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67B1 -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압착형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압착형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67B1
KR101032167B1 KR1020057014923A KR20057014923A KR101032167B1 KR 101032167 B1 KR101032167 B1 KR 101032167B1 KR 1020057014923 A KR1020057014923 A KR 1020057014923A KR 20057014923 A KR20057014923 A KR 20057014923A KR 101032167 B1 KR101032167 B1 KR 101032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medium
cover
shaf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553A (ko
Inventor
스야꼬 미야께
겐지 가네꼬
가오리 오지마
유끼에 모모이
게이이찌 가자미
게네쯔 기꾸찌
미쯔오 다무라
이와끼찌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기꾸찌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37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19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502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0837B2/ja
Application filed by 기꾸찌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기꾸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44B1/12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covered by fabric
    • A44B1/126Manufactur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 및 압착형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어, 크기가 다른 배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와, 표면판이 돔 형상으로 만곡한 형태로 형상이 갖추어진 다각 형상의 배지 및 그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배지 제조 장치(1)는 베이스(2)의 상면에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100)와, 미끄럼 이동대(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191)에 설치된 제1, 제2 받침형(110, 140)과, 베이스(2)의 상부에 지지 기둥(16, 17)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20)와, 고정 부재(20)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30)과, 압착축(30)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제1 받침형(110)과 제2 받침형(140)에 접합하여 배지(200)를 제조하는 압착형(40)과, 압착축(30)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32)으로 이루어진다.
배지 제조 장치, 베이스, 지지 기둥, 고정 부재, 압착축, 조작 수단, 미끄럼 이동대

Description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BADGE PRODUCTION DEVICE, BADGE, AND PRESS FORM MOUNTING METHOD IN BADGE PRODUCTION DEVICE}
본원 발명은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절곡하여 이면 덮개의 주연부에 압착시키고,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시킨 배지(BADGE) 및 그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지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의 상면에 설치된 모양지와 투과성을 갖는 커버 부재의 주위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절곡하여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에 압착시켜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에 접촉시켜 형성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의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소61-32005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반과, 기반에 고정된 암과, 암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핸들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누름형 어셈블리와, 기반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상에 설치 된 제1 받침형 어셈블리와 제2 받침형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누름형 어셈블리는 핸들로 회전하는 피니온과, 피니온과 맞물리는 래크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종래의 배지 제조 장치는 제2 받침형 어셈블리에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에는 대략 링 형상의 가공 경사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받침형 어셈블리의 가공 경사 테두리는 경사 각도가 모두 동일하며,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대략 중심을 향해 절곡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지 제조 장치는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대략 중심 측으로 절곡시키므로, 표면판이 돔 형상으로 만곡한 형태로 갖추어져 표면판에 커버판을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종래의 배지 제조 장치는 핸들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누름형 어셈블리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제1 받침형 어셈블리와 제2 받침형 어셈블리를 간단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누름형 어셈블리나 제1 받침형 어셈블리와 제2 받침형 어셈블리가 깨진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누름형 어셈블리와, 제1 받침형 어셈블리와 제2 받침형 어셈블리를 교환할 수 없으므로, 크기가 다른 배지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또한, 핸들에 가하는 힘의 가감을 알 수 없어 힘을 지나치게 주어 배지를 파손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배지 제조 장치는 원반형의 배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배지 제조 장치에서는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조하기 위해, 다각형의 표면판의 주연부를 절곡하는 다각형의 가공 경사 테두리를 갖는 가공대를 형성해야만 한다. 이 다각형의 가공 경사 테두리에는 직선 경사 테두리와 각이진 경사 테두리가 형성된다. 이 직선 경사 테두리에 의해 표면판의 주연부를 절곡하는 경우, 표면판의 주연부는 절곡선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대략 중심을 향해 절곡되지 않으므로, 표면판이 돔 형상으로 만곡하지 않고 파형으로 휘어 균일하게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표면판이 파형으로 휘면, 표면판에 커버판을 밀착시킬 수 없어 표면판과 커버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인 경우, 이동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된 것으로,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새로운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으로 바꿀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착형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새로운 압착형으로 바꿀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또한,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 압착형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크기가 다른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 압착형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 사이즈가 다른 배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착형에 성형 가공 이상의 압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된 것으로, 표면판이 돔 형상으로 만곡한 형태로 갖추어져 표면판에 커버판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 표면판과 커버판 사이에 모양지를 이동 불가능하게 둘 수 있는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공하는 것을 제5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6 목적으로 한다.
본원 청구항 1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 가능한 제1 받침형과,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 가능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이 설치된 부착 부재와,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제1 받침형 또는 상기 제2 받침형과 결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에 착탈 수단(부착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원 청구항 2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착탈 수단(부착 수단)은 상기 부착 부재의 한쪽을 결합하는 결합 수단(결합 부재)과, 상기 부착 부재의 다른 쪽을 로크하는 로크 수단(로크 부재)으로 이루어진다.
본원 청구항 3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부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4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5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과 결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과 결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6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의 각각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제1 받침형 또는 상기 제2 받침형과 접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7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8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압착형은 제1 받침형과 접합하는 외층 프레임과, 제2 받침형과 접합하는 내층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내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외층 프레임의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외층 프레임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9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에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과 접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축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고, 상기 수형 나사부는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떨어져 압착축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압착축은 상기 수형 나사부와,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수형 나사부를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분리하여, 압착축을 공회전시키는 수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로 이루어진다.
본원 청구항 11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베이스의 위쪽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는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형에 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져 조작 수단과 압착축 사이에는 조작 수단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압착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조작 수단에 소정치 이상의 조작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조작 수단을 상기 압착축에 대하여 공전시킨다.
본원 청구항 12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클러치는 탄성 부재로 힘이 가해진 걸림 돌기와, 이 걸림 돌기를 걸거나 벗기는 걸림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걸림 돌기 또는 걸림 오목부 중 한쪽이 조작 수단에 설치되고, 걸림 돌기 또는 걸림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압착축에 부착된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오목부가 결합하도록 상기 조작 수단에 결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3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시트 부재를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적재하여,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여져 있는 배지를 제조한다.
본원 청구항 14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이면 덮개와 제1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함으로써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제1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표면 덮개 적재형과 상기 제1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이면 덮개 적재형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제1 부착 부재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상기 제1 부착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착탈 수단)을 갖고, 상기 부착 수단(착탈 수단)에 의해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상기 제1 부착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1 표면 덮개 적재형 및 상기 제1 이면 덮개 적재형을 상기 미끄럼 이동대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게 하여, 교대로 배지 제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지가 제조 가능하다.
본원 청구항 15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표면 덮개 적재형 및 제1 이면 덮개 적재형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배지를 제조 가능한 압착 수단(압착형)을 갖고, 상기 배지 제조 위치는 상기 압착 수단(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의 위치이다.
본원 청구항 16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표면 덮개와는 다른 제2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표면 덮개 적재형과, 상기 제1 이면 덮개와는 다른 제2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이면 덮개 적재형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제2 부착 부재와 교환 가능하다.
본원 청구항 17에 기재된 배지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의 배지이며, 표면 덮개는 다각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이면 덮개는 다각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는 각이진 주연부가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되어, 이면 덮개에 부착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8에 기재된 배지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와,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의 배지이며, 표면 덮개는 다각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시트 부재는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적재되어, 이면 덮개는 다각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고, 표면 덮개는 각이진 주연부가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되어 이면 덮개에 부착되고, 상기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19에 기재된 배지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 부재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여져 있다.
본원 청구항 20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7, 18 또는 19에 기재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과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으로 이루어지며, 받침형은 상기 이면 덮개를 얹는 적재대와,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표면 덮개의 주연부의 직선부를 절곡하는 직선 경사 테두리와,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절곡하는 각형 경사 테두리를 갖고, 각형 경사 테두리에 의해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시키도록 하였다.
본원 청구항 21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7, 18 또는 19에 기재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설치된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형은 상기 표면 덮개를 얹는 제1 적재대를 갖고, 제2 받침형은 상기 이면 덮개를 얹는 제2 적재대와 제2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표면 덮개의 주연부의 직선부를 절곡하는 직선 경사 테두리와,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절곡하는 각형 경사 테두리를 갖고, 각형 경사 테두리에 의해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시키도록 하였다.
본원 청구항 22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받침형 및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 각각 개별적으로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위쪽에 위치하여 하단부에 상기 압착형과 결합하는 결합 수단(자성체)이 설치된 압착축이며,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단부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 또는 떨어짐 가능한 상기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에의 접근을 방지하는 커버를 갖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이며,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 중 어느 하나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착형 및 상기 압착형이 적재된 받침형을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를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자성체)에 의해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원 청구항 23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받침형 및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 각각 개별적으로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위쪽에 위치하여 하단부에 상기 압착형과 결합하는 결합 수단(자성체)이 설치된 압착축이며,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단부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 또는 떨어짐 가능한 상기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에의 접근을 방지하는 커버를 갖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이며, 상기 제1 받침형에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표면 덮개가 적재된 상기 제1 받침형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착형 및 상기 압착형이 적재된 상기 제1 받침형을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를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자성체)에 의해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구성의 해결 수단을 갖는다.
[제1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받침형은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은 미끄럼 이동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압착형은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압착형은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은 미끄럼 이동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설치되고, 압착형은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시트 부재를 적재하여,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상기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4, 제5 또는 제6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압착형은 제1 받침형과 접합하는 외층 프레임과, 제2 받침형과 접합하는 내층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내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외층 프레임의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외층 프레임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6 또는 제7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제1 받침형은 표면 덮개를 얹는 제1 적재대와, 제1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를 얹는 안내대로 구성되고, 안내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받침형은 이면 덮개를 얹는 제2 적재대와, 제2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8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압착형은 외층 프레임과, 외층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외층 프레임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을 갖고, 내층 프레임은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압착형에는 제1 받침형 또는 제2 받침형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에 의해 압착되는 외층 프레임 또는 내층 프레임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가 설치되고, 절환 부재는 제1 받침형이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외층 프레임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압착축에 의해 압착되고, 미끄럼 이동대를 이동하여 제2 받침형이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외층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압착축에 의해 압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제1 받침형을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압착축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1 받침형의 안내대와 접촉하여 안내대를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따라 시트 부재를 절곡하여 제2 받침형을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압착축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내층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2 받침형의 가공대와 접촉하여 가공대를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9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압착형은 압착형 본체와,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은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0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압착형 본체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압착축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고, 하단부에 압착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2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수형 나사부는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떨어져 압착축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조작 수단과 압착축 사이에는 조작 수단의 회전력을 압착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는 표면 덮개 또는 이면 덮개의 성형 가공 시의 압착력을 압착형에 부여하는 압착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표면 덮개 또는 이면 덮개의 성형 가공 종료 시에 성형 가공 시 이상의 압착력을 압착형에 부여하는 압착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4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클러치는 탄성 부재로 힘이 가해진 걸림 돌기와, 이 걸림 돌기를 걸거나 벗기는 결합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걸림 돌기가 조작 수단 또는 압착축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결합 오목부가 조작 수단 또는 압착축 중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표면 덮개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는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베이스의 상부에 지지 기둥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부에 설치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압착형은 제1 받침형과 접합하는 외층 프레임과, 제2 받침형과 접합하는 내층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외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에 흡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내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외층 프레임의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외층 프레임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의해 압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6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시트 부재를 적재하고, 상기 이면 덮개의 주연부와 상기 표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상기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이면 덮개에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한 배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4 또는 제17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제1 받침형은 표면 덮개를 얹는 제1 적재대와, 제1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를 얹는 안내대로 구성되고, 안내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받침형은 이면 덮개를 얹는 제2 적재대와, 제2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8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에는 제1 받침형 또는 제2 받침형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에 의해 압착되는 외층 프레임 또는 내층 프레임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가 설치되고, 절환 부재는 제1 받침형이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에 접촉하여 압착축에 의해 외층 프레임이 압착되고, 미끄럼 이동대를 이동하여 제2 받침형이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로부터 떨어져 압착축에 의해 내층 프레임이 압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제1 받침형을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압착축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1 받침형의 안내대와 접촉하여 안내대를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표면 덮개의 주연부에 따라서 시트 부재를 절곡하여 제2 받침형을 압착형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압착축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내층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2 받침형의 가공대와 접촉하여 가공대를 탄성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9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상하 이동 부재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압착형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9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이탈 수단은 압착형의 주위에 설치되는 링과, 링을 상하 이동 부재에 압접시키는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에 저항하여 링을 상하 이동 부재로부터 떼어내어 압착형을 이탈시키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 해결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21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배지 제조 장치이며, 시트 부재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전체 단면 측면도이다.
도5는 제1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7은 제2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9는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3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장착 수단에 고정 부착 핀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6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7은 협지 부착판을 부착한 도16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9는 자성판을 부착한 도18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0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를 다른 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조작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3은 도22의 조작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탈착 링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25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26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미끄럼 이동대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27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8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9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30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31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32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33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34는 도33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35는 도33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36은 도33의 전체 단면 측면도이다.
도37은 제1의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38은 도37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39는 제2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40은 도39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41은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42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43은 도42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44는 도43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5는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6은 도45의 장착 수단에 고정 부착 핀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9는 협지 부착판을 부착한 도48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50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 다.
도51은 자성판을 부착한 도50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52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53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를 다른 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54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조작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5는 도54의 조작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56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탈착 링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57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58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미끄럼 이동대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59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0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1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62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63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64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65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66은 도65의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67은 도65의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8은 본원 발명에 관한 다각 형상의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69는 도68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70은 도69의 X-X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전체 단면 측면도이다. 도5는 제1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7은 제2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9는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배지 제조 장치(1)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202)과 상기 표면판(20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203)를 갖는 표면 덮개(201)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206)과 상기 이면판(20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209)를 갖는 이면 덮개(205)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와 상기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205)에 표면 덮개(201)를 끼움 부착 한 배지(200)를 제조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1)는 베이스(2)와, 베이스(2)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100)와, 미끄럼 이동대(100)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110, 140)과, 베이스(2)의 상부에 지지 기둥(16, 17)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20)와, 고정 부재(20)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30)과, 압착축(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에 접합하여 배지(200)를 제조하는 압착형(40)과, 압착축(30)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32)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미끄럼 이동대(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40)은 압착축(30)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배지 제조 장치(1)는 상기 표면 덮개(201)의 표면판(202) 상에 시트 부재(213)를 적재하고, 상기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와 상기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 사이에 상기 시트 부재(213)의 주연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이면 덮개(205)에 표면 덮개(201)를 끼움 부착한 배지(200)를 제조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은 표면 덮개(201)를 얹는 제1 적재대(111)와, 제1 적재대(111)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213)를 얹는 안내대(125)로 구성되고, 안내대(125)는 탄성 부재(1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이면 덮개(205)를 얹는 제2 적재대(141)와, 제2 적재대(141)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213)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를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155)로 구성되고, 가공대(155)는 탄성 부재(1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40)은 압착형 본체(40A)와, 외층 프레임(42)과, 외층 프레임(42) 내에 설치되어 외층 프레임(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51)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은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4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형 본체(40A)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형(40)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30)이 축 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에, 외층 프레임(42), 내층 프레임(51)의 각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절환 부재(80)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압착축(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외층 프레임(42)과 내층 프레임(51)을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절환 부재(80)는 미끄럼 이동대(100)를 이동하여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압착축(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우선 내층 프레임(51)만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압착축(30)이 일정 거리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외층 프레임(42)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을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 수단(32)을 조작하여 압착축(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42)과 내층 프레임(51)은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외층 프레임(42)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의 안내대(125)와 접촉하여 안내대(125)를 탄성 부재(1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를 따라 시트 부재(213)를 절곡한다.
