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040B1 -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040B1
KR100526040B1 KR10-2004-0007186A KR20040007186A KR100526040B1 KR 100526040 B1 KR100526040 B1 KR 100526040B1 KR 20040007186 A KR20040007186 A KR 20040007186A KR 100526040 B1 KR100526040 B1 KR 10052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ller
container
sup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076A (ko
Inventor
전병진
Original Assignee
전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진 filed Critical 전병진
Priority to KR10-2004-000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040B1/ko
Priority to PCT/KR2004/002300 priority patent/WO2005075322A1/en
Priority to US10/585,709 priority patent/US20080284199A1/en
Publication of KR2005007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60J7/06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 B65D88/125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by flexible element, e.g. canv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컨테이너(화물컨테이너:ISO TC104)의 지붕을 개폐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지붕을 개폐할 수 있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2)의 양 측벽 상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과, 커버(3)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커버 지지대(20), 및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를 서로 연결하며 커버 지지대(20)에 접철되는 브레이스 바(40)(40′)를 포함하여, 커버 지지대(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커버(3)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top cover of container}
본 발명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ISO TC104 Open Top Container)의 지붕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컨테이너의 지붕을 간편하게 개폐하도록 된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운송해야 할 화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화물의 추락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종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규격화된 적재함으로서, 수출입 화물의 운송에 널리 사용된다.
화물운송을 위한 컨테이너는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후면부의 도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밀폐한 밀폐형 컨테이너와, 크고 무거운 중량물의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하여 지붕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로 구분된다.
종래의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ISO TC104 Open Top Container)는 컨테이너의 양측벽 상단(top side rail)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루프 바우 소켓(roof bow socket)을 고정 구비하고, 그 소켓에 루프 바우(roof bow)의 양단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한 후, 그 위에 커버를 씌우고 테두리를 고정 로프로 묶어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붕 개폐형 컨테이너는 대형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마다 고정 로프를 풀고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함께 커버를 덮거나 벋긴 후 양단이 소켓에 끼워진 루프 바우를 하나씩 모두 제거하고 화물을 싣거나 내려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불편함과 작업자들의 취급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루프 바우(roof bow)나 커버(tarpaulin)가 빈번히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컨테이너의 지붕을 개폐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지붕을 개폐할 수 있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는, 컨테이너의 양 측벽 상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커버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커버 지지대, 및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며 커버 지지대에 접철되는 브레이스 바를 포함하여, 커버 지지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커버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은, 컨테이너의 양측벽 상단에 설치되는 "ㄷ"자형의 레일 프레임, 및 이 레일 프레임의 중심부 내측에 형성되어 커버 지지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ㄱ"자형의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커버 지지대는, 커버를 지지하는 바우 바와, 바우 바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장치와, 바우 바와 롤러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롤러장치와 바우 바를 연결하고, 브레이스 바가 체결되는 브레이스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커버 지지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은, 가이드 레일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풀리에 걸리고 일부가 풀리의 반대측 외부로 늘어뜨려지며 양단부가 컨테이너의 최전방측 또는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개폐로프, 및 작업자가 개폐로프를 잡아당길 때 개폐로프를 경유시키면서 자중에 의해 개폐로프를 하방으로 당겨 개폐로프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가이드 레일과 롤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결합구 및 롤러지지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 선단면도이고, 도 6a, 6b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면도이며, 도 7a는 브레이스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브레이스 홀더의 측면도이며, 도 7c는 브레이스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롤러장치, 브레이스 홀더 및 바우 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1)는 상방으로 개방된 컨테이너(2)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커버(3)를 개폐하는 것으로, 컨테이너(2)의 양 측벽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과, 커버(3)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커버 지지대(20)와, 커버 지지대(20)를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 및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를 서로 연결하며 커버 지지대(20)와 접철되는 브레이스 바(40)(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 레일(10)은, 컨테이너(2)의 양측벽 상단에 길게 설치되는 “ㄷ”자형의 레일 프레임(11), 및 이 레일 프레임(11)의 중심부 내측에 연장 형성되어 커버 지지대(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ㄱ”자형의 가이드(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레일 프레임(11) 상면에는 컨테이너(2)가 적층될 때 상부에 적층되는 컨테이너가 레일 프레임(11) 및 커버(3) 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대(13)가 길게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 지지대(20)는, 커버(3)를 지지하는 바우 바(21)와, 이 바우 바(2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장치(22), 및 바우 바(21)와 롤러장치(22) 사이에 개재되어 롤러장치(22)와 바우 바(21)를 연결하고 브레이스 바(40)(40′)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레이스 홀더(23)로 구성된다.
