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653B1 -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 Google Patents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653B1
KR101037653B1 KR1020080129965A KR20080129965A KR101037653B1 KR 101037653 B1 KR101037653 B1 KR 101037653B1 KR 1020080129965 A KR1020080129965 A KR 1020080129965A KR 20080129965 A KR20080129965 A KR 20080129965A KR 101037653 B1 KR101037653 B1 KR 10103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tip
reflecting plate
fixing part
traf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299A (ko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세인건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건설(유) filed Critical 세인건설(유)
Priority to KR102008012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6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6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신호등의 갓에 있어서,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선단이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선단고정부와; 상기 반사판의 후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양측과 상기 반사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반사판의 후단을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후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교통신호등의 갓의 저면에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사판, 선단고정부, 후단고정부

Description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STRUCTURE OF SHADE FOR TRAFFIC SIGNAL LIGHT}
본 발명은 종래의 교통신호등의 갓의 저면에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교통신호등의 갓에 있어서,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선단이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선단고정부와; 상기 반사판의 후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양측과 상기 반사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반사판의 후단을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후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교통을 통제, 안내 및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통신호등은 대게, 전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함체와; 상기 발광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갓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갓은 상기 함체의 전면에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겨울철에 상기 갓의 상부면에 눈이 쌓일 경우 눈이 상기 갓의 선단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갓의 선단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눈으로 인해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의 갓의 상면 및 저면은 검은색을 띄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교통신호등의 발광부재의 빛이 용이하게 반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의 빛의 밝기가 약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 또한 약해지게 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은색 외표면을 갖는 신호등 갓의 내표면으로 반사물질인 알루미늄이나 니켈을 코팅 또는 도금형성한 내면에 반사층을 갖는 신호등 갓(등록특허 제10-0812287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내면에 반사층을 갖는 신호등 갓(등록특허 제10-0812287호)은 상기 갓의 내표면에 상기 반사물질을 코팅 또는 도금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갓을 제 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갓의 내표면에 상기 반사물질을 일일이 코팅 또는 도금형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표면에 상기 반사물질이 코팅 또는 도금형성된 상태의 상기 갓을 종래의 교통신호등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교통신호등의 갓을 분해한 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적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은 물론, 자원낭비까지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갓에 있어서,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선단이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선단고정부와; 상기 반사판의 후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양측과 상기 반사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반사판의 후단을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후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고정부는 상기 반사판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에는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선단고정부의 고정홈의 내부 상부면 및 내부 하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선단고정부의 상부면에는 눈흘러내림방지판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눈흘러내림방지판은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교통신호등의 갓의 저면에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고정부가 상기 반사판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판을 상기 갓의 선단에 보다 원활하게 끼움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선단고정부의 고정홈의 내부 상부면 및 내부 하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고정부가 상기 갓의 선단 및 상기 반사판의 선단을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끼움고정된 상태의 상기 갓의 선단 및 상기 반사판의 선단이 상기 선단고정부의 고정홈의 내부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선단고정부의 상부면에는 눈흘러내림방지판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겨울철에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보다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 면도이고, 도 4는 선단고정부(70)가 반사판(50)의 선단에서 후단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신호등(1)의 갓(30)에 있어서, 크게, 반사판(50), 선단고정부(70) 및 후단고정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반사판(50)은 상기 교통신호등(1)의 함체(10) 전면에 구비된 발광부재(미도시)의 빛을 보다 용이하게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갓(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50)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니켈 등의 반사물질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선단고정부(70)는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이 상기 갓(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기 갓(30)의 선단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선단고정부(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서 후단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선단고정부(7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70)에는 상기 갓(30)의 선단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7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선단고정부(70)의 단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710)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진 상태의 경사면(70a)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고정부(70)가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70)에는 상기 고정홈(710)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7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710)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진 상태의 상기 경사면(70a)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판(50)을 상기 갓(30)의 선단에 보다 원활하게 끼움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단고정부(70)의 고정홈(710)의 내부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걸림턱(712)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고정부(70)의 고정홈(710)의 내부 상부면 및 내부 하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상기 걸림턱(712)이 각각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고정부(70)가 상기 갓(30)의 선단 및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을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끼움고정된 상태의 상기 갓(30)의 선단 및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이 상기 선단고정부(70)의 고정홈(710)의 내부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선단고정부(70)의 상부에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선단고정부(70)의 상부면에는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은 상기 갓(30)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30)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고정부(70)의 상부면에는 상기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겨울철에 상기 갓(30)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30)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상기 눈이 상기 눈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갓(30)의 선단 하부에 메달림으로써, 상기 교통신호등(1)의 발광부재(미도시)의 빛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보다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단고정부(90)는 상기 반사판(50)의 후단을 상기 갓(30)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50)의 후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30)의 양측과 상기 반사판(50)의 양측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고정부재(910)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도 7은 고정부재(91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910)의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712)이 각각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9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닥판(912)과; 상기 바닥판(9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갓(30), 상기 반사판(50) 및 상기 후단고정부(90)가 끼움고정될 수 있는 끼움홈(914)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914)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일측 및 타측 측판(916,91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측판(916,918)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끼움홈(914)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진 상태의 경사면(9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910)의 일측 및 타측 측판(916,918)의 내주면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914) 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진 상태의 복수의 걸림턱(922)이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910)로는 예를 들어, 핀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910)가 바닥판(912), 일측 및 타측 측판(916,918), 경사면(920) 및 걸림턱(92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갓(30), 상기 반사판(50) 및 상기 후단고정부(90)가 상기 끼움홈(914)에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끼움고정된 상태의 상기 갓(30), 상기 반사판(50) 및 상기 후단고정부(90)가 상기 고정부재(910)의 끼움홈(914)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교통신호등(1)의 갓(30)의 저면에 상기 반사판(50)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상기 갓(30)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30)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선단고정부(7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선단고정부(70)의 상부면 일측에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상기 선단고정부(70)는 상기 반사판(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70)에는 상기 갓(30)의 선단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단고정부(7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750)과; 상기 바닥판(750)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벽(751)과; 상기 수직벽(751)의 상단에서 후단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수직벽(751)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판(7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750)과 상기 상판(752) 사이에는 상기 갓(30)의 선단이 끼움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닥판(750)의 내부 상부면 및 상기 상판(752)의 내부 하부면 에는 상기 고정홈(7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복수의 걸림턱(712)이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선단고정부(70)의 상판(752)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눈흘러내림방지판(7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단고정부(70)에는 상기 고정홈(71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고정부(70)가 상기 갓(30)의 선단을 보다 더욱 원활하게 끼움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선단고정부가 반사판의 선단에서 후단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반사판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선단고정부의 상부에 눈흘러내림방지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부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선단고정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선단고정부의 상부면 일측에 눈흘러내림방지판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통신호등, 10; 함체,
30; 갓, 50; 반사판,
70; 선단고정부, 70a,920; 경사면,
710; 고정홈, 712,922; 걸림턱,
730; 눈흘러내림방지판, 750,912; 바닥판,
751; 수직벽, 752; 상판,
90; 후단고정부, 910; 고정부재,
914; 끼움홈, 916; 일측 측판,
918; 타측 측판