또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 수단(32)을 조작하여 압착축(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우선 내층 프레임(5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압착축(30)이 일정 거리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외층 프레임(42)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42)과 내층 프레임(51)이 동시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가공대(155)와 접촉하여 가공대(155)를 탄성 부재(156)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시트 부재(213)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를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측으로 절곡시킨다.
상기 시트 부재(213)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213)와 상기 표면 덮개(201)의 표면판(202)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211)를 놓아도 좋다.
상기 압착축(30)은 고정 부재(20)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하 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33)를 갖고, 하단부에 압착형(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32)이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수형 나사부(33)는 압착축(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40)이 고정 부재(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20)의 암형 나사부(25)로부터 떨어져 압착축(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지 제조 장치(1)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그 전에 배지의 실시 형태를 도10 내지 도1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3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장착 수단에 고정 부착 핀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6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7은 협지 부착판을 부착한 도16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9는 자성판을 부착한 도18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배지(200)는 주연부(209)가 위쪽을 향하는 이면 덮개(205)와, 주연부(203)가 아래쪽을 향하는 표면 덮개(201)와, 장착 수단(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면 덮개(205)는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가 절곡되어 표면 덮개(201)에 부착되어 있고, 대략 중심에 부착 구멍(207)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수단(220, 230, 240)은 의복, 모자, 가방 등의 피 장착물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면 덮개(205)의 부착 구멍(20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축(221, 231, 241)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배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지(200)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 본체(200a)와 장착 수단(220)으로 이루어진다. 배지 본체(200a)는 표면 덮개(201)와, 이면 덮개(205)와,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로 이루어진다. 표면 덮개(201)는 가공 전에 있어서 만곡한 표면판(202)을 갖고, 주연부(203)가 표면판(202)에 대하고 아래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면 덮개(205)는 가공 전에 있어서 장착 수단(220)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207)이 형성된 이면판(206)을 갖고, 주연부(209)가 이면판(206)에 대하여 위쪽을 향하여 대략 직각 이상으로 절곡되어, 이면판(206)에 원형의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모양지(211)는 원형의 종이로 잡지 등을 오려 낸 것이라도 상관없다. 시트 부재(213)는 투과성을 갖는 얇은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213)에 직접,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를 인쇄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양지가 없더라도 좋다. 배지 본체(200a)는 표면 덮개(201)의 상면에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가 포개어져,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의 주위를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가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207)의 주연부에는 안쪽을 향해 한 쌍의 걸림 갈고리(210, 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장착 수단(220)은 도13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22)과, 기판(222)의 표면(223)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걸림부(225)와, 기판(222)의 이면(226)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221)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220)은 걸림부(225)에 고정 부착 핀(229)이 부착되고, 부착축(221)이 이면 덮개(205)의 부착 구멍(2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205)의 오목부(208)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221)은 부착 구멍(2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2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210, 210)에 걸리게 된다.
장착 수단(230)은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32)과, 기판(232)의 표면(233) 대략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대략 U자형의 베어링 부재(234, 234)와, 기판(232)의 이면(235)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231)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230)은 한 쌍의 베어링 부재(234, 234) 사이에 지지축(236)을 거쳐서 협지 부착판(237)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238)에 의해 협지 부착판(237)의 일단부(237a)가 기판(232)의 이면(235)에 압접하고 있다.
즉, 협지 부착판(237)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34, 234)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한 쌍의 대략 U자형의 베어링 부재(239, 239)를 갖고, 한 쌍의 베어링 부재(234, 234) 사이와 한 쌍의 베어링 부재(239, 239)에 지지축(236)이 삽입 관통되어, 기판(23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231)이 이면 덮개(205)의 부착 구멍(2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205)의 오목부(208)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231)은 부착 구멍(2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2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210, 210)에 걸리게 된다.
장착 수단(240)은 도18,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42)과, 기판(242)의 이면(243)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241)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240)은 기판(242)의 표면(245)에 자성판(246)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부착축(241)이 이면 덮개(205)의 부착 구멍(2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205)의 오목부(208)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241)은 부착 구멍(2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2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210, 210)에 걸리게 된다.
배지 제조 장치(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2)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상부벽(3)과 상부벽(3)의 주연부에 형성된 만곡한 주위벽(5)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벽(3)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역 ㄷ자형의 안내 홈(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6)은 바닥벽(7)과 측벽(9, 10)으로 이루어지고, 측벽(9, 10)의 상부에 가이드 돌기(9a, 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의 상부벽(3) 이면 대략 중앙에는 안내 홈(6)을 사이에 두고, 안내 홈(6)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 양측에, 안내 홈(6)의 바닥벽(7)과 대략 동일한 높이의 보스(11, 12)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11, 12)에는 상부벽(3)까지 연장되는 삽입 통과 구멍(11a, 12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의 안내 홈(6)의 바닥벽(7)에는 안내 홈(6)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에 단면 대략 역 ㄷ자형의 보강 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 (15)는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15)는 보스(11, 12)와 접촉하여, 보스(11, 12)의 삽입 통과 구멍(11a, 12a)과 동일한 위치가 되는 양측에 구멍(15a, 15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에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지지 기둥(16, 1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둥(16, 17)은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16)은 하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6a)가 보스(11)의 삽입 통과 구멍(11a) 및 보강 부재(15)의 구멍(15a)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18)에 의해 체결되어, 보스(11) 및 보강 부재(15)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17)은 하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7a)가 보스(12)의 삽입 통과 구멍(12a) 및 보강 부재(15)의 구멍(15b)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19)에 의해 체결되어, 보스(12) 및 보강 부재(15)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2)의 상부에는 지지 기둥(16, 17)을 거쳐서 단면 대략 H자형의 고정 부재(20)가 대략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16)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6b)가 고정 부재(20)의 한쪽에 형성된 구멍(20a)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21)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20)를 고정하고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17)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7b)가 고정 부재(20)의 다른 쪽에 형성된 구멍(20b)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22)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20)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 부재(20)는 대략 중심에 역삼각형의 두께부(23)가 형성되고, 이 두께부(23)에 암형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30)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 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20)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33)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압착형(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32)이 설치되어 있다.
수형 나사부(33)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축(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40)이 고정 부재(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20)의 암형 나사부(25)로부터 떨어져 압착축(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축(30)의 하부에는 수형 나사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핸들(32)은 대략 중심에 직사각 형상의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이 부착 구멍을 압착축(30)의 상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축에 끼움 부착하여, 압착축(3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30)의 하단부에는 후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과 접합하는 압착형(40)이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40)은 압착형 본체(40A)와,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으로 이루어진다. 압착형 본체(40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를 갖고, 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상면 대략 중심에 원형 돌기(40B)가 형성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하면 대략 중심에 원형 오목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대략 중심에는 원형 돌기(40B)의 대략 중심과 원형 오목부(40C)의 대략 중심을 연통하는 개구(40D)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하면에는 원형 오목부(40C)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의 안내벽(40E)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하면이며, 링 형상의 안내벽(40E) 내에는 자력을 갖는 링 형상의 자성체(8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87)는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30)은 결함 나사부(34)의 하부에 압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60)는 상기 개구(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압착축(30)은 압착형 본체(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결함 나사부(3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65)가 개구(40D) 주연부에 접촉하는 부분까지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되면, 압착축(30)은 그 이상 압착형 본체(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압착축(30)과 압착형 본체(40A)는 일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부(60)의 하부는 압착축(30)의 반경보다 약간 반경이 작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 오목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축(30)의 하단부, 즉 압착부(60)의 하부에 설치된 원주형의 결합 오목부(57)의 단부에는 장착 부재(77)가 나사(6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장착 부재(77)는 상기 압착형 본체(40A)의 원형 오목부(40C)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원형 돌기(78)가 형성되고, 하면 주연부에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79)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돌기(78)는 상기 개구(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77)는 압착축(30)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축(30)의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한 경우,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압착형 본체(40A)로부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장착 부재(77)는 하면 대략 중앙에 오목부(7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74) 내에 상기 나사(69)의 헤드부가 수납되어 있다. 장착 부재(77)의 하면이며,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79) 내에는 자력을 갖는 원판형의 자성체(88)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88)는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층 프레임(4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링 형상의 압착부(50)가 되어 상면에 수납 오목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45) 내에 철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자성체(46)가 부착되어 있다. 외층 프레임(42)은 장착 부재(77)의 가이드 돌기(79)로 안내되어, 압착형 본체(40A)의 하면에 부착된 링 형상의 자성체(87)에 자성체(46)가 흡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자성체(87)가 철 등의 강자성체이며, 자성체(46)가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라도 상관없다.
내층 프레임(51)은 외층 프레임(42) 내에 설치되어, 외층 프레임(42)보다 얕게 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1)은 하면에 만곡부(52)가 형성되어, 만곡부(52)의 주연부에 후기 배지의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53)가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1)은 상면에 수납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 오목부(55) 내에 철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자성체(56)가 부착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1)은 장착 부재(77)의 하면에 부착된 자성체(88)에 자성체(56) 가 흡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자성체(88)가 철 등의 강자성체이며, 자성체(56)가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라도 상관없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 양단부에 상기 지지 기둥(16, 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멍(71, 72)이 설치되고, 이 안내 구멍(71, 7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한쪽 단부에는 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착형(40)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30)이 축 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에, 외층 프레임(42), 내층 프레임(51)의 각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40), 즉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원형 돌기(40B)에는 베어링부(75)가 형성되고, 이 베어링부(75)에 절환 부재(80)가 나사(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절환 부재(80)는 베어링부(75)에 나사(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스부(81)와, 보스부(81)에 설치된 제1 암 부재(82)와, 제1 암 부재(82)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60)의 결합 오목부(57)에 결합 가능한 반링형의 결합부(83)와, 제1 암 부재(82)와 대략 반대 측의 보스부(81)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암 부재(85)로 이루어지며, 제2 암 부재(85)에는 타원형의 결합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16)에는 요동 부재(90)가 압착형(40)과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90)는 지지 기둥(16)에 부착되는 보스부(91)와, 보스부(91)의 한쪽에 설치된 암부(92)와, 보스부(91)의 다른 쪽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 훅(93)으로 이루어진다. 암부(92)에는 결합축(95)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95)은 상부(95a)가 상기 절환 부재(80)의 결합 홈(86)에 결합하고, 하부(95b)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에 형성된 긴 구멍(44)으로부터 돌출하여, 하부(95b)에 결합 로드(9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후방부에는 스프링 받침 훅(96)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받침 훅(96)과 요동 부재(90)의 스프링 받침 훅(93) 사이에 스프링(97)이 개재 장착되어, 이 스프링(97)의 탄성에 의해 요동 부재(90)를 거쳐서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가 압착부(60)의 결합 오목부(57)에 압접 결합하고 있다. 고정 부재(20)와 압착형(40) 사이의 지지 기둥(16, 17)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35, 36)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35, 36)에 의해 압착형(40)[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압착축(30)의 수형 나사부(33)가 고정 부재(20)의 암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압착형 본체(40A), 구체적으로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42)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이탈 수단(26)은 원형 돌기(40B)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3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압출 로드(27)와, 압출 로드(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조작 버튼(28)과, 원형 돌기(40B)와 조작 버튼(28) 사이에 설치되어, 압출 로드(27)에 권취 장착되어 압출 로드(27)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29)로 이루어진다.
베이스(2)의 안내 홈(6)에는 미끄럼 이동대(10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는 바닥벽(105)과, 바닥벽(105)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방벽(101)과, 바닥벽(105)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방벽(103)과, 바닥벽(105)의 좌단부에 설치된 좌측벽(106)과, 바닥벽(105)의 우단부에 설치된 우측벽(107)으로 이루어진다. 전방벽(101)에는 손잡이(102)가 설치되고, 후방벽(103)에는 손잡이(104)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벽(106)과 우측벽(107)에는 안내 홈(6)의 측벽(9, 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9a, 10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테두리(106a, 107a)가 형성되고, 미끄럼 이동대(100)는 베이스(2)의 전후 방향으로만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106)에는 상기 결합축(95)의 결합 로드(98)와 결합하는 전방 결합벽(99a)과 후방 결합벽(99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107)에는 후기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에 걸리게 되는 제1 걸림 오목부(176)와 제2 걸림 오목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바닥벽(105)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구비한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단부 테두리(192)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105)에는 이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오목부(194)를 형성하는 주위벽(195)이 형성되어 있다. 주위벽(195)의 후단부에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의 후단부 테두리(193)를 결합 하는 대략 L자형의 결합 부재(결합 수단)(19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195)의 반원형의 전방 테두리에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의 전단부 테두리(192)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로크 수단)(197)와, 로크 부재(로크 수단)(197)와 전방벽(101) 사이에 배치되어, 로크 부재(로크 수단)(197)를 로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19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는 미끄럼 이동대(100)의 왕복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은 표면 덮개(201)를 얹는 제1 적재대(111)와, 제1 적재대(11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를 포개어 얹는 안내대(125)로 구성되고, 안내대(125)는 탄성 부재(1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적재대(111)는 완만하게 만곡한 상부벽(115)과, 상부벽(115)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116)과, 상부벽(115)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11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적재대(111)는 주위벽(116)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설치된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11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117)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형성된 보스부(119)의 오목부(12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의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나사(122)를 고정축(117)에 나사 고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대(12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를 포개어 얹는 링 형상의 적재부(126)와, 적재부(126)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의 주연부를 안내하는 안내벽(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대(125)의 안내벽(127)에는 상기 외층 프레임(42)의 압착부(50)가 끼워 맞추어져, 압착부(50)가 적재부(126)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126)의 내측 하면에는 제1 적재대(111)의 주위벽(116)을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통형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대(125)는 상기 제1 적재대(111)의 주위벽(116)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132)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32)는 상기 제1 적재대(111)의 고정축(117)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130)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32)의 하단부와 통형부(129)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133)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133)는 제1 적재대(111)의 주위벽(116)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135)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 적재대(111)의 상부벽(115)과 안내대(125)의 적재부(126)는 대략 동일한 높이이며, 상부벽(115)과 적재부(126) 사이에 표면 덮개(201)가 절곡된 주연부(203)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13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대(125)는 제1 적재대(111)의 고정축(117)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1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이면 덮개(205)를 얹는 제2 적재대(141)와, 제2 적재대(14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의 주위를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를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155)로 구성되고, 가공대(155)는 탄성 부재(1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적재대(141)는 원형의 오목부(142)가 형성된 상부벽(143)과, 상부벽(143)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145)과, 상부벽(143)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146)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적재대(141)는 주위벽(145)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설치된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14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146)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형성된 보스부(149)의 오목부(15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한 나사(152)를 고정축(146)에 나사 고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고정되어 있다.
