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720B1 - 오픈 탑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오픈 탑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720B1
KR101040720B1 KR1020117006049A KR20117006049A KR101040720B1 KR 101040720 B1 KR101040720 B1 KR 101040720B1 KR 1020117006049 A KR1020117006049 A KR 1020117006049A KR 20117006049 A KR20117006049 A KR 20117006049A KR 101040720 B1 KR101040720 B1 KR 10104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w
side panel
bow
support
open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535A (ko
Inventor
남상우
Original Assignee
남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우 filed Critical 남상우
Publication of KR2011004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 B65D88/125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by flexible element, e.g. canv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오픈 탑 컨테이너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과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을 가지는 컨테이너 본체, 및 일단부가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를 가로질러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되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보우(bo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 본체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 탑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본 발명은 오픈 탑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 본체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오픈 탑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라 함은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크게 밀폐형 컨테이너와 상부 개폐형 컨테이너로 구분할 수 있다. 밀폐형 컨테이너라 함은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후방의 도어를 제외하고 상하좌우 모든 패널을 고정형으로 구성한 컨테이너를 말하며, 상부 개폐형 컨테이너라 함은 상부로 하역하는 것이 편리한 화물이나 오버 헤이트(Over Height)인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를 가지도록 구성한 컨테이너를 말한다.
이러한 상부 개폐형 컨테이너의 경우 통상 그 상부에 양 사이드 패널을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지지 보우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상부에서 이러한 지지 보우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통상 수작업 등을 통해 상기 지지 보우를 사이드 패널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보우의 양단은 양 사이드 패널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우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상부 개폐형 컨테이너는 상부 개폐가 필요할 경우 지지 보우를 분리한 후 분리된 지지 보우를 통상 컨테이너 내부 등에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지 보우의 분실 위험이 높고, 분실로 인해 지지 보우를 재구매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컨테이너 유지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 수작업으로 일일이 지지 보우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거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지고 제거 작업 중 떨어지는 지지 보우로 인해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 본체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오픈 탑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컨테이너 본체 상부의 개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픈 탑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탑 컨테이너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과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을 가지는 컨테이너 본체, 및 일단부가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를 가로질러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되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보우(bo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보우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보우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보우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 지지 보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보우는 상기 제2 지지 보우와 함께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지지 보우는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보우는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 보우는 상기 제2 지지 보우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 보우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보우의 일단부에는 구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 보우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체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탑 컨테이너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과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을 가지는 컨테이너 본체,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서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안내부재, 안내부재를 따라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안내부재를 축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는 일단부와 개구를 가로질러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지지 보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그 내부를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보우의 일단부에는 구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지지 보우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체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 보우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지지 보우의 일단부가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 상부의 개방 작업 중에도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 보우의 분실 위험을 원천 봉쇄하여 컨테이너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부 개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지 보우와 제1 사이드 패널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지지 보우가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용부가 구비된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은 회전 후 하방으로 이동되는 지지 보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사이드 패널의 돌출턱 상단에 형성된 수용홈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사이드 패널의 돌출턱 상부에 구비된 수용구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지지 보우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지지 보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지지 보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컨테이너 본체 112 : 베이스 패널
114 : 프런트 패널 116 : 도어
120 : 제1 사이드 패널 122 : 돌출턱
126 : 수용부 130 : 제2 사이드 패널
132 : 돌출턱 136 : 수용홈
138 : 수용구 150 : 체결구
152 : 안내홈 160 : 지지 보우
162 : 체결부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110)와 지지 보우(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본체(110)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컨테이너 본체(110)의 전방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을 연결하는 프런트 패널(114)이 구비될 수 있고, 컨테이너 본체(110)의 후방에는 화물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22, 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본체(110)의 내부에는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본체(110)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물 등은 화물 출입구 또는 개구를 통해 컨테이너 본체(110) 내에 적재될 수 있다. 화물 등이 적재된 후에는 타폴린(tarpaulin) 등과 같은 커버 시트로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선박 등으로 이송되는 해상용 컨테이너에 주로 적용될 수 있으나, 특장 차량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보우(160)는 일단부가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라 함은 지지 보우(160)가 커버 시트 등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제1 또는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측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상부'는 제1 또는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단 모서리 부분(124, 134)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상기 '상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122, 132) 사이를 가로지르는 지지 보우(160)가 예시되고 있다. 