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678B1 -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678B1
KR101811678B1 KR1020140033318A KR20140033318A KR101811678B1 KR 101811678 B1 KR101811678 B1 KR 101811678B1 KR 1020140033318 A KR1020140033318 A KR 1020140033318A KR 20140033318 A KR20140033318 A KR 20140033318A KR 101811678 B1 KR101811678 B1 KR 10181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ing
sliding roof
folding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071A (ko
Inventor
유인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3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6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547Gates or closures in multipl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와 일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을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접이식 틀 및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루프는 컨테이너의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일 측면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따라 버티컬 블라인드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루프는 접이식 틀을 통해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을 지나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접이식 틀은 슬라이딩 루프가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을 지나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루프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CONTAINER INCLUDING SLIDING ROOF}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발명이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자 형태의 용기로서, 신속한 하역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수하물의 장기간 보관 및 다양한 운송 수단을 통한 수하물의 이동을 위하여 고안된 대형 화물 수송 용기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밀폐형 컨테이너들은 국제 규격(예컨대, ISO 규격)에 의해 정의된 고정된 크기(예컨대, 높이 8.6비트)로 되어 있어서, 이러한 규격을 초과하는 수하물의 보관 및 이동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종래의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양측벽 상단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루프 빔 소켓(roof beam socket)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 루프 빔의 양단을 탈착가능하도록 부착시키고 그 위에 커버를 씌우고 테두리를 로프로 묶어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폐할 시에, 고정 로프를 묶거나 풀고 커버를 씌우거나 벋긴 후 소켓에 루프 빔들을 하나씩 모두 설치 또는 제거하는 작업을 수반하게 되므로,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폐하는데 있어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2002년 12월 16일자로 공개되고 발명의 명칭이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인 공개 번호 제10-2002-0093265호 문헌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와 일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을 구비한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되는 본원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을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 및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루프는 컨테이너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제 1 측면 방향으로 버티컬 블라인드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측면의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피봇가능할 수 있는 접이식 틀 및 컨테이너의 제 3 측면의 상단부와 제 4 측면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루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빔들을 구비하여,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는, 컨테이너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제 1 측면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따라 접이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 측면을 지나 접이식 틀 상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슬라이딩 루프는 다수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빔들 중 컨테이너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제 1 빔 및 제 2 빔 각각에는 잠금해제가능하도록 상기 빔들과 평행하게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접이식 틀은 접이식 받침부 및 접이식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슬라이딩 루프의 제 1 측면 상단부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루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이식 연결부는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의 양 측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 1 양 측바(side bar)들, 상기 접이식 받침부의 양 측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 2 양 측바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양 측바들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연결부는 접이식 받침부가 컨테이너의 상부면과 평행해질때까지 연결바를 중심축으로 제 2 양 측바들이 회동하여 받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의 상단 내측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루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컨테이너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딩 루프의 제 1 빔 및 제 2 빔을 고정시키기 위해 컨테이너의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된 홈을 포함하는 잠김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제 1 측면의 일 단부로부터 틀(frame), 및 상기 컨테이너의 제 3 측면의 상단부와 제 4 측면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루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빔(beam)들을 구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는, 상기 컨테이너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따라 접이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1 측면을 지나 상기 틀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는, 슬라이딩 루프와 접이식 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루프가 접이식 틀에 의해 지지되어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컨테이너의 측면 상부의 잠김 위치에 홈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루프가 닫혀있는 상황에서의 슬라이딩 루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는, 구성 요소들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지붕을 개폐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는, 전동 또는 구동 장치의 사용없이도 간단한 방식으로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비해 컨테이너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유지보수 및 제작비용 측면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루프가 완전히 개방되어있는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상부면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루프를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루프의 앞쪽 빔 또는 뒤쪽 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잠김 위치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루프(101)를 구비한 컨테이너(100)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컨테이너(100)는 컨테이너(1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101), 컨테이너(100)의 일 측면부를 형성하는 도어(104), 도어(104)와 대향하는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collapsible frame)(10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루프(101)는 복수의 빔(beam)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빔들 중 양 단에 위치한 빔들(103 및 105)에는 각각 평행하게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딩 루프의 움직임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빔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배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은 마감재로 구성될 수 있는 루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은 ㄷ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00)는 컨테이너의 일 측면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틀은 탈착식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고정식일 수도 있다. 