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615A -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615A
KR20040011615A KR1020020044426A KR20020044426A KR20040011615A KR 20040011615 A KR20040011615 A KR 20040011615A KR 1020020044426 A KR1020020044426 A KR 1020020044426A KR 20020044426 A KR20020044426 A KR 20020044426A KR 20040011615 A KR20040011615 A KR 2004001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adf
restricting member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166B1 (ko
Inventor
허길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1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에프디 기능을 갖는 기기에서 용지를 일정한 위치까지만 적재할 수 있도록 규제가 가능한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와,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와, 일단은 ADF 롤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과,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용지규제부재와, 수직상태에 있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및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스토퍼에 간섭되어 용지의 진입을 막고,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용지규제부재가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a machine having ADF function}
본 발명은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 즉 팩시밀리나 팩스 및 복사 기능등을 겸비한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일정 위치에 적재할 수 있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에이디에프 기능이란 자동으로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여 소정의 위치로 급지하는 기능을 말하며, 에이디에프(ADF)는 Automatic Document Feeder의 약자이다. 이하에서는 ADF 로 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10), 픽업롤러(30), 픽업팔(20), 커버(50) 및 용지안내부재(40)를 포함한다.
ADF 롤러(10)는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ADF 러버(15)와 함께 용지(1)를 한 장씩 분리하여 기기의 본체(도시되지 않음) 내부로 이송한다.
픽업롤러(30)는 ADF 롤러(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된 용지를 ADF 롤러(10)로 이송한다.
픽업팔(20)은 ADF 롤러(10)와 픽업롤러(30)를 연결하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어 ADF 롤러(10)의 동력을 픽업롤러(20)로 전달한다. 또한, ADF 롤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픽업팔(20)이 ADF 롤러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선회하여 픽업롤러(30)가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된 용지(1)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용지안내부재(40)는 픽업롤러(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용지안내부재(40)는용지를 적재하는 한편, 적재된 용지(1)가 픽업롤러(30)에 의해 픽업되어 ADF 롤러(20)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한다.
커버(50)는 ADF 롤러(10)와 픽업롤러(3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각 롤러(10,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용지급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지(1)가 용지안내부재(40)에 놓이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여 ADF 롤러(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ADF 롤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ADF 롤러축(11)에 결합된 픽업팔(2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픽업팔(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픽업롤러(30)가 ADF 롤러(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ADF 롤러축(10)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선회하여 용지안내부재(40)에 놓인 용지(1)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최상단에 있는 용지(1)는 픽업롤러(30)의 회전력과 마찰력에 의해 ADF 롤러(10)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ADF 롤러(10)와 ADF 러버판(15) 사이에 적절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ADF 러버판(15)이 가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ADF 롤러(10)와 ADF 러버판(15) 사이로 진입된 용지는 ADF 러버판(15)의 마찰력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어 기기 본체내로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지급지장치에서는 용지의 적재위치가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지안내부재(40)의 임의의 위치에 용지를 적재할 수 있다. 만일, 용지가 픽업롤러(30)의 하측에 놓이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용지를 ADF 롤러(10) 하측까지 밀어 넣으면 픽업롤러(30)에 의한 용지의 픽업과 이송이 불안정해지고 적재된 용지의 선단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지안내부재에 적재되는 용지가 항상 일정 위치에 놓이게 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에서 용지를 적재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용지급지장치에서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급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ADF 롤러20; 픽업팔
30; 픽업롤러40; 용지안내부재
50; 커버60,60'; 용지규제부재
70; 스토퍼80;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와,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와, 일단은 ADF 롤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과,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용지규제부재와, 수직상태에 있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및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스토퍼에 간섭되어 용지의 진입을 막고,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용지규제부재가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지규제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2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픽업롤러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안내부재는 용지규제부재가 선회하는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토퍼는 ADF 롤러와 픽업롤러를 덮는 커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와,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와, 일단은 ADF 롤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과,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용지규제부재와, 용지규제부재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수직상태에 있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및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스토퍼에 간섭되어 용지의 진입을 막고,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용지규제부재가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10), 픽업팔(20), 픽업롤러(30), 용지규제부재(60), 스토퍼(70), 용지안내부재(40), 및 커버(50)를 포함한다.
ADF 롤러(10)는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마주 접하여 설치된 ADF 러버(15)와 함께 용지(1)를 한 장씩 분리하여 기기의 본체(도시되지 않음) 내부로 이송한다.
픽업팔(20)은 ADF 롤러(20)와 픽업롤러(30)를 연결하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ADF 롤러(10)의 동력을 픽업롤러(30)로 전달한다. 또한, ADF 롤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픽업팔(20)이 ADF 롤러(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선회하여 픽업롤러(30)가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된 용지(1)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픽업롤러(30)는 픽업팔(20)을 통해 ADF 롤러(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된 용지(1)를 ADF 롤러(10)로 이송한다.
