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465B1 -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465B1
KR101051465B1 KR1020090084820A KR20090084820A KR101051465B1 KR 101051465 B1 KR101051465 B1 KR 101051465B1 KR 1020090084820 A KR1020090084820 A KR 1020090084820A KR 20090084820 A KR20090084820 A KR 20090084820A KR 101051465 B1 KR101051465 B1 KR 10105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eeder
stopper
document
pickup roll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948A (ko
Inventor
이성훈
윤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9008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4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량의 원고들가 일 방향으로 취합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고급지대;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원고만을 선택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한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원고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의 일 끝을 가지런히 정렬하는 스토퍼; 및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방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조립체는 하방으로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사기, ADF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Automatic Document Fee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스캐너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량에 관계없이 원고의 낱장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용되는 복사기(또는 화상형성장치)나 스캐너와 같이 다수의 원고를 또 다른 원고형태로 복사하거나 또는 화일형태로 복사하는 기기에는 다수의 원고를 화상형성부 또는 화상독취부에 낱장으로 공급하는 자동원고급지장치(ADF:automatic Document Feeder)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급지대(300) 위쪽에 설치되며, 피업롤러(210)와 이송롤러(220)와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작동대기 시 원고스토퍼(240)가 원고(400)의 끝을 가지런히 정렬시키고, 작동 시 이송롤러(220)의 회전 작동과 함께 프레임(202)이 반 시계방향(도 1 기준임)으로 하강하면서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원고(400)의 낱장공급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200)는 원고급지대(300)에 다량의 원고(400)가 적재된 경우, 원고의 하중에 의해 래치암(230)과 원고스토퍼(240)의 맞물림이 강제로 해제되거나 이와 반대로 래치암과 원고스토퍼(24)의 맞물리 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어, 다량의 원고를 낱장으로 공급하는데 부적합하였다.
이에 따라 근래의 자동원고급지장치(200)에는 프레임(202)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식은 자동원고급지장치(200)의 구성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므로, 크게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고의 낱장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간단하고 전류소모가 적은 구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있어서,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량의 원고들가 일 방향으로 취합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고급지대;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원고만을 선택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한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원고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의 일 끝을 가지런히 정렬하는 스토퍼; 및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방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조립체는 하방으로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고급지대는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상부면은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현상 또는 마모현상을 줄임과 동시에 원고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스토퍼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업롤러조립체에 의한 원고의 픽업이송과정에서는 스토퍼에 의한 원고정렬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픽업롤러에 의한 원고이송작업 시 스토퍼에 의해 원고이송작업의 방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에 의한 원고정렬작업과 픽업롤러조립체에 의한 원고이송작업이 확실히 분리되어 수행되므로, 양 작업 간의 간섭으로 인한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고장으로 인한 관리보수도 거의 필요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 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를 상세히 도시한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원고급지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조립체(10), 이송롤러(20), 스토퍼(30), 탄성부재(40), 원고급지대(60)를 포함한다.
픽업롤러조립체(10)는 원고급지대(60)에 적재된 복사 또는 스캔 대상 원고들을 낱장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적재된 원고의 최상단에 위치한 원고를 한장씩 접촉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픽업롤러(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픽업롤러조립체(10)는 적재된 원고량에 따라 픽업롤러(12)와 원고급지대 사이의 공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원고급지대(60)에 결합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픽업롤러조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이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송롤러(20)는 원고급지대(60)의 일 편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2)에 의해 이송된 원고를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안쪽에 위치한 화상형성부(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송롤러(2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기어조립체에 의해 픽업롤러(12)와 연결되어, 복사기 또는 스캐너에 구비된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픽업롤러(12)와 함께 회전운동한다. 이송롤러(20)와 픽업롤러(12) 그리고 구동수단의 동력전달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따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 다.
스토퍼(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대체로 직육면체형태로서, 원고급지대(60)에 적재된 원고들의 일 측 끝을 초기(즉, 원고들이 복사 또는 스캔을 위해 원고급지대(60)에 막 얹어진 상태)에 가진런히 정렬하는 구실을 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30)는 원고급지대(60) 위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원고급지대(60)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스토퍼(30)의 아래쪽 양 측면에는 돌기(32)가 각각 형성된다. 이 돌기(32)는 스토퍼(30)가 원고급지대(60)의 위쪽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아울러, 픽업롤러조립체(10)와 접촉하는 스토퍼(30)의 윗부분(34)은 픽업롤러조립체(10)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마모 또는 파손되거나 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선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룬다.
탄성부재(40,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는 스토퍼(3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스토퍼(30)를 원고급지대(60)의 표면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구실을 한다.
원고급지대(60)는 대체로 넓은 판 형태의 부재로서, 복사 또는 스캔될 다량의 원고들이 놓여지는 받침대 구실과 다량의 원고들을 어느 정도 일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돈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를 위해 원고급지대(60)는 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62)과 이 경사면(62)이 끝나는 부분(최저점 부분)에 형성되는 언덕부(63)를 가진다. 경사면(62)에는 경사면(62) 위에 얹어진 원고가 정전기 또는 마찰 등에 의해 경사면(62)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언덕 부(63)에는 스토퍼(30)가 설치됨과 아울러 스토퍼(30)가 돌출될 수 있는 구멍(68)이 형성된다. 한편, 이 구멍(68)의 가장자리(상세하게는 폭 방향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지지대(64)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대(64)는 원고급지대(60)의 아랫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66)을 갖는다. 홈(66)에는 스토퍼(30)의 돌기(32)가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홈(66)을 갖는 지지대(64)는 스토퍼(3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원고급지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자동원고급지장치(100)는 미 작동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조립체(10)가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량의 원고들이 복사 또는 스캔작업을 위해 원고급지대(60)의 경사면(62)에 올려지면, 다량의 원고들은 1차로 경사면(62)에 의해 언덕부(63)쪽으로 정렬되고, 2차로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30)에 의해 원고들의 일 측 끝이 가지런히 정렬된다.
이후 복사 또는 스캔작업이 개시되면, 이송롤러(20)와 픽업롤러(1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정방향(도면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픽업롤러조립체(10)는 픽업롤러(12)의 구동과 동시에 픽업롤러(12)가 원고급지대(60)와 접촉하도록(정확하게는 원고급지대(60)의 원고와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회전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30)를 아래쪽으로 밀어 누른다. 그러면, 원고급지대(60)에 얹어진 원고들은 픽업롤러(12)에 의해 스토퍼(30)의 윗면을 지나 이송 롤러(20)까지 이송된 후, 다시 이송롤러(20)에 의해 화상형성부까지 이송되어 복사 또는 스캔된다.
한편, 원고의 복사 또는 스캔작업이 완료되면, 이송롤러(20)와 픽업롤러(12)가 역방향(도면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픽업롤러조립체(10)는 다시 상방으로 젖혀진다. 그러면, 원고급지대(60)의 내측으로 눌려졌던 스토퍼(30)는 탄성부재(40)에 의해 원고들을 정렬할 수 있는 위치(즉 위쪽)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원고급지장치(100)는 원고를 정렬하는 스토퍼가 픽업롤러조립체의 의해 돌출되거나 눌려지므로, 스토퍼의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나 기구수단이 필요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롤러 또는 픽업롤러의 반복적인 구동동작과 정지동작에 의한 스토퍼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송롤러와 픽업롤러의 구동수단에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아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전류소모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를 상세히 도시한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원고급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동원고급지장치 10: 픽업롤러조립체
12: 픽업롤러 20: 이송롤러
30: 스토퍼 32: 돌기
40: 탄성부재(또는 스프링) 60: 원고급지대
62: 경사면 64: 지지대
66: 홈

