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89B1 - 철도 화물 차량 - Google Patents

철도 화물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89B1
KR101605689B1 KR1020150064387A KR20150064387A KR101605689B1 KR 101605689 B1 KR101605689 B1 KR 101605689B1 KR 1020150064387 A KR1020150064387 A KR 1020150064387A KR 20150064387 A KR20150064387 A KR 20150064387A KR 101605689 B1 KR101605689 B1 KR 10160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portion
support
d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희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차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차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차량
Priority to KR102015006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철도 화물 차량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은,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으로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차량 본체 및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포함하며, 차량 본체는, 차량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받침부, 차량 본체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받침부, 및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 사이에서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제3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화물 차량{RAILWAY FREIGHT VEHICL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철도 화물 차량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규격화된 상자형 용기를 말한다. 종래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전면 및 후면 측에 도어가 형성되어 있어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불편함이 있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개발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1455호(2012.06.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1455호에는 컨테이너 박스의 상판과 길이 방향 측판을 제거하고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한 다목적 슬라이딩 도어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컨테이너 박스의 상판을 제거하고 컨테이너 박스의 측면 전체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다른 컨테이너 박스를 해당 컨테이너 박스의 상부에 적재할 때 다른 컨테이너 박스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테이너 박스의 양쪽 단부 밖에 없어 다른 컨테이너 박스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다른 컨테이너 박스들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 그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컨테이너 박스들이 붕괴되거나 변형될 염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컨테이너 박스의 상판을 제거하고 컨테이너 박스의 측면 전체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화물을 상하차하는 경우, 화물들이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화물들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를 여는 경우, 컨테이너 박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 전체가 개방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박스의 상부도 개방되므로, 화물들이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비나 눈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대로 보호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컨테이너 박스의 상판을 제거하고 컨테이너 박스의 측면 전체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함에 따라,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화물의 적재 위치 또는 하차 위치에 관계 없이 슬라이딩 도어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가 육로로 수송되는 경우, 주로 대형 트럭에 적재되거나 철도 화물 차량에 적재되어 수송되게 된다. 컨테이너를 철도 화물 차량에 적재하여 수송하는 경우, 전차선(Electric Car Line)에 의한 높이 제한 및 컨테이너의 규격 때문에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지 못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철도 화물 차량(10)은 차륜이 구비된 대차(11) 및 대차(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차량 본체(13)를 포함한다. 대차(11)는 차량 본체(13)를 지지하고, 차량 본체(13)를 레일(15)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량 본체(13)에는 컨테이너(20)가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본체(13)는 일반적으로 레일로부터 1.1 ~ 1.2m의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컨테이너(20)는 ISO 규격에 의하면 2.6m의 높이를 가진다. 또한, 전차선(30)의 경우, 레일로부터 4.5m의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게 된다. 기존의 철도 화물 차량(10)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되는 경우, 전체 높이는 레일로부터 대략 3.7 ~ 3.8m가 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철도 화물 차량(10)에서 컨테이너(20)를 다단으로 적재하게 되면, 전체 높이가 전차선(30)의 높이를 초과하게 되므로 컨테이너(20)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철도 화물 차량에 의하면 컨테이너를 1단으로 밖에는 적재할 수 없었으며, 그로 인해 화물들을 대단위로 수송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은,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으로서,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본체는, 상기 차량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받침부; 상기 차량 본체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받침부; 및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제3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받침부는, 상기 차륜의 중심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부의 상부에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경사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연결부는,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3 받침부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받침부 상에 적재되는 제1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부 상에 제1 컨테이너가 적재되고,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받침부 상에 마련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컨테이너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2 받침부 상에 마련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컨테이너의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적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3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권취된 코일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돌기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 돌기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호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3 결합 돌기부 및 제4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 타측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4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 일측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및 상기 제3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컨테이너 안착부; 및 상기 컨테이너 안착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3 받침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차량 본체의 상단 양측부에서 상기 차량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측면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권취된 코일이 적재되는 코일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적재부는, 상기 권취된 코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부는,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철도 화물 차량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의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컨테이너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된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측면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은,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으로서,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본체는,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차륜보다 낮은 높이의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제작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다단 적재하더라도 철도 화물 차량의 전체 높이가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한 번 이동 시 대량의 화물을 신속하고 저렴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현재 대형 트럭 등에 의해 운송되고 있는 물량들을 철도 화물 차량을 이용한 철도 수송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면서 측면 도어들을 마련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면서 화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측면 도어들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일 측면에 마련된 측면 도어의 일부만을 개방하고 타 측면에 마련된 측면 도어는 닫음으로써, 컨테이너의 화물들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가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면서 측면 도어들을 마련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다른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보강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다른 컨테이너들이 다단으로 적재되더라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 도어가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 또는 컨테이너의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정도만큼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서 화물이 어느 위치에 적재되어 있든지 간에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컨테이너의 측면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접철 도어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 도어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들이 다단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들이 다단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100)는 하부 플레이트(102), 상부 플레이트(104),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제2 지지 플레이트(108), 및 지지 보강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100)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된다. 컨테이너(100)는 개방된 양 측면에 측면 도어가 마련되나,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측면 도어는 생략하였다.
