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732B1 - 자동 원고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732B1
KR101404732B1 KR1020120114171A KR20120114171A KR101404732B1 KR 101404732 B1 KR101404732 B1 KR 101404732B1 KR 1020120114171 A KR1020120114171 A KR 1020120114171A KR 20120114171 A KR20120114171 A KR 20120114171A KR 101404732 B1 KR101404732 B1 KR 101404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ller assembly
roller
document feeder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885A (ko
Inventor
이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2011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7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원고 급지대에 설치되어 원고를 낱장씩 이송시키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있어서, 원고 급지대의 상판 저면에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된 부품 설치 프레임;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급지 롤러 및 픽업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 롤러의 축방향으로 구비된 샤프트를 통해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 조립체를 회동시켜 상기 급지 롤러 측이 승강되도록 하는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 및 상기 급지 롤러 및 상기 픽업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와 연동되어 승강되는 원고 스토퍼를 포함하여, 전체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롤러 조립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원고 급지 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스캐너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롤러 조립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용되는 복사기(또는 화상 형성 장치)나 스캐너와 같이 다수의 원고를 또 다른 원고 형태로 복사하거나 또는 파일 형태로 복사하는 기기에는 다수의 원고를 화상 형성부 또는 화상 독취부에 낱장으로 공급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ADF:Automatic Document Feeding)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급지대(250) 위쪽에 설치되며, 픽업 롤러(210), 이송 롤러(220), 래치암(230) 및 원고 스토퍼(2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0)는 작동대기시, 원고 스토퍼(240)가 원고(400)의 끝을 가지런히 정렬시키고, 작동시 이송 롤러(220)의 회전 작동과 함께 프레임(미도시)이 반 시계방향(도 1 기준임)으로 하강하면서 래치암(230)과 원고 스토퍼(240)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원고(400)의 낱장 공급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0)는 원고 급지대(250)에 다량의 원고(400)가 적재된 경우, 원고의 하중에 의해 래치암(230)과 원고 스토퍼(240)의 맞물림이 강제로 해제되거나 이와 반대로 래치암과 원고 스토퍼(24)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어, 다량의 원고를 낱장으로 공급하는데 부적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9-0077461호에 개시된 "용지 선단 정렬 기능을 갖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제안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특허출원 제10-2009-0077461호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픽업 롤러 조립체(10), 픽업 롤러 조립체 덮개(20), 스토퍼(30), 스토퍼 누름 부재(40), 고정수단(50), 고정 해제 부재(60), 분리 롤러(70), 픽업 롤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픽업 롤러 조립체(10)의 하강 회전과 상승 회전에 따라 스토퍼(30)에 의한 원고 선단의 정렬 동작과 정렬 해제 동작이 각각 수행됨으로써, 원고의 선단 정렬과 원고의 낱장 이송의 병행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10-2009-0077461호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원고 급지대나 복사기 또는 스캐너의 상판에 픽업 롤러 조립체(10)를 설치하기 위해 상판과 연결되는 별도의 픽업 롤러 조립체 덮개(20)를 구비해야 하고, 픽업 롤러 조립체 덮개(20)와 픽업 롤러 조립체(1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들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 부품의 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09-0077461호의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픽업 롤러 조립체(1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온전히 구동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체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조립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원고 급지대에 설치되어 원고를 낱장씩 이송시키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있어서, 원고 급지대의 상판 저면에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된 부품 설치 프레임;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급지 롤러 및 픽업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 롤러의 축방향으로 구비된 샤프트를 통해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 조립체를 회동시켜 상기 픽업 롤러 측이 승강되도록 하는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 및 상기 급지 롤러 및 상기 픽업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와 연동되어 승강되는 원고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고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원고 급지대 측으로 연장된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고 스토퍼의 제2링크는 측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제1링크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멈춤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 조립체의 하강시, 상기 롤러 조립체와 접촉된 상기 제1링크가 회동되어 상기 제2링크가 상승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의 상승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롤러 조립체는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제2링크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조립체는 승강시 상기 제1링크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유선형상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면의 상단에는 상기 제1링크 방향으로 연장된 단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고 급지대는 상기 원고 스토퍼가 하강시, 상기 제2링크가 적재된 원고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제2링크를 지지하는 돌출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롤러 조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원고 급지대의 상판과 접촉되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원고 급지대의 상판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롤러 조립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연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가하는 보조 탄성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원고 급지대의 상판과 일체로 형성된 부품 설치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전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원고 스토퍼를 상승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확보할 수 있어,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고 급지 장치는 복합기, 복사기 또는 스캐너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원고 급지대에 설치되어 적재된 원고를 낱장씩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부품 설치 프레임(310), 롤러 조립체(320),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 및 원고 스토퍼(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품 설치 프레임(310)은 원고 급지대(300)의 상판(301) 저면에 상판(301)과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부품 설치 프레임(310)은 원고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311) 및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12)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311) 사이에는 롤러 조립체(32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12) 사이에는 원고 스토퍼(340)가 설치된다.
