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18B1 -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 Google Patents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18B1
KR101037918B1 KR1020080078898A KR20080078898A KR101037918B1 KR 101037918 B1 KR101037918 B1 KR 101037918B1 KR 1020080078898 A KR1020080078898 A KR 1020080078898A KR 20080078898 A KR20080078898 A KR 20080078898A KR 101037918 B1 KR101037918 B1 KR 10103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driving
braking means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212A (ko
Inventor
김규하
Original Assignee
김규하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하,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filed Critical 김규하
Priority to KR102008007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9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2Active Steering, Steer-by-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9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having more than one driven axle, e.g. 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주행에서의 조향이 조향핸들의 좌우 선회에 따라 조향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스키드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활수용 차체에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가 좌우에 구비되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조향을 핸들로 하도록 구성된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있어서, 육상주행 및 수중주행에서 조향을 위하여 좌우로 회전되는 조향핸들이 구비된 조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상주행장치는, 차체의 후미 좌우에서 수면 아래로 하강되는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향장치에는 조향핸들이 구비되어 수상주행에서 상기 조향핸들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륙 양용, 조향

Description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AN AMPHBIOUS VEHICLE HAVING HANDLE OPERATION TYPE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주행에서의 조향이 조향핸들의 좌우 선회에 따라 조향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수륙 양용 차량은 육상은 물론 수상에서 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육상 추진 수단과 수상 추진 수단을 탑재한 차량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91278(공개일:2007년 9월 10일)에는 육상에서는 바퀴를 구동시켜 주행하고, 수상에는 바퀴를 흘수선 위로 들어 올리고 워터 제트(Water Jet)를 분사하여 주행하는 수륙 양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수륙 양용 차량의 경우 육상에서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 주행이 이루어지는데 육상에서 조향 핸들을 선회시켜 차량을 조향하는 데 익숙한 운전자의 경우 수상 주행에서 육상에서 사용한 조향 핸들을 이용하여 조향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주행에서의 조향이 조향핸들의 좌우 선회에 따라 조향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활수용 차체에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가 좌우에 구비되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조향을 핸들로 하도록 구성된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있어서, 육상주행 및 수중주행에서 조향을 위하여 좌우로 회전되는 조향핸들이 구비된 조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상주행장치는, 차체의 후미 좌우에서 수면 아래로 하강되는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향장치에는 조향핸들이 구비되어 수상주행에서 상기 조향핸들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이 구비되고, 육상주행에서 상기 조향장치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스키드 방식이되, 상기 조향핸들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당겨지고 풀어지는 당김케이블이 조향핸들과 제동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상기 제동수단의 작동시키는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에 대응되는 조향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향신호에 따라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동수단으로 송출하여 제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수상주행에서의 조향이 조향핸들의 좌우 선회에 따라 조향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 용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차체 표면을 투명하게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차체 표면을 제거한 상태의 차체 샤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동력전달부 및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동력전달부 및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제어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수상추진장치의 승강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수상추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은, 차체(10),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 현가장치(30), 조향장치(40),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 및 수상주행장치(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10)는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상에서의 활수(滑水)를 위해 저면이 선박의 저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밀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체(10)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기 위한 좌석(11)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차량의 운전 및 제어를 위한 계기판 및 조작 스위치류가 구비된 조작패널(1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차체(10)의 양측에는 탑승자가 승하차시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답판(13)이 구비된다. 