Claims (3)

  1. 삭제
  2. 화상형성장치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원고급지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량의 원고들과 일 방향으로 취합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고급지대;
    상기 원고급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원고만을 선택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한 픽업롤러조립체;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원고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원고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들의 일 끝을 가지런히 정렬하는 스토퍼; 및
    상기 원고급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방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고급지대는 상기 원고급지대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픽업롤러조립체는 하방으로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부면은 상기 픽업롤러조립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현상 또는 마모현상을 줄임과 동시에 원고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KR1020090084820A 2009-09-09 2009-09-09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KR10105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20A KR101051465B1 (ko) 2009-09-09 2009-09-09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20A KR101051465B1 (ko) 2009-09-09 2009-09-09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48A KR20110026948A (ko) 2011-03-16
KR101051465B1 true KR101051465B1 (ko) 2011-07-22

Family

ID=4393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20A KR101051465B1 (ko) 2009-09-09 2009-09-09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4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48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23B2 (en) Print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991227B2 (en) Sheet feeder with stopper
CN104360589A (zh) 电子照相成像设备
JP3004626B2 (ja) 自動給紙装置
EP1918230A2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001374A1 (en) Paper fee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48298B2 (ja) 記録媒体収納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90273137A1 (en) Paper feeder having a paper stopper and office machine using the same
US6485015B2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JP2019011155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008354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49931B1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KR101051465B1 (ko)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JP201616008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557848B2 (en) Paper-stopp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643218B2 (ja) 積層枚葉紙位置決め装置
CN204124862U (zh) 挡纸机构、进纸部及图像形成设备
KR101051464B1 (ko) 화상형성장치용 자동원고급지장치
KR101404732B1 (ko) 자동 원고 급지 장치
KR100285252B1 (ko)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JPH054300B2 (ko)
US20080006983A1 (en) Paper separation mechanism
JP40104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63690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28527B1 (ko) 급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