하부 플레이트(102)는 화물(150)이 적재될 수 있는 바닥면을 구비한다. 하부 플레이트(102)는 적재되는 화물(150)들을 지지하게 된다. 화물(150)은 팔레트(Pallet) 단위로 적재될 수 있다. 즉, 화물(150)은 팔레트(160) 상에 케이싱(Casing)되어 적재될 수 있다. 팔레트(160)에는 팔레트(160)를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해 운반용 홈(161)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은 각 팔레트(160)가 안착되도록 팔레트(160) 단위로 구획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에는 각 팔레트(160)를 고정시키기 위한 팔레트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레트 단위의 화물(150)을 적재함으로써, 컨테이너와 트럭 간의 환적 단계를 개선하여 대량의 화물들을 신속하게 상하차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팔레트 단위의 화물(150)이 적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른 형태의 화물들이 적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플레이트(102)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플레이트(102)는 가로 길이(즉,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세로 길이(즉,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02)의 하부면에는 컨테이너(100)가 다른 컨테이너의 상부에 적재될 때 다른 컨테이너와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홈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부(121)는 제1 결합홈부(121-1), 제2 결합홈부(121-2), 제3 결합홈부(121-3), 및 제4 결합홈부(1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홈부(121-1)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일측 단부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홈부(121-2)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타측 단부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홈부(121-3) 및 제4 결합홈부(121-4)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하부면 중심부에 상호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상부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에 적재되는 화물(150)보다 높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하부 플레이트(102)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하부 플레이트(102)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4)는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적재되는 화물(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4)는 다른 컨테이너가 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적재되는 경우, 다른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 플레이트(104)의 상부면에는 다른 컨테이너가 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적재될 때 다른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돌기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컨테이너의 하부면에는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돌기부(123)는 제1 결합 돌기부(123-1), 제2 결합 돌기부(123-2), 제3 결합 돌기부(123-3), 및 제4 결합 돌기부(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123-1)는 상부 플레이트(104)의 일측 단부 상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부(123-2)는 상부 플레이트(104)의 타측 단부 상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 돌기부(123-3) 및 제4 결합 돌기부(123-4)는 상부 플레이트(104)의 상부면 중심부에 상호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마련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상부 플레이트(10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 플레이트(108)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마련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108)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108)는 하부 플레이트(102)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서 상부 플레이트(10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는 상호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108)에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의 사이에 마련된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 사이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의 사이에서 상부 플레이트(10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보강 프레임(110)이 마련됨으로써, 컨테이너(100)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들이 적재된다 하더라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제1 측면 프레임(110-1), 제2 측면 프레임(110-2), 및 상부 프레임(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프레임(110-1)은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일측부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프레임(110-2)은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타측부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3)은 상부 플레이트(104)의 하면에 접촉되고 제1 측면 프레임(110-1)의 상단과 제2 측면 프레임(110-2)의 상단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바, 컨테이너(100)의 양 측면에서 화물(150)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컨테이너(100)의 양 측면에는 화물(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화물(150)이 컨테이너(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 측면만이 개방되고 타 측면에는 별도의 측면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컨테이너(100)의 개방된 일 측면에 측면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컨테이너의 일측면을 바라본 도면을 도시하였으며, 컨테이너의 타측면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00)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제2 측면 접철 도어(114),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도어들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와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도어들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108)까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순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부터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까지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에서 컨테이너(100)의 측면 일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부터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까지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사이에서 