여기서, 롤러장치(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 홀더(23)와 체결되는 결합구(221)와, 가이드 레일(10)의 가이드(12) 상면 및 양측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롤러(222)(223)(224), 및 결합구(221)로부터 연장되어 각 롤러(222)(223)(2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구(225)로 구성된다.
이 때,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는 후술할 브레이스 홀더(23)의 삽입홈부(2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구(221)에는 브레이스 홀더(23)의 삽입홈부(232)에 삽입 체결될 때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되는 장공(221a)이 형성되는데, 이 장공(221a)은 결합구(2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커버 지지대(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브레이스 홀더(23)가 장공(221a)의 범위 내에서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처럼,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에 형성된 장공(221a)에 의해 브레이스 홀더(23)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커버 지지대(10)의 양단부가 편차를 가지고 슬라이딩될 때나 외부의 충격으로 커버 지지대(10)의 일단부가 휘는 경우에도 결합구(221)의 장공(221a)이 갖는 편차내에서는 롤러장치(22)가 정상적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 지지구(225)는, 결합구(22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구 몸체(225a)와, 이 지지구 몸체(225a)의 선단에 수평 연장되어 가이드(1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2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 지지부(225b)와, 지지구 몸체(225a)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12)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2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 지지부(225c)와, 제2롤러 지지부(225c)와 서로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그 사이로 가이드(12)의 하부를 개재하면서 가이드(12)의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2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롤러 지지부(225d), 및 제2롤러 지지부(225c)의 하단과 제3롤러 지지부(225d)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5e)로 구성된다.
한편, 각 롤러 지지부(225b)(225c)(225d)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가 수평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약간의 편차를 갖고 슬라이딩될 때 “ㄱ”자형으로 된 가이드(1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중심부가 가이드(12)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라운딩된다.
만일, 각 롤러 지지부(225b)(225c)(225d)가 라운딩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된다면,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가 편차를 갖고 슬라이딩될 때 각 롤러 지지부(225b)(225c)(225d)의 양측이 가이드(12)에 직접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롤러 지지부(225b)(225c)(225d)와 가이드(12)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커버 지지대(20)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다.
브레이스 홀더(23)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홀더 몸체(231)와, 홀더 몸체(231)의 일단부에 연장되고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결합구 삽입홈부(232)와, 홀더 몸체(231)의 타단에 연장되고 바우 바(21)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1a)에 삽입되는 원형봉 형태의 삽입돌부(233), 및 홀더 몸체(231)의 측부 양쪽으로 연장되어 브레이스 바(40)(40′)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234)(235)로 구성된다.
이 때, 결합구 삽입홈부(232)에는 결합구(221)가 삽입되어 체결될 때 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2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날개부(234)(235)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그 이유는 커버(3)를 개방할 때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가 서로 밀착되면서 두 개의 브레이스 바(40)(40′)가 상하로 겹쳐져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각 날개부(234)(235)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면 브레이스 바(40)(40′)가 겹쳐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겹쳐지더라도 파손될 우려가 크다.
한편, 각 날개부(234)(235)는 상하로 이격되어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편(234a)(234b)(235a)(235b)으로 구성되며, 이 날개편(234a)(234b)(235a)(235b)에는 날개편(234a)(234b)(235a)(235b)에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되는 장공(234c)(235c)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각 날개부(234)(235)에 장공(234c)(235c)을 형성하는 이유는, 브레이스 바(40)(40′)가 펼쳐져 있다가 접철될 때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가 장공(234c)(235c)의 범위 내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여 브레이스 바(40)(40′)가 원활하게 접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라이딩수단은, 가이드 레일(10)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31)와, 이 풀리(31)에 걸리고 일부가 풀리(31)의 반대측 외부 즉, 컨테이너(2)의 전방으로 늘어뜨려지며 양단부가 컨테이너(2)의 최후방측에 위치되는 커버 지지대(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개폐로프(32), 개폐로프(32)를 잡아당길 때 개폐로프(32)를 경유시키면서 자중에 의해 개폐로프(32)를 하방으로 당겨 개폐로프(32)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량체(33), 및 롤러장치(22)의 연결부(225e) 저면에 장착되며 개폐로프(32)를 관통시키는 한 쌍의 로프 관통홀(342a)(342b)이 좌우로 이격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
이 때, 지지플레이트(34)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장치(22)의 연결부(225e) 저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부(341)와, 고정부(341)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고 로프 관통홀(342a)(342b)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로프 관통부(342)(342′)로 구성된다.