가공대(15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결합 단차부(157)가 형성되어, 이 결합 단차부(157)에 금속 고리(159)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이 금속 고리(159)에는 모양지(211)와 시트 부재(213)의 주위를 안쪽으로 접어 넣으면서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와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를 이면 덮개(205)에 주연부(2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사 테두리(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공대(155)의 상부에 직접 경사 테두리(160)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경사 테두리(160)의 상부에는 상기 외층 프레임(42)의 압착부(50)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단차부(157)의 하부에는 제2 적재대(141)의 주위벽(145)을 따라서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통형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대(155)는 상기 제2 적재대(141)의 주위벽(145)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163)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63)는 상기 제2 적재대(141)의 고정축(14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165)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63)의 하단부와 통형부(162)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167)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167)는 제2 적재대(141)의 주위벽(145)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169)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공대(155)는 제2 적재대(141)의 고정축(146)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1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베이스(2)에는 미끄럼 이동대(100)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17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170)는 안내 홈(6)의 근방에 설치되어, 나사(173)에 의해 부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178)에 의해 압접된 걸림판(172)을 갖고, 걸림판(172)의 하면에 걸림 돌기(175)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는 상기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에 걸리게 되는 제1 걸림 오목부(176)와 제2 걸림 오목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제1 걸림 오목부(176)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걸리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위치하고, 미 끄럼 이동대(100)의 제2 걸림 오목부(177)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걸리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전방 결합벽(99a)이 절환 부재(80)의 결합축(95)의 결합 로드(98)에 결합하여, 반링형의 결합부(83)가 스프링(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75)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전하고, 압착부(60)의 결합 오목부(57)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도 압착부(60)는 개구(40D)에 삽입 관통할 수 없게 되므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장착 부재(77)[및 장착 부재(7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내층 프레임(51)]와 압착형 본체(40A)[및 압착형 본체(40A)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외층 프레임(42)]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후방 결합벽(99b)이 절환 부재(80)의 결합축(95)의 결합 로드(98)에 결합하여, 반링형의 결합부(83)가 스프링(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75)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전하고, 압착부(60)의 결합 오목부(57)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우선 압착축(30)의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장착 부재(77)[및 장착 부재(7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내층 프레임(51)]를 압착형 본체(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부(60)의 상부의 플랜지부(65)가 개구(40D) 주연부에 접촉했을 때, 압착형 본체(40A)[및 압착형 본체(40A)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외층 프레임(4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면 부호 180은 커버이다. 커버(180)는 베이스(2)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어, 미끄럼 이동대(100)의 미끄럼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방부와 후방부에 제1, 제2 개구(181, 182)가 형성되고, 제1 개구(1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출몰하고, 제2 개구(182)로부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출몰한다. 이 커버(180)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 즉 압착형(40)과 결합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부근으로의 손의 침입이 방지되어, 이때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제2 개구(182)로부터 커버(180)의 외부로 돌출하므로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 즉 압착형(40)과 결합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제2 받침형(140) 부근으로의 손의 진입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180)에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지시판을 볼 수 있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이 긴 구멍으로부터 지시판을 보고 압착형(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전방벽(101)에 설치된 손잡이(102)를 잡고 커버(180)의 제1 개구(1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을 꺼내어 표면 덮개(201)를 제1 적재대(111)의 상부벽(115)에 얹으면, 주연부(203)가 상부벽(115)과 적재부(126) 사이의 간극(136)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모양지(211) 위에 시트 부재(213)를 포개고 나서 모양지(211)를 안내대(125)의 적재부(126)에 얹는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상에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을 얹는다.
전방벽(101)의 손잡이(102)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1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제1 걸림 오목부(176)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걸려,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위치하고,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커버(180)의 제2 개구(182)로부터 돌출한다. 조작 핸들(32)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0)이 정회전하고, 탄성 부재(35, 36)에 의해 수형 나사부(33)가 고정 부재(20)의 암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하여,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축(30)을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압착축(30)의 하부에 설치된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하려고 하지만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에 의해 삽입 관통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착축(30)의 하단부에 설치된 장착 부재(77)는 압착형 본체(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즉 압착형 본체(40A)와 장착 부재(77)가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압착축(30)이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형 본체(40A)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87)와 외층 프레임(42)의 상면에 설치된 자성체(46)가 접촉하여 압착형 본체(40A)에 외층 프레임(42)이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형 본체(40A)에 흡착된 외층 프레임(42)의 압착부(50)가 안내대(125)의 안내벽(127)에 끼워 맞추어져 적재부(126)에 압접하고, 안내대(125)를 탄성 부재(1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안내대(125)에 포개어 얹은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 적재대(111)에 얹은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에 접촉한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적재대(111) 상의 내층 프레임(51)의 상면에 설치된 자성체(56)에 장착 부재(77)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88)에 접촉하여, 장착 부재(77)에 내층 프레임(51)이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이때, 압착형(40)의 위치는 지시판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조작 핸들(32)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0)이 역회전하여 수형 나사부(33)에 의해 압착축(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압착형(40) 전체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도 각각 압착형 본체(40A), 장착 부재(77)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있으므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와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한다.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주연부(203)에 접촉한 상태의 표면 덮개(201)는 외층 프레임(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압착부(60)가 두께부(23)에 접촉하기 직전, 압착축(30)의 수형 나사부(33)가 고정 부재(20)의 암형 나사부(25)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압착축(30)은 공회전하여 압착형(40)이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압착부(60)가 두께부(23)에 압접하지 않고, 그로 인해 압착부(60) 및 압착형(40)이 깨지는 일이 없다.
커버(180)의 제2 개구(182)로부터 돌출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제2 적재대(141)의 상부벽(143)에, 주연부(209)를 상부를 향하게 하여 이면 덮개(205)를 얹으면, 고정 부착 핀(229)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207)가 오목부(142)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주연부(209)가 가공대(155)의 통형부(162)의 내면으로 안내되어 위치 결정된다.
후방벽(103)의 손잡이(104)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1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제2 걸림 오목부(177)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결합하고,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위치하여,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커버(180)의 제1 개구(181)로부터 돌출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압착형(3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 결합벽(99b)이 절환 부재(80)의 결합축(95)의 결합 로드(98)에 결합되고, 반링형의 결합부(83)가 스프링(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압착부(60)의 결합 오목부(57)로부터 분리된다.
조작 핸들(32)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축(30)이 정회전하여,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압착축(30)의 하부에 설치된 압착부(60)가 개구(40D)에 삽입 관통하여 장착 부재(77) 및 내층 프레임(51)을 압착형 본체(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내층 프레임(51)의 접촉 테두리(53)가 표면 덮개(201)의 상단부 테두리에 접촉하여 표면 덮개(201)를 외층 프레임(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축(40)에 설치된 플랜지부(65)가 개구(40D) 주연부에 접 촉함으로써 압착형 본체(40A) 및 외층 프레임(4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 가면 외층 프레임(42)은 가공대(155)와 접촉하여, 가공대(155)를 탄성 부재(1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그와 대략 동시에 내층 프레임(51)에 의해 외층 프레임(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려진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가공대(155)의 경사 테두리(160)에 접촉하여 안쪽으로 절곡되고, 다음에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도 이 경사 테두리(160)에 압접한다.
또한, 압착축(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가공대(155)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대(100)에 접촉하여 가공대(155)를 밀어 내릴 수 없게 될 정도까지 이동하면,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가 경사 테두리(160)에 의해 더욱 안쪽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는 경사 테두리(160) 및 제2 적재대(141)의 주연부에 의해 위쪽을 향할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때 제2 적재대(141) 상의 이면 덮개(205)는 표면 덮개(201)에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를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와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끼움 부착되어 배지 본체(200a)가 제조된다.
조작 핸들(32)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0)이 역회전하여 압착축(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압착형(40) 전체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에는 배지 본체(200a)가 그대로 얹혀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후방벽(103)에 설치된 손잡이(104)를 잡고 커버(180)의 제2 개구(182)로부 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꺼내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으로부터 배지 본체(200a)를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배지 본체(200a)의 부착 구멍(207)에, 상기한 장착 수단(220)(또는 230, 240)의 부착축(221)(또는 231, 241)을 삽입하여 배지(200)가 완성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1)는 제조하는 배지(200)의 크기에 맞추어 압착형(40)의 외층 프레임(42) 및 내층 프레임(51),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외층 프레임(42)은 자성체(87)와 자성체(46)의 흡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자력 이상의 사이를 벌리는 힘을 가함으로써 압착형 본체(40A)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 수단(26)의 조작 버튼(28)을 탄성 부재(29)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압출 로드(27)의 선단부가 외층 프레임(42)의 한쪽을 밀어내려 자성체(87)로부터 분리하여, 외층 프레임(42)을 압착형 본체(40A)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층 프레임(51)은 자성체(88)와 자성체(56)의 흡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자력 이상의 사이를 벌리는 힘을 가함으로써 압착형 본체(40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1)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배지(200)의 크기를 바꾸기 위해, 상기 외층 프레임(42)보다 큰 외층 프레임(42a) 및 상기 내층 프레임(51)보다 큰 내층 프레임(51a)을, 자성체(87)와 자성체(88)의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40A)에 부착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동시에 미끄럼 이동대(100)에 착탈 가능 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즉,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를 착탈함으로써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동시에 착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보다 큰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110a) 및 상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보다 큰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140a)이 설치된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191a)를 미끄럼 이동대(100)에 부착만 하면 된다.
배지 제조 장치(1)는 고정 부재(20), 지지 기둥(16, 17), 보강 부재(15)에 의해 대략 ㅁ자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도를 높이고 있고, 이 강화된 프레임 내에서 프레스 작업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축(30)을 회전시키면 압착형(40)이 내려가, 상대적으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위로 올라가고, 압착형(40)과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양쪽으로부터의 협지 압력에 의해 배지 본체(200a)를 제조하므로 베이스(2)를 누르는 일이 없어 안정된 곳에 두지 않고 불안정한 곳에 두어도, 예를 들어 베이스(2)를 손으로 운반하면서도 작업할 수 있다. 또, 압착형(40)을 누르는 데 수형 나사부(3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배지 제조 장치(301)에 대하여, 도20 내지 도3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20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이다. 도21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를 다른 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조작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3은 도22의 조작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탈착 링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25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26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미끄럼 이동대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27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8은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9 내지 도32는 도20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또, 베이스(2) 및 지지 기둥(16, 17)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2)의 상부에는 지지 기둥(16, 17)을 거쳐서 단면 대략 역 ㄷ자형의 고정 부재(320)가 대략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3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16)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6b)가 고정 부재(320)의 한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21)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320)를 고정하고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17)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17b)가 고정 부재(320)의 다른 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22)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320)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 부재(320)는 대략 중심에 보스부(323)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323)에 암형 나사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330)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고정 부재(320) 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325)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333)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조작 수단(310)이 설치되어 있다.
수형 나사부(333)는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축(3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가 고정 부재(3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320)의 암형 나사부(325)로부터 떨어져 압착축(3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축(330)의 하부에는 수형 나사부(3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334)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축(330)은 상단부에 육각축(3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과 접합하는 압착형(3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수단(310)은 도22, 도23,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311)과 클러치(400)로 이루어진다. 조작 핸들(311)은 원반형의 상부 케이스(312)와, 하부 커버(313)와, 상부 커버(314)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312)는 상부벽(315)과, 상부벽(315)의 주연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측벽(317)으로부터 상부 주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동일벽(316)으로 이루어지며, 동일벽(316)은 잡기 쉽게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315)은 하면에 링 형상의 안내벽(318)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벽(318)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8군데에 걸림 오목부(319)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312)의 상부벽(315)의 대략 중심에는 베어링 구멍(32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314)는 돔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벽(315)의 측벽(317)에 끼움 부착되어 있다. 하부 커버(31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략 중 심에 베어링 구멍(327)이 형성된 보스부(3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버(313)는 나사(329)를 하부 커버(313)의 4군데에 형성된 관통 구멍(304)을 통해 조작 핸들(311)의 상부벽(315) 하면의 4군데에 형성된 나사 구멍(305)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작 핸들(311)의 하부에 부착되어 조작 핸들(311) 내에 수용 공간(306)을 형성한다.
클러치(400)는 수용 공간(30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원반형의 회전체(401)와, 회전체(401)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402)과, 회전체(401)의 주연부 4군데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 돌기(403)와, 걸림 돌기(403)를 돌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405)로 이루어진다. 회전축(402)은 상부벽(315)의 베어링 구멍(326)과 하부 커버(313)의 베어링 구멍(327)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하면 대략 중앙에 단면 육각 형상의 부착 구멍(406)이 형성되고, 상면에 부착 구멍(406)과 연통하는 나사 통과 구멍(4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401)는 방사형으로 신장하는 안내 오목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410)는 회전체(401)의 주연부에 형성된 개구(411)와 연통하고, 안내 오목부(410)의 양측에 결합 홈(412, 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403)는 선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안내벽(318)의 걸림 오목부(319)에 걸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고, 후단부에 결합 홈(412, 412)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413, 413)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410) 내에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405)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405)에 의해 걸림 돌기(403)가 돌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걸림 돌기(403)는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부재(405)의 탄성에 저항하여 몰입한다. 이 걸림 돌기(403)의 출몰은 결합 돌기(413, 413)가 결합 홈(412, 412)의 양단부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행해진다.
상기 조작 수단(310)은 압착축(330)의 육각축(331)을 클러치(400)의 부착 구멍(406)에 끼움 부착하여, 나사(336)를 나사 통과 구멍(407)을 거쳐서 육각축(331)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335)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압착축(330)에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3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과 접합하는 압착형(340)이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340)은 외층 프레임(342) 및 내층 프레임(351)을 갖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상면 대략 중심에 원형 돌기(340B)가 형성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 대략 중심에 원형 오목부(3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대략 중심에는 원형 돌기(340B)의 대략 중심과 원형 오목부(340C)의 대략 중심을 연통하는 개구(34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에는 원형 오목부(340C)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의 안내벽(340E)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이고, 링 형상의 안내벽(340E) 내에는 자력을 갖는 링 형상의 자성체(38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387)는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330)은 결함 나사부(334)의 하부에 끼워 맞춤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360)는 상기 개구(3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끼워 맞춤부(360)가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압착축(330)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결함 나사부(33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65)가 개구(340D) 주연부에 접촉하는 부분까지 끼워 맞춤부(360)가 삽입 관통되면, 압착축(330)은 그 이상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압착축(330)과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는 일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끼워 맞춤부(360)의 하부는 압착축(330)의 반경보다 약간 반경이 작은 결합축(357)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360)의 하단부, 즉 결합축(357)의 단부에는 압착 부재(377)가 나사(6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 부재(377)는 상기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원형 오목부(340C)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결합 오목부(378)가 형성되고, 하면 주연부에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379)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 부재(377)는 상기 개구(3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 부재(377)는 압착축(330)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축(330)의 끼워 맞춤부(360)가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한 경우,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 (341)로부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379)가 개구(340D) 주연부에 접촉하여, 위쪽으로 이 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착 부재(377)는 대략 중심에 단차부를 갖는 결합 구멍(374)이 형성되고, 이 결합 구멍(374) 내에 상기 결합축(357)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시트(367)가 결합 구멍(37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시트(367) 및 결합축(357)에 나사(69)가 나사 삽입되어 압착축(3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이며, 가이드 돌기(340E)의 주위에는 링 형상의 안내벽(34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벽(340F)은 전방부가 일부 절결되어, 이 절결된 부분에 대략 삼각형의 안내벽(340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벽(340F)과 가이드 돌기(340E) 사이에 탈착 링(380)이 설치되어 있다.