컨테이너(100)의 측면 일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일단부 측에 제1 지지 플레이트(106)가 구비되는 경우,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길이 방향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하부 플레이트(102)와 상부 플레이트(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일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타단부 측에 제2 지지 플레이트(108)가 구비되는 경우,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일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길이 방향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가 각각 2개씩 마련되고,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108)까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순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는 측면 플레이트 도어가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 플레이트 도어는 고정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길이는 컨테이너의 전체 길이,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개수 및 배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지지 보강 프레임(110)은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이동 시 걸림이 되지 않도록,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의 양측 테두리에서 각각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가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정도만큼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서 화물이 어느 위치에 적재되어 있든지 간에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측면 도어들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일 측면에 마련된 측면 도어의 일부만을 개방하고 타 측면에 마련된 측면 도어는 닫음으로써, 컨테이너의 화물들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컨테이너가 철도 차량에 의해 운송되는 경우, 철도 플랫폼의 위치에 따라 해당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도어를 개방하여 화물을 상하차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접철 도어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을 참조하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측으로 이동(이하, "제1 방향으로 이동"이라 지칭될 수 있다)하면서 펼쳐질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까지 펼쳐져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는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100)에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이하, "제2 방향(즉,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라 지칭될 수 있다)하면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에서 고정 수단을 해제한 후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를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시켜 접철시킴에 따라, 컨테이너(100)의 측면부 일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컨테이너(100)의 개방된 측면으로 화물(150)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에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는 고정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수단은 하부 플레이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4) 중 적어도 하나에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컨테이너(100)의 측면부 일부를 원하는 정도까지 개방시킨 후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측으로 이동(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질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까지 펼쳐져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타단부는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으로 이동(즉,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의 (a)에서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를 개폐시키고, 제2 측면 접철 도어(114)가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사이를 개폐시키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측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질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까지 펼쳐져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는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측으로 이동(즉,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질 수 있다.
한편,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측에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으로 이동(즉,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질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지지 플레이트(108)까지 펼쳐져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의 타단부는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측으로 이동(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의 (b)에서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사이를 개폐시키고, 제2 측면 접철 도어(114)가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와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사이를 개폐시키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즉,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연결 수단(131)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간에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수단(131)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를 연결 및 연결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수단(131)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후크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및 연결 해제가 가능한 그 이외의 다양한 연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연결 수단(131)을 통해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연결된 경우,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이동에 따라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 수단(131)에 의한 연결을 해제한 경우,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독자적으로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에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 위치에 이를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쳐지게 된다.