탈착식 틀의 경우, 컨테이너(100)와 틀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루프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틀을 컨테이너의 일 측면의 일 단부에 결합시켜 상기 슬라이딩 루프가 상기 틀에 의해 지지되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 틀의 동작은 슬라이딩 루프가 컨테이너 상부면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의 다른 측면들의 상부들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특정 위치들은 잠김 위치(locking point)(106 및 107)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잠김 위치들(106 및 107) 각각에는 슬라이딩 루프(101)의 이동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루프(101)는 홈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상부면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루프(101)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홈에 고정된 슬라이딩 루프(101)에 대한 잠금 해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단에 위치한 빔들(103 및 105)과 평행하게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루프(101)는 버티컬 블라인드와 같은 원리로 슬라이딩 루프(101)의 일 측 모서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즉, 당김부)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 컨테이너(100)의 상부면을 개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루프(101)의 접히는 정도(즉, 접혀진 슬라이딩 루프의 높이)는 복수의 빔들이 배치되는 간격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루프(101)가 이동하는 컨테이너(100)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는 알루미늄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100)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와 접촉되는 슬라이딩 루프(101)는 복수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빔들 양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결합되어 있어 알루미늄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루프(10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레일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퀴와 결합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퀴는 플라스틱 또는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루프(101)는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와 결합되어 자동적으로 컨테이너(100)의 상부면을 개방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전히 개방된 슬라이딩 루프(201)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루프(201)는 컨테이너(200)의 상부면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컨테이너(200)의 상부면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202)은 슬라이딩 루프(201)가 컨테이너(200)의 상기 일 측면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게 이를 지지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틀(202)은 구동 장치와 결합되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 접이식 틀(202)은 슬라이딩 루프(201)를 지지하는 접이식 받침부 및 상기 접이식 받침부와 컨테이너(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접이식 받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받침부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접이식 연결부는 H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연결부는 컨테이너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접이식 받침부가 컨테이너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접이식 받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접이식 틀은 접이식 받침부 및 접이식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접이식 받침부는 슬라이딩 루프의 일 측면 상단부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펼쳐진 경우 슬라이딩 루프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연결부는 컨테이너의 일 측면의 양 측단과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측바들(즉, 제 1 양 측바들), 접이식 받침부의 양 측단과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측바들(즉, 제 2 양 측바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양 측바들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연결부는 접이식 받침부가 컨테이너의 상부면과 평행해질때까지 연결바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양 측바들이 회전 이동하여 받침부를 지지할 수 있다. 펼쳐진 형태의 접이식 틀(202)에 있어서, 컨테이너(200)의 일 측면과 접이식 받침부 그리고 접이식 연결부가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접이식 받침부의 양 모서리에는 홈이 설치될 수 있어서, 접이식 틀(202)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이식 받침부와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루프(201)를 지지하고 있는 접이식 틀(202)이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루프(201)가 접이식 틀(202) 상부로 완전히 이동함에 따라, 컨테이너(200)의 상부면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200)의 잠김 위치들에 형성된 홈들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다수의 홈들을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딩 루프(201)의 이동량을 적절히 변경하여 컨테이너(200)의 상부면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적절히 개방하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함으로써 ISO 규격을 초과하는 높이를 갖는 수하물의 운반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틀(202)이 접혀진 상태로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게다가, 본원 발명의 컨테이너는 종래의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와는 달리 구성물들을 제거하지 않고도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개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잠김 위치들의 적절한 배치 및 와이어를 당기는 손쉬운 잠금해제 동작을 통해, 컨테이너의 개방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수하물 적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루프(201)가 접이식 틀(202)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루프(201)가 컨테이너(200)의 상부면을 완전하게 개방하도록 연장되는 경우, 접혀진 슬라이딩 루프(201)의 길이는 펼쳐서 올려진 접이식 틀(202)의 길이보다는 짧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상부면(즉, 슬라이딩 루프)의 내부를 도시한다. 컨테이너의 슬라이딩 루프는 복수의 빔(3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빔들 중 양 단에 위치한 빔들에는 각각 와이어(301)가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딩 루프의 움직임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루프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루프의 양 단에 위치한 빔들은 각각 잠김 위치(locking point)에 형성된 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양 단에 위치한 빔들 각각에 연결된 와이어(301)가 밑으로 잡아당겨지게되면, 와이어(301)가 연결된 빔을 잠김 위치에 형성된 홈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홈과 분리된 빔은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400)의 일 측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401)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틀(401)은 컨테이너(400)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딩 루프의 빔(402)을 위로 올린 이후에 접이식 틀(401)을 위로 펼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접이식 틀(401)은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슬라이딩 루프를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이하에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의 순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루프를 개방하기 위한 동작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500)의 도어를 개방하고,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일 측면(즉, 뒷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루프의 빔(즉, 뒤쪽 빔)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루프의 뒷부분(즉, 뒤쪽 잠김 위치에 고정된 뒤쪽 빔)의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즉, 앞면)에 결합된 접이식 틀(505)을 펼쳐 올리기 위해 상기 대향하는 측면(즉, 앞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루프의 빔(즉, 앞쪽 빔)을 위로 올린다. 