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230A -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230A
KR20100020230A KR1020080078924A KR20080078924A KR20100020230A KR 20100020230 A KR20100020230 A KR 20100020230A KR 1020080078924 A KR1020080078924 A KR 1020080078924A KR 20080078924 A KR20080078924 A KR 20080078924A KR 20100020230 A KR20100020230 A KR 2010002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wheels
electric vehic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알앤디
김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알앤디, 김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알앤디
Priority to KR10200800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230A/ko
Priority to PCT/KR2008/007550 priority patent/WO2010018902A1/en
Publication of KR2010002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20/42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with use of more than on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B60L2240/46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8Four wheel or all wheel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30Wheel 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구동모터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의 바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하가 적은 경우에는 구동모터 중 일부만을 작동시키고 경사로나 험로 주행과 같이 큰 부하가 걸려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다른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부하의 변동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출력이 출력되도록 부하의 변동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충전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가 차체의 좌우에 구비되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장치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전후에 적어도 2열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 각각의 출력을 상기 전방열의 바퀴와 후방열의 바퀴 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동력 제1동력전달부 및 제2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구동모터 또는 제2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시 그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륙 양용, 전기 자동차

Description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구동모터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의 바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하가 적은 경우에는 구동모터 중 일부만을 작동시키고 경사로나 험로 주행과 같이 큰 부하가 걸려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다른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부하의 변동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출력이 출력되도록 부하의 변동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충전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의 편리성 및 환경친화적인 이유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경우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많다.
그런데,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큰 부하에 대하여도 충분한 출력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그 경우에는 불필요한 동력의 낭비가 많아 충전된 전력이 빨리 소진되어 운행 시간이 짧은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구동모터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의 바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하가 적은 경우에는 구동모터 중 일부만을 작동시키고 경사로나 험로 주행과 같이 큰 부하가 걸려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다른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부하의 변동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출력이 출력되도록 부하의 변동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충전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가 차체의 좌우에 구비되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장치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전후에 적어도 2열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 각각의 출력을 상기 전방열의 바퀴와 후방열의 바퀴 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동력 제1동력전달부 및 제2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구동모터 또는 제2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시 그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상기 차체는 수상에서 활수가 가능한 차체이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상주행장치는, 차체의 후미 좌우에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수중모터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육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상기 승강수단은, 하단에 상기 수중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상하로 슬라이딩이동되게 지지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운동기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상기 슬라이드바의 상단부에는 수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운동기는, 중앙에 상기 수스크류에 체결되는 암스크류가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상기 회전자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복수개의 구동모터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의 바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 하가 적은 경우에는 구동모터 중 일부만을 작동시키고 경사로나 험로 주행과 같이 큰 부하가 걸려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다른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부하의 변동에 따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출력이 출력되도록 부하의 변동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충전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육상에서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차체 표면을 투명하게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체 표면을 제거한 상태의 차체 샤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및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및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수상추진장치의 승강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수상추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차체(10),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 현가장치(30), 조향장치(40),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 및 수상주행장치(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10)는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상에서의 활수(滑水)를 위해 저면이 선박의 저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밀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체(10)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기 위한 좌석(11)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차량의 운전 및 제어를 위한 계기판 및 조작 스위치류가 구비된 조작패널(1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차체(10)의 양측에는 탑승자가 승하차시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답판(13)이 구비된다. 