용지규제부재(60)는 픽업롤러의 축(31)에 설치되며, 픽업롤러축(3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즉, 픽업롤러(30)의 회전과 용지규제부재(60)의 회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용지규제부재(40)는 그 무게 중심이 픽업롤러축(31)에 조립되는 지점에 대해 편심을 이루도록 만들어져 있다. 즉, 용지규제부재(60)의 일단은 가벼운 단이고, 타단은 무거운 단(61)이 된다. 따라서, 용지규제부재(60)가 픽업롤러의 회전축(31)에 조립되면 용지규제부재(60)는 항상 무거운 단(61)이 아래쪽에 위치하려고 하기 때문에 지면에 대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또한,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되는 용지(1)가 용지규제부재(60)의 무거운 단(61)에 의해 저지될 수 있도록, 무거운 단(61)의 끝면은 용지안내부재(60)의 바닥면과 거의 밀착되어 용지가 통과되지 않을 정도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지규제부재(60)의 무거운 단(61)의 길이를 용지안내부재(40)의 바닥까지의 간격보다 크게 하고, 용지안내부재(40)의 바닥에는 그에 상당하는 깊이의 홈을 만들거나 구멍(62)을 뚫는 등의 용지규제부제의 무거운 단(61)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픽업롤러(30)는 재료의 절약 및 용지와의 접촉성 등을 위하여 픽업롤러축(31)의 중앙부에는 롤러부가 없고 양단부에만 롤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규제부재(60)는 픽업롤러축(31)의 중간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료의 절약을 위해 막대형상으로 만들어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용지규제부재(60)만으로도 적재되는 용지의 진입 깊이를 규제하는데는 충분하다.
스토퍼(70)는 픽업롤러(30)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즉 픽업팔(20)이 거의 수평상태에 있을 때 용지규제부재(60)의 가벼운 단의 상측부가 간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 설치방향은 용지를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할 때 용지(1)의 선단에 의해 용지규제부재의 무거운 단(61)이 뒤로 밀리는 힘을 받는 경우 용지규제부재(60)가 밀리지 않도록 가벼운 단을 지지하는 쪽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70)는 ADF 롤러(10)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70)는 픽업롤러(30)와 ADF 롤러(10)를 덮는 커버(50)의 안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안내부재(40)는 픽업롤러(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용지안내부재(40)는 용지를 적재하는 한편 적재된 용지(1)가 픽업롤러(30)에 의해 픽업되어 ADF 롤러(10)로 이송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안내한다.
커버(50)는 ADF 롤러(10)와 픽업롤러(3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각롤러(10,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대기상태에 있는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공급장치에서 픽업팔(20)은 픽업롤러(30)가 용지(1)에 닿지 않도록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ADF 롤러(10)와 픽업롤러(30)는 정지하고 있다. 또한, 용지규제부재(60)는 무거운 단(61)이 아래로 내려와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용지안내부재(40)의 용지진입경로를 막고 있다. 이때, 용지규제부재(60)의 가벼운 단은 스토퍼(70)에 의해 간섭되기 때문에, 용지(1)를 밀어 넣어 무거운 단(61)을 밀어도 용지규제부재(60)가 뒤로 밀려 올라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대기상태의 용지급지장치에 용지를 적재하면, 적재된 용지는 용지규제부재(60)의 무거운 단(61)에 의해 저지되어 용지의 선단이 픽업롤러(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정렬된다.
제어부에 의해 ADF 기능을 갖는 기기가 동작을 개시하면, 동력원에 의해 ADF 롤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ADF 롤러(10)가 회전하면, 픽업팔(20)이 ADF 롤러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픽업팔(20)이 아래방향으로 선회하면 용지규제부재(60)의 가벼운 단이 스토퍼(70)와의 간섭에서 벗어나게 되고, 픽업롤러(30)가 용지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픽업팔(20)을 통해 ADF 롤러(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픽업롤러(30)가 회전을 하기 때문에 픽업롤러(30)에 접한 최상측의 용지는 ADF 롤러(10)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용지의 선단을 막고 있던 용지규제부재(60)는 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상향으로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용지는 간섭없이 ADF 롤러(10)까지 진입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ADF 롤러(10)와 ADF 러버판(15) 사이에 적절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ADF 러버판(15)이 가압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ADF 롤러(10)와 ADF 러버판(15) 사이로 진입된 용지는 ADF 러버판(15)의 마찰력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어 기기 본체 내로 이송되게 된다.