롤러 조립체(320)는 원고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픽업 롤러(321) 및 급지 롤러(322)를 구비한다. 픽업 롤러(321) 및 급지 롤러(322)는 벨트(32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롤러(322)의 축방향을 따라 샤프트(324)가 구비되고, 샤프트(324)는 롤러 조립체(320)를 관통하여 롤러 조립체(3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324)는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3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러 조립체(320)는 샤프트(324)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 조립체(320)의 회동에 의해 픽업 롤러(321)가 원고 급지대(300)와 상판(301) 사이에서 승강된다.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은 롤러 조립체(320)를 회동시켜 롤러 조립체(320)에 구비된 픽업 롤러(321)가 승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고 스토퍼(340)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픽업 롤러(321) 및 급지 롤러(322)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원고 스토퍼(340)는 롤러 조립체(320)와 연동되어 롤러 조립체(320)의 회동에 의해 승강된다.
구체적으로, 원고 스토퍼(340)는 제1링크(341) 및 제2링크(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링크(341)는 일단이 부품 설치 프레임(310)의 제2측면 프레임(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링크(342)는 제1링크(34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측면 프레임(312)을 따라 가이드되어 원고 급지대(300)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링크(341)는 롤러 조립체(320)의 승강에 의해 회동되는 부재이고, 제2링크(342)는 제1링크(341)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어 원고 급지대(300)에 적재된 원고들의 선단을 정렬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조립체(320) 및 원고 스토퍼(340)를 설치할 수 있는 부품 설치 프레임(310)을 원고 급지대(300)의 상판(301)과 일체로 형성하여,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전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간단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원고 스토퍼(340)의 제2링크(342)는 측면에, 제2측면 프레임(312)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342a)를 구비하고, 제2측면 프레임(312)에는 제2링크(342)의 돌기(342a)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312a)이 구비된다. 여기서, 가이드 홈(312a)은 하방으로 연장된 유선형상의 한 쌍의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341)가 회동되면, 제2링크(342)의 돌기(342a)가 가이드 홈(312a)을 따라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면서 원고 급지대(300)와 상판(301) 사이에서 승강된다.
그리고, 부품 설치 프레임(310)의 제2측면 프레임(312)에는 멈춤턱(312b)이 구비된다. 멈춤턱(312b)은 제1링크(3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링크(341)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링크(341)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멈춤턱(312b)에 걸리면, 제2링크(342)는 원고 급지대(300)로 하강되어 원고의 선단을 정렬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롤러 조립체(320)가 샤프트(32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면, 픽업 롤러(321)가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롤러 조립체(320)가 제1링크(341)와 접촉하여 제1링크(341)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2링크(342)는 상승된다.
