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029B1 -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 Google Patents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029B1
KR101041029B1 KR1020080105622A KR20080105622A KR101041029B1 KR 101041029 B1 KR101041029 B1 KR 101041029B1 KR 1020080105622 A KR1020080105622 A KR 1020080105622A KR 20080105622 A KR20080105622 A KR 20080105622A KR 101041029 B1 KR101041029 B1 KR 10104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nut
nut
washer
bearing member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671A (ko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경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52Details of nailing, 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구조 건축에서 내력부재를 접합하는 방법 중 인장 볼트 접합에 사용되는 접합철물로서 그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철편에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볼트구멍과 나사선을 가공하여 와샤겸 너트로 일체화하여 와샤와 너트기능을 함께 제공한 와샤너트 및 그와 같은 와샤너트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설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와샤너트의 표면에 반달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하여 원주의 둥글고 넓은면이 목구조 내력부재에 만들어진 드릴가공을 통해 형성된 구멍의 면과 빈틈없이 접촉함으로서 기존의 원형이나 사각형의 와샤를 생략할 수 있고 접촉면적을 증대할 수 있으며, 와샤너트의 접촉면이 원주의 곡면으로 되어있어 접합부에 큰 하중이 작용해도 하중을 전면적에 고루 분포할 수 있어 부분지압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접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형으로 구멍을 뚫는 드릴링과 같이 단순한 가공만으로도 기둥과 보, 보와 도리 등과 같은 내력부재들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내력부재, 접합, 와샤너트

Description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 washer nut and tool for easy setting it }
본 발명은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구조 건축에서 내력부재를 접합하는 방법 중 인장 볼트 접합에 사용되는 접합철물로서 그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철편에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볼트구멍과 나사선을 가공하여 와샤겸 너트로 일체화하여 와샤와 너트기능을 함께 제공한 와샤너트 및 그와 같은 와샤너트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설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속의 건축물은 철재와 콘크리트 및 합성수지등 다양한 인조 및 천연부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주거환경을 극대화시켜 실리적 편리성과 보안, 주거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나 정적인 부분이 미약하여 현대인들은 현대화된 건축양식 및 고건축물의 각 장점들이 적절하게 상호 조화되어 새롭게 이루어진 현대식 목구조 건축물을 선호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목구조 건축물들이 독 특한 멋과 양식을 갖추며 현대인의 욕구가 충족되게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목구조 건축물들은 목재로 된 내력부재를 이용하여 기둥이나 보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기둥과 보, 보와 도리, 기둥과 토대 및 기둥과 인방 등 두부재를 맞춤 접합하는 접합부는 외부하중에 대하여 제일 취약한 부분이므로 접합부의 강도가 그 목구조 건축물의 구조내력을 좌우하게 되므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물론 이와 같은 내력부재들의 접합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접합효율이 높고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철물접합이 요고되고 있으며, 철물접합 중에서도 인장볼트 접합이 강접합(剛接合)의 하나로 최근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장볼트 접합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의하면, 종래에는 내력부재로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1)과 상기 기둥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보(2)를 접합하기 위해 체결볼트(10)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관통공(1a)을 형성하고, 보(2)의 단부에 제2관통공(2a)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2)의 단부 측면에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설치공간(2b)을 형성하여 체결볼트(10)의 일단부에 제1와샤(11)와 제1너트(12)를 체결하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볼트(10)의 타단부에는 제2와샤(13)와 제2너트(14)를 체결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와샤(11)와 제1너트(12)를 체결하기 위해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설치공간(2b)을 제1와샤(11)와 제1너트(12)의 체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여분의 작업공간을 형성해야 하므로 접합점의 단면결손이 상대적으로 커져 접합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좁은 작업공간에서 제1와샤(11)와 제1너트(12)를 체결볼트(10)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초기체결을 해야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구조조립이 완료된 후 와샤와 너트를 설치하고 난 후 설치공간(2b)을 별도의 목재(3)로 되메꿈하는 작업이 수반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구조를 이루는 내력부재를 접합시에 볼트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의 표면에 곡선부를 형성하여 