그리고나서, 상기 대향하는 측면(즉, 앞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루프의 빔(즉, 앞쪽 빔)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루프의 앞부분(앞쪽 잠김 위치에 고정된 앞쪽 빔)의 잠금을 해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루프(504)는 졉혀지면서 앞쪽 잠김 위치(501)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루프(504)의 뒤쪽 빔(502)이 앞쪽 잠김 위치(501)에 도달하는 경우, 뒤쪽 빔(502)에 연결된 와이어(503)를 이용하여 앞쪽 잠김 위치(501)에서의 홈과 뒤쪽 빔(502)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루프(504)는 컨테이너(500)의 상부면을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루프를 닫는 동작들은 전술한 슬라이딩 루프의 개방 동작들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루프의 닫는 동작들을 살펴보면, 완전히 개방된 슬라이딩 루프를 앞쪽 잠김 위치까지 닫게 되면 슬라이딩 루프의 뒤쪽 빔이 앞쪽 잠김 위치에 있는 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뒤쪽 빔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해서 잠금(고정)을 해제하고나서, 슬라이딩 루프를 뒤쪽 빔 잠김 위치까지 완전히 닫을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접이식 틀을 밀어 내리고, 앞쪽 빔을 밑으로 내려 닫으면 슬라이딩 루프를 닫는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도 6은 슬라이딩 루프의 앞쪽 빔 또는 뒤쪽 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잠김 위치(603)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빔만이 도시되었지만, 컨테이너(6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는 복수의 빔들(6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김 위치(601)는 홈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602) 중 양단에 위치한 빔들 각각이 상기 홈과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빔이 홈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루프가 고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빔에 연결된 와이어(603)를 아래로 당김으로써 상기 빔과 홈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컨테이너(100, 200)로서,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1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측면의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피봇가능할 수 있는 접이식 틀(collapsible frame)(102, 202, 401); 및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3 측면의 상단부와 제 4 측면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루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빔(beam)들을 구비하여,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101, 201)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따라 접이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1 측면을 지나 상기 접이식 틀(102, 202, 401)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2, 3 및 4 측면들은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4개의 서로 다른 측면들을 지칭하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104)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의 상기 제 2 측면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당김부가 상기 제 1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에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개방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접이식 틀(102, 202, 40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기 제 1 측면을 지나 이동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이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의 접혀진 길이는 상기 접이식 틀(102, 202, 401)의 길이보다 짧은,
    컨테이너(100, 200, 400, 5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틀(102, 202, 401)은 접이식 받침부 및 접이식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의 상기 제 1 측면 상단부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이식 연결부는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기 제 1 측면의 양 측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 1 양 측바(side bar)들, 상기 접이식 받침부의 양 측단과 상기 제 1 양 측바들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양 측바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양 측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접이식 연결부는 상기 접이식 받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면과 평행해질때까지 상기 연결바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양 측바들이 회동하여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구비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빔들 중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제 1 빔 및 제 2 빔 각각과 평행하게 연결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의 루프 부재는 마감재로 구성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제 1 빔 및 제 2 빔 각각과 평행하게 연결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가 밑으로 당겨져 상기 빔이 지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잠김 위치들의 홈들 각각과 상기 제 1 및 제 2 빔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10. 컨테이너(100, 200, 400, 500)로서,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1 측면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이식 틀(collapsible frame)(102, 202, 401); 및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3 측면의 상단부와 제 4 측면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루프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빔(beam)들을 구비하여,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루프(sliding roof)(101, 201)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루프(101, 201)는,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상부면을 따라 접이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1 측면을 지나 상기 접이식 틀(102, 202, 401)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2, 3 및 4 측면들은 상기 컨테이너(100, 200, 400, 5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4개의 서로 다른 측면들을 지칭하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측면과 상기 제 4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컨테이너(100, 200, 400, 500).
KR1020140033318A 2014-03-21 2014-03-21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181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18A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4-03-21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18A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4-03-21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291A Division KR101399282B1 (ko) 2013-10-01 2013-10-01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840A Division KR20180002561A (ko) 2017-12-18 2017-12-18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71A KR20150039071A (ko) 2015-04-09
KR101811678B1 true KR101811678B1 (ko) 2017-12-22

Family

ID=5302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18A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4-03-21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6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5-11-08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101040720B1 (ko) 2008-12-04 2011-06-10 남상우 오픈 탑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5-11-08 전병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101040720B1 (ko) 2008-12-04 2011-06-10 남상우 오픈 탑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71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308B2 (en) Crate with retractable wall
KR101399282B1 (ko)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CA2842590A1 (en) Folding container
JP3954571B2 (ja) 連結式荷台支持装置
US11235921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FR3022196A1 (fr) Dispositif de chargement et de dechargement de colis d'un fourgon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101811678B1 (ko)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13721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20180002561A (ko)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EP1775160B1 (fr) Structure d'abri d'une surface, en particulier d'un plateau de charge
US5873204A (en) Cart with multi-position doors
KR20160095934A (ko) 가변형 유압식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KR101033457B1 (ko) 접이식 경사로 용 판이 구비된 운반 대차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CN112249178B (zh) 一种仓栅式运输半挂车
KR200484170Y1 (ko) 코일 및 벌크 화물 겸용 컨테이너
KR101605855B1 (ko) 측면 개폐형 컨테이너
EP2783914B1 (en) Trailer and method for securing suspended goods therein
KR20130061927A (ko) 접이식 카트
KR101596573B1 (ko) 차량용 선루프 이송용 파렛트
KR101605689B1 (ko) 철도 화물 차량
KR101836105B1 (ko) 화물트럭의 덮개 장치
EP1382490A1 (fr) Agencement de sacs de transport sous une tablette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RU115766U1 (ru) Складной контейнер с фиксацией в паз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6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02

Effective date: 2017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