상기 활수용 차체(10)에는 육상 주행을 위한 바 퀴(51a,51b,52a,52b,53a,53b,54a,54b)가 좌우에 4열이 구비되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60)가 후미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는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밧데리(28)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모터(21,21')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전기 자동차 방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2구동장치(20')가 보조적으로 구비되어 제1구동장치(20)에 의한 출력 대비 부하가 큰 경우 제2구동장치(20')로부터 출력을 얻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제1구동장치(20)는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에 연결되고, 제2구동장치(20')는 후방 2열의 바퀴(53a,53b,54a,54b)에 연결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1구동장치(20)의 출력으로 주행을 하도록 하고, 험로나 경사로와 같이 부하가 미리 정해진 조건보다 큰 경우에는 제1구동장치(20)와 동시에 제2구동장치(20')를 구동시켜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부하에 대응하여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1')를 연동시켜 작동시키는 제어는 제어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장치(70)는 제1구동모터(21)의 구동시 그 제1구동모터(21)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 즉 제2구동모터(21')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70)는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모터(21)을 작동시키는데, 부하가 커서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 대비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제2구동모터(21')가 기동되도 록 제어하게 된다. 도면에는 차량의 속도를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속도신호를 송출하는 바퀴회전수감지센서(71)에 의해 산출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에는 상기 밧데리(28)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좌우 바퀴의 회전수 차이에 따른 차동을 수행하는 차동장치 및 클러치 등이 구비된 제1 및 제2동력전달부(22,22')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의 동력은 4열의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로 전달되는데, 제1구동장치(20')는 제1구동장치(20)와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구동장치(20)에서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로 전달되는 부분만으로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좌측과 우측으로 연결되는데, 그 동력전달부(22)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의 제동을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제동수단(23a,23b)을 거쳐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후방에 위치된 바퀴(52a,52b)에 대응되게 구비된 구동축(24b)로 연결되며, 구동축간 체인전동수단(25)에 의해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전방에 위치된 바퀴(51a,51b)에 대응되게 구비된 구동축(24a)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로 연결되는 전후에 위치된 구동축(24a,24b) 간에는 체인전동수단(25)으로 연결되고, 후방에 위치된 구동축(24b)이 상기 동력장치(20)의 동력전달부(22)에 연결된다. 구동축(24a) 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현가장치(30)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26) 및 바퀴축(27)을 통해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전방에 위치된 바퀴(51a,51b)에 전달된다. 정지를 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3)을 밟으면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은 동시에 작동되며, 조향을 위하여 운전자가 조향핸들(41)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 중 좌측 또는 우측 만이 작동된다.
상기 현가장치(30)는 트레일링 아암 형식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현가장치(30)에 구동축(24a)로 전달된 회전력을 바퀴(51a,51b)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현가장치(30)는 상기 차체(10)의 양측에서 차체(10)에 결합되어 구비된 아암축(31)과, 일단이 상기 아암축(31)에 연결되어 그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과, 상기 트레일링아암(32)의 선회를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3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아암축(31)은 체결플랜지(311)를 차체(10)에 볼트로 결합시켜 차체(10)의 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일링아암(32)의 일단에는 상기 아암축(31)이 삽입되기 위한 아암축구멍(32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바퀴축(27)이 삽입되어 회전지지되기 위한 바퀴축구멍(322)가 형성되며, 양단 사이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수단(33)의 하단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23)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수단(33)은 바퀴(51a)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트레일링아암(32)에 구비된 연결부(3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10)에 연결된다. 상기 바퀴(51a,51b)는 상기 현가장치(30)의 트레일링아암(32)의 타단에 구비된 바퀴축(27)에 구비된 바퀴축 허브(271)에 연결되어 바퀴축(51a)와 일체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R)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바퀴(51a,51b)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트레일링아암(32)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2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4a)이 상기 아암축(31)과 동심을 이루게 상기 아암축(31)의 중심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20)로부터 회전력은 상기 구동축(24a)에 전달되고, 그 구동축(24a)의 회전력이 상기 트레일링아암(32)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26)에 의해 상기 바퀴(51a,51b), 즉 바퀴축(27)으로 전달된다. 도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6)이 상기 구동축(24a)에 구비된 스프로킷(261)과 상기 바퀴(51a,51b)가 연결된 바퀴축(27)에 구비된 스프로킷(262)을 연결하는 체인(263)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구비된 풀리와 상기 바퀴에 연결된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질 수 있으며, 또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상기 바퀴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도록 상기 트레일링아암에 장착된 전동기어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수단(26)이 상기와 같이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R)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과 일체로 상기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구동축(24a)이 상기 아암축(31)과 동심이 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장치(40)는 육상주행 및 수상주행에서 조향을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향핸들(41)이 운전석에 구비된다.