반대로, 롤러 조립체(320)가 샤프트(324)를 중심축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롤러 조립체(320)와 제1링크(341)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2링크(342)는 자중에 의해 원고 급지대(300) 측으로 하강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조립체(320)는 승강시 제1링크(341)의 단부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유선형상의 가이드 면(325)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 면(325)의 하단에는 제1링크(341)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턱(326)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샤프트(324)의 회전시에 단턱(326)에 의해 제1링크(341)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샤프트(324)가 일정량 이상 회전되면, 제1링크(341)는 유선형상의 가이드 면(325)에 닿으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됩니다.
바람직하게는, 원고 급지대(300)는 롤러 조립체(320)의 회동에 의해 원고 스토퍼(340)가 하강되었을 때, 원고 스토퍼(340)의 제2링크(342)가 수용되는 공간(A)을 구비하고, 이 공간(A)에는 하강된 제2링크(342)가 적재된 원고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제2링크(342)를 지지하는 돌출턱(300a)이 구비된다.
한편,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은 구동부 및 탄성 부재(3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는 샤프트(324)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샤프트(324)에 전달하는 기어(미도시) 등의 구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331)는 롤러 조립체(320)의 외측면에 구비된 설치핀(332)에 설치되고, 일단이 샤프트(324)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고 급지대(300)의 상판(301)과 접촉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331)는 샤프트(324)와 원고 급지대(300)의 상판(301)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331)는 롤러 조립체(3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에 의해, 복사 또는 스캔 등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가 구동되어 샤프트(32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324)와 연결된 탄성 부재(331)가 설치핀(332)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탄성 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 조립체(320)의 픽업 롤러(321) 부분이 하강된다. 즉, 구동부에 의해 샤프트(324)가 회전되면, 샤프트(324)의 외측면에 구비된 구멍에 고정된 탄성 부재(331) 역시 회전되면서, 탄성 부재(331)가 원고 급지대(300)와 상판(301)을 서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 조립체(320)가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원고 스토퍼(340)는 원고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승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331)의 탄성력은 롤러 조립체(320)를 하방으로 충분히 가압하여 원고 스토퍼(340)가 무리없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도 7 참조).
반대로, 복사 또는 스캔 등의 작업이 종료되면, 구동부가 구동되어 샤프트(32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324)와 연결된 탄성 부재(331)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롤러 조립체(32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원고 스토퍼(340)는 롤러 조립체(320)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도 6 참조).
바람직하게는, 샤프트(324)의 외주연에는 탄성 부재(331)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샤프트(324)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지닌 보조 탄성 부재(3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탄성 부재(333)는 롤러 조립체(320)가 하강되도록 샤프트(324)가 회전할 때, 추가적으로 마찰력을 가하여 원고 스토퍼(340)가 원활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고 급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화상 형성 장치가 복사 또는 스캔 대기 중인 상태일 때, 롤러 조립체(320)는 상판(301)에 밀착되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원고 스토퍼(34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제2링크(342)의 단부가 원고 급지대(300)의 수용 공간(A)에 위치되어 원고의 선단을 정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원고 스토퍼(340)의 제2링크(342)는 돌출턱(300a)에 의해 후방이 지지되어, 적재된 원고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사 또는 스캔 등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가 구동되어 샤프트(32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324)와 연결된 탄성 부재(331) 역시 회동되고, 탄성 부재(331)의 회동에 의해 롤러 조립체(320)의 픽업 롤러(321) 측과 상판(301)이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롤러 조립체(320)가 하강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331) 대신에 회동 가능한 다른 비탄성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롤러 조립체(320)를 하강시킬 때, 구동부의 구동력 이외에 추가적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롤러 조립체(320)를 하강시키기 위해,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탄성 부재(33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 부재(331)의 탄성력은 구동부의 구동력에 더해져서, 롤러 조립체(320)가 하강할 때 원고 스토퍼(340)와 원고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원고 스토퍼(340)를 상승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롤러 조립체(320)가 하강될 때, 원고 스토퍼(340)의 제1링크(341)는 롤러 조립체(320)의 단턱(326)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서 회동하게 되고, 원고 스토퍼(340)의 제2링크(342)는 가이드 홈(312a)과 돌기(342a)에 의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원고 스토퍼(340)는 원고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승된다.