탈착 링(380)은 상기 안내벽(340G) 내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부재(381)와, 내주연부의 4군데에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설치된 돌기 부재(382)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부재(382)는 가이드 돌기(340E)에 형성된 절결부(385)로부터 가이드 돌기(340E) 내로 돌출하여, 자성체(387)에 형성된 오목부(388)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돌기 부재(382)와 자성체(387)는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탈착 링(380)의 끼워 맞춤 부재(381)는 압출 로드(390)의 하단부에 나사(39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압출 로드(390)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상면에 형성된 보스(392)의 가이드 구멍(39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압출 로드(390)는 상부에 헤드부(395)가 형성되고, 이 헤드부(395)와 보스(392) 사이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396)에 의해 위쪽으로 힘 이 가해져, 탈착 링(380)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에 압접하고 있다.
베이스에는 전방 절반 부재(421)와 후방 절반 부재(422)로 이루어지는 커버(4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방 절반 부재(421)에는 제1 개구(423)가 형성되고, 후방 절반 부재(422)에는 제2 개구(42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절반 부재(421)의 상부에는 단차부(426)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426)에는 조작 버튼(430)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430)은 하부에 지지축(4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축(431)의 하단부에 압착축(432)이 나사(433)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432)은 조작 버튼(430)과 단차부(426) 사이의 지지축(431)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435)에 의해 단차부(426)의 이면에 압접하고 있다. 또, 전방 절반 부재(421)에는 단차부(426)를 덮는 장식 커버(436)가 걸림 부재(43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형(340)은 외층 프레임(342)과, 외층 프레임(3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외층 프레임(3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351)으로 이루어진다. 외층 프레임(342)은 원통형의 주위벽(343)과, 주위벽(343)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압착 부재(346)와, 주위벽(343)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벽(34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벽(347)에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348)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48)에 링 형상의 자성체(349)가 부착되어 있다. 자성체(349)는 상기 자성체(387)와 흡착하는 것이면 좋으며, 자석, 자성 고무, 강자성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347)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34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351)은 역 암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352)와, 만곡부(35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되어, 배지의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에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353)와 만곡부(35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342)의 가이드 구멍(3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네크(neck)부(354)로 이루어진다. 이 네크부(354)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멍(3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355)가 나사(357)에 의해 부착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355)의 상단부 외주연부에, 외층 프레임(342)의 상부벽(347)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3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층 프레임(351)은 외층 프레임(342)에 대하여 결합 돌기(356)와 만곡부(352)가 상부벽(347)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해 자중에 의해 결합 돌기(356)가 상부벽(347)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층 프레임(342) 내에 내층 프레임(351)을 부착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분실하거나, 외층 프레임과 내층 프레임의 조합을 실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압착형(440)은 상기 압착형(340)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442)과 외층 프레임(4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외층 프레임(4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451)으로 이루어진다. 외층 프레임(442)은 역 암형으로 형성된 외만곡부(443)와, 외만곡부(443)의 하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압착부(446)와, 외만곡부(443)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주위벽(445)과, 주위벽(445)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벽(44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벽(447)에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448)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448)에 상기 자성체(349)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벽(447)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44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451)은 역 암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452)와, 만곡부(45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되어, 배지의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에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453)와, 만곡부(45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442)의 가이드 구멍(4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네크부(454)로 이루어진다. 이 네크부(454)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멍(4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455)가 나사(457)에 의해 부착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455)의 상단부 외주연부에 외층 프레임(442)의 상부벽(447)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4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층 프레임(451)은 외층 프레임(442)에 대하여, 결합 돌기(456)와 만곡부(452)가 상부벽(447)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해 자중에 의해 결합 돌기(456)가 상부벽(447)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층 프레임(442) 내에 내층 프레임(451)을 부착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분실하거나, 외층 프레임과 내층 프레임의 조합을 실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 양단부에 상기 지지 기둥(16, 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멍(371, 372)이 설치되고, 이 안내 구멍(371, 37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한쪽 단부에는 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시판(36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361)은 커버(420)의 전방 절반 부재(421)에 형성된 긴 구멍(362)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330)의 끼워 맞춤부(360) 의 개구(340D)에의 삽입 관통을 허가 또는 방해함으로써, 압착축(3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부분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 및 외층 프레임(342)뿐인 상태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 외층 프레임(442), 압착 부재(377) 및 내층 프레임(351)인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는 절환 부재(80)가 나사(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절환 부재(80)는 나사(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스부(81)와, 보스부(81)에 설치된 제1 암 부재(82)와, 제1 암 부재(82)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부재(377)의 결합 오목부(378)에 결합 가능한 반링형의 결합부(83)와, 제1 암 부재(82)와 대략 반대 측의 보스부(81)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암 부재(85)로 이루어지고, 제2 암 부재(85)에는 타원형의 결합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16)에는 요동 부재(90)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90)는 지지 기둥(16)에 부착되는 보스부(91)와, 보스부(91)의 한쪽에 설치된 암부(92)와, 보스부(91)의 다른 쪽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 훅(93)으로 이루어진다. 암부(92)에는 결합축(95)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95)은 상부(95a)가 상기 절환 부재(80)의 결합 홈(86)에 결합하고, 하부(95b)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에 형성된 길이 구멍(44)으로부터 돌출하여, 하부(95b)에 결합 로드(9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후방부에는 스프링 받침 훅(96)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받침 훅(96)과 요동 부재(90)의 스프링 받침 훅(93) 사이에 스프링(97)이 개재 장착되고, 이 스프링(97)의 탄성에 의해 요동 부재(90)를 거쳐서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가 압착 부재(377)의 결합 오목부(378)에 압접 결합하고 있다. 고정 부재(320)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 사이의 지지 기둥(16, 17)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35, 36)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35, 36)에 의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가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압착축(330)의 수형 나사부(333)가 고정 부재(320)의 암형 나사부(325)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 및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지만,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의 대략 중간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절곡부(199)가 형성되어, 이 절곡부(199)에 의해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가 보강되고, 게다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 부품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으로,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 부품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30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전방벽(101)에 설치된 손잡이(102)를 잡고 커버(420)의 제1 개구(1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을 꺼내어 표면 덮개(201)를 제1 적재대(111)의 상부벽(115)에 얹으면 주연부(203)가 상부벽(115)과 적재부(126) 사이의 간극(136)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모양지(211) 위에 시트 부재(213)를 포갠 후 모양지(211)를 안내대(125)의 적재부(126)에 얹는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위에 외층 프레임(342)과 외층 프레임(342) 내 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내층 프레임(351)을 얹는다.
전방벽(101)의 손잡이(102)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1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제1 걸림 오목부(176)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걸려,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위치하고,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커버(420)의 제2 개구(182)로부터 돌출한다. 조작 핸들(3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30)이 정회전하여, 탄성 부재(35, 36)에 의해 수형 나사부(333)가 고정 부재(320)의 암형 나사부(325)에 나사 결합하여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축(3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360)는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에 의해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착 부재(3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단,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41)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끼워 맞춤부(360)가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를 가압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는 압착축(330)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압착형(340)을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387)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상의 외층 프레임(342) 상의 자성체(349)가 접촉하여, 외층 프레임(342)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흡착된다.
외층 프레임(342)의 압착부(346)가 안내대(125)의 안내벽(127)에 끼워 맞추어져 적재부(126)에 압접하여 안내대(125)를 탄성 부재(1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 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351)은 외층 프레임(342)에 대하여 자유 상태이므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을 가압하는 일이 없다. 안내대(125)에 포개어 얹은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 적재대(111)에 얹은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에 접촉한다. 이때, 커버(420)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부근으로의 손의 진입은 방지된다. 이 압착형(340)의 밀어 내림 위치는 지시판(361)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조작 핸들(31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30)이 역회전하여 수형 나사부(333)에 의해 압착축(3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흡착된 외층 프레임(342)과, 외층 프레임(342) 내에 부착된 내층 프레임(35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주연부(203)에 접촉한 상태의 표면 덮개(201)는 외층 프레임(3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끼워 맞춤부(360)가 보스부(323)에 접촉하기 직전, 압착축(330)의 수형 나사부(333)가 고정 부재(320)의 암형 나사부(325)로부터 제거되므로, 압착축(330)은 공회전하여 압착형(340)이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끼워 맞춤부(360)가 보스부(323)에 압접하지 않고, 그 때문에 끼워 맞춤부(360) 및 압착형(340)이 깨지는 일이 없다.
커버(420)의 제2 개구(182)로부터 돌출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의 제2 적재대(141)의 상부벽(143)에 주연부(209)를 상부를 향하게 하여 이면 덮개(205)를 얹으면 고정 부착 핀(229)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207)가 오목부(142)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주연부(209)가 가공대(155)의 통형부(162)의 내면으로 안내되어 위치 결정된다.
후방벽(103)의 손잡이(104)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1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100)의 제2 걸림 오목부(177)에 걸림판(172)의 걸림 돌기(175)가 결합하여 압착형(3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위치하고,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이 커버(420)의 제1 개구(423)로부터 돌출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이 압착형(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 결합벽(99b)이 절환 부재(80)의 결합축(95)의 결합 로드(98)에 결합하고, 반링형의 결합부(83)가 스프링(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압착 부재(377)의 시트(367)로부터 제거된다.
조작 핸들(3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축(330)이 정회전하여,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착축(3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360)는 절환 부재(80)의 결합부(83)가 압착 부재(377)의 시트(367)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개구(340D)에 삽입 관통한다. 그와 동시에 압착 부재(3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340)의 내층 프레임(351)의 네크부(354)와 접촉하여 내층 프레임(351)을 밀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351)의 접촉 테두리(353)가 표면 덮개(201)의 상단부 테두리에 접촉하여 표면 덮개(201)를 외층 프레임(3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축(330)의 플랜지부(365)가 개구(340D)의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 및 외층 프레임(342)도 압착축(330)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 가면 외층 프레임(342)은 가공대(155)와 접촉하여, 가공대(155)를 탄성 부재(1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그와 대략 동시에 내층 프레임(351)에 의해 외층 프레임(3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려진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가 가공대(155)의 경사 테두리(160)에 접촉하여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음에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도 이 경사 테두리(160)에 압접한다.
또한, 압착축(3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공대(155)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대(100)에 접촉하여 가공대(155)가 더 이상 밀어 내려지지 않을 정도까지 이동하면,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가 경사 테두리(160)에 의해 더욱 안쪽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는 경사 테두리(160) 및 제2 적재대(141)의 주연부에 의해 위쪽을 향하는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때, 제2 적재대(141)의 이면 덮개(205)는 표면 덮개(201)에 시트 부재(213)와 모양지(211)의 주위를 이면 덮개(205)의 주연부(209)와 표면 덮개(201)의 주연부(20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끼움 부착되어, 배지 본체(200a)가 제조된다.
이때, 또한 조작 핸들(311)을 조작하여 압착축(3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려고 소정치 이상의 외력을 조작 핸들(311)에 가했다고 해도, 상기 조작 핸들(311) 내의 클러치(400)에 설치된 걸림 돌기(403)가 걸림 오목부(319)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조작 핸들(311)이 압착축(330)에 대하여 공회전하여 압착형(340) 및 배지(200)를 파괴하는 일이 없다.
조작 핸들(31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330)이 역회전하여 압착축(3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에는 배지 본체(200a)가 그대로 적재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100)의 후방벽(103)에 설치된 손잡이(104)를 잡고 커버(420)의 제2 개구(182)로부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꺼내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으로부터 배지 본체(200a)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배지 본체(200a)의 부착 구멍(207)에 상기한 장착 수단(200)(또는 230, 240)의 부착축(221)(231, 241)을 삽입하여 배지(200)가 완성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301)는 제조하는 배지(200)의 크기에 맞추어 압착형(34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커버(420)에 설치된 조작 버튼(430)을 탄성 부재(435)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지지축(431), 압착축(432), 압출 로드(390)를 거쳐서 탈착 링(380)을 탄성 부재(396)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내려, 탈착 링(380)에 돌기 부재(382)가 자성체(387)와 자성체(349)의 흡착에 저항하여 압착형(340)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301)는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배지(200)의 크기를 바꾸기 위해, 상기 압착형(340)보다 큰 압착형(440)을, 자성체(387)와 자성체(349)의 자력에 의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341)에 부착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은 동시에 미끄럼 이동대(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19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즉,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을 동시에 착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110)보다 큰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110a) 및 상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140)보다 큰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140a)이 설치된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191a)를 미끄럼 이동대(100)에 부착만 하면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33 내지 도41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33은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34는 도33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35는 도33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36은 도33의 전체 단면 측면도이다. 도37은 제1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38은 도37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39는 제2 받침형을 도시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40은 도39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전체 정면 단면도이다. 도41은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배지 제조 장치(501)는 대략 원형의 표면판(702)과 상기 표면판(70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703)를 갖는 표면 덮개(701)와, 대략 원형의 이면판(706)과 상기 이면판(70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709)를 갖는 이면 덮개(705)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와 상기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면 덮개(705)에 표면 덮개(701)를 끼움 부착한 배지(700)를 제조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501)는 베이스(502)와, 베이스(502)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600)와, 미끄럼 이동대(600)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610, 640)과, 베이스(502)의 상부에 지지 기둥(516, 517)을 거쳐서 고정된 고정 부재(520)와, 고정 부재(520)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착축(530)과, 압착축(5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에 접합하여 배지(700)를 제조하는 압착형(540)과, 압착축(530)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532)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미끄럼 이동대(6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540)은 압착축(530)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배지 제조 장치(501)는 상기 표면 덮개(701)의 표면판(702) 상에 시트 부재(713)를 적재하고, 상기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와 상기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 사이에 상기 시트 부재(713)의 주연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이면 덮개(705)에 표면 덮개(701)를 끼움 부착한 배지(700)를 제조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은 표면 덮개(701)를 얹는 제1 적재대(611)와, 제1 적재대(611)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트 부재(713)를 얹는 안내대(625)로 구성되고, 안내대(625)는 탄성 부재(6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이면 덮개(705)를 얹는 제2 적재대(641)와, 제2 적재대(641)의 주위에 설치되어 시 트 부재(713)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를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655)로 구성되고, 가공대(655)는 탄성 부재(6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540)은 압착형 본체(540A)와, 외층 프레임(542)과, 외층 프레임(542) 내에 설치되어 외층 프레임(5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551)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은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54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형 본체(540A)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5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형(540)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530)이 축 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에, 외층 프레임(542)과, 내층 프레임(551)의 각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5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절환 부재(580)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압착축(5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외층 프레임(542)과 내층 프레임(551)을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절환 부재(580)는 미끄럼 이동대(600)를 이동하여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압착축(5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우선 내층 프레임(551)만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압착축(530)이 일정 거리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외층 프레임(542)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을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 수단(532)을 조작하여 압착축(5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542)과 내층 프레임(551)은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해, 외층 프레임(542)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의 안내대(625)와 접촉하여 안내대(625)를 탄성 부재(6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내려,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를 따라 시트 부재(713)를 절곡한다.