그리고, 개폐로프(32)의 양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1)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고정부재(32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2)의 최후방측에 위치되는 커버 지지대(20)의 롤러장치(22)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34)에 고정되며, 고정부재(3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 고정부재(321)는 서로 대향되는 로프 관통부(342)(342′)의 로프 관통홀(342a)을 관통한 상태에서 로프 관통부(342)(342′)의 양면에서 너트(n)로 조여줌으로써 로프 관통부(342)(342′)에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1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풀리(31)는 그 위치를 바꾸어 가이드 레일(1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개폐로프(32)의 일부는 컨테이너(2)의 후방으로 늘어뜨려지고, 중량체(33)도 컨테이너(2)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컨테이너(2)의 최후방측에 위치된 커버 지지대(20)에 고정되는 개폐로프(32)의 양단부 역시 그 위치를 바꾸어 컨테이너의 최전방측에 위치된 커버 지지대(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풀리(31)의 설치위치 및 개폐로프(32)의 고정위치를 바꾸더라도 커버(3)의 개폐방향만 바뀔 뿐, 개폐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브레이스 바(40)(40′)는, 슬라이딩수단을 이용해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20)를 슬라이딩시킬 때 모든 커버 지지대(20)가 연속해서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 사이에 두 개가 구비되며, 각 브레이스 바(40)(40′)의 중심부는 힌지(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는 브레이스 홀더(23)의 각 날개부(234)(235)에 체결부재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50은 커버(3)의 저면 양측에 배열되어 각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에 커버(3)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벨크로(velcro)이다. 이 때, 커버(3)를 커버 지지대(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전술한 벨크로 외에도 매듭을 지어 결합하는 로프 등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226은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와 롤러 지지구(225)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구(221)가 브레이스 홀더(23)의 결합구 삽입홈부(232)에 삽입될 때 삽입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도 2의 화살표 ⓐ의 방향으로 개폐로프(32)를 잡아당기면, 개폐로프(32)의 양단부와 결합된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이 커버 지지대(20)가 슬라이딩되면서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에 밀착되면서 이웃하는 커버 지지대(20)도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개폐로프(32)를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해서 잡아당기게 되면 모든 커버 지지대(20)가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20)에 의해 밀려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커버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3)가 개방된다.
이처럼, 커버 지지대(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커버 지지대(20) 사이에 위치되는 브레이스 바(40)(40′)는 서로 접철되는데, 각 브레이스 바(40)(40′)의 양단부는 브레이스 홀더(23)의 날개부(234)(235)에 형성된 장공(234c)(235c)을 따라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각 브레이스 바(40)(40′)는 원활히 접철된다.
그리고, 브레이스 홀더(23)의 각 날개부(234)(235)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므로 그에 체결되는 각 브레이스 바(40)(40′)가 접철될 때 각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는 파손되지 않고 원활히 접철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커버(3)를 개방하고 컨테이너(2)에 화물을 싣거나 꺼낸 후, 작업자가 개폐로프(32)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었던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모든 커버 지지대(20)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20)가 최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됨으로써 각 커버 지지대(2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 커버 지지대(20)에 결합된 커버(3)는 컨테이너(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처럼, 커버(3)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각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는 접철될 때와는 반대로 슬라이딩되며, 브레이스 바(40)(40′)의 단부가 완전히 유동되면 브레이스 홀더(23)도 반대로 슬라이딩된다.
한편, 커버(3)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장치(22)가 평행하게 슬라이딩되지 않고 편차를 가지고 슬라이딩되더라도, 롤러장치(22)의 각 롤러 지지부(225b)(225c)(225d)가 라운딩되고, 브레이스 홀더(23)가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에 형성된 장공(221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가 갖는 편차만큼 커버 지지대(2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롤러 지지부(225b)(225c)(225d)의 양측이 가이드 레일(10)의 가이드(12)에 접면되지 않아 각 커버 지지대(20)는 마찰없이 원활히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커버(3)가 커버 지지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컨테이너(2)에 적재한 화물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커버 지지대(20)를 전방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3)를 커버 지지대(20)로부터 분리하고, 커버(3)만 컨테이너(2)의 상부를 덮고 커버(3)의 가장자리를 컨테이너(2)의 외부 고리에 로프 등을 이용해 고정하면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 브레이스 홀더 및 바우 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내지 도 9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따르면, 커버 지지대(20)의 바우 바(21)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21a)에는 브레이스 홀더(23)의 삽입돌부(233)를 외부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스프링(24)이 삽입된다.