내력부재와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그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와샤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샤너트를 설치되는 정위치에 신속히 삽입 고정하여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내력부재의 제1관통공과 상기 제1내력부재에 접합되는 제2내력부재의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의 일단부에 체결되되, 상기 제2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제2내력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공에 삽입시에 상기 끼움공에 밀착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에 상기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너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내력부재의 제1관통공과 상기 제1내력부재에 접합되는 제2내력부재의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의 일단부에 체결되되, 상기 제2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제2내력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공에 삽입시에 상기 끼움공에 밀착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에 상기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탭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와샤너트;가 부착되는 자석이 구비된 헤드가 연결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너트의 설치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와샤너트의 표면에 반달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하여 원주의 둥글고 넓은면이 목구조 내력부재에 만들어진 드릴가공을 통해 형성된 구멍의 면과 빈틈없이 접촉함으로서 기존의 원형이나 사각형의 와샤를 생략할 수 있고 접촉면적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이 원주의 곡면으로 되어있어 접합부에 큰 하중이 작용해도 하중을 전면적에 고루 분포할 수 있어 부분지압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접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형으로 구멍을 뚫는 드릴링과 같이 단순한 가공만으로도 기둥과 보, 보와 도리 등과 같은 내력부재들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하여 내력부재를 접합하는 경우 내력부재의 내부 깊숙한 곳에 음폐설치할 수 있게 되어 목구조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화구조를 건축하는데 유리하며, 본 발명의 설치공구를 사용하 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건축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사용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의하면, 건축용 목구조인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를 접합시키는 경우, 체결 수단으로서 볼트부재(300)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400)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는 기둥, 보, 서까래 등의 다양한 건축 목구조가 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적용 대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먼저, 상기 제1내력부재(100)의 제1접합면(110)과 제2내력부재(200)의 제2접합면(210)를 접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내력부재(100)는 몸체(101)의 측면에서 상기 제1접합면(110)을 향해 제1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력부재(200)는 상기 제1관통공(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합면(210)에서 몸체(201)의 내부로 일정깊이의 제2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내력부재(100)는 금속재질의 구조재로 대체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몸체(201)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220)과 연통되도록 끼움공(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220)과 끼움공(230)은 서로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의 접합 각도에 따라 다양한 연통 각도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며 모두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끼움공(230)을 형성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몸체(201) 측면을 완전 관통시키도록 하는 것 도 가능하지만, 끼움공(230)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당한 깊이로 형성함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120,220)과 끼움공(230)은 드릴링 가공을 통해 원형(圓形)으로 간단히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끼움공(230)은 제1 및 제2관통공(120,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에 가공하는 원형의 제1 및 제2관통공(120,220)과 끼움공(230)의 구멍 결손단면은 종래 일반적인 체결을 위한 결손단면에 비해 1/3 ~ 1/5정도이므로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관통공(120,220)과 끼움공(230)의 가공은 기본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원형으로 가공하지만, 수공구이든지 전문가공기계를 사용하여 정밀도를 가지도록 원형으로 형성할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120,220)에는 볼트부재(300)가 삽입되는데, 상기 볼트부재(300)는 나선이 형성되는 연결축(310)과, 상기 연결축(31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헤드(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축(310)과 헤드(320)는 일체형으로 형성함도 가능하지만 상기 헤드(320)를 일종의 너트형식으로 제작하여 착탈되도록 하여 연결축(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320)는 사각, 육각, 팔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끼움공(230)에는 