또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 수단(532)을 조작하여 압착축(5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우선 내층 프레임(55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압착축(530)이 일정 거리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외층 프레임(542)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5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외층 프레임(542)과 내층 프레임(551)이 동시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가공대(655)와 접촉하여 가공대(655)를 탄성 부재(656)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고, 시트 부재(713)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를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측으로 절곡시킨다.
상기 시트 부재(713)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713)와 상기 표면 덮개(701)의 표면판(702)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711)를 놓아도 좋다.
상기 압착축(530)은 고정 부재(520)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525)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533)를 갖고, 하단부에 압착형(5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532)이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수형 나사부(533)는 압착축(5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540)이 고정 부재(5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520)의 암형 나사부(525)로부터 분리되어 압착축(5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지 제조 장치(501)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배지의 실시 형태를 도42 내지 도51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42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43은 도42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44는 도43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5는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6은 도45의 장착 수단에 고정 부착 핀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9는 협지 부착판을 부착한 도48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50은 본원 발명에 관한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1은 자성판을 부착한 도50의 장착 수단을 이면 덮개에 부착한 배지 전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배지(700)는 주연부(709)가 위쪽을 향하는 이면 덮개(705)와, 주연부(703)가 아래쪽을 향하는 표면 덮개(701)와, 장착 수단(720)으로 이루어진다. 이면 덮개(705)는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가 절곡되어 표면 덮개(701)에 부착되어 있 고, 대략 중심에 부착 구멍(707)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수단(720, 730, 740)은 의복, 모자, 가방 등의 피 장착물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면 덮개(705)의 부착 구멍(70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축(721, 731, 741)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배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지(700)는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 본체(700a)와 장착 수단(720)으로 이루어진다. 배지 본체(700a)는 표면 덮개(701)와, 이면 덮개(705)와,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로 이루어진다. 표면 덮개(701)는 가공 전에 있어서 만곡한 표면판(702)을 갖고, 주연부(703)가 표면판(702)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면 덮개(705)는 가공 전에 있어서 장착 수단(720)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707)이 형성된 이면판(706)을 갖고, 주연부(709)가 이면판(706)에 대하여 위쪽을 향해 대략 직각 이상으로 절곡되어, 이면판(706)에 원형의 오목부(708)가 형성되어 있다.
모양지(711)는 원형의 종이로 잡지 등을 오려 낸 것이라도 상관없다. 시트 부재(713)는 투과성을 갖는 얇은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713)에 직접,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를 인쇄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양지가 없어도 된다. 배지 본체(700a)는 표면 덮개(701)의 상면에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가 포개어지고,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의 주위를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가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707)의 주연부에는 내측을 향해 한 쌍의 걸림 갈고리(710, 710)가 돌출 형 성되어 있다.
장착 수단(720)은 도45 내지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722)과, 기판(722)의 표면(723)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걸림부(725)와, 기판(722)의 이면(726)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721)으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720)은 걸림부(725)에 고정 부착 핀(729)이 부착되고, 부착축(721)이 이면 덮개(705)의 부착 구멍(7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705)의 오목부(708)에 끼움 부착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721)은 부착 구멍(7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7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710, 710)에 걸리게 된다.
장착 수단(730)은 도48,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732)과, 기판(732)의 표면(733) 대략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대략 U자형의 베어링 부재(734, 734)와, 기판(732)의 이면(735)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731)으로 이루어져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730)은 한 쌍의 베어링 부재(734, 734) 사이에 지지축(736)을 거쳐서 협지 부착판(737)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738)에 의해 협지 부착판(737)의 일단부(737a)가 기판(732)의 이면(735)에 압접하고 있다.
즉, 협지 부착판(737)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부재(734, 734)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한 쌍의 대략 U자형의 베어링 부재(739, 739)를 갖고, 한 쌍의 베어링 부재(734, 734) 사이와 한 쌍의 베어링 부재(739, 739)에 지지축(736)이 삽입 관통되어, 기판(73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731)이 이면 덮개(705)의 부착 구멍(7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705)의 오목부(708)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731)은 부착 구멍(7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7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710, 710)에 걸리게 된다.
장착 수단(740)은 도50, 도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742)과, 기판(742)의 이면(743)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741)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장착 수단(740)은 기판(742)의 표면(745)에 자성판(746)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부착축(741)이 이면 덮개(705)의 부착 구멍(707)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705)의 오목부(708)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741)은 부착 구멍(707)에 삽입하면 부착 구멍(707)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갈고리(710, 710)에 걸리게 된다.
배지 제조 장치(50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502)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상부벽(503)과, 상부벽(503)의 주연부에 형성된 만곡한 주위벽(505)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벽(503)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역 ㄷ자형의 안내 홈(50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506)은 바닥벽(507)과, 측벽(509, 510)으로 이루어지며, 측벽(509, 510)의 상부에 가이드 돌기(509a, 5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502)의 상부벽(503) 이면 대략 중앙에는 안내 홈(506)을 사이에 두고 안내 홈(506)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 양측에, 안내 홈(506)의 바닥벽(507)과 대략 동일한 높이의 보스(511, 512)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511, 512)에는 상부벽(503)까지 연장되는 삽입 통과 구멍(511a, 512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502)의 안내 홈(506)의 바닥벽(507)에는 안내 홈(506)과 직교하는 방 향(좌우 방향)에 단면 대략 역 ㄷ자형의 보강 부재(5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515)는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515)는 보스(511, 512)와 접촉하여, 보스(511, 512)의 삽입 통과 구멍(511a, 512a)과 동일한 위치가 되는 양측에 구멍(515a, 515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502)에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지지 기둥(516, 51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둥(516, 517)은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516)은 하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6a)가 보스(511)의 삽입 통과 구멍(511a) 및 보강 부재(515)의 구멍(515a)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18)에 의해 체결되어, 보스(511) 및 보강 부재(515)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517)은 하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7a)가 보스(512)의 삽입 통과 구멍(512a) 및 보강 부재(515)의 구멍(515b)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19)에 의해 체결되어, 보스(512) 및 보강 부재(515)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502)의 상부에는 지지 기둥(516, 517)을 거쳐서 단면 대략 H자형의 고정 부재(520)가 대략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5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516)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6b)가 고정 부재(520)의 한쪽에 형성된 구멍(520a)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21)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520)를 고정하고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517)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7b)가 고정 부재(520)의 다른 쪽에 형성된 구멍(520b)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22)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520)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 부재(520)는 대략 중심에 역삼각형의 두께부(523)가 형성되고, 이 두께부(523)에 암형 나사부(525)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530)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고정 부재(520)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525)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533)가 형성되어, 하단부에 압착형(5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532)이 설치되어 있다.
수형 나사부(533)는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축(5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540)이 고정 부재(5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520)의 암형 나사부(525)로부터 분리되어 압착축(5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축(530)의 하부에는 수형 나사부(5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53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핸들(532)은 대략 중심에 직사각 형상의 부착 구멍이 형성되고, 이 부착 구멍을 압착축(530)의 상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축에 끼움 부착하여, 압착축(53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530)의 하단부에는 후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과 접합하는 압착형(540)이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540)은 압착형 본체(540A)와,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으로 이루어진다. 압착형 본체(540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를 갖고, 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상면 대략 중심에 원형 돌기(540B)가 형성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하면 대략 중심에 원형 오목부(5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대략 중심에는 원형 돌기(540B)의 대략 중심과 원형 오목부(540C)의 대략 중심을 연통하는 개구(54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하면에는 원형 오목부(540C)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의 안내벽(540E)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하면이며, 링 형상의 안내벽(540E) 내에는 자력을 갖는 링 형상의 자성체(58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587)는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530)은 결함 나사부(534)의 하부에 압착부(560)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560)는 상기 개구(5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압착축(530)은 압착형 본체(5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결함 나사부(53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65)가 개구(540D) 주연부에 접촉하는 부분까지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되면, 압착축(530)은 그 이상 압착형 본체(5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압착축(530)과 압착형 본체(540A)는 일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부(560)의 하부는 압착축(530)의 반경보다 약간 반경이 작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 오목부(557)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축(530)의 하단부, 즉 압착부(560)의 하부에 설치된 원주형의 결합 오목부(557)의 단부에는 장착 부재(577)가 나사(56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장착 부재(577)는 상기 압착형 본체(540A)의 원형 오목부(540C)에 끼움 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원형 돌기(578)가 형성되고, 하면 주연부에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579)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돌기(578)는 상기 개구(5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577)는 압착축(530)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축(530)의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한 경우,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압착형 본체(540A)로부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장착 부재(577)는 하면 대략 중앙에 오목부(57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574) 내에 상기 나사(569)의 헤드부가 수납되어 있다. 장착 부재(577)의 하면이며,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579) 내에는 자력을 갖는 원판형의 자성체(588)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588)는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층 프레임(54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링 형상의 압착부(550)가 되어 상면에 수납 오목부(545)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545) 내에 철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자성체(546)가 부착되어 있다. 외층 프레임(542)은 장착 부재(577)의 가이드 돌기(579)로 안내되어, 압착형 본체(540A)의 하면에 부착된 링 형상의 자성체(587)에 자성체(546)가 흡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자성체(587)가 철 등의 강자성체이며, 자성체(546)가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라도 상관없다.
내층 프레임(551)은 외층 프레임(542) 내에 설치되어, 외층 프레임(542)보다 얕게 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51)은 하면에 만곡부(552)가 형성되고, 만곡부 (552)의 주연부에 후기 배지의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553)가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51)은 상면에 수납 오목부(555)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555) 내에 철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자성체(556)가 부착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551)은 장착 부재(577)의 하면에 부착된 자성체(588)에 자성체(556)가 흡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자성체(588)가 철 등의 강자성체이며, 자성체(556)가 자석, 자성 고무 등의 자성 부재라도 상관없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 양단부에 상기 지지 기둥(516, 5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멍(571, 572)이 설치되고, 이 안내 구멍(571, 57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한쪽 단부에는 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착형(540)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530)이 축 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에, 외층 프레임(542), 내층 프레임(551)의 각각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절환하는 절환 부재(580)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540), 즉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원형 돌기(540B)에는 베어링부(575)가 형성되고, 이 베어링부(575)에 절환 부재(580)가 나사(5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절환 부재(580)는 베어링부(575)에 나사(5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스부(581)와, 보스부(581)에 설치된 제1 암 부재(582)와, 제1 암 부재(582)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560)의 결합 오목부(557)에 결합 가능한 반링형의 결합부(583)와, 제1 암 부재(582)와 대략 반대 측의 보스부(581)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암 부재(585)로 이루어지며, 제2 암 부재(585)에는 타원형의 결합 홈(586)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516)에는 요동 부재(590)가 압착형(540)과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590)는 지지 기둥(516)에 부착되는 보스부(591)와, 보스부(591)의 한쪽에 설치된 암부(592)와, 보스부(591)의 다른 쪽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 훅(593)으로 이루어진다. 암부(592)에는 결합축(595)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595)은 상부(595a)가 상기 절환 부재(580)의 결합 홈(586)에 결합하고, 하부(595b)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에 형성된 긴 구멍(544)으로부터 돌출하여, 하부(595b)에 결합 로드(59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후방부에는 스프링 받침 훅(596)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받침 훅(596)과 요동 부재(590)의 스프링 받침 훅(593) 사이에 스프링(597)이 개재 장착되고, 이 스프링(597)의 탄성에 의해 요동 부재(590)를 거쳐서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가 압착부(560)의 결합 오목부(557)에 압접 결합하고 있다. 고정 부재(520)와 압착형(540) 사이의 지지 기둥(516, 517)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535, 536)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535, 536)에 의해 압착형(540)[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압착축(530)의 수형 나사부(533)가 고정 부재(520)의 암형 나사부(525)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압착형 본체(540A), 구체적으로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에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542)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526)이 설치되어 있다. 이탈 수단(526)은 원형 돌기(540B)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53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압출 로드(527)와, 압출 로드(5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조작 버튼(528)과, 원형 돌기(540B)와 조작 버튼(528) 사이에 설치되고, 압출 로드(527)에 권취 장착되어 압출 로드(527)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529)로 이루어진다.
베이스(502)의 안내 홈(506)에는 미끄럼 이동대(60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는 바닥벽(605)과, 바닥벽(605)의 선단부에 설치된 전방벽(601)과, 바닥벽(605)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방벽(603)과, 바닥벽(605)의 좌단부에 설치된 좌측벽(606)과, 바닥벽(605)의 우단부에 설치된 우측벽(607)으로 이루어진다. 전방벽(601)에는 손잡이(602)가 설치되고, 후방벽(603)에는 손잡이(604)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벽(606)과 우측벽(607)에는 안내 홈(506)의 측벽(509, 5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509a, 510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테두리(606a, 607a)가 형성되고, 미끄럼 이동대(600)는 베이스(502)의 전후 방향으로만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606)에는 상기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와 결합하는 전방 결합벽(599a)과 후방 결합벽(599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607)에는 후기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에 걸리게 되는 제1 걸림 오목부(676)와 제2 걸림 오목부(677)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바닥벽(605)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제1 받침 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구비한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 테두리(692)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605)에는 이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오목부(694)를 형성하는 주위벽(695)이 형성되어 있다. 주위벽(695)의 후단부에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후단부 테두리(693)를 결합하는 대략 L자형의 결합 부재(결합 수단)(69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695)의 반원형의 전방 테두리에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선단부 테두리(692)를 로크하는 로크 부재(로크 수단)(697)와, 로크 부재(로크 수단)(697)와 전방벽(601) 사이에 배치되어, 로크 부재(로크 수단)(697)를 로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69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는 미끄럼 이동대(600)의 왕복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은 표면 덮개(701)를 얹는 제1 적재대(611)와, 제1 적재대(61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를 포개어 얹는 안내대(625)로 구성되고, 안내대(625)는 탄성 부재(6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적재대(611)는 완만하게 만곡한 상부벽(615)과, 상부벽(615)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616)과, 상부벽(615)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61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적재대(611)는 주위벽(616)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된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61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617)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보스부(619)의 오목부(62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나사(622)를 고정축(617)에 나사 결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대(62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를 포개어 얹는 링 형상의 적재부(626)와, 적재부(626)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의 주연부를 안내하는 안내벽(6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대(625)의 안내벽(627)에는 상기 외층 프레임(542)의 압착부(550)가 끼워 맞추어져 압착부(550)가 적재부(626)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626)의 안쪽 하면에는 제1 적재대(611)의 주위벽(616)을 따라서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통형부(6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대(625)는 상기 제1 적재대(611)의 주위벽(616)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632)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632)는 상기 제1 적재대(611)의 고정축(617)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630)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632)의 하단부와 통형부(629)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633)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633)는 제1 적재대(611)의 주위벽(616)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635)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 적재대(611)의 상부벽(615)과 안내대(625)의 적재부(626)는 대략 동일한 높이이며, 상부벽(615)과 적재부(626) 사이에 표면 덮개(701)가 절곡된 주연부(703)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63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대(625)는 제1 적재대(611)의 고정축(617)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6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이면 덮개(705)를 얹는 제2 적재대(641)와, 제2 적재대(64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의 주위를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를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655)로 구성되고, 가공대(655)는 탄성 부재(6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적재대(641)는 원형의 오목부(642)가 형성된 상부벽(643)과, 상부벽(643)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645)과, 상부벽(643)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646)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적재대(641)는 주위벽(645)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된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64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646)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보스부(649)의 오목부(65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한 나사(652)를 고정축(646)에 나사 고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고정되어 있다.