이후, 스캔 또는 복사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부가 다시 샤프트(32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롤러 조립체(320)는 상승되어 제자리로 복귀한다. 그리고, 원고 스토퍼(34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원고 급지대(300)의 상판(301)에 일체로 형성된 부품 설치 프레임(310)에 설치됨으로써,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전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원고 스토퍼(340)를 승강시키기 위한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은 원고 스토퍼(340)를 상승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확보할 수 있어,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원고 급지대 300a: 돌출턱
301: 상판 310: 부품 설치 프레임
311: 제1측면 프레임 312: 제2측면 프레임
312a: 가이드 홈 312b: 멈춤턱
320: 롤러 조립체 321: 픽업 롤러
322: 급지 롤러 323: 벨트
324: 샤프트 325: 가이드 면
326: 단턱 331: 탄성 부재
332: 설치핀 333: 보조 탄성 부재
340: 원고 스토퍼 341: 제1링크
342: 제2링크 342a: 돌기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의 원고 급지대에 설치되어 원고를 낱장씩 이송시키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있어서,
    원고 급지대의 상판 저면에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된 부품 설치 프레임;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급지 롤러 및 픽업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 롤러의 축방향으로 구비된 샤프트를 통해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 조립체를 회동시켜 상기 픽업 롤러 측이 승강되도록 하는 롤러 조립체 승강 수단; 및
    상기 급지 롤러 및 상기 픽업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와 연동되어 승강되는 원고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원고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원고 급지대 측으로 연장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조립체의 하강시에 상기 롤러 조립체와 접촉된 상기 제1링크가 회동되어 상기 제2링크가 상승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의 상승시에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롤러 조립체는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제2링크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스토퍼의 제2링크는 측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설치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조립체는 승강시 상기 제1링크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유선형상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면의 하단에는 상기 제1링크와 접촉하는 단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급지대는 상기 원고 스토퍼가 하강시, 상기 제2링크가 적재된 원고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제2링크를 지지하는 돌출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14171A 2012-10-15 2012-10-15 자동 원고 급지 장치 KR10140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71A KR101404732B1 (ko) 2012-10-15 2012-10-15 자동 원고 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71A KR101404732B1 (ko) 2012-10-15 2012-10-15 자동 원고 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885A KR20140047885A (ko) 2014-04-23
KR101404732B1 true KR101404732B1 (ko) 2014-06-09

Family

ID=5065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171A KR101404732B1 (ko) 2012-10-15 2012-10-15 자동 원고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19B1 (ko) 2023-06-28 2024-03-08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문서 공급 장치의 반송성능 측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935A (ja) * 2000-09-21 2002-04-02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給紙装置
JP2002179274A (ja) * 2000-12-19 2002-06-26 Nisca Corp シート給紙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935A (ja) * 2000-09-21 2002-04-02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給紙装置
JP2002179274A (ja) * 2000-12-19 2002-06-26 Nisca Corp シート給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19B1 (ko) 2023-06-28 2024-03-08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문서 공급 장치의 반송성능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885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227B2 (en) Sheet feeder with stopper
KR101311608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US7571909B2 (en)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20080054549A1 (en) Document feeder
US7530563B2 (en) Paper-feed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304047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2005231844A (ja) 原稿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原稿自動読取り装置
JP618439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134727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갖춘 복합기
GB2420339A (en) Automatic document transportation device
JP6348733B2 (ja)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20120153564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606696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324781B2 (en) Automatic document transportation device
KR101404732B1 (ko) 자동 원고 급지 장치
US20150319323A1 (en) Interlocking assembly for a scanning unit
US7891656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sheet releasing mechanism
JP2002220122A (ja) 給紙装置
US7532850B2 (en) Document discharge cassette, image scanner having the cassette, and document scanning method
US8096547B1 (en) Sheet stopping structure
JP6003588B2 (ja) 画像読取装置
KR101665974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수동 급지 유닛용 저판 승강 장치
JP2539086B2 (ja) 給紙装置
JP2023110142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