한편,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간에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를 연결하며 제2 연결 수단(13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수단(133)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를 연결 및 연결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수단(133)에 의한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가 각각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으로 이동(즉,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접철 도어(114)가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제3 연결 수단(135)이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와 제2 측면 접철 도어(114) 간에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와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3 연결 수단(135)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를 연결 및 연결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가 제3 연결 수단(135)을 통해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와 연결된 경우,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의 이동에 따라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3 연결 수단(135)에 의한 연결을 해제한 경우,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독자적으로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측면 접철 도어(114)가 제2 지지 플레이트(108) 측에 접혀진 상태에서,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 위치에 이를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 접철 도어(114)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쳐지게 된다.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사이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114)와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118) 사이의 틈으로 빗물 또는 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경계 부분에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종단부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종단부를 덮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경계 부분에 실링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가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하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정도만큼 컨테이너의 측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서 화물이 어느 위치에 적재되어 있든지 간에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 도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0)는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제2 측면 접철 도어(274), 제3 측면 접철 도어(276),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28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플레이트(206)부터 제2 지지 플레이트(208)까지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 제2 측면 접철 도어(274),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284), 및 제3 측면 접철 도어(276)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0)는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제2 측면 접철 도어(274),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플레이트(206)부터 제2 지지 플레이트(208)까지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 및 제2 측면 접철 도어(274)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0)는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제2 측면 접철 도어(274),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28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플레이트(206)부터 제2 지지 플레이트(208)까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282), 제1 측면 접철 도어(272), 제2 측면 접철 도어(274),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284)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100)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접철 도어(11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상부 플레이트(104)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73)을 따라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간에 마련되는 제1 연결 수단(131)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수단(131)을 복수 개 마련함으로써,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 간의 연결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일측부는 힌지부(171)를 통해 제1 지지 플레이트(106)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 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는 가이드 레일(173)에서 이탈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17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까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접철 도어(112) 및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를 전방으로 당기면, 제1 측면 접철 도어(112)가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컨테이너(100)의 측면부가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는,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일측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 힌지 결합되고,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의 타측부가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일측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 힌지 결합되고,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116)의 타측부가 제1 측면 접철 도어(1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106)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8)에 마련되는 측면 도어(측면 접철 도어 또는 측면 플레이트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함으로써, 컨테이너(100)의 측면부 전체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컨테이너(100)의 측면부의 개방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102a)에는 적재 가이드 홈(181)이 마련될 수 있다. 적재 가이드 홈(181)은 하부 플레이트(102)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화물(150)은 바퀴 등을 구비한 운반 수단에 실린 상태에서 하부 플레이트(102)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운반 수단에 구비된 바퀴가 적재 가이드 홈(181)을 따라 이동하여 용이하게 화물(150)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102a)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적재 가이드 홈(181)이 마련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규격이라 함은, 적재 가이드 홈(181)의 형태, 폭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1 규격의 적재 가이드 홈은 바닥면(102a)에서 복수 개가 제1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고, 제2 규격의 적재 가이드 홈은 바닥면(102a)에서 복수 개가 제1 간격과는 다른 제2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102)의 바닥면(102a)에는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배출구(미도시)는 적재 가이드 홈(181)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측면 도어(192)는 컨테이너(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도어(192)는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방향은 하부 플레이트(102)에서 상부 플레이트(104)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하부 방향은 상부 플레이트(104)에서 하부 플레이트(102)로 이동하는 방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측면 도어(19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지고(도 8의 (a)),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8의 (b)).