육상주행에서 상기 조향장치(40)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스키드 조향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 중 일측을 제동시킴으로써 조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장치(20)에는 좌측 바퀴(51a,52a) 및 우측 바퀴((51b,52b)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향장치(40)는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의 어느 하나를 제동작동시킴으로써 스키드(Skid) 조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향장치(40)는 조향핸들(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을 작동시키도록 당겨지고 풀어지는 당김케이블(도면에 미도시)이 조향핸들(41)과 제동수단(23a,23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향핸들(41)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제동수단(23a)에 연결된 당김케이블이 좌측 제동수단(23a)를 작동시킴으로써 좌측열의 바퀴((51a,52a,53a,54a)의 회전이 제동되어 지면과 미끌어지면서 좌측 방향으로 차량이 좌측 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조향핸들의 회전에는 익숙하지만 스키드 조향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가 상기와 같이 조향핸들(41)을 회전시킴으로써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의 제동을 제어하여 일반적인 차량의 조향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회전에 대응되는 조향신호를 제어장치(70)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조향신호에 따라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동수단(23a,23b)으로 송출하여 제동수단(23a,23b)를 작동시켜 스키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수상주행에서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수상에서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상주행장치(60)는 수상 주행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에 연결된 스크류(62a,62b)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상주행장치(60)는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작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추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가 수중으로 위치되는 수중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수상주행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는 차체(10)의 후미 좌우 각각에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62a,62b)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승강수단(63)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육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61a,61b)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61a,61b)를 하강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63)은 하단에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10)에 상하방향(E)로 슬라이딩이 동되게 지지된 슬라이드바(631)와, 상기 슬라이드바(63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운동기(63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바(631)의 상단부에는 수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운동기(632)는 중앙에 상기 수스크류에 체결되는 암스크류가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자(632b)와, 상기 회전자(632b)의 외측을 둘러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632b)와 함께 상기 회전자(632b)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63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70)는 주행모드 선택 스위치(74)에 의해 육상주행 모드와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되며느 그에 따라 육상주행 및 수상주행을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 및 좌우측 수중모터(61a,61b)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70)는 육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수중모터(61a,61b)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61a,61b)를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7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72)의 조작에 따른 가속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의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의 출력 및 좌우측 수중모터(61a,61b)의 출력을 조절하여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70)는 육상주행에서 제1구동모터(21)만으로 차량을 주행시키고 차량이 험로나 경사로 등에서 부하가 커져 그 제1구동모터(21)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 즉 제2구동모터(21')를 기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70)는 가속페달(72) 의 가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모터(21)을 작동시키고, 부하가 커서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 대비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 상기 제2구동모터(21')가 기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바퀴회전수감지센서(71)로부터 차량의 속도신호를 수신받아 제1구동모터(21)와 제2구동모터(21')의 연동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차체 표면을 투명하게 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을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차체 표면을 제거한 상태의 차체 샤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 용 차량의 동력전달부 및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동력전달부 및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제어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 용 차량의 수상추진장치의 승강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수상추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차체
20,20' 제1 및 제2 구동장치
21,21' 제1 및 제2 구동모터
22,22'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
23a,23b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
24a,24b 구동축