결국, 지지 보우(160)는 차후 커버 시트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사이드 패널(120)과 제2 사이드 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사이드 패널(120)에 연결된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는 지지 보우(160)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142)와 같은 체결 부재가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와 제1 사이드 패널(120)의 돌출턱(122) 상단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142)의 헤드(143)와 지지 보우(160)의 상단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 지지 보우(160)는 인접한 지지 보우(160)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보우(160)는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일정 정도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다만,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와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 사이의 결합 구조가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지지 보우(16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제1 사이드 패널의 돌출턱 상단에는 수용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지지 보우의 일단부 하단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수용홀에 삽입하는 구조를 통해서도 지지 보우가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보우가 제1 사이드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체결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15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지지 보우와 제1 사이드 패널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150)에는 그 내부에 구 형상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공 형상에 대응되는 구 형상의 체결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50)의 하단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지지 보우(160)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152)이 상기 체결구(1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홈(152)은 인접한 체결구(150)를 바라보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체결구(150)는 지지 보우(160)를 제1 사이드 패널(120)의 돌출턱(122)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보우(160)의 회전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상기 지지 보우(160)의 자유단 부분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보우가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 보우는 교번적으로 제1 사이드 패널(120)과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번째 지지 보우는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짝수 번째 지지 보우는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보우를 사이드 패널(120, 130)에 연결하면, 회전된 지지 보우가 돌출턱(122, 132) 상단에 쌓일 수 있는 공간이 보다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를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를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보우를 연결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된 지지 보우가 모두 컨테이너 본체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16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테이너 본체(110) 상부의 개구를 통해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또는 오버 헤이트(Over Height)인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등에는 지지 보우(16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또는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돌출턱(122, 132) 상단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통상적으로 지지 보우(160)의 길이가 지지 보우(160) 사이의 간격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지지 보우(160)를 회전시킨 후에는 회전된 지지 보우(160)가 인접한 지지 보우(160)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 시키고, 좌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된 지지 보우가 모두 컨테이너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보우(160)를 돌출턱(122, 132) 상단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된 지지 보우(16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수용부가 구비된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 수용부(126)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되 L-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 보우가 회전 후 인접한 지지 보우의 상단에 적층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 보우의 보관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보우(160)를 돌출턱(122, 132) 위에 위치시키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회전된 지지 보우가 돌출턱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도 2를 통해 설명한 체결구와 유사한 형상의 체결구(151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1510)에는 그 내부에 구 형상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보우(160)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공 형상에 대응되는 구 형상의 체결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510)의 중심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지지 보우(160)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1512)이 상기 체결구(15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홈(1512)은 인접한 체결구(1510)를 바라보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체결구(1510)는 지지 보우(160)를 제1 또는 제2 사이드 패널(120, 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보우(160)의 회전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 보우(160)의 자유단 부분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모든 지지 보우가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지지 보우와 사이드 패널의 결합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것과 같이 지지 보우를 교번적으로 제1 사이드 패널(120)과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 또는 우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를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160)를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까지 연장된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도 보다 안정적으로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사이드 패널(130)의 돌출턱(132) 상단에는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사이드 패널의 돌출턱 상단에 형성된 수용홈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제2 사이드 패널(130)의 돌출턱(132) 상단에 수용홈(136)이 형성되면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는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사이드 패널(130)의 돌출턱(132) 상부에는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구(13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사이드 패널의 돌출턱 상부에 구비된 수용구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구(138)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구(138)의 개방된 부분의 높이는 지지 보우(160)의 직경보다 조금 작도록 하고 수용구(138)의 단부는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면 지지 보우(160)의 타단부가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지지 보우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보우(1610)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보우(16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1612)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16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보우(1610)를 외측 지지 보우(1612)와 내측 지지 보우(1614)로 구성하면, 내측 지지 보우(1614)가 외측 지지 보우(1612)의 중공을 따라 이동한 거리만큼 지지 보우(16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 보우(1610)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 후 지지 보우(161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회전된 지지 보우(1610)가 인접한 지지 보우(16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1은 지지 보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보우(1620)는 제1 지지 보우(1622)와 제2 지지 보우(16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보우(1622)의 일단부는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 보우(1624)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 보우(162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보우(1624)의 타단부는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보우(1622)는 상기 제2 지지 보우(1624)와 함께 상기 제1 지지 보우(1622)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보우(1624)는 상기 제1 지지 보우(1622)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지지 보우(162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가 가능하도록 제1 지지 보우(1622)는 전술한 체결 부재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제1 사이드 패널(120)의 돌출턱(12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지지 보우(1624)는 조인트 핀 등을 통해 제1 지지 보우(1622)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보우(1620)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지지 보우(1624)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지지 보우(1620)를 인접한 지지 보우(1620)의 상부에 보다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보우(1622)의 회전이 인접한 지지 보우(1620)에 의해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제1 지지 보우(1622)의 길이는 지지 보우(1620) 사이 간격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를 제1 사이드 패널(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측에 위치한 절반의 지지 보우를 제2 사이드 패널(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보우(160)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체결구(1510)를 사용하여 돌출턱(122, 132) 위에 위치한 채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회전된 지지 보우(160)가 돌출턱(122, 132)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지지 보우가 컨테이너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210)와 지지 보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 사이의 주된 차이점은 지지 보우의 구성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보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260)는 제1 지지 보우(262)와 제2 지지 보우(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보우(262)의 