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021B1 -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021B1
KR101038021B1 KR1020090077461A KR20090077461A KR101038021B1 KR 101038021 B1 KR101038021 B1 KR 101038021B1 KR 1020090077461 A KR1020090077461 A KR 1020090077461A KR 20090077461 A KR20090077461 A KR 20090077461A KR 101038021 B1 KR101038021 B1 KR 10103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roller
roller assembly
document feeder
sto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864A (ko
Inventor
김희승
박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9007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0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65H2511/518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원고급지대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고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의 선단을 정렬하는 스토퍼;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를 원고이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제1스프링;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상부를 덮는 픽업롤러조립체 덮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탄성이동을 방해하는 스토퍼 누름부재;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구동 시 함께 회전구동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사기, ADF

Description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An Automatic Document Feeder}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스캐너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의 선단을 정렬할 수 있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용되는 복사기(또는 화상형성장치)나 스캐너와 같이 다수의 원고를 또 다른 원고형태로 복사하거나 또는 화일형태로 복사하는 기기에는 다수의 원고를 화상형성부 또는 화상독취부에 낱장으로 공급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ADF:automatic Document Feeding)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급지대(250) 위쪽에 설치되며, 픽업롤러(210)와 이송롤러(220)와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작동대기 시 원고스토퍼(240)가 원고(400)의 끝을 가지런히 정렬시키고, 작동 시 이송롤러(220)의 회전작동과 함께 프레임(202)이 반 시계방향(도 1 기준임)으로 하강하면서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원고(400)의 낱장공급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원고급지대(250)에 다량의 원고(400)가 적재된 경우, 원고의 하중에 의해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의 맞물림이 강제로 해제되거나 이와 반대로 래치암과 원고스토퍼(24)의 맞물리 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어, 다량의 원고를 낱장으로 공급하는데 부적합하였다.
또한,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원고급지작동 중 스토퍼에 의한 원고의 선단정렬과 원고급지를 위한 스토퍼의 개방작동이 분명하게 구별되어 작동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원고의 선단정렬 또는 원고의 원활한 급지 중 한가지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의 자동원고급지장치(200)에는 프레임(202)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식은 자동원고급지장치(200)의 구성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므로, 크게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량의 원고의 복사 및 스캔작업 시 원고의 선단정렬과 원고의 낱장이송(또는 원고의 낱장이송을 위한 스토퍼의 개방)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원고급지대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의 선단을 정렬하는 스토퍼;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를 원고이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제1스프링;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상부를 덮는 픽업롤러조립체 덮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탄성이동을 방해하는 스토퍼 누름부재;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구동 시 함께 회전구동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를 포함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업롤러조립체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은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 시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상부에는 상하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일 단은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갈고리형태이고,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는 상기 고정수단의 일 단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구멍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성력을 작용하는 제2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는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고정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일 단이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과 접촉 또는 결합되고 그 타 단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수단 해제손잡이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는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한 제2회전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제3기어와 상기 제3기어와 함께 회전 운동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분리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픽업롤러조립체의 하강 회전과 상승 회전에 따라 스토퍼에 의한 원고선단의 정렬동작과 정렬해제동작이 각각 수행되므로, 원고의 선단정렬과 원고 의 낱장이송의 병행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픽업롤러의 정회전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픽업롤러의 역회전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수단 해제손잡이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원고급지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급지대(102) 또는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상판에 설치되며, 픽업롤러조립체(10), 픽업롤러조립체 덮개(20, 이하 간략하게 '덮개'로 지칭함), 스토퍼(30), 스토퍼 누름부재(40), 고정수단(50), 고정해제부재(60), 분리롤러(70)를 포함한다.
픽업롤러조립체(10)는 픽업롤러(12)와 분리롤러(70)를 구비한 부재로서, 상부면이 가려지고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덮개(20) 또는 원고급지대(102)에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픽업롤러조립체(10)는 원고급지 대(102)에 얹어진 원고들(200)을 일 방향(즉 복사 또는 스캔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수단으로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실을 한다. 참고로, 픽업롤러조립체(10)의 회전축은 분리롤러(70)의 회전축(즉 제2회전축(72))과 동일하다.
픽업롤러조립체(10)의 상부면에는 고정수단(50)의 고리부분이 끼워져 걸릴 수 있는 구멍(18)이 형성되고, 픽업롤러조립체(10)의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픽업롤러(12)와 분리롤러(70)를 포함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즉, 픽업롤러조립체(10)의 내부에는 픽업롤러(12)와 제1기어(14)와 스토퍼(30)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72)이 픽업롤러(12)의 회전 축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회전축(62)에는 제1기어(14)와 맞물리는 제2기어(64)와 고정해제부재(60)가 설치되고, 제2회전축(72)에는 제2기어(14)와 맞물리는 제3기어(74)와 분리롤러(70)가 설치된다.