상부 플레이트(104)에는 측면 도어(192)를 수납할 수 있는 도어 수납홈(191)이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도어(192)의 일측부는 도어 수납홈(191)에서 고정될 수 있다. 측면 도어(192)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쳐진 경우, 하부 플레이트(102)에는 측면 도어(192)의 타측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도어(192)는 도어 수납홈(191)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져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측면 도어(192)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혀져 도어 수납홈(191)에 수납될 수 있다. 측면 도어(192)는 측면 접철 도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면 도어(192)는 도어 수납홈(191)에 수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00)에 마련되는 측면 도어(192)는 컨테이너(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컨테이너(100)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도어(19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도어(19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와 지지 보강 프레임(110) 사이, 제2 지지 플레이트(108)와 지지 보강 프레임(110) 사이, 및 지지 보강 프레임(110)들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도어(192)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혀지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104)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 즉, 도어 수납홈(191)이 상부 플레이트(104)의 폭 방향으로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는 전면 도어(194)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도어(194)는 제1 지지 플레이트(106)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 전면 도어(194)를 통해 컨테이너(100)의 내부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지지 플레이트(108)에도 후면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들이 다단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철도 화물 차량(300)은 제1 대차(302), 제2 대차(304), 차량 본체(306), 제1 적재 지지부(308), 및 제2 적재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차(302)는 차량 본체(306)의 일측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대차(304)는 차량 본체(306)의 타측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차륜(303)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차량 본체(306)는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에 의해 지지되며,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차량 본체(306)는 제1 받침부(311), 제2 받침부(313), 및 제3 받침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는 각각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받침부(311)는 차량 본체(306)의 일측부에 마련되고, 제2 받침부(313)는 차량 본체(306)의 타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는 레일(또는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는 각각 평평한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받침부(315)는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 사이에서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3 받침부(315)는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 보다 낮게 마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받침부(315)는 레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면서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받침부(315)는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의 차륜(303)의 중심(즉, 차륜축)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받침부(315)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면서 철도 화물 차량(300)을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3 받침부(315)는 레일로부터 0.3m 이내의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받침부(315)를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 사이에서 제1 대차(302) 및 제2 대차(304) 보다 낮게 마련함으로써, 철도 화물 차량(300)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였을 때, 전체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컨테이너의 다단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제3 받침부(315)는 평평한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받침부(315) 상에는 제1 컨테이너(100-1)가 적재될 수 있다. 제3 받침부(315)의 바닥면에는 제1 컨테이너(10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1)는 제1 컨테이너(100-1)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121)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1)는 제3 받침부(315)의 바닥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받침부(315)의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받침부(311)와 제3 받침부(315)의 경계부 및 제2 받침부(313)와 제3 받침부(315)의 경계부에는 각각 경사 연결부(317-1, 317-2)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 연결부(317-1)는 제1 받침부(311)와 제3 받침부(315)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경사 연결부(317-2)는 제2 받침부(313)와 제3 받침부(315)를 연결하며 마련된다. 경사 연결부(317-1, 317-2)는 제1 받침부(311), 제2 받침부(313), 및 제3 받침부(315)의 두께 보다 두껍게 마련하여, 제1 받침부(311)와 제3 받침부(315)의 연결 부위 및 제2 받침부(313)와 제3 받침부(315)의 연결 부위의 강성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받침부(311) 상에 제1 컨테이너(100-1)가 적재된다 하여도 차량 본체(306)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제1 받침부(3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차량 본체(3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마련된다. 