따라서, 커버 지지대(20)의 양단부가 편차를 가지고 슬라이딩될 때, 브레이스 홀더(23)는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장치(22)의 결합구(221)를 따라 양측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어 커버 지지대(20)의 전체 길이가 편차만큼 길어지므로, 커버 지지대(20)는 원활히 슬라이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작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결합구 및 롤러지지구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내지 도 10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따르면, 커버 지지대(20)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의 개폐로프(32)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5)는 롤러지지구(225)의 지지구 몸체(225a)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35)에는 개폐로프(32)를 관통시키는 한 쌍의 로프 관통홀(35a)(35b)이 좌우로 이격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폐로프(32)의 양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35)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고정부재는 컨테이너(2)의 최후방측에 위치되는 커버 지지대(20)의 지지플레이트(35)에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작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따르면,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컨테이너의 지붕을 개폐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구성요소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슬라이딩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어 지붕을 개폐하는데 소요되는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장치의 각 롤러 지지부가 라운딩되고, 브레이스 홀더가 롤러장치의 결합구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커버 지지대의 양단부가 갖는 편차만큼 커버 지지대의 전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롤러 지지부의 양측이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에 접면되지 않아 각 커버 지지대는 마찰없이 원활히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2는 가이드 레일과 롤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결합구 및 롤러지지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 선단면도.
도 6a, 6b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7a는 브레이스 홀더의 평면도.
도 7b는 브레이스 홀더의 측면도.
도 7c는 브레이스 홀더의 정면도.
도 8은 롤러장치, 브레이스 홀더 및 바우 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롤러장치, 브레이스 홀더 및 바우 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의 결합구 및 롤러지지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붕 개폐장치 10 : 가이드 레일
11 : 레일 프레임 12 : 가이드
20 : 커버 지지대 21 : 바우 바
22 : 롤러장치 23 : 브레이스 홀더
31 : 풀리 32 : 개폐로프
40, 40′: 브레이스 바

Claims (15)

  1. 삭제
  2. 상방으로 개방된 컨테이너의 양측벽 상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커버 지지대, 및 이웃하는 상기 커버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며 커버 지지대에 접철되는 브레이스바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지지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커버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컨테이너의 양측벽 상단에 설치되는 “ㄷ”자형의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레일 프레임의 중심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지지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ㄱ”자형의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대는,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바우 바;
    상기 바우 바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장치; 및
    상기 바우 바와 상기 롤러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롤러장치와 상기 바우 바를 연결하고, 상기 브레이스 바가 체결되는 브레이스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브레이스 홀더와 체결되는 결합구;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상면 및 양측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롤러; 및
    상기 결합구에 연장되어 상기 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구는,
    상기 결합구에 연장되는 지지구 몸체;
    상기 지지구 몸체의 선단에 수평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를 지지하는 제1롤러 지지부;
    상기 지지구 몸체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를 지지하는 제2롤러 지지부; 및
    상기 제2롤러 지지부와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제2롤러 지지부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의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를 지지하는 제3롤러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 지지부는 상기 커버 지지대가 전후로 유동될 때 상기 가이드와 접촉되지 않도록 중심부가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 홀더는,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구 삽입홈부;
    상기 홀더 몸체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우 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부; 및
    상기 홀더 몸체의 측부 양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 바가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와 상기 롤러 지지구 사이에는 상기 결합구의 삽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결합구를 상기 삽입홈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되, 이 장공은 상기 결합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 바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돌부를 외부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에 걸리고, 일부가 풀리의 반대측 외부로 늘어뜨려지며, 양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최전방측 또는 최후방측 커버 지지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개폐로프; 및