상기 활수용 차체(10)에는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가 좌우에 4열이 구비되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60)가 후미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는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밧데리(28)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모터(21,21')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전기 자동차 방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2구동장치(20')가 보조적으로 구비되어 제1구동장치(20)에 의한 출력 대비 부하가 큰 경우 제2구동장치(20')로부터 출력을 얻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제1구동장치(20)는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에 연결되고, 제2구동장치(20')는 후방 2열의 바퀴(53a,53b,54a,54b)에 연결되어 평지 주행과 같이 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1구동장치(20)의 출력으로 주행을 하도록 하고, 험로나 경사로와 같이 부하가 미리 정해진 조건보다 큰 경우에는 제1구동장치(20)와 동시에 제2구동장치(20')를 구동시켜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부하에 대응하여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21')를 연동시켜 작동시키는 제어는 제어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장치(70)는 제1구동모터(21)의 구동시 그 제1구동모터(21)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 즉 제2구동모터(21')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70)는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모터(21)을 작동시키는데, 부하가 커서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 대비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제2구동모터(21')가 기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면에는 차량의 속도를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속도신호를 송출하는 바퀴회전수감지센서(71)에 의해 산출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에는 상기 밧데리(28)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좌우 바퀴의 회전수 차이에 따른 차동을 수행하는 차동장치 및 클러치 등이 구비된 제1 및 제2동력전달부(22,22')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의 동력은 4열의 바퀴(51a,51b,52a,52b,53a,53b,54a,54b)로 전달되는데, 제1구동장치(20')는 제1구동장치(20)와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구동장치(20)에서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로 전달되는 부분만으로 제1 및 제2구동장치(20,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좌측과 우측으로 연결되는데, 그 동력전달부(22)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의 제동을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제동수단(23a,23b)을 거쳐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후방에 위치된 바퀴(52a,52b)에 대응되게 구비된 구동축(24b)로 연결되며, 구동축간 체인전동수단(25)에 의해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전방에 위치된 바퀴(51a,51b)에 대응되게 구비된 구동축(24a)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로 연결되는 전후에 위치된 구동축(24a,24b) 간에는 체인전동수단(25)으로 연결되고, 후방에 위치 된 구동축(24b)이 상기 동력장치(20)의 동력전달부(22)에 연결된다. 구동축(24a)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현가장치(30)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26) 및 바퀴축(27)을 통해 전방 2열의 바퀴(51a,51b,52a,52b) 중 전방에 위치된 바퀴(51a,51b)에 전달된다. 정지를 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73)을 밟으면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은 동시에 작동되며, 조향을 위하여 운전자가 조향핸들(41)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 중 좌측 또는 우측 만이 작동된다.
상기 현가장치(30)는 트레일링 아암 형식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현가장치(30)에 구동축(24a)로 전달된 회전력을 바퀴(51a,51b)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현가장치(30)는 상기 차체(10)의 양측에서 차체(10)에 결합되어 구비된 아암축(31)과, 일단이 상기 아암축(31)에 연결되어 그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과, 상기 트레일링아암(32)의 선회를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3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아암축(31)은 체결플랜지(311)를 차체(10)에 볼트로 결합시켜 차체(10)의 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트레일링아암(32)의 일단에는 상기 아암축(31)이 삽입되기 위한 아암축구멍(32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바퀴축(27)이 삽입되어 회전지지되기 위한 바퀴축구멍(322)가 형성되며, 양단 사이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수단(33)의 하단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23)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수단(33)은 바퀴(51a)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트레일링아암(32)에 구비된 연결부(3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10)에 연결된다. 상기 바퀴(51a,51b)는 상기 현가장치(30)의 트레일링아암(32)의 타단에 구비된 바퀴축(27)에 구비된 바퀴축 허브(271)에 연결되어 바퀴축(51a)와 일체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R)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바퀴(51a,51b)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트레일링아암(32)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2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4a)이 상기 아암축(31)과 동심을 이루게 상기 아암축(31)의 중심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20)로부터 회전력은 상기 구동축(24a)에 전달되고, 그 구동축(24a)의 회전력이 상기 트레일링아암(32)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26)에 의해 상기 바퀴(51a,51b), 즉 바퀴축(27)으로 전달된다. 도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6)이 상기 구동축(24a)에 구비된 스프로킷(261)과 상기 바퀴(51a,51b)가 연결된 바퀴축(27)에 구비된 스프로킷(262)을 연결하는 체인(263)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구비된 풀리와 상기 바퀴에 연결된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질 수 있으며, 또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상기 바퀴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도록 상기 트레일링아암에 장착된 전동기어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수단(26)이 상기와 같이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R)로 선회되는 트레일링아암(32)과 일체로 상기 아암축(3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구동 축(24a)이 상기 아암축(31)과 동심이 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장치(40)는 육상주행 및 수상주행에서 조향을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향핸들(41)이 운전석에 구비된다.
육상주행에서 상기 조향장치(40)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회전을 제동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스키드 조향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 중 일측을 제동시킴으로써 조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장치(20)에는 좌측 바퀴(51a,52a) 및 우측 바퀴((51b,52b)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향장치(40)는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의 어느 하나를 제동작동시킴으로써 스키드(Skid) 조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향장치(40)는 조향핸들(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을 작동시키도록 당겨지고 풀어지는 당김케이블(도면에 미도시)이 조향핸들(41)과 제동수단(23a,23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향핸들(41)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제동수단(23a)에 연결된 당김케이블이 좌측 제동수단(23a)를 작동시킴으로써 좌측열의 바퀴((51a,52a,53a,54a)의 회전이 제동되어 지면과 미끌어지면서 좌측 방향으로 차량이 좌측 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조향핸들의 회전에는 익숙하지만 스키드 조향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가 상기와 같이 조향핸들(41)을 회전시킴으로써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23a,23b)의 제동을 제어하여 일반적인 차량의 조향과 같은 방법으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회전에 대응되는 조향신호를 제어장치(70)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조향신호에 따라 제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동수단(23a,23b)으로 송출하여 제동수단(23a,23b)를 작동시켜 스키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수상주행에서 상기 조향장치(40)는 상기 조향핸들(41)의 좌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수상에서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상주행장치(60)는 수상 주행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에 연결된 스크류(62a,62b)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상주행장치(60)는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작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추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가 수중으로 위치되는 수중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수상주행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는 차체(10)의 후미 좌우 각각에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62a,62b)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승강수단(63)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61a,61b)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육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61a,61b)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61a,61b)를 하강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63)은 하단 에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10)에 상하방향(E)로 슬라이딩이동되게 지지된 슬라이드바(631)와, 상기 슬라이드바(63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운동기(63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바(631)의 상단부에는 수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운동기(632)는 중앙에 상기 수스크류에 체결되는 암스크류가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자(632b)와, 상기 회전자(632b)의 외측을 둘러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632b)와 함께 상기 회전자(632b)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63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70)는 주행모드 선택 스위치(74)에 의해 육상주행 모드와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되며느 그에 따라 육상주행 및 수상주행을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 및 좌우측 수중모터(61a,61b)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70)는 육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수중모터(61a,61b)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수중모터(61a,61b)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61a,61b)를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7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72)의 조작에 따른 가속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20,20')의 제1 및 제2구동모터(21,21')의 출력 및 좌우측 수중모터(61a,61b)의 출력을 조절하여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70)는 육상주행에서 제1구동모터(21)만으로 차량을 주행시키고 차량이 험로나 경사로 등에서 부하가 커져 그 제1구동모터(21)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 즉 제2구동 모터(21')를 기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70)는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모터(21)을 작동시키고, 부하가 커서 가속페달(72)의 가속신호 대비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 상기 제2구동모터(21')가 기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바퀴회전수감지센서(71)로부터 차량의 속도신호를 수신받아 제1구동모터(21)와 제2구동모터(21')의 연동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차체 표면을 투명하게 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차체 표면을 제거한 상태의 차체 샤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및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및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수상추진장치의 승강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수상추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차체