용지의 이송이 완료되면, ADF 롤러(10)의 회전이 멈추고 픽업팔(20)은 ADF 롤러축(3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선회하여 대기상태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픽업팔(20)이 상향으로 선회하게 되면 용지규제부재(60)도 수직상태로 복귀되며, 가벼운 단은 스토퍼(70)에 의해 간섭되기 때문에 무거운 단(61)에 의해 용지의 진입이 규제되게 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용지급지장치는 ADF 롤러(10), 픽업팔(20), 픽업롤러(30), 용지규제부재(60'), 스프링(80), 스토퍼(70), 용지안내부재(40), 및 커버(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용지규제부재(60')를 지지하는 스프링(80)이 추가된 것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지규제부재(60')는 픽업롤러축(31)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고, 용지규제부재(6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되기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링(80)은 픽업롤러축(31)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급지장치가 대기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용지규제부재(60')의 상단이 스토퍼(70)에 간섭되어 용지가 픽업롤러(30) 이상으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용지급지장치가 동작을 개시하면, 픽업팔(20)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용지규제부재(60')의 상단이 스토퍼(70)에서 벗어나게 된다. 용지규제부재(60')는 자유롭게 되면 픽업롤러(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의해 상향으로 밀어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용지안내부재(40)에 적재된 용지(1)는 ADF 롤러(10)까지 원할하게 진입된다.
용지의 공급이 완료되면, ADF 롤러(10)의 회전이 정지하고 픽업팔(20)은 상향으로 선회하여 복귀한다. 그러면, 용지규제부재(60')는 토션스프링(8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복귀하고, 그 상단이 스토퍼(70)에 의해 간섭되게 된다. 따라서, 용지안내부재(70)로 진입되는 용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규제한다. 이때, 토션스프링(80)은 그 스프링력이 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상향으로 들리고, 용지가 이송되지 않을 때는 용지규제부재(6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범위의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ADF 기능을 갖는 기기는 용지를 ADF 롤러부까지 밀어 넣어 용지의 픽업을 곤란하게 하거나 용지의 선단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용지급지장치에 의하면, 용지안내부재에 적재되는 용지는 용지규제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용지가 ADF 롤러부까지 진입하여 발생하는 용지의 픽업불량이나 용지 선단의 손상등은 발생하지 않는 용지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3)

  1. ADF 롤러;
    상기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
    일단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용지규제부재;
    수직상태에 있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및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용지의 진입을 막고, 상기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규제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규제부재는,
    2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픽업롤러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안내부재는,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선회하는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ADF 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덮는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6. ADF 롤러;
    상기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
    일단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용지규제부재;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수직상태에 있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및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용지의 진입을 막고, 상기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규제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규제부재는,
    2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픽업롤러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안내부재는,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선회하는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ADF 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덮는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11. ADF 롤러;
    상기 ADF 롤러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픽업롤러;
    일단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연결되는 픽업팔;
    상기 픽업롤러의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용지규제부재;
    수직상태에 있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간섭되도록 설치된 스토퍼;및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안내부재에 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규제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용지의 진입을 막고, 상기 ADF 롤러가 구동되면 픽업팔이 아랫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아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안내부재는,
    상기 용지규제부재가 선회하는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ADF 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덮는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10-2002-0044426A 2002-07-27 2002-07-27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10043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26A KR100437166B1 (ko) 2002-07-27 2002-07-27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26A KR100437166B1 (ko) 2002-07-27 2002-07-27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15A true KR20040011615A (ko) 2004-02-11
KR100437166B1 KR100437166B1 (ko) 2004-06-25

Family

ID=3731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426A KR100437166B1 (ko) 2002-07-27 2002-07-27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21B1 (ko) * 2009-08-21 2011-05-30 주식회사신도리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21B1 (ko) * 2009-08-21 2011-05-30 주식회사신도리코 용지선단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166B1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27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6527267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324765B (zh) 打印设备中的供纸装置
KR20150034479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80052008A (ko) 화상형성장치
KR20050019416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JP4772633B2 (ja) 給紙装置
EP0555091B1 (en) Paper feeders
KR100437166B1 (ko) 에이디에프 기능을 갖는 기기의 용지급지장치
US7249760B2 (en) Paper pickup mechanism
US7810806B2 (en) Paper feed mechanism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with reversely driven feed roller
KR100285252B1 (ko)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JP4045221B2 (ja) 給紙装置
KR10034315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20040071357A (ko) 능동 용지분리 장치를 갖는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US7023590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KR920003466Y1 (ko) 복사기 급지부의 다매급지 방지장치
KR100644659B1 (ko)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용지가이드부가 마련된용지급지장치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JPH0739889Y2 (ja) 自動原稿給送装置
KR101051465B1 (ko)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JP2539086B2 (ja) 給紙装置
KR10059086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걸림 제거방법
KR200191275Y1 (ko) 화상형성기기의 중송급지 방지장치
JP2022018289A (ja) 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