가공대(65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결합 단차부(657)가 형성 되고, 이 결합 단차부(657)에 금속 고리(659)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이 금속 고리(659)에는 모양지(711)와 시트 부재(713)의 주위를 안쪽으로 접어 넣으면서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와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를 이면 덮개(705)에 주연부(709) 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사 테두리(66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공대(655)의 상부에 직접 경사 테두리(660)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경사 테두리(660)의 상부에는 상기 외층 프레임(542)의 압착부(550)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661)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단차부(657)의 하부에는 제2 적재대(641)의 주위벽(645)을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통형부(6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대(655)는 상기 제2 적재대(641)의 주위벽(645)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663)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663)는 상기 제2 적재대(641)의 고정축(64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665)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663)의 하단부와 통형부(662)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667)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667)는 제2 적재대(641)의 주위벽(645)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669)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공대(655)는 제2 적재대(641)의 고정축(646)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6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베이스(502)에는 미끄럼 이동대(600)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67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670)는 안내 홈(506)의 근방에 설치되 어, 나사(673)에 의해 부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678)에 의해 압접된 걸림판(672)을 갖고, 걸림판(672)의 하면에 걸림 돌기(675)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는 상기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에 걸리게 되는 제1 걸림 오목부(676)와 제2 걸림 오목부(677)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1 걸림 오목부(676)에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가 걸리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위치하고,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2 걸림 오목부(677)에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가 걸리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전방 결합벽(599a)이 절환 부재(580)의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에 결합하고, 반링형의 결합부(583)가 스프링(5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575)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전해 압착부(560)의 결합 오목부(557)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도 압착부(560)는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할 수 없게 되므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장착 부재(577)[및 장착 부재(57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내층 프레임(551)]와 압착형 본체(540A)[및 압착형 본체(540A)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외장 프레임(542)]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후방 결합벽(599b)이 절환 부재(580)의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에 결합하고, 반링형의 결합부(583)가 스프링(5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575)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전해, 압착부(560)의 결합 오목부(557)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우선 압착축(530)의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하고,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장착 부재(577)[및 장착 부재(57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내층 프레임(551)]를 압착형 본체(5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부(560)의 상부의 플랜지부(565)가 개구(540D) 주연부에 접촉하였을 때, 압착형 본체(540A)[및 압착형 본체(540A)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외장 프레임(54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부호 680은 커버이다. 커버(680)는 베이스(502)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어, 미끄럼 이동대(600)의 미끄럼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방부와 후방부에 제1, 제2 개구(681, 682)가 형성되고, 제1 개구(6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출몰하고, 제2 개구(682)로부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출몰한다. 이 커버(680)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 즉 압착형(540)과 결합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부근으로의 손의 침입이 방지되어, 이때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제2 개구(682)로부터 커버(680)의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 즉 압착형(540)과 결합 가능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제2 받침형(610) 부근으로의 손의 진입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680)에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지시판을 볼 수 있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이 긴 구멍으로부터 지시판을 보고 압착형(5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50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전방벽(601)에 설치된 손잡이(602)를 잡고 커버(680)의 제1 개구(6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을 꺼내어 표면 덮개(701)를 제1 적재대(611)의 상부벽(615)에 얹으면 주연부(703)가 상부벽(615)과 적재부(626) 사이의 간극(636)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모양지(711) 위에 시트 부재(713)를 포갠 후 모양지(711)를 안내대(625)의 적재부(626)에 얹는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위에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을 얹는다.
전방벽(601)의 손잡이(602)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1 걸림 오목부(676)에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가 걸려,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위치하고,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커버(68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한다. 조작 핸들(532)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530)이 정회전하여 탄성 부재(535, 536)에 의해 수형 나사부(533)가 고정 부재(520)의 암형 나사부(525)에 나사 결합하여,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축(530)을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압착축(530)의 하부에 설치된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하려 하지만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에 의해 삽입 관통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착축(530)의 하단부에 설치된 장착 부재(577)는 압착형 본체(5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즉 압착형 본체(540A)와 장착 부재(577)가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압착축(530)이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형 본체(540A)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586)와 외층 프레임(542)의 상면에 설치된 자성체(546)가 접촉하여 압착형 본체(540A)에 외층 프레임(542)이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형 본체(540A)에 흡착된 외층 프레임(542)의 압착부(550)가 안내대(625)의 안내벽(627)에 끼워 맞추어져 적재부(626)에 압접하고, 안내대(625)를 탄성 부재(6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안내대(625)에 포개어 얹은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고, 제1 적재대(611)에 얹은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에 접촉한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적재대(611) 상의 내층 프레임(551)의 상면에 설치된 자성체(556)에 장착 부재(577)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588)에 접촉하여, 장착 부재(577)에 내층 프레임(551)이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이때, 압착형(540)의 위치는 지시판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조작 핸들(532)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530)이 역회전하여 수형 나사부(533)에 의해 압착축(5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압착형(540) 전체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도 각각 압착형 본체(540A), 장착 부재(577)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있으므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와 동 시에 위쪽으로 이동한다.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주연부(703)에 접촉한 상태의 표면 덮개(701)는 외층 프레임(5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으로부터 분리된다. 압착부(560)가 두께부(523)에 접촉하기 직전, 압착축(530)의 수형 나사부(533)가 고정 부재(520)의 암형 나사부(525)로부터 분리되므로, 압착축(530)은 공회전하여 압착형(540)이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압착부(560)가 두께부(523)에 압접하는 일이 없어, 그로 인해 압착부(560) 및 압착형(540)이 깨지는 일이 없다.
커버(68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제2 적재대(641)의 상부벽(643)에, 주연부(709)를 상부를 향하게 하여 이면 덮개(705)를 얹으면 고정 부착 핀(729)을 부착하는 부착부(707)가 오목부(642)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주연부(709)가 가공대(655)의 통형부(662)의 내면으로 안내되어 위치 결정된다.
후방벽(603)의 손잡이(604)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2 걸림 오목부(677)에 걸림판(672)의 결합 돌기(675)가 결합하여,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위치하고,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커버(680)의 제1 개구(681)로부터 돌출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 결합벽(599b)이 절환 부재(580)의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에 결합하여, 반링형의 결합부(583)가 스프링(5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 부(5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 압착부(560)의 결합 오목부(557)로부터 분리된다.
조작 핸들(532)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축(530)이 정회전하여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압착축(530)의 하부에 설치된 압착부(560)가 개구(540D)에 삽입 관통하여 장착 부재(577) 및 내층 프레임(551)을 압착형 본체(54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내층 프레임(551)의 접촉 테두리(553)가 표면 덮개(701)의 상단부 테두리에 접촉하여 표면 덮개(701)를 외층 프레임(5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축(530)에 설치된 플랜지부(565)가 개구(540D)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압착형 본체(540A) 및 외층 프레임(54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 가면, 외층 프레임(542)은 가공대(655)와 접촉하여, 가공대(655)를 탄성 부재(6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그와 대략 동시에 내층 프레임(551)에 의해 외층 프레임(5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려진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가공대(655)의 경사 테두리(660)에 접촉하여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음에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도 이 경사 테두리(660)에 압접한다.
또한, 압착축(5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공대(655)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대(600)에 접촉하여 가공대(655)를 더 이상 밀어 내릴 수 부착만 하면 된다까지 이동하면,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가 경사 테두리(660)에 의해 다시 안쪽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는 경사 테두리(660) 및 제2 적재대(641)의 주연부에 의해 위쪽을 향할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때 제2 적재대 (641) 상의 이면 덮개(705)는 표면 덮개(701)에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를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와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끼움 부착되어, 배지 본체(700a)가 제조된다.
조작 핸들(532)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530)이 역회전하여 압착축(5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압착형(540) 전체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에는 배지 본체(700a)가 그대로 적재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후방벽(603)에 설치된 손잡이(604)를 잡고, 커버(680)의 제2 개구(682)로부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꺼내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으로부터 배지 본체(700a)를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배지 본체(700a)의 부착 구멍(707)에, 상기한 장착 수단(720)(또는 730, 740)의 부착축(721)(또는 731, 741)을 삽입하여 배지(700)가 완성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501)는 제조하는 배지(700)의 크기에 맞추어, 압착형(540)의 외층 프레임(542) 및 내층 프레임(551),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외층 프레임(542)은 자성체(587)와 자성체(546)의 흡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자력 이상의 사이를 벌리는 힘을 가함으로써 압착형 본체(540A)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 수단(526)의 조작 버튼(528)을 탄성 부재(529)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압출 로드(527)의 선단부가 외층 프레임(542)의 한쪽을 밀어내려 자성체(587)로부터 분리되어, 외층 프레임(542) 을 압착형 본체(540A)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층 프레임(551)은 자성체(588)와 자성체(556)의 흡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자력 이상의 사이를 벌리는 힘을 가함으로써 압착형 본체(540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501)는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배지(700)의 크기를 바꾸기 위해, 상기 외층 프레임(542)보다 큰 외층 프레임(542a) 및 상기 내층 프레임(551)보다 큰 내층 프레임(551a)을 자성체(587)와 자성체(588)의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540A)에 부착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동시에 미끄럼 이동대(6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즉,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를 착탈함으로써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동시에 착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보다 큰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610a) 및 상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보다 큰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640a)이 설치된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691a)를 미끄럼 이동대(600)에 부착만 하면 된다.
배지 제조 장치(501)는 고정 부재(520), 지지 기둥(516, 517), 보강 부재(515)에 의해 대략 ㅁ자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도를 높이고 있고, 이 강화된 프레임 내에서 프레스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압착축(530)을 회전시키면 압착형(540)이 내려가, 상대적으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위로 올라가고, 압착형(540)과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양쪽으로부터의 협지 압력에 의해 배지 본체(700a)를 제조하므로, 베이스(502)를 누르는 일이 없어 안정된 곳에 두지 않고 불안정한 곳에 두어도, 예를 들어 베이스(502)를 손으로 운반하면서도 작업할 수 있다. 또, 압착형(540)을 압착하는 데 수형 나사부(533)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배지 제조 장치(801)에 대하여, 도52 내지 도6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52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53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를 다른 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54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조작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5는 도54의 조작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56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탈착 링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57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58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미끄럼 이동대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59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0은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1 내지 도64는 도52의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또, 베이스(502) 및 지지 기둥(516, 517)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502)의 상부에는 지지 기둥(516, 517)을 거쳐서 단면 대략 역 ㄷ자형의 고정 부재(820)가 대략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8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 다. 한쪽 지지 기둥(516)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6b)가 고정 부재(820)의 한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21)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820)를 고정하고 있다. 다른 쪽의 지지 기둥(517)은 상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517b)가 고정 부재(820)의 다른 쪽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522)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부재(820)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 부재(820)는 대략 중심에 보스부(823)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823)에 암형 나사부(825)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830)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구성, 내마모성이 있는 경질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고정 부재(820)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825)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833)가 형성되어, 하단부에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조작 수단(810)이 설치되어 있다.
수형 나사부(833)는 도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축(83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가 고정 부재(820)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로부터 분리되어 압착축(830)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축(830)의 하부에는 수형 나사부(8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834)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축(830)은 상단부에 육각축(8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과 접합하는 압착형(8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수단(810)은 도54, 도55, 도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811)과 클러치(900)로 이루어진다. 조작 핸들(811)은 원반형의 상부 케이스(812)와, 하부 커버(813)와, 상부 커버(814)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812)는 상부벽(815)과, 상부벽(815)의 주연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측벽(817)으로부터 상부 주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동일벽(816)으로 이루어지며, 동일벽(816)은 잡기 쉽게 하기 위해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815)은 하면에 링 형상의 안내벽(818)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벽(818)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8군데에 걸림 오목부(819)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812)의 상부벽(815)의 대략 중심에는 베어링 구멍(82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814)는 돔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벽(815)의 측벽(817)에 끼움 부착되어 있다. 하부 커버(81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략 중심에 베어링 구멍(827)이 형성된 보스부(8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버(813)는 나사(829)를 하부 커버(813)의 4군데에 형성된 관통 구멍(804)을 통해 조작 핸들(811)의 상부벽(815) 하면의 4군데에 형성된 나사 구멍(805)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작 핸들(811)의 하부에 부착되어 조작 핸들(811) 내에 수용 공간(806)을 형성한다.
클러치(900)는 수용 공간(80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 원반형의 회전체(901)와, 회전체(901)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902)과, 회전체(901)의 주연부 4군데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 돌기(903)와, 걸림 돌기(903)를 돌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905)로 이루어진다. 회전축(902)은 상부벽(815)의 베어링 구멍(826)과 하부 커버(813)의 베어링 구멍(827)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하면 대략 중앙에 단면 육각 형상의 부착 구멍(906)이 형성 되고, 상면에 부착 구멍(906)과 연통하는 나사 통과 구멍(9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901)는 방사형으로 신장하는 안내 오목부(910)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910)는 회전체(901)의 주연부에 형성된 개구(911)와 연통하여, 안내 오목부(910)의 양측에 결합 홈(912, 9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903)는 선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안내벽(818)의 걸림 오목부(819)에 걸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고, 후단부에 결합 홈(912, 912)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913, 913)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910) 내에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905)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905)에 의해 걸림 돌기(903)가 돌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걸림 돌기(903)는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부재(905)의 탄성에 저항하여 몰입한다. 이 걸림 돌기(903)의 출몰은 결합 돌기(913, 913)가 결합 홈(912, 912)의 양단부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행해진다.
상기 조작 수단(810)은 압착축(830)의 육각축(831)을 클러치(900)의 부착 구멍(906)에 끼움 부착하여, 나사(836)를 나사 통과 구멍(907)을 거쳐서 육각축(831)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835)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압착축(830)에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8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과 접합하는 압착형(840)이 설치되어 있다. 압착형(840)은 외층 프레임(842) 및 내층 프레임(851)을 갖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는 판 형 상으로 형성되어, 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상면 대략 중심에 원형 돌기(840B)가 형성되고,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 대략 중심에 원형 오목부(8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대략 중심에는 원형 돌기(840B)의 대략 중심과 원형 오목부(840C)의 대략 중심을 연통하는 개구(84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에는 원형 오목부(840C)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의 안내벽(840E)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이며, 링 형상의 안내벽(840E) 내에는 자력을 갖는 링 형상의 자성체(88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성체(887)는 자석, 자성고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압착축(830)은 결함 나사부(834)의 하부에 끼워 맞춤부(860)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860)는 상기 개구(8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끼워 맞춤부(860)가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압착축(830)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결함 나사부(83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865)가 개구(840D) 주연부에 접촉하는 부분까지 끼워 맞춤부(860)가 삽입 관통되면, 압착축(830)은 그 이상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압착축(830)과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는 일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끼워 맞춤부(860)의 하부는 압착축(830)의 반경보다 약간 반경이 작은 결합축(857)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860)의 하단부, 즉 결합축(857)의 단부에는 압착 부재(877)가 나사(56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 부재(877)는 상기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원형 오목부(840C)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결합 오목부(878)가 형성되고, 하면 주연부에 링 형상의 가이드 돌기(879)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 부재(877)는 상기 개구(840D)와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 부재(877)는 압착축(830)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축(830)의 끼워 맞춤부(860)가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한 경우, 상기 삽입 관통한 거리만큼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로부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879)가 개구(840D) 주연부에 접촉하여, 위쪽으로 이 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착 부재(877)는 대략 중심에 단차부를 갖는 결합 구멍(874)이 형성되고, 이 결합 구멍(874) 내에 상기 결합축(857)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시트(867)가 결합 구멍(87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시트(867) 및 결합축(857)에 나사(569)가 나사 삽입되어 압착축(8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이며, 가이드 돌기(840E)의 주위에는 링 형상의 안내벽(84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벽(840F)은 전방부가 일부 절결되어, 이 절결된 부분에 대략 삼각형의 안내벽(840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벽(840F)과 가이드 돌기(840E) 사이에 탈착 링(880)이 설치되어 있다.