    작업자가 상기 개폐로프를 잡아당길 때 개폐로프를 경유시키면서 자중에 의해 개폐로프를 하방으로 당겨 개폐로프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로프를 관통시키는 한 쌍의 로프 관통홀이 좌우로 이격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 좌우로 배열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커버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10-2004-0007186A 2004-02-04 2004-02-04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KR10052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86A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4-02-04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PCT/KR2004/002300 WO2005075322A1 (en) 2004-02-04 2004-09-09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of container
US10/585,709 US20080284199A1 (en) 2004-02-04 2004-09-09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of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186A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4-02-04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076A KR20050079076A (ko) 2005-08-09
KR100526040B1 true KR100526040B1 (ko) 2005-11-08

Family

ID=3483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186A KR100526040B1 (ko) 2004-02-04 2004-02-04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84199A1 (ko)
KR (1) KR100526040B1 (ko)
WO (1) WO20050753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768A1 (ko) * 2008-12-04 2010-06-10 Nam Sang Woo 오픈 탑 컨테이너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7-12-2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2634275B1 (ko) * 2023-06-29 2024-02-06 지지그린 주식회사 방청기능이 강화된 수출용 포장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0740B2 (en) * 2009-10-09 2012-08-14 Lynn Chenowth Internally tracked slider system for low profile contractible canopy
JP3176157U (ja) * 2012-03-29 2012-06-14 株式会社はとバス オープンカータイプバス
KR101643088B1 (ko) * 2015-03-10 2016-07-26 김홍종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N109823257A (zh) * 2019-03-19 2019-05-31 攀枝花学院 自动车篷装置
BE1029041B1 (nl) * 2021-01-22 2022-08-22 Versus Omega Bvba Schuifdaksysteem
KR102600680B1 (ko) * 2021-03-10 2023-11-08 고성규 모래놀이용 모래보관장치
FR3128419B1 (fr) * 2021-10-25 2023-11-24 Innovaction Tech Système de couverture amovible auto-adaptative et remorque, semi-remorque, benne, wagon ou bâtiment muni d’un tel systè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96Y1 (ko) * 1985-12-14 1988-10-15 주식회사 진도 컨테이너의 루프 개폐장치
JPS6332195U (ko) * 1986-08-14 1988-03-02
US5429408A (en) * 1993-12-06 1995-07-04 Aero Industries, Inc. Waterproof retractable tarp cover system for containers
JP3694759B2 (ja) * 1997-11-19 2005-09-14 四国装備株式会社 開閉式シート支持装置
KR100392356B1 (ko) * 2001-06-07 2003-07-25 윤보현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US6976433B1 (en) * 2004-06-10 2005-12-20 Dietmar Neumann Slidable cover assembly for merchandise carrying vehicle platfor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768A1 (ko) * 2008-12-04 2010-06-10 Nam Sang Woo 오픈 탑 컨테이너
KR101040720B1 (ko) 2008-12-04 2011-06-10 남상우 오픈 탑 컨테이너
CN102239090B (zh) * 2008-12-04 2013-03-27 南相宇 开顶集装箱
KR101811678B1 (ko) 2014-03-21 2017-12-2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루프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2634275B1 (ko) * 2023-06-29 2024-02-06 지지그린 주식회사 방청기능이 강화된 수출용 포장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5322A1 (en) 2005-08-18
US20080284199A1 (en) 2008-11-20
KR20050079076A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040B1 (ko)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ES2593206T3 (es) Bolsa de transporte para el transporte suspendido de mercancías así como estación de carga e instalación de transporte para estas bolsas de transporte
KR102276297B1 (ko)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KR20160001058A (ko) 운반용 조립 박스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101040720B1 (ko) 오픈 탑 컨테이너
CN110325459B (zh) 可折叠的联运集装箱和可折叠的联运集装箱组件
US20080047917A1 (en) Side Loading Rack and Protective Curtain
JP2006224861A (ja) 荷台用カバー装置
JP4100835B2 (ja) 引出棚付きコンテナ
US20090060700A1 (en) Pallet storage
KR100580712B1 (ko) 화물차량의 이동식 테일게이트
CN219770693U (zh) 集装箱的承载装置及具有其的集装箱
KR200154794Y1 (ko) 지붕 개폐형 화물트럭의 로프 걸림구조
RU1812153C (ru) Ящик
SU1087452A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10008001Y1 (ko) 하부 원터치 배출장치
KR200242506Y1 (ko) 합성수지칩 전용파렛트
EA040449B1 (ru) Складной интермод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KR900010328Y1 (ko) 차량적재함에 설치된 컨베이어 장치
KR200360365Y1 (ko) 화물 이동 방지망이 장착된 화물 차량용 적재함
WO2004052754A1 (en) Container having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the top cover of it
KR20010029603A (ko)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KR950009032Y1 (ko) 자동차 변속기의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