일단부는 제1 사이드 패널(220)의 상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보우(264)의 일단부는 제1 지지 보우(262)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보우(264)의 타단부는 제2 사이드 패널(230)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보우(262)는 제1 지지 보우(262)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 보우(264)는 제2 지지 보우(264)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구조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 보우(262, 264)는 전술한 체결부재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220, 230)의 돌출턱(222, 232)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보우(260)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버 시트 등을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 보우(262, 264)를 상호 결합시켜 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지지 보우(26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 보우(262, 264)의 결합을 해제시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260)는 제1 및 제2 지지 보우(262, 264)가 각각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하는 지지 보우(2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어 회전된 지지 보우(260)가 인접한 지지 보우(260)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 보우(262, 264) 중 적어도 하나를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회전된 지지 보우(260)가 인접한 지지 보우(260)의 상부에 적층되는 부분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310)와 지지 보우(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의 주된 특징은 지지 보우(360)의 구체적 구성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보우(3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보우(360)는 그 일단부에 구형상의 체결부(362)가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이드 패널(320)에는 그 상부에 체결구(32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328)는 상기 체결부(36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지지 보우(360)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체결구(328)는 그 내부에 상기 체결부(362)의 외형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362)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328)를 이와 같이 형성하면, 상기 체결부(362)가 상기 체결구(328)의 중공 내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는 자유롭게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362)가 지지 보우(36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체결부가 지지 보우의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체결구가 지지 보우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지지 보우가 제1 사이드 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지지 보우가 자유롭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지지 보우가 다시 자유롭게 상하로 회전할수 있어 상기 지지 보우가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오픈 탑 컨테이너에 있어 지지 보우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본체(410), 안내부재(470), 슬라이딩 부재(480) 및 지지 보우(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본체(41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420, 430)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420, 43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본체(4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사이드 패널(4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사이드 패널(420)의 폭 방향을 따라 안내부재(4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부재(470)는 슬라이딩 부재(48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부재(480)의 상하 회전을 지지하는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술하면, 원기둥 형상의 안내부재(4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480)에는, 제1 사이드 패널(42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480)는 상기 안내부재(470)를 따라 제1 사이드 패널(42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부재(470)를 축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도 있다. 다만, 안내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부재가 안내부재를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안내부재를 축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480)에는 컨테이너 본체(410)의 개구를 가로지르는 지지 보우(460)가 연결된다. 보다 상술하면, 지지 보우(460)의 일단부는 제1 사이드 패널(420) 쪽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부재(48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제2 사이드 패널(43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지 보우(460)는 제1 사이드 패널(42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부재(48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1 사이드 패널(420)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부재(480)의 상하 회전에 따라 상하로 회전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지지 보우가 단일의 부재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보우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480)와 연결되는 지지 보우(460)의 일단부는 직접 슬라이딩 부재(480)와 연결될 수도 있으나, 제3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체결부(462)와 체결구(428)의 결합 구조를 통해 간접적으로 슬라이딩 부재(48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패널(430)까지 연장되는 지지 보우(460)의 타단부는 그대로 제2 사이드 패널(430)의 돌출턱(432)에 올려질 수도 있으나, 제2 사이드 패널(4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구(438)에 수용될 수도 있다. 제2 사이드 패널(430)의 상부에 수용구(438)가 구비되면, 상기 지지 보우(460)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제2 사이드 패널(43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지지 보우(460)가 보다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 있어 지지 보우(460)의 이동 상태를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 보우(46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부재(48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8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 보우(460)도 제1 사이드 패널(420)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보우(460) 모두를 컨테이너 본체(410)의 한 쪽 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480)와 연결되지 않은 지지 보우(460)의 타단부는 그대로 제2 사이드 패널(430)의 돌출턱(432)에 올려질 수 있다. 또는 제2 사이드 패널(430) 쪽에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 보우(460)의 타단부를 상기 체결 부재로 제2 사이드 패널(430) 쪽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픈 탑 컨테이너는 지지 보우를 컨테이너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보우의 분실 위험을 원천 봉쇄하여 컨테이너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부 개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480)는 안내부재(470)를 축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80)에 연결된 지지 보우(460)도 슬라이딩 부재(480)와 함께 상하 회전이 가능하다. 즉,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사이드 패널(430)까지 연장되는 지지 보우(460)의 타단부가 컨테이너 본체(410)의 베이스 패널(412)을 향하도록 지지 보우(460)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보우(460)가 회전하면 지지 보우(460)를 보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부 개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오픈 탑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4)

  1.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을 가지는 컨테이너 본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보우(bow);
    를 포함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 지지 보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보우는 상기 제2 지지 보우와 함께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지지 보우는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보우는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 보우는 상기 제2 지지 보우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 보우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의 일단부에는 구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 보우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10.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패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베이스 패널을 가지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축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지지 보우;
    를 포함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그 내부를 상기 제1 사이드 패널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의 일단부에는 구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지지 보우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측 지지 보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 내측 지지 보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우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지지 보우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보우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사이드 패널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지지 보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탑 컨테이너.