25 구동축간의 체인전동수단
26 동력전달수단
27 바퀴축
30 현가장치
31 암축
32 트레일링아암
33 완충수단
40 조향장치
41 조향핸들
51a,51b,52a,52b,53a,53b,54a,54b 바퀴
60 수상주행장치
61 수중모터
62 스크류
63 승강수단
631 슬라이드바
632 승강모터
70 제어장치
71 바퀴회전수감지센서
72 가속 페달
73 브레이크 페달
74 주행모드 선택 스위치

Claims (4)

  1. 활수용 차체에 육상 주행시 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바퀴가 좌우에 구비되고, 활수용 차체가 수상에 떠있는 상태에서 활수용 자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수상주행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의 조향을 핸들로 하도록 구성된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에 있어서,
    육상주행 및 수중주행에서 조향을 위하여 좌우로 회전되는 조향핸들이 구비된 조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상주행장치는, 차체의 후미 좌우에서 수면 아래로 하강되는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중모터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체에 전후방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향장치에는 조향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조향장치는 수상주행시에 상기 조향핸들이 좌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활수용 차체가 좌측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고, 상기 조향핸들이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활수용 차체가 우측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활수용 차체의 좌우에 구비된 바퀴는 육상 주행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장치로부터 바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차단하고 좌측 및 우측 바퀴 각각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육상주행시 차량의 방향을 스키드 방식으로 조향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바퀴 중 어느 일측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되, 상기 조향핸들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좌측 제동수단에 의해 좌측 바퀴의 회전이 제동되도록 상기 조향장치는 좌측 제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조향핸들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우측 제동수단에 의해 우측 바퀴의 회전이 제동되도록 상기 조향장치는 우측 제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당겨지고 풀어지는 당김케이블이 조향핸들과 제동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의 작동시키는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에 대응되는 조향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향신호에 따라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동수단으로 송출하여 제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작형 조향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KR1020080078898A 2008-08-12 2008-08-12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KR10103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98A KR101037918B1 (ko) 2008-08-12 2008-08-12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98A KR101037918B1 (ko) 2008-08-12 2008-08-12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12A KR20100020212A (ko) 2010-02-22
KR101037918B1 true KR101037918B1 (ko) 2011-05-31

Family

ID=4209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98A KR101037918B1 (ko) 2008-08-12 2008-08-12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66B1 (ko) * 2011-05-26 2013-09-17 이정수 육륜 접지 개인용 자동차
CN105109292A (zh) * 2015-07-10 2015-12-02 贾文良 全地形车水上推进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201A (ja) 1999-06-09 2003-01-21 フオ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陸両用車両
KR100721319B1 (ko) 2006-07-03 2007-05-25 이효승 수륙양용 주행장치
KR20070091278A (ko) * 2004-10-22 2007-09-10 깁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수륙 양용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201A (ja) 1999-06-09 2003-01-21 フオ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陸両用車両
KR20070091278A (ko) * 2004-10-22 2007-09-10 깁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수륙 양용 차량
KR100721319B1 (ko) 2006-07-03 2007-05-25 이효승 수륙양용 주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12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0016B2 (en) Drifting kart
US4953646A (en) Electronic drive propuls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US9168818B2 (en) Electric vehicle
US8430192B2 (en) Robotic omniwheel vehicle
US6672916B1 (en) Amphibious vehicle
EP2001697A1 (en) Driving wheel structure for motor vehicle
WO2012024431A2 (en) Electric utility vehicle
KR101027545B1 (ko) 수륙 양용 차량
KR101021109B1 (ko) 핸들 조작형 스키드 조향 장치
JP4815703B2 (ja) トラクタ
US20140058624A1 (en) Active downforce generation for a tilting vehicle
KR101037918B1 (ko)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US20070017717A1 (en) Off-road vehicle with electromotive drive
JP2018012492A (ja) 電動式ボード
JP5029917B2 (ja) 車両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
KR20100020230A (ko) 전기 자동차
KR20100020156A (ko) 차량용 현가장치
CN102145642A (zh) 水陆浮具摩托车艇
JPH0848252A (ja) 荷 車
CN216269506U (zh) 一种电动堆垛车电助力转向装置
EP4091846A1 (en) Amphibious vehicle
JP2007022378A (ja) 管理機
CN114013502A (zh) 一种电动堆垛车电助力转向装置
WO2010067985A2 (ko) 다중 구동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KR20110103513A (ko) 상시 4륜 전기자동차의 기어박스와 그를 포함한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