제1 적재 지지부(308)의 높이는 제3 받침부(315)에 적재되는 제1 컨테이너(100-1)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는 제1 적재 지지부(308)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의 상부에는 제2 컨테이너(100-2)가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제2 컨테이너(100-2)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 및 제1 적재 지지부(308)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즉, 제2 컨테이너(100-2)의 일측부는 제1 적재 지지부(308)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컨테이너(100-2)의 타측부는 제1 컨테이너(10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의 상면에는 제2 컨테이너(100-2)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3)는 제2 컨테이너(100-2)의 하부면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함홈부(12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컨테이너(100-2)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4 결합홈부(121-4)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면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돌기부(12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100-2)의 하부면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홈부(121-2)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3 결합 돌기부(123-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컨테이너(100-2)의 하부면 일측 단부가 제1 적재 지지부(308) 상에 고정되고, 제2 컨테이너(100-2)의 하부면 중앙부 및 타측 단부가 제1 컨테이너(100-1) 상에 고정됨으로써, 2단에 적재되는 제2 컨테이너(100-2)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 사이에는 권취된 코일(예를 들어, 냉연 코일 또는 열연 코일) 등이 적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마련(즉,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의 마주대하는 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된 코일의 하측이 제1 바닥면(311)에 접촉되도록 한 쌍의 제1 지지체(308-1, 308-2)의 하단부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된 코일의 일측이 제1 지지체(308-1)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권취된 코일의 타측이 제2 지지체(308-2)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권취된 코일의 하측이 제1 바닥면(31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권취된 코일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제2 받침부(31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차량 본체(3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마련된다. 제2 적재 지지부(310)의 높이는 제3 받침부(315)에 적재되는 제1 컨테이너(100-1)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제1 적재 지지부(308)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는 제2 적재 지지부(3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의 상부에는 제3 컨테이너(100-3)가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제3 컨테이너(100-3)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 및 제2 적재 지지부(310)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즉, 제3 컨테이너(100-3)의 일측부는 제1 컨테이너(100-1)에 의해 지지되고, 제3 컨테이너(100-3)의 타측부는 제2 적재 지지부(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의 상면에는 제3 컨테이너(100-3)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335)는 제3 컨테이너(100-3)의 하부면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홈부(12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3 컨테이너(100-3)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3 결합홈부(121-3)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면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 돌기부(123-2)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컨테이너(100-3)의 하부면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홈부(121-1)는 제1 컨테이너(100-1)의 상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제4 결합 돌기부(123-4)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컨테이너(100-3)의 하부면 타측 단부가 제2 적재 지지부(310) 상에 고정되고, 제3 컨테이너(100-3)의 하부면 중앙부 및 일측 단부가 제1 컨테이너(100-1) 상에 고정됨으로써, 2단에 적재되는 제3 컨테이너(100-3)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 사이에는 권취된 코일(예를 들어, 냉연 코일 또는 열연 코일) 등이 적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마련(즉,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의 마주대하는 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된 코일의 하측이 제2 바닥면(313)에 접촉되도록 한 쌍의 제2 지지체(310-1, 310-2)의 하단부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된 코일의 일측이 제2 지지체(310-1)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권취된 코일의 타측이 제2 지지체(310-2)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권취된 코일의 하측이 제2 바닥면(3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권취된 코일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철도 화물 차량(300)에 다단 적재되는 컨테이너(100-1, 100-2, 100-3)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와는 다른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100-1, 100-2, 100-3)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ISO 규격에 의한 2.6m 보다 낮은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1, 100-2, 100-3)는 1.8 ~ 2.0m의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철도 화물 차량(300)에 컨테이너(100-1, 100-2, 100-3)를 다단 적재하더라도 전체 높이가 전차선의 높이인 4.5m 보다 낮아져 철도 운송이 가능해지게 된다. 철도 화물 차량(300)에 다단 적재되는 컨테이너(100-1, 100-2, 100-3)에는 측면을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측면 도어(예를 들어, 측면 접철 도어 및 측면 플레이트 도어 등)들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철도 화물 차량(300)에 일반적인 컨테이너보다 낮은 높이로 제작된 특수 컨테이너가 다단 적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컨테이너(2.6m 높이의 컨테이너)와 일반적인 컨테이너보다 낮은 높이로 제작된 특수 컨테이너가 다단 적재될 수도 있다. 이때, 전체 높이가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특수 컨테이너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다단 적재하더라도 철도 화물 차량의 전체 높이가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한 번 이동 시 대량의 화물을 신속하고 저렴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현재 대형 트럭 등에 의해 운송되고 있는 물량들을 철도 화물 차량을 이용한 철도 수송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철도 화물 차량(300)은 제1 적재 지지부(308) 및 제2 적재 지지부(310) 없이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3 받침부(315)의 상부에 컨테이너들이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제3 받침부(315) 상에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 수단이 마련되고, 제1 받침부(311) 및 지지 수단의 일측부 상에 제1 컨테이너가 적재되고, 지지 수단의 타측부 및 제2 받침부(313) 상에 제2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도 있다. 즉, 컨테이너들이 일렬로 이웃하여 적재될 수도 있다.