KR1020117006049A 2008-12-04 2009-07-06 오픈 탑 컨테이너 KR101040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2647 2008-12-04
KR1020080122647 2008-12-04
PCT/KR2009/003673 WO2010064768A1 (ko) 2008-12-04 2009-07-06 오픈 탑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535A KR20110046535A (ko) 2011-05-04
KR101040720B1 true KR101040720B1 (ko) 2011-06-10

Family

ID=422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049A KR101040720B1 (ko) 2008-12-04 2009-07-06 오픈 탑 컨테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97687A1 (ko)
KR (1) KR101040720B1 (ko)
CN (1) CN102239090B (ko)
DE (1) DE112009003574T5 (ko)
WO (1) WO2010064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7-12-2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3630A (zh) * 2012-12-06 2013-03-13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大容积干散货运输集装箱
KR101399282B1 (ko) * 2013-10-01 2014-06-11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DE202018103225U1 (de) * 2018-06-08 2018-07-12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Modulares Fahrzeug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591A (ja) * 1995-09-25 1997-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上輸送廃棄物コンテナ
KR100392356B1 (ko) 2001-06-07 2003-07-25 윤보현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JP2004035209A (ja) 2002-07-05 2004-02-05 Iwatani Kosan Kk コンテナ式塵芥車用コンテナ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5-11-08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475A (en) * 1979-01-11 1981-02-03 Walter Johnsen Bow assembly for truck bed covers
US4302043A (en) * 1980-04-18 1981-11-24 Wahpeton Canvas Company, Inc. Roll-up tarp for trailers
US4685567A (en) * 1986-11-13 1987-08-11 Peninsula Plastics Company, Inc. Nestable, stackable tote boxes
GB8901865D0 (en) * 1989-01-27 1989-03-15 Marshall Cooke Limited Demountable container
AU669565B2 (en) * 1993-03-12 1996-06-13 Wahpeton Canvas Co., South Dakota, Inc. Swing away support system for a covering
DE102004001814A1 (de) * 2003-01-17 2004-07-29 Alpha Security Products, Inc., Canton Displaysystem für Handelswa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591A (ja) * 1995-09-25 1997-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上輸送廃棄物コンテナ
KR100392356B1 (ko) 2001-06-07 2003-07-25 윤보현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JP2004035209A (ja) 2002-07-05 2004-02-05 Iwatani Kosan Kk コンテナ式塵芥車用コンテナ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5-11-08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7-12-2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535A (ko) 2011-05-04
WO2010064768A1 (ko) 2010-06-10
CN102239090B (zh) 2013-03-27
US20110297687A1 (en) 2011-12-08
DE112009003574T5 (de) 2012-09-06
CN102239090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65089B2 (en) Folding-type container
KR101040720B1 (ko) 오픈 탑 컨테이너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WO2018177150A1 (zh) 锁具及具有其的托盘箱
US20200079582A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KR102603037B1 (ko) 차량의 수납 장치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JP2008297106A (ja) 産業用車両のバッテリ収納装置
KR100526040B1 (ko)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EP2202168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US4609313A (en) Box having means for guiding and locking wheeled pallet
KR20210023120A (ko)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KR101836470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
CN109573289B (zh) 容器
FI128793B (en) Roller container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number of roll containers in a row
US20130112232A1 (en) Device for cover support
JP4730653B2 (ja) 扉パネルを備えた箱型パレット
JP6727700B2 (ja) ブロイラ容器用蓋
KR200476699Y1 (ko) 적재함 가변 덮개
KR102291029B1 (ko) 적재형 공구박스
KR101313199B1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JP2005312628A (ja) 車椅子用固定装置
KR10196282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JP2005312630A (ja) 車椅子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