와샤너트(40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와샤너트(400)는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져 표면에 곡면부(410)가 형성되며 그 곡면상에 나사탭(420)을 관통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와샤너트(400)를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끼움공(230)에 삽입하며 상기 와샤너트(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나사탭(420)이 상기 제2관통공(220)에 일치하면,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120,220)을 관통하는 볼트부재(300)의 연결축(310) 전단부를 끼우고 상기 볼트부재(300)를 돌려 나사결합시켜 줌으로서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공(230) 내주면에 상기 와샤너트(400)의 곡면부(410)가 완전 밀착되어 볼트부재(300)와 상기 와샤너트(400)가 체결시에 가압면적이 커지게 되어 체결력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와샤너트(400)가 헐거워지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특히 이와 같은 와샤너트(400)를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시공자에게 낯설지 않아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2내력부재(200)의 끼움공(230)에 별도의 와셔(미도시됨)등을 끼우지 않더라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접합을 위해 체결하고 오랜 시일이 경과한 후에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의 건조로 인해 접합부위에 틈이 생겼을 때에도 추가적인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시에 볼트부재(300)의 단부가 와샤너트(400)에 고정되어 있어 헤드(320)만을 체결함으로서 체결하는 개소가 반으로 줄어들어 시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재(300)와 와샤너트(400)를 체결한 경우 상기 끼움 공(230)의 단부에 원형의 목다보(미도시됨)를 끼워 마감 처리함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목다보를 끼워 와샤너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내화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및 제2내력부재(100,200)에는 제1 및 제2관통공(120,220)을 다수 형성하고, 다수의 볼트부재(300) 및 와샤너트(400)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주어 결합력을 극대화시켜 주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와샤너트(400)는 다수의 나사탭(420)이 형성된 것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와샤너트(400)의 곡면부(410)에는 다수의 나사탭(420)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건축용 내력부재의 접합시에 설치공구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가 일정 두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끼움공(230)에 와샤너트(400)를 삽입하더라도 정확한 위치 선정 및 확인이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501)의 일단부에는 자석(512)이 부착된 헤드(5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손잡이(520)가 구비되는 공구(500)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공구(5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석(512)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샤너트(400)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내력부재(200)의 끼움공(230)에 삽입하여 적절 하게 위치를 이동시킨 후, 볼트부재(300)를 와샤너트(400)와 나사결합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510)의 일측에는 지지돌기(511)가 형성되어 와샤너트(300)의 나사탭(420)에 지지되어 와샤너트(300)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적정한 상태로 볼트부재(300)와 와샤너트(400)가 결합되면 공구(500)를 분리하더라도 와샤너트(400)는 볼트부재(300)에 의해 끼움공(230)의 외부로 나오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목구조 내력부재를 체결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형상으로 제1내력부재(100)의 단부와 제2내력부재(200)의 단부를 접합한 구조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내력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진 제1접합면(110)에 제2내력부재(200)의 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진 제2접합면(210)이 접합된다.
이때, 상기 제1내력부재(110)의 제1관통공(120)과 제2내력부재(200)의 제2관통공(220)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 볼트부재(300)와 와샤너트(400)를 체결시켜 줌으로서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를 접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볼트부재(30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주기 위해 제1내력부재(110)에는 밀착면(113)을 더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목구조 내력부재를 체결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1내력부재(100)의 제1접합면(110)에 제2내력부재(200)의 제2접합면(21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력부재(100)의 제1접합면(110)의 맞은편에 제3내력부재(200')의 제2접합면(21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내력부재(100)의 안착홈(112)과 안착홈(112')의 중간에는 관통부(115)를 더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내력부재(100)의 안착홈(112)에 제2내력부재(200)의 제2접합면(210)을 걸쳐놓은 상태에서 볼트부재(300)를 상기 관통부(115)쪽으로 끼우고