도 1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들이 다단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철도 화물 차량(300)은 제1 대차(302), 제2 대차(304), 차량 본체(306), 제1 적재 지지부(308), 제2 적재 지지부(310), 제1 코일 적재부(312), 및 제2 코일 적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본체(306)는 제1 받침부(311), 제2 받침부(313), 및 제3 받침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받침부(315)의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는 측면 지지부(321)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321)는 제3 받침부(315)의 측면에서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철도 화물 차량(30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들이 제3 받침부(315)의 상부에 적재된다 하여도 차량 본체(306)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3 받침부(315) 및 측면 지지부(321)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제1 컨테이너(100-1)가 적재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제1 받침부(3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제1 받침부(311)의 바닥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에는 제2 컨테이너(100-2)가 적재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는 제2 컨테이너(100-2)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308)의 상단에는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 및 제1 이탈 방지부(34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는 제2 컨테이너(100-2)의 바닥면 일측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343-1)는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343-1)는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의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343-1)는 제2 컨테이너(100-2)의 일측 하단부가 제1 컨테이너 안착부(34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이탈 방지부(343-1)는 제2 컨테이너(100-2)의 일측 하단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제2 받침부(31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제2 받침부(313)의 바닥면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에는 제3 컨테이너(100-3)가 적재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는 제3 컨테이너(100-3)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310)의 상단에는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 및 제2 이탈 방지부(34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는 제3 컨테이너(100-3)의 바닥면 타측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343-2)는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343-2)는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의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탈 방지부(343-2)는 제3 컨테이너(100-3)의 타측 하단부가 제2 컨테이너 안착부(34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이탈 방지부(343-2)는 제3 컨테이너(100-3)의 타측 하단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 적재부(312)는 권취된 코일(예를 들어, 냉연 코일 또는 열연 코일 등)이 적재되는 부분이다. 제1 코일 적재부(312)는 제1 받침부(3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 적재부(312)는 제1 받침부(311) 상에서 제1 적재 지지부(308) 및 제3 받침부(31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 적재부(312)는 복수 개의 제1 코일 지지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지지부(351)는 권취된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1 코일 지지부(351)는 제1 코일 적재부(312)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일 지지부(351)는 제1 코일 적재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1 코일 지지부(351) 사이에 권취된 코일들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제1 코일 지지부(351)는 권취된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해, 대응되는 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일 적재부(314)는 권취된 코일(예를 들어, 냉연 코일 또는 열연 코일 등)이 적재되는 부분이다. 제2 코일 적재부(314)는 제2 받침부(31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일 적재부(314)는 제2 받침부(313) 상에서 제2 적재 지지부(310) 및 제3 받침부(31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일 적재부(314)는 복수 개의 제2 코일 지지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 지지부(353)는 권취된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2 코일 지지부(353)는 제2 코일 적재부(314)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코일 지지부(353)는 제2 코일 적재부(3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2 코일 지지부(353) 사이에 권취된 코일들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제2 코일 지지부(353)는 권취된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해, 대응되는 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 지지부(351) 및 제2 코일 지지부(353)는 제1 받침부(311) 및 제2 받침부(313)의 상면으로부터 제3 받침부(315)의 바닥면까지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 지지부(351) 및 제2 코일 지지부(353) 중 적어도 하나는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 지지부(351) 및/또는 제2 코일 지지부(353)를 탈착하여 제3 받침부(315)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받침부(311), 제2 받침부(313), 및 제3 받침부(315)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3 받침부(315)의 길이보다 긴 컨테이너를 1단으로 적재할 수도 있게 된다. 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2개의 컨테이너를 직렬로 1단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 본체(306)의 상단 측부에는 측면 보강부(316)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보강부(315)는 차량 본체(306)의 상단의 양 측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컨테이너
102 : 하부 플레이트
104 : 상부 플레이트
106 : 제1 지지 플레이트
108 : 제2 지지 플레이트
110 : 지지 보강 프레임
110-1 : 제1 측면 프레임
110-2 : 제2 측면 프레임
110-3 : 상부 프레임
112 : 제1 측면 접철 도어
114 : 제2 측면 접철 도어
116 : 제1 측면 플레이트 도어
118 : 제2 측면 플레이트 도어
121 : 결합홈부
123 : 결합 돌기부
131 : 제1 연결 수단
133 : 제2 연결 수단
135 : 제3 연결 수단
171 : 힌지부
173 : 가이드 레일
181 : 적재 가이드 홈
191 : 도어 수납홈
192 : 측면 도어
300 : 철도 화물 차량
302 : 제1 대차
303 : 차륜
304 : 제2 대차
306 : 차량 본체
308 : 제1 적재 지지부
308-1, 308-2 : 한 쌍의 제1 지지체
310 : 제2 적재 지지부
310-1, 310-2 : 한 쌍의 제2 지지체
311 : 제1 받침부
312 : 제1 코일 적재부
313 : 제2 받침부
314 : 제2 코일 적재부
315 : 제3 받침부
316 : 측면 보강부
317-1, 317-2 : 경사 연결부
321 : 측면 지지부
331 :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
333 : 제2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
335 : 제3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
341-1 : 제1 컨테이너 안착부
341-2 : 제2 컨테이너 안착부
343-1 : 제1 이탈 방지부
343-2 : 제2 이탈 방지부
351 : 제1 코일 지지부
353 : 제2 코일 지지부

Claims (18)

