JPJP-P-2007-00337803 200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45A KR20090071345A (ko) 2009-07-01
KR101044546B1 true KR101044546B1 (ko) 2011-06-27

Family

ID=4079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839A KR101044546B1 (ko) 2007-12-27 2008-09-03 시트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88147B2 (ko)
EP (1) EP2085344A3 (ko)
JP (1) JP2009155084A (ko)
KR (1) KR101044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7050B2 (en) * 2008-08-08 2011-02-15 Trudeau Joseph A Right angle turn (RAT) module for conveying mailpiece collations
US8608163B1 (en) * 2012-06-21 2013-12-17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ant velocity cut-sheet inversion in a printing system
CN103071625B (zh) * 2013-01-06 2014-06-04 上海邮政科学研究院 一种用于信函分拣的缓存装置
EP3251988B1 (en) * 2016-05-31 2021-01-06 Kabushiki Kaisha Toshiba Delivery processing apparatus
JP6833448B2 (ja) * 2016-05-31 2021-02-24 株式会社東芝 配達物処理装置
CN113441635B (zh) * 2021-06-19 2022-09-30 芜湖常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板件自动化加工产线平移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919A (ja) 1999-06-22 2001-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搬送装置
JP2001225025A (ja) 2000-02-18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郵便物区分機
WO2006110486A2 (en) * 2005-04-07 2006-10-19 Pitney Bowes Inc. Macro sorting system and method
KR20060112655A (ko) * 2003-10-30 2006-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우편물 더미에서 세로로 놓인 납작한 우편물들을 분리하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4065A (en) * 1976-07-19 1979-10-09 Gerald C. Freema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orientation and bidirectional feed of indicia bearing mail
US4299379A (en) * 1978-02-21 1981-11-10 E-Systems, Inc. Moving carriage buffer/feeder
JPS6374846A (ja) * 1986-09-16 1988-04-05 Toshiba Corp 紙葉類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S63126354U (ko) * 1987-02-10 1988-08-18
JP2642394B2 (ja) * 1988-04-14 1997-08-20 協和電子工業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
US5109987A (en) * 1989-12-04 1992-05-05 National Presort, Inc. Multi-level sort machine
US5143225A (en) * 1990-03-27 1992-09-01 Bell & Howell Company Carrier sequenced bar code sorter for documents
US5429249A (en) * 1993-11-15 1995-07-04 Pitney Bowes Inc. On-line sorting for an inserter system
JPH09155297A (ja) 1995-12-15 1997-06-17 Toshiba Corp 紙葉類区分装置及び郵便物区分装置
US6199757B1 (en) * 2000-02-01 2001-03-13 Profold, Inc. Debit card having scratch-off label strip and method of applying same
JP3359610B2 (ja) * 2000-02-25 2002-1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郵便物区分機のエレベータ搬送装置
US6481712B1 (en) * 2001-05-31 2002-11-19 Pitney Bowe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lead to trail edge collision of mailpieces in a sorter
US6688593B1 (en) * 2002-07-31 2004-02-10 Pitney Bowes Inc. Envelope transport turn module and ramp for an output portion of an inserter system
US6623002B1 (en) * 2002-06-13 2003-09-23 Pitney Bowes Inc. Flat article transport and align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919A (ja) 1999-06-22 2001-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搬送装置
JP2001225025A (ja) 2000-02-18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郵便物区分機
KR20060112655A (ko) * 2003-10-30 2006-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우편물 더미에서 세로로 놓인 납작한 우편물들을 분리하는장치
WO2006110486A2 (en) * 2005-04-07 2006-10-19 Pitney Bowes Inc. Macro sor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45A (ko) 2009-07-01
EP2085344A3 (en) 2012-01-11
EP2085344A2 (en) 2009-08-05
US20090166959A1 (en) 2009-07-02
JP2009155084A (ja) 2009-07-16
US20110127708A1 (en) 2011-06-02
US7988147B2 (en)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546B1 (ko) 시트 이송 장치
US592639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ocument processing
US5190282A (en) Multi-pass sorting machine
US6644657B2 (en) Accumulator having power ramp
US7728245B2 (en) Multi-machine mail sorting system
US9114432B2 (en) Device for sorting and conveying documents
EP14937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mulating sheets
JP2001000919A (ja) 紙葉類搬送装置
JP3652469B2 (ja) 単片用紙のスタッカ装置
JP2707987B2 (ja) 紙葉類並べ替え装置および方法
JP4281321B2 (ja) 定形外郵便物の選別・取揃え・押印処理装置
JP200922093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3699818B2 (ja) 紙葉類区分装置
JP2000271543A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090255778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ansporting articles via crossing transporting paths
JP32756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10109070A (ja) 紙葉類区分処理装置及び郵便物区分処理装置
JP2000024598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1176947A (ja) 紙葉類区分装置
JP2000325889A (ja) 書状供給装置
JPH1015790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9169462A (ja) 紙葉類搬送装置
JPH08252538A (ja) 郵便物の処理装置
JPH0922696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1253628A (ja) 画像形成装置の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