스토퍼(30)는 적어도 하나의 꺽임부를 갖는 ㄱ자 형태의 막대형태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1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고급지대(102)에 얹어진 원고들의 선단을 정렬하는 구실을 한다. 상세하게는 스토퍼(30)의 일 단은 픽업롤러(1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토퍼(30)의 타 단은 원고급지대(102)를 향해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원고들의 선단을 정렬한다. 한편, 스토퍼(30)의 일 부분에는 제1스프링(16)이 설치되어 스토퍼(30)의 타 단이 원고급지대(10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즉, 도면기준으로 위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참고로, 제1스프링(16)의 일 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토퍼(30)에 결합되고, 타 단은 픽업롤러조립 체(10)에 설치된다.
제1회전축(6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12)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제1회전축(62)에는 제2기어(64)와 고정해제부재(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기어(64)는 제1기어(14)와 맞물리고, 고정해제부재(60)는 제2기어(64)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픽업롤러(12)가 회전하면, 제1기어(14)과 제2기어(64)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해제부재(60)가 회전된다. 참고로, 제1회전축(62)은 픽업롤러조립체(10)의 구멍(18) 바로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제2회전축(7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회전축(62)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제2회전축(72)에는 제3기어(74)와 분리롤러(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3기어(74)는 제2기어(64)와 맞물려 제1기어(1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분리롤러(70)는 제3기어(74)와 함께 회전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구실을 한다. 참고로, 제2회전축(72)과 제2회전축(72)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덮개(20)는 픽업롤러조립체(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재로서, 픽업롤러조립체(10)의 바깥쪽에 픽업롤러조립체(10)의 상당 부분을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누름부재(40)와 고정수단(50)과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와 제2스프링(22)이 설치된다.
스토퍼 누름부재(40)는 덮개(20)의 안쪽 표면에서 픽업롤러조립체(10)의 구멍(18)을 관통하여 스토퍼(30)의 일 부분을 누르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 스토퍼 누름부재(40)는 픽업롤러조립체(10)가 원고급지대(102)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 태(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토퍼(30)가 원고급지대(10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스토퍼(30)를 하방으로 미는 구실을 하나, 픽업롤러조립체(10)가 원고급지대(102)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진 상태(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토러(30)와 접촉하지 않는다.
고정수단(50)은 덮개(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업롤러조립체(10)의 위치를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고정수단(50)의 일 단은 픽업롤러조립체(10)의 구멍(18)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고리형태를 취하며, 타단은 픽업롤러조립체(10)의 위쪽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꺽어진 형태를 취한다. 여기서 고정수단(50)의 일 단은 앞서 설명한 고정해제부재(60)의 회전반경 범위에 위치하여, 고정해제부재(60)의 회전운동 시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픽업롤러조립체(1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시계방향(도 2 기준방향임)으로 밀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50)은 덮개(20)에 설치된 제2스프링(22)에 의해 반 시계방향(도 2 기준방향임)으로 회전하려는 관성력을 가지며, 이러한 외력에 의해 픽업롤러조립체(10)의 구멍(18)에 끼워져 픽업롤러조립체(10)의 위치를 고정키는 구실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수단(50)에 의한 픽업롤러조립체(10)의 고정은 고정해제부재(60)의 회전운동 시에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는 덮개(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의 일 단은 고정수단(50)의 타 단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의 타 단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덮개(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의 타 단을 조작 하면, 고정수단(50)이 일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도면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픽업롤러조립체(1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원고급지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겠다.
복사 또는 스캔작업의 준비 시, 본 실시 예의 자동원고급지장치(100)는 원고의 선단정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픽업롤러조립체(10)는 고정수단(50)에 의해 원고분리대(102)와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스토퍼(30)는 스토퍼 누름부재(40)에 의해 원고분리대(102)쪽으로 수직하게 접촉하여 원고의 선단을 정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사 또는 스캔작업이 진행되면, 픽업롤러(12)는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구비된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픽업롤러(12)와 기어들(14, 64, 74)을 매개로 연결된 고정해제부재(60)와 분리롤러(70)로 회전운동을 시작한다. 이러한 회전운동으로 인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고정해제부재(60)가 고정수단(50)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젖혀 고정수단(50)에 의한 픽업롤러조립체(10)의 고정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되고, 동시에 스토퍼(30)가 스토퍼 누름부재(40)에 의한 누름위치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따라, 픽업롤러조립체(10)는 분리롤러(70)에 의한 회전운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고분리대(102)에 얹어진 원고(200)의 윗면과 접촉하고, 스토퍼(30)는 제1스프링(1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고들의 이송에 필요한 공간을 열어준다(도 4 참조). 그러면, 원고들(200, 정확하게는 최 상부의 원고)이 픽업롤러(12)에 의해 왼쪽(도면기준 방향임)으로 이송되어, 복사 또는 스캔작업이 가능해 진다.
이와 반대로, 1회 또는 충분한 복사 또는 스캔작업 후 픽업롤러(12) 또는 분리롤러(7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분리롤러(70)의 회전에 의해 픽업롤러조립체(1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고정수단(50)에 의해 다시 고정되고, 또한 스토퍼 누르부재(40)에 의해 스토퍼(30)가 반 시계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스토퍼(30)에 의한 원고선단정렬 작업이 수행된다. 참고로, 이러한 과정에서는 고정해제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고정수단(50)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젖히지 않는다.
한편, 고정수단(50)에 의한 픽업조립체(10)의 해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수단 해제손잡이(24)를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픽업롤러의 정회전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픽업롤러의 역회전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수단 해제손잡이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동원고급지장치 10: 픽업롤러조립체
12: 픽업롤러 14: 제1기어
16: 제1스프링 18: 구멍
20: (픽업롤러조립체) 덮개 22: 제2스프링
24: 고정수단 해제손잡이 30: 스토퍼
40: 스토퍼 누름부재 50: 고정수단
60: 고정해제부재 62: 제1회전축
64: 제2기어 70: 분리롤러
72: 제2회전축 74: 제3기어