  1.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철도 화물 차량으로서,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본체는,
    상기 차량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받침부;
    상기 차량 본체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받침부;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며, 제1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3 받침부;
    상기 제1 받침부의 일측 상에 마련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컨테이너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적재 지지부;
    상기 제2 받침부의 타측 상에 마련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 컨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컨테이너의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2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1 받침부 상에서 상기 제1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 및 상기 제2 받침부 상에서 상기 제2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권취된 코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일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적재부는,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받침부의 바닥면까지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3 받침부 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철도 화물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받침부는,
    상기 차륜의 중심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철도 화물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받침부의 상부에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전차선의 높이보다 낮도록 마련되는, 철도 화물 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3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경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 연결부는,
    상기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철도 화물 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3 받침부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3 받침부 상에 적재되는 제1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1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와 결합되는 제3 컨테이너 결합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권취된 코일이 적재되는, 철도 화물 차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돌기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타측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 돌기부,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호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3 결합 돌기부 및 제4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하부면 타측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4 결합 돌기부는, 상기 제3 컨테이너의 하부면 일측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철도 화물 차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 및 상기 제2 적재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컨테이너 및 상기 제3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컨테이너 안착부; 및
    상기 컨테이너 안착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제3 받침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1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은,
    상기 차량 본체의 상단 양측부에서 상기 차량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측면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도 화물 차량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의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컨테이너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된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측면 도어를 포함하는, 철도 화물 차량.
  18. 삭제
KR1020150064387A 2015-05-08 2015-05-08 철도 화물 차량 KR10160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87A KR101605689B1 (ko) 2015-05-08 2015-05-08 철도 화물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87A KR101605689B1 (ko) 2015-05-08 2015-05-08 철도 화물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689B1 true KR101605689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387A KR101605689B1 (ko) 2015-05-08 2015-05-08 철도 화물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804B1 (ko) * 2015-11-05 2017-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이단적재 화차용 차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3936Y (zh) 2007-12-17 2008-11-05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双层运输集装箱铁道车辆
CN102501866A (zh) 2011-12-23 2012-06-20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大载重双层装载集装箱铁路货车
KR101415700B1 (ko) 2014-02-28 2014-07-04 주식회사 극동 윙도어 타입 컨테이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3936Y (zh) 2007-12-17 2008-11-05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双层运输集装箱铁道车辆
CN102501866A (zh) 2011-12-23 2012-06-20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大载重双层装载集装箱铁路货车
KR101415700B1 (ko) 2014-02-28 2014-07-04 주식회사 극동 윙도어 타입 컨테이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804B1 (ko) * 2015-11-05 2017-06-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이단적재 화차용 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2894B2 (en) Two-level pallet for stackable loading
TWI508881B (zh) 用於軌道支撐運輸器的搬運和載入系統
EP1944251B1 (en)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US8240496B2 (en) Collapsible container and hinge used for collapsible container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US7971713B2 (en) Container for shipping vehicles, including extension plate
CN102596738A (zh) 用于处理或存储货物的笼
US11235921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EP2712786A2 (en) Roll container
US20120163940A1 (en) Transport system
US8561836B2 (en) Crate with collapsible wall
CN113168611A (zh) 货物运输车辆及货物物流系统
JP6012023B2 (ja) 車両の輸送のためのコンテナ
US6863003B2 (en) Pallet system
JP7164868B2 (ja) 集配用運搬車
US20200062281A1 (en) Multimodal Platform for Railcar
KR101605689B1 (ko) 철도 화물 차량
KR20130047242A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US20160236859A1 (en) Container including sliding roof
KR101605855B1 (ko) 측면 개폐형 컨테이너
KR20160095934A (ko) 가변형 유압식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JP5402227B2 (ja) 航空機用コンテナ
RU204313U1 (ru) Вагон-платформа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