탈착 링(880)은 상기 안내벽(840G) 내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부재(881) 와, 내주연의 4군데에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설치된 돌기 부재(882)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부재(882)는 가이드 돌기(840E)에 형성된 절결부(885)로부터 가이드 돌기(840E) 내로 돌출하여, 자성체(887)에 형성된 오목부(888)에 끼워 맞추고 있다. 돌기 부재(882)와 자성체(887)는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탈착 링(880)의 끼워 맞춤 부재(881)는 압출 로드(890)의 하단부에 나사(89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압출 로드(890)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상면에 형성된 보스(892)의 가이드 구멍(89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압출 로드(890)는 상부에 헤드부(895)가 형성되고, 이 헤드부(895)와 보스(892) 사이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89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탈착 링(880)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에 압접하고 있다.
베이스(502)에는 전방 절반 부재(921)와 후방 절반 부재(922)로 이루어지는 커버(9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방 절반 부재(921)에는 제1 개구(923)가 형성되고, 후방 절반 부재(922)에는 제2 개구(92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절반 부재(921)의 상부에는 단차부(926)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926)에는 조작 버튼(930)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930)은 하부에 지지축(9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축(931)의 하단부에 압착축(932)이 나사(933)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압착축(932)은 조작 버튼(930)과 단차부(926) 사이의 지지축(931)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935)에 의해 단차부(926)의 이면에 압접하고 있다. 또, 전방 절반 부재(921)에는 단차부(926)를 덮는 장식 커버(936)가 걸림 부재(93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착형(840)은 외층 프레임(842)과, 외층 프레임(8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외층 프레임(8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851)으로 이루어진다. 외층 프레임(842)은 원통형의 주위벽(843)과, 주위벽(843)의 하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압착 부재(846)와, 주위벽(843)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벽(84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벽(847)에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848)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848)에 링 형상의 자성체(849)가 부착되어 있다. 자성체(849)는 상기 자성체(887)와 서로 흡착하는 것이면 좋으며, 자석, 자성 고무, 강자성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847)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84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851)은 역 암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852)와, 만곡부(85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되어, 배지의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에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853)와, 만곡부(85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842)의 가이드 구멍(84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네크부(가이드 돌기)(854)로 이루어진다. 이 네크부(가이드 돌기)(854)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멍(84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855)가 결합축(857)에 의해 부착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855)의 상단부 외주연에 외층 프레임(842)의 상부벽(847)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8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층 프레임(851)은 외층 프레임(842)에 대하여 결합 돌기(856)와 만곡부(852)가 상부벽(847)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해, 자중에 의해 결합 돌기(856)가 상부벽(847)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층 프레임(842) 내에 내층 프레임(851)을 부착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분실하거나, 외층 프레임과 내층 프레임의 조합을 실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압착형(940)은 상기 압착형(840)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외층 프레임(942)과 외층 프레임(9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외층 프레임(9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951)으로 이루어진다. 외층 프레임(942)은 역 암 형상으로 형성된 외만곡부(943)와, 외만곡부(943)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압착부(946)와, 외만곡부(943)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주위벽(945)과, 주위벽(945)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벽(94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벽(947)에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948)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948)에 상기 자성체(849)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벽(947)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94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951)은 역 암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952)와, 만곡부(95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되어, 배지의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에 접촉하는 접촉 테두리(953)와, 만곡부(95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942)의 가이드 구멍(9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네크부(가이드 돌기)(954)로 이루어진다. 이 네크부(가이드 돌기)(954)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멍(9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955)가 나사(957)에 의해 부착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955)의 상단부 외주연에, 외층 프레임(942)의 상부벽(947)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9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층 프레임(951)은 외층 프레임(942)에 대하여, 결합 돌기(956)와 만곡부(952)가 상부벽(947)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해, 자중에 의해 결합 돌기(956)가 상부벽(947)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층 프레임(942) 내에 내층 프레임(951)을 부착함으로써, 어 느 한쪽만을 분실하거나 외층 프레임과 내층 프레임의 조합을 실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방향 양단부에 상기 지지 기둥(516, 5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멍(871, 872)이 설치되고, 이 안내 구멍(871, 87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한쪽 단부에는 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시판(86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시판(861)은 커버(920)의 전방 절반 부재(921)에 형성된 긴 구멍(862)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는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위치에 따라서, 압착축(830)의 끼워 맞춤부(860)의 개구(840D)에의 삽입 관통을 허가 또는 방해함으로써, 압착축(8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부분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 및 외층 프레임(842)뿐인 상태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 외층 프레임(842), 압착 부재(877) 및 내층 프레임(851)인 상태를 절환하는 절환 부재(580)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는 절환 부재(580)가 나사(5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절환 부재(580)는 나사(5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스부(581)와, 보스부(581)에 설치된 제1 암 부재(582)와, 제1 암 부재(582)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78)에 결합 가능한 반링형의 결합부(583)와, 제1 암 부재(582)와 대략 반대 측의 보스부(581)의 위치에 설치된 제 2 암 부재(585)로 이루어지며, 제2 암 부재(585)에는 타원형의 결합 홈(586)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지지 기둥(516)에는 요동 부재(590)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590)는 지지 기둥(516)에 부착되는 보스부(591)와, 보스부(591)의 한쪽에 설치된 암부(592)와, 보스부(591)의 다른 쪽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 훅(593)으로 이루어진다. 암부(592)에는 결합축(595)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595)은 상부(595a)가 상기 절환 부재(580)의 결합 홈(586)에 결합하고, 하부(595b)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에 형성된 긴 구멍(544)으로부터 돌출하여, 하부(595b)에 결합 로드(59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후방부에는 스프링 받침 훅(596)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 받침 훅(596)과 요동 부재(590)의 스프링 받침 훅(593) 사이에 스프링(597)이 개재 장착되고, 이 스프링(597)의 탄성에 의해 요동 부재(590)를 거쳐서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가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78)에 압접 결합하고 있다. 고정 부재(820)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 사이의 지지축(516, 517)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535, 536)가 설치되고, 이 탄성 부재(535, 536)에 의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가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압착축(830)의 수형 나사부(833)가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 및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는 상술한 바와 같으 므로 설명을 생략하지만,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대략 중간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절곡부(699)가 형성되어, 이 절곡부(699)에 의해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가 보강되고, 게다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 부품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에, 또는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 부품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80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전방벽(601)에 설치된 손잡이(602)를 잡고 커버(920)의 제1 개구(681)로부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을 꺼내어 표면 덮개(701)를 제1 적재대(611)의 상부벽(615)에 얹으면, 주연부(703)가 상부벽(615)과 적재부(626) 사이의 간극(636)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모양지(711) 위에 시트 부재(713)를 포갠 후 모양지(711)를 안내대(625)의 적재부(626)에 얹는다. 또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위에 외층 프레임(842)과 외층 프레임(8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내층 프레임(851)을 얹는다.
전방벽(601)의 손잡이(602)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1 걸림 오목부(676)에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가 걸려,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위치하고,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한다. 조작 핸들(8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정회전하여 탄성 부재(535, 536)에 의해 수형 나사부(833)가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에 나사 결합하여,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축(8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860)는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에 의해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착 부재(8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단,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541)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끼워 맞춤부(860)가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를 가압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는 압착축(830)과 함께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압착형(840)을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887)와,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상의 외층 프레임(842) 상의 자성체(849)가 접촉하여, 외층 프레임(842)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흡착된다.
외층 프레임(842)의 압착부(846)가 안내대(625)의 안내벽(627)에 끼워 맞추어져 적재부(626)에 압접하고, 안내대(625)를 탄성 부재(6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851)은 외층 프레임(842)에 대하여 자유 상태이므로,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을 가압하지 않는다. 안내대(625)에 포개어 얹은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 적재대(611)에 얹은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에 접촉한다. 이때, 커버(920)에 의해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부근으로의 손의 진입은 방지된다. 이 압착형(840)의 밀어 내림 위치는 지시판(861)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조작 핸들(81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역회전하여 수형 나 사부(833)에 의해 압착축(8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흡착된 외층 프레임(842)과, 외층 프레임(842) 내에 부착된 내층 프레임(85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주연부(703)에 접촉한 상태의 표면 덮개(701)는 외층 프레임(8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으로부터 분리된다. 끼워 맞춤부(860)가 보스부(823)에 접촉하기 직전, 압착축(830)의 수형 나사부(833)가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로부터 분리되므로, 압착축(830)은 공회전하여 압착형(840)이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끼워 맞춤부(860)가 보스부(823)에 압접하는 일이 없어, 그로 인해 끼워 맞춤부(860) 및 압착형(840)이 깨지는 일이 없다.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된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의 제2 적재대(641)의 상부벽(643)에, 주연부(709)를 상부를 향하게 하여 이면 덮개(705)를 얹으면, 고정 부착 핀(729)을 부착하는 부착부(707)가 오목부(642)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주연부(709)가 가공대(655)의 통형부(662)의 내면으로 안내되어 위치 결정된다.
후방벽(603)의 손잡이(604)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2 걸림 오목부(677)에 걸림판(672)의 결합 돌기(675)가 결합하여, 압착형(8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위치하고,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이 커버(920)의 제1 개구(923)로부터 돌출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이 압착형(5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 결합벽(599b)이 절환 부재(580)의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에 결합하여, 반링형의 결합부(583)가 스프링(5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5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67)로부터 분리된다.
조작 핸들(8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축(830)이 정회전하여,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착축(8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860)는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가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67)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한다. 그와 함께 압착 부재(8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해, 압착형(840)의 내층 프레임(851)의 네크부(가이드 돌기)(854)와 접촉하여 내층 프레임(851)을 밀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851)의 접촉 테두리(853)가 표면 덮개(701)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하여 표면 덮개(701)를 외층 프레임(8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축(830)의 플랜지부(865)가 개구(840D)의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 및 외층 프레임(842)도 압착축(830)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 가면 외층 프레임(842)은 가공대(655)와 접촉하여, 가공대(655)를 탄성 부재(6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그와 대략 동시에 내층 프레임(851)에 의해 외층 프레임(842)의 하면 근방까지 밀리게 된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가 가공대(655)의 경사 테두리(660)에 접촉하여 안쪽으로 절곡되고 다음에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도 이 경사 테두리(660)에 압접한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공대(655)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대(600)에 접촉하여 가공대(655)를 더 이상 밀어 내릴 수 부착만 하면 된다까지 이동하면,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가 경사 테두리(660)에 의해 더욱 안쪽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는 경사 테두리(660) 및 제2 적재대(641)의 주연부에 의해 위쪽을 향할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때, 제2 적재대(641) 상의 이면 덮개(705)는 표면 덮개(701)에 시트 부재(713)와 모양지(711)의 주위를 이면 덮개(705)의 주연부(709)와 표면 덮개(701)의 주연부(70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끼움 부착되어, 배지 본체(700a)가 제조된다.
이때, 다시 조작 핸들(811)을 조작하여 압착축(8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소정치 이상의 외력을 조작 핸들(811)에 가했다고 해도, 상기 조작 핸들(811) 내의 클러치(900)에 설치된 걸림 돌기(903)가 걸림 오목부(819)로부터 이탈하므로 조작 핸들(811)이 압착축(830)에 대하여 공회전하여, 압착형(840) 및 배지(700)를 파괴하는 일이 없다.
조작 핸들(81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역회전하여 압착축(8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에는 배지 본체(700a)가 그대로 적재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후방벽(603)에 설치된 손잡이(604)를 잡고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꺼내어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으로부터 배지 본체(700a)를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배지 본체(700a)의 부착 구멍(707)에 상기한 장착 수단(720)(또는 730, 740)의 부착축(721)(또는 731, 741)을 삽입하여 배지(700)가 완성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801)는 제조하는 배지(700)의 크기에 맞추어, 압착형(84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커버(920)에 설치된 조작 버튼(930)을 탄성 부재(935)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지지축(931), 압착축(932), 압출 로드(890)를 거쳐서 탈착 링(880)을 탄성 부재(896)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내려, 탈착 링(880)에 돌기 부재(882)가 자성체(887)와 자성체(849)의 흡착에 저항하여 압착형(840)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801)는 도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배지(700)의 크기를 바꾸기 위해, 상기 압착형(840)보다 큰 압착형(940)을, 자성체(887)와 자성체(849)의 자력에 의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부착한다.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 및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은 동시에 미끄럼 이동대(6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즉,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과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을 동시에 착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610)보다 큰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610a) 및 상기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640)보다 큰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640a)이 설치된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691a)를 미끄럼 이동대(600)에 부착만 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반형의 배지 및 원반형의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배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본원 발명에 관한 다각 형상의 배지 및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65 내지 도70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65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66은 도65의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67은 도65의 배지 제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68은 본원 발명에 관한 다각 형상의 배지를 도시하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69는 도68의 조립 전체 사시도이다. 도70은 도69의 X-X 단면도이다.
배지(10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면 덮개(1001)와, 이면 덮개(1011)와, 시트 부재(1007)로 이루어진다. 표면 덮개(1001)는 다각형의 표면판(1002)과, 상기 표면판(100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1003)를 갖고, 주연부(1003)가 직선부(1004A, 1004B)와, 직선부(1004A, 1004B)를 연속 접촉하는 각형부(1005)로 이루어진다. 시트 부재(1007)는 표면 덮개(1001)의 표면판(1002) 상에 적재된다.
이면 덮개(1011)는 다각형의 이면판(1012)과, 상기 이면판(1012)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1013)을 갖고, 주연부(1013)가 직선부(1014A, 1014B)와, 직선부(1014A, 1014B)를 연속 접촉하는 각형부(1015)로 이루어진다. 표면 덮개(1001)는 주연부(1003)의 각형부(1005)가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의 각형부(1015)에 압착되어 이면 덮개(1011)에 부착되고, 상기 시트 부재(1007)의 주연부 를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와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시트 부재(1007)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1007)와 상기 표면 덮개(1001)의 표면판(1002)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1017)가 놓여져 있다.
또한, 배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지(10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 덮개(1001)와, 이면 덮개(1011)와,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로 이루어진다. 표면 덮개(1001)는 가공 전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의 표면판(1002)을 갖고, 주연부(1003)가 표면판(1002)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주연부(1003)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어 대향하는 긴 직선부(1004A)와, 대향하는 짧은 직선부(1004B)와, 직선부(1004A와 1004B)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1005)로 이루어진다.