와샤너트(400)와 체결시켜 줌으로서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를 접합시켜 주고, 상기 제1내력부재(110)의 안착홈(112')에 제3내력부재(200')의 제3접합면(210')을 걸쳐놓은 상태에서 볼트부재(300')를 상기 관통부(115)쪽으로 끼워 와샤너트(400')와 체결시켜 줌으로서 제1내력부재(100)와 제3내력부재(200')를 접합시켜 주게 되어 제1 내지 제3내력부재(100,200,200')을 십자(+)형상으로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목구조 내력부재를 체결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를 볼트부재(300)와 와샤 너트(400)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줌으로서 제1내력부재(100)와 제2내력부재(200)를 접합시켜 주고, 상기 볼트부재(3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볼트부재(300')를 관통시켜 제1내력부재(110)의 일측에 제3내력부재(200')를 밀착시킨 후 와샤너트(400')와 체결시켜 줌으로서 제1내력부재(100)와 제3내력부재(200')를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건축용 내력부재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사용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샤너트를 이용해 내력부재간을 접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내력부재 110: 제1접합면
120: 제1관통공 200: 제2내력부재
210: 제2접합면 220: 제2관통공
230: 끼움공 300: 볼트부재
310: 연결축 320: 헤드
400: 와샤너트 500: 설치공구

Claims (5)

  1. 제1내력부재(100)의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1내력부재(100)에 접합되는 제2내력부재(200)의 제2관통공(220)을 관통하는 볼트부재(300)의 일단부에 체결되되, 상기 제2관통공(220)에 연통되도록 제2내력부재(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공(230)에 삽입시에 상기 끼움공(230)에 밀착되는 곡면부(410)가 형성되도록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부(410)에 상기 볼트부재(300)가 체결되는 나사탭(420)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와샤너트(400);가 부착되는 자석(512)이 구비된 헤드(510)가 연결부(501)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손잡이(520)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너트의 설치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510)의 일측에는 상기 와샤너트(300)를 견인하도록 상기 와샤너트(300)의 나사탭(420)에 끼워지는 지지돌기(5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샤너트의 설치 공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05622A 2008-10-28 2008-10-28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KR10104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22A KR101041029B1 (ko) 2008-10-28 2008-10-28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22A KR101041029B1 (ko) 2008-10-28 2008-10-28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671A KR20100046671A (ko) 2010-05-07
KR101041029B1 true KR101041029B1 (ko) 2011-06-13

Family

ID=4227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622A KR101041029B1 (ko) 2008-10-28 2008-10-28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1854A (zh) * 2018-02-06 2018-08-17 国合凯希水体修复江苏有限公司 一种河道护岸工程固定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9103U (ko) * 1989-01-27 1990-08-07
KR950018991A (ko) * 1993-12-04 1995-07-22 박기석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JP2001020391A (ja) * 1999-07-09 2001-01-23 Masashi Takei 軸組の接合構造
JP2002004423A (ja) 2000-06-19 2002-01-09 Tatsumi:Kk 建築用木材の連結金具用座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9103U (ko) * 1989-01-27 1990-08-07
KR950018991A (ko) * 1993-12-04 1995-07-22 박기석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JP2001020391A (ja) * 1999-07-09 2001-01-23 Masashi Takei 軸組の接合構造
JP2002004423A (ja) 2000-06-19 2002-01-09 Tatsumi:Kk 建築用木材の連結金具用座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671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298B2 (en) Concealed structural pos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EP3067480B1 (en) Connecting structure
JP2013044198A (ja) 締結具
KR101041029B1 (ko)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KR20190066013A (ko) 접합 철물
KR100674405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JP2016132868A (ja) 棒状金物
JP4649303B2 (ja) 柱の締結具
US20220002995A1 (en) Anchor bolt assembly and ceiling finishing panel fix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DE202006000388U1 (de) Befestigungsvorrichtung
JP2008019566A (ja) 柱接合構造
JP5077883B2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6923984B1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JP2010196355A (ja) 木造住宅用部材
CN107201784A (zh) 利于内螺纹件预埋入现浇砼的结构及形成预埋件的方法
JP3867128B1 (ja) 接合装置
JP4143482B2 (ja) 耐震補強構造
JP3223746U (ja) 建物の躯体構造
KR100455561B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JP3805641B2 (ja) 締結具
KR200380874Y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JP2007077629A (ja) 接合金具及びこの接合金具の埋め込み方法
JP2001342686A (ja) 接合具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部材の接合構造並びに構造部材の接合方法
KR20100065752A (ko) 구조물의 기둥 구조
JP2010106598A (ja) 木質材用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