Claims (5)

  1.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원고급지대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의 선단을 정렬하는 스토퍼;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를 원고이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제1스프링;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상부를 덮는 픽업롤러조립체 덮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탄성이동을 방해하는 스토퍼 누름부재;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구동 시 함께 회전구동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재를 포함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은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 시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상부에는 상하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일 단은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갈고리형태이고,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는 상기 고정수단의 일 단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의 구멍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성력을 작용하는 제2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는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고정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일 단이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과 접촉 또는 결합되고 그 타 단이 상기 픽업롤러조립체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수단 해제손잡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에는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한 제2회전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제3기어와 상기 제3기어와 함께 회전 운동하며 원고를 이송시키는 분리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KR1020090077461A 2009-08-21 2009-08-21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KR10103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61A KR101038021B1 (ko) 2009-08-21 2009-08-21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61A KR101038021B1 (ko) 2009-08-21 2009-08-21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64A KR20110019864A (ko) 2011-03-02
KR101038021B1 true KR101038021B1 (ko) 2011-05-30

Family

ID=4392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61A KR101038021B1 (ko) 2009-08-21 2009-08-21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581A (ja) * 1992-08-31 1994-03-15 Nec Corp 自動給紙機構
JPH10139218A (ja) 1996-11-15 1998-05-26 Mita Ind Co Ltd ペーパーストッパの駆動装置
KR20040011615A (ko) * 2002-07-27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20050113524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581A (ja) * 1992-08-31 1994-03-15 Nec Corp 自動給紙機構
JPH10139218A (ja) 1996-11-15 1998-05-26 Mita Ind Co Ltd ペーパーストッパの駆動装置
KR20040011615A (ko) * 2002-07-27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20050113524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64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430B1 (ko) 자동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4199262B (zh) 挡纸机构、进纸部、图像形成设备及进纸方法
US20070001374A1 (en) Paper fee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27062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50585B2 (ja) 画像形成装置
JP6348733B2 (ja)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9011155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099619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101038021B1 (ko)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JP2007168930A (ja) 給紙装置
JP3732608B2 (ja) 画像形成装置
CN204124862U (zh) 挡纸机构、进纸部及图像形成设备
JP6038599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情報処理装置
JP6657989B2 (ja) 自動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H011721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85850A (ja) 画像形成装置
JP5636077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TWI551465B (zh) 具有旋轉元件之擋紙機構及其所適用之自動饋紙裝置
JP2010232809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076681A (ja) 給紙ユニット並びにこれを備えた自動原稿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3245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KR100636224B1 (ko) 자동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051465B1 (ko)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JP6040005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3964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