이면 덮개(1011)는 가공 전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의 이면판(1012)을 갖고, 주연부(1013)가 이면판(1012)에 대하여 위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주연부(1013)는 위쪽을 향하고 있어 대향하는 긴 직선부(1014A)와, 대향하는 짧은 직선부(1014B)와, 직선부(1014A, 1014B)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1015)로 이루어진다. 이면판(1012)에는 장착 수단(1020)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1021)이 형성되고, 또한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1022)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1021)의 주연부에는 안쪽을 향해 걸림 테두리(1023)가 형성되어 있다.
모양지(1017)는 직사각 형상의 종이로 잡지 등을 오려 낸 것이라도 상관없 다. 시트 부재(1007)는 투과성을 갖는 얇은 합성 수지 소재에 의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1007)에 직접,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를 인쇄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양지가 없어도 된다.
배지(1000)는 표면 덮개(1001)의 상면에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가 포개어지고,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의 주위를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와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가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1003)의 절곡 각도는 직선부(1004A, 1004B)보다 각형부(1005) 쪽이 크고, 그 때문에 각형부(1005)가 이면 덮개(1011)의 각형부(1015)에 압착하고 있다.
배지(1000)에는 장착 수단(1020)이 부착된다. 장착 수단(1020)은 직사각 형상의 기판(1025)과, 기판(1025)의 이면(1026) 대략 중앙에 돌출 형성된 부착축(1027)으로 이루어지며,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기판(1025)의 표면(1028)에는 도45 내지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L자형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수단(1020)은 걸림부에 고정 부착 핀이 부착되고, 부착축(1027)이 이면 덮개(1011)의 부착 구멍(1021)에 삽입되어 이면 덮개(1011)의 오목부(1022)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부착축(1027)은 부착 구멍(1021)에 삽입되면, 부착 구멍(1021)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 테두리(1023)에 걸리게 된다. 또, 장착 수단(1020)은 도48,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식으로 하거나, 도50, 도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착식(磁着式)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각 형상의 배지(1000)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801)에 사용되는 제1 받침형(1110) 및 제2 받침형(11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배지 제조 장치(801)는 베이스(502)와, 베이스(502) 상에 설치된 제1 받침형(1110) 및 제2 받침형(1140)과, 상기 제1 받침형(1110)과 제2 받침형(1140)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배지(1000)를 제조하는 압착형(10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받침형(1110)은 상기 표면 덮개(1001)를 얹는 제1 적재대(1111)를 갖는다. 제2 받침형(1140)은 상기 이면 덮개(1011)를 얹는 제2 적재대(1141)와, 제2 적재대(1141)의 주위에 설치되어,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를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1155)로 구성되어 있다.
가공대(1155)는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의 직선부(1004A, 1004B)를 절곡하는 직선 경사 테두리(1161, 1162)와,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의 각형부(1005)를 절곡하는 각형 경사 테두리(1163)를 갖고, 각형 경사 테두리(1163)에 의해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의 각형부(1005)를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의 각형부(1015)에 압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는 미끄럼 이동대(600)의 왕복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받침형(1110)과 제2 받침형(1140)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는 미끄럼 이동대(600)의 바닥벽(60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받침형(1110)은 표면 덮개(1001)를 얹는 제1 적재대(1111)와, 제1 적재대(111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를 포개어 얹는 안내대(1125)로 구성되고, 안내대(1125)는 탄성 부재(11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 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적재대(1111)는 완만하게 만곡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상부벽(1115)과, 상부벽(1115)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1116)과, 상부벽(1115)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111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적재대(1111)는 주위벽(1116)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설치된 직사각 형상의 가이드 돌기(111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1117)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보스부(1119)의 오목부(112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나사(622)를 고정축(1117)에 나사 고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대(1125)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를 포개어 얹는 직사각 형상의 적재부(1126)와, 적재부(1126)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의 주연부를 안내하는 안내벽(1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대(1125)의 안내벽(1127)에는 후기 외층 프레임(1042)의 압착 부재(1046)가 끼워 맞추어져, 압착 부재(1046)가 적재부(1126)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1126)의 안쪽 하면에는 제1 적재대(1111)의 주위벽(1116)을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직사각형의 통형부(1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대(1125)는 상기 제1 적재대(1111)의 주위벽(1116)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1132)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132)는 상기 제1 적 재대(1111)의 고정축(1117)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1130)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132)의 하단부와 직사각형 통형부(1129)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1133)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1133)는 제1 적재대(1111)의 주위벽(1116)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1135)에 삽입 관통된다.
상기 제1 적재대(1111)의 상부벽(1115)과 안내대(1125)의 적재부(1126)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상부벽(1115)과 적재부(1126) 사이에 표면 덮개(1001)의 절곡된 주연부(1003)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113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대(1125)는 제1 적재대(1111)의 고정축(1117)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111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제2 받침형(1140)은 이면 덮개(1011)를 얹는 제2 적재대(1141)와, 제2 적재대(1141)의 주위에 설치되어,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의 주위를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와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사이에 끼워 넣도록,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를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1155)로 구성되고, 가공대(1155)는 탄성 부재(11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적재대(1141)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1142)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상부벽(1143)과, 상부벽(1143)의 주연부 하부에 형성된 주위벽(1145)과, 상부벽(1143)의 하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통 형상의 고정축(1146)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적재대(1141)는 주위벽(1145)의 하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 에 설치된 직사각 형상의 가이드 오목부(1148)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축(1146)의 하단부가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보스부(1149)의 오목부(1150)에 끼워 맞추어져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의 이면으로부터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한 나사(652)를 고정축(1146)에 나사 고정하여,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691)에 고정되어 있다.
가공대(1155)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결합 단차부(1157)가 형성되고, 이 결합 단차부(1157)에 직사각 형상의 금속 고리(1159)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이 금속 고리(1159)에는 모양지(1017)와 시트 부재(1007)의 주위를 안쪽으로 접어 넣으면서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와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를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 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사 테두리(1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공대(1155)의 상부에 직접 경사 테두리(1160)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상기 경사 테두리(1160)는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와,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와,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와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 경사 테두리(1163)로 이루어진다.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와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의 경사 각도는 대략 동일하다. 각형 경사 테두리(1163)의 경사 각도는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와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보다 크게 되어 있다.
경사 테두리(1160)의 상부에는 후기 외층 프레임(1042)의 압착 부재(1046)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116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단차부(1157)의 하부에는 제2 적재대(1141)의 주위벽(1145)을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하는 직사각형의 통형부(11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대(1155)는 상기 제2 적재대(1141)의 주위벽(1145) 내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통형 부재(1167)를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167)는 상기 제2 적재대(1141)의 고정축(114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 구멍(1169)을 갖는다. 가이드 통형 부재(1167)의 하단부와 통형부(1166)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1170)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1170)는 제2 적재대(1141)의 주위벽(1145)에 상하 방향을 향해 절결되어 형성된 긴 홈(117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공대(1155)는 제2 적재대(1141)의 고정축(1146)에 권취 장착된 스프링(탄성 부재)(1156)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압착형(1040)은 외층 프레임(1042)과, 외층 프레임(10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외층 프레임(1042)보다 얕은 내층 프레임(1051)으로 이루어진다. 외층 프레임(1042)은 직사각형의 통 형상 주위벽(1043)과, 주위벽(1043)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압착 부재(1046)와, 주위벽(1043)의 상단부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상부벽(1047)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벽(1047)에는 대략 원형의 오목부(1048)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1048)에 링 형상의 자성체(1049)가 부착되어 있다. 자성체(1049)는 상기 자성체(887)와 흡착하는 것이면 좋으며, 자석, 자성 고무, 강자성체 등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1047)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10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1043)의 전후에는 결합 돌기(1059, 1059)가 설치되어 있다.
내층 프레임(1051)은 직사각형의 판부(1052)와, 직사각형 판부(1052)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되어, 배지(1000)의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에 접촉하는 직사각형의 접촉 테두리(1053)와, 직사각형 판부(105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층 프레임(1042)의 가이드 구멍(104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네크부(가이드 돌기)(1054)로 이루어진다. 이 네크부(가이드 돌기)(1054)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 구멍(1044)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1055)가 나사(1057)에 의해 부착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1055)의 상단부 외주연부에, 외층 프레임(1042)의 상부벽(1047)과 결합하는 결합 돌기(10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층 프레임(1051)은 외층 프레임(1042)에 대하여 결합 돌기(1056)와 직사각형의 판부(1052)가 상부벽(1047)에 접촉하는 범위에서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해, 자중에 의해 결합 돌기(1056)가 상부벽(1047)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층 프레임(1042) 내에 내층 프레임(1051)을 부착함으로써, 어느 한쪽만을 분실하거나, 외층 프레임과 내층 프레임의 조합을 실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80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전방벽(60l)에 설치된 손잡이(602)를 잡고 커버(920)의 제1 개구(681)로부터 제1 받침형(1110)을 꺼내어 표면 덮개(1001)를 제1 적재대(1111)의 상부벽(1115)에 얹으면, 주연부(1003)가 상부벽(1115)과 적재부(1126) 사이의 간극(1136)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모양지(1017) 위에 시트 부재(1007)를 포개고 나서 모양지(1017)를 안내대(1125)의 적재부(1126)에 얹는다. 또한, 제1 받침형(1110) 위에 외층 프레임(1042)과 외층 프레임(104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 게 부착된 내층 프레임(1051)을 얹는다.
전방벽(601)의 손잡이(602)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1 걸림 오목부(676)에 걸림판(672)의 걸림 돌기(675)가 걸려, 압착형(10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1 받침형(1110)이 위치하고, 제2 받침형(1140)이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된다. 조작 핸들(8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정회전하여 탄성 부재(535, 536)에 의해 수형 나사부(833)가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에 나사 결합하여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압착축(8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860)는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에 의해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착 부재(8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단,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끼워 맞춤부(860)가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를 가압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는 압착축(830)과 함께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압착형(1040)을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하면에 설치된 자성체(887)와 제1 받침형(1110) 상의 외층 프레임(1042) 상의 자성체(1049)가 접촉하여 외층 프레임(1042)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흡착된다.
외층 프레임(1042)의 압착 부재(1046)가 안내대(1125)의 안내벽(1127)에 끼워 맞추어져 적재부(1126)에 압접하고, 안내대(1125)를 탄성 부재(1113)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1051)은 외층 프레임(1042)에 대하여 자유 상 태이므로 제1 받침형(1110)을 가압하지 않는다. 안내대(1125)에 포개어 얹은 시트 부재(1007)와 모양지(1017)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제1 적재대(1111)에 얹은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에 접촉한다. 이때, 커버(920)에 의해 제1 받침형(1110) 부근으로의 손의 진입은 방지된다. 이 압착형(1040)의 밀어 내림 위치는 지시판(861)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조작 핸들(81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역회전하여, 수형 나사부(833)에 의해 압착축(8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흡착된 외층 프레임(1042)과, 외층 프레임(1042) 내에 부착된 내층 프레임(105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시트 부재(1007)와 모양지(1017)의 주위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주연부(1003)에 접촉한 상태의 표면 덮개(1001)는 외층 프레임(10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제1 받침형(1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끼워 맞춤부(860)가 보스부(823)에 접촉하기 직전, 압착축(830)의 수형 나사부(833)가 고정 부재(820)의 암형 나사부(825)로부터 분리되므로, 압착축(830)은 공회전하여 압착형(1040)이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끼워 맞춤부(860)가 보스부(823)에 압접하는 일이 없어 끼워 맞춤부(860) 및 압착형(1040)이 파괴되는 일이 없다.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돌출된 제2 받침형(1140)의 제2 적재대(1141)의 상부벽(1143)에, 주연부(1013)를 상부를 향하게 하여 이면 덮개(1011)를 얹으면, 고정 부착 핀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오목부(1142)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주연부(1013)가 가공대(1155)의 통형부(1166)의 내면으로 안내되어 위치 결정된다.
후방벽(603)의 손잡이(604)를 잡고 미끄럼 이동대(600)를 밀어 넣으면, 미끄럼 이동대(600)의 제2 걸림 오목부(677)에 걸림판(672)의 결합 돌기(675)가 결합하여, 압착형(10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제2 받침형(1140)이 위치하고, 제1 받침형(1110)이 커버(920)의 제1 개구(923)로부터 돌출한다. 제2 받침형(1140)이 압착형(1040)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면, 후방 결합벽(599b)이 절환 부재(580)의 결합축(595)의 결합 로드(598)에 결합하여, 반링형의 결합부(583)가 스프링(597)의 탄성에 저항하여 베어링부(5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67)로부터 분리된다.
조작 핸들(811)을 한쪽으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축(830)이 정회전하여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착축(8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860)는 절환 부재(580)의 결합부(583)가 압착 부재(877)의 결합 오목부(867)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개구(840D)에 삽입 관통한다. 그와 함께 압착 부재(877)는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1040)의 내층 프레임(1051)의 네크부(가이드 돌기)(854)와 접촉하여, 내층 프레임(1051)을 밀어 내린다. 내층 프레임(1051)의 접촉 테두리(1053)가 표면 덮개(1001)의 상단부 테두리에 접촉하여 표면 덮개(1001)를 외층 프레임(10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린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압착축(830)의 플랜지부(865)가 개구(840D)의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 및 외층 프레임(1042)도 압착축(830)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 가면 외층 프레임(1042)은 가공 대(1155)와 접촉하여, 가공대(1155)를 탄성 부재(11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린다. 그와 대략 동시에 내층 프레임(1051)에 의해 외층 프레임(1042)의 하면 근방까지 밀어 내려진 시트 부재(1007)와 모양지(1017)의 주위가 가공대(1155)의 경사 테두리(1160)에 접촉하여 안쪽으로 절곡되고 다음에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도 이 경사 테두리(1160)에 압접한다.
또한, 압착축(8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공대(1155)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대(600)에 접촉하여 가공대(1155)를 더 이상 밀어 내릴 수 부착만 하면 된다까지 이동하면,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가 경사 테두리(1160)에 의해 더욱 안쪽으로 절곡되고, 시트 부재(1007)와 모양지(1017)의 주위는 경사 테두리(1160) 및 제2 적재대(1141)의 주연부에 의해 위쪽을 향할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때, 제2 적재대(1141) 상의 이면 덮개(1011)는 표면 덮개(1001)에 시트 부재(1007)와 모양지(1017)의 주위를 이면 덮개(1011)의 주연부(1013)와 표면 덮개(1001)의 주연부(100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끼움 부착되어, 배지(1000)가 제조된다.
가공대(1155)의 경사 테두리(1160)는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와,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와, 각형 경사 테두리(1163)로 이루어지며,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가 표면 덮개(1001)의 직선부(1004A)를 안쪽으로 절곡하고,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가 표면 덮개(1001)의 직선부(1004B)를 안쪽으로 절곡하고, 각형 경사 테두리(1163)가 표면 덮개(1001)의 각형부(1005)를 안쪽으로 절곡한다. 이러한 경우, 각형 경사 테두리(1163)의 경사각이 제1 직선 경사 테두리(1161) 및 제2 직선 경사 테두리(1162)보다 크기 때문에, 각형부(1005)가 직선부(1004A) 및 직선 부(1004B)보다도 안쪽으로 절곡되어, 각형부(1005)가 이면 덮개(1011)의 각형부(1015)에 압착한다. 표면 덮개(1001)의 직선부(1004A) 및 직선부(1004B)는 이면 덮개(1011)의 직선부(1014A) 및 직선부(1014B)에 대하여, 접촉 혹은 약간의 간극이 개방될 정도까지 