Claims (5)

  1. 교통신호등의 갓에 있어서,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선단이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선단고정부와;
    상기 반사판의 후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갓의 양측과 상기 반사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반사판의 후단을 상기 갓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는 후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고정부는 상기 반사판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고정부에는 상기 갓의 선단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고정부의 고정홈의 내부 상부면 및 내부 하부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의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고정부의 상부면에는 눈흘러내림방지판이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눈흘러내림방지판은 상기 갓의 상부면에 쌓인 눈이 상기 갓의 선단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5. 삭제
KR1020080129965A 2008-12-19 2008-12-19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KR10103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965A KR101037653B1 (ko) 2008-12-19 2008-12-19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965A KR101037653B1 (ko) 2008-12-19 2008-12-19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299A KR20100071299A (ko) 2010-06-29
KR101037653B1 true KR101037653B1 (ko) 2011-05-27

Family

ID=4236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965A KR101037653B1 (ko) 2008-12-19 2008-12-19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122Y1 (ko) * 1985-07-15 1987-12-21 이상합 형광등 반사갓
KR20030038194A (ko) * 2001-11-09 2003-05-16 태림전자 주식회사 단위 표시구를 이용한 신호등 표시구조
KR100812287B1 (ko) * 2007-01-03 2008-03-13 주식회사 챠콜코리아 내면에 반사층을 갖는 신호등 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4122Y1 (ko) * 1985-07-15 1987-12-21 이상합 형광등 반사갓
KR20030038194A (ko) * 2001-11-09 2003-05-16 태림전자 주식회사 단위 표시구를 이용한 신호등 표시구조
KR100812287B1 (ko) * 2007-01-03 2008-03-13 주식회사 챠콜코리아 내면에 반사층을 갖는 신호등 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299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381B1 (ko) 도로용 조명장치
KR200195882Y1 (ko) 광전달을 이용한 자동차용 도로표시장치
KR101037653B1 (ko) 교통신호등의 갓의 구조
KR100986255B1 (ko)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가이드캡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US20160363281A1 (en) Daytime running lamp of a vehicle
KR200423327Y1 (ko) 도로용 경계석 식별기
KR200268756Y1 (ko) 반사판이부착된도로난간지주
KR20060106456A (ko)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KR102617542B1 (ko) 차량용 램프
KR200207045Y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KR100462411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레일의 반사체 구조
KR200391883Y1 (ko) 차선규제블록
KR200215220Y1 (ko) 가드레일용 반사커버
KR20100000334U (ko) 자동 복귀형 델리네이터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KR200447075Y1 (ko) 안전형 보차도경계석
KR101106707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구조
KR200378906Y1 (ko) 도로의 가드레일 끼움식 반사체
KR20080073483A (ko) 볼라드
JP2018177093A (ja) 車両前部の照灯周辺構造
KR101204131B1 (ko) 안개 차로병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JP4091900B2 (ja) 視線誘導反射体
KR100418368B1 (ko) 가이드 레일용 교통안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