20,20' 제1 및 제2 구동장치
21,21' 제1 및 제2 구동모터
22,22' 제1 및 제2 동력전달부
23a,23b 좌측 및 우측 제동수단
24a,24b 구동축
25 구동축간의 체인전동수단
26 동력전달수단
27 바퀴축
30 현가장치
31 암축
32 트레일링아암
33 완충수단
40 조향장치
41 조향핸들
51a,51b,52a,52b,53a,53b,54a,54b 바퀴
60 수상주행장치
61 수중모터
62 스크류
63 승강수단
631 슬라이드바
632 승강모터
70 제어장치
71 바퀴회전수감지센서
72 가속 페달
73 브레이크 페달
74 주행모드 선택 스위치

Claims (4)

  1. 육상 주행을 위한 바퀴가 차체의 좌우에 구비되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장치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전후에 적어도 2열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 각각의 출력을 상기 전방열의 바퀴와 후방열의 바퀴 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동력 제1동력전달부 및 제2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구동모터 또는 제2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시 그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출력 토크 대비 따른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이하인 경우에 나머지 구동모터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수상에서 활수가 가능한 차체이고,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주행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상주행장치는, 차체의 후미 좌우에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중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수중모터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육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수상주행 선택시 상기 수중모터가 수면 아래에 위치되게 수중모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하단에 상기 수중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상하로 슬라이딩이동되게 지지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운동기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의 상단부에는 수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운동기는, 중앙에 상기 수스크류에 체결되는 암스크류가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상기 회전자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KR1020080078924A 2008-08-12 2008-08-12 전기 자동차 KR20100020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24A KR20100020230A (ko) 2008-08-12 2008-08-12 전기 자동차
PCT/KR2008/007550 WO2010018902A1 (en) 2008-08-12 2008-12-19 Electric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24A KR20100020230A (ko) 2008-08-12 2008-08-12 전기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30A true KR20100020230A (ko) 2010-02-22

Family

ID=4166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924A KR20100020230A (ko) 2008-08-12 2008-08-12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20230A (ko)
WO (1) WO20100189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9070A4 (en) * 2014-02-17 2017-12-06 Fomm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0907A (zh) * 2020-10-23 2021-02-05 中瑞百行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智能消防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508A (ja) * 1992-08-05 1994-03-04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動力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960016768U (ko) * 1994-11-08 1996-06-17
KR19990069121A (ko) * 1998-02-04 1999-09-06 김호균 수륙양용차
KR100507487B1 (ko) * 2003-05-27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사륜 구동장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9070A4 (en) * 2014-02-17 2017-12-06 Fomm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8902A1 (en)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0016B2 (en) Drifting kart
US4953646A (en) Electronic drive propuls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US9168818B2 (en) Electric vehicle
US8430192B2 (en) Robotic omniwheel vehicle
JP422531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4802099B2 (ja) 水陸両用車用の推進システム
US20090166106A1 (en) Vehicles Having Tandem Axle Assembly
JP2012532061A (ja) 電気機械を具備するポータルアクスルを備えた自動車用推進装置
CN1876422A (zh) 电动四轮驱动车辆的控制装置、电动驱动系统
CN202242996U (zh) 起重机
KR101027545B1 (ko) 수륙 양용 차량
US20140058624A1 (en) Active downforce generation for a tilting vehicle
KR101021109B1 (ko) 핸들 조작형 스키드 조향 장치
WO2012078168A1 (en) Hybrid tandem drive axle of a truck vehicle
JP2003009607A (ja) 電動式動力農機
KR101037918B1 (ko)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KR20100020230A (ko) 전기 자동차
CN102416863A (zh) 一种电动车动力系统
KR20100020156A (ko) 차량용 현가장치
US7211983B2 (en) Amphibious off-road vehicle
CN102145642A (zh) 水陆浮具摩托车艇
CN201665137U (zh) 水陆浮具摩托车艇
CN2930805Y (zh) 拖走式波浪船游乐装置
CN212708786U (zh) 一种水陆两栖三轮车
WO2010067985A2 (ko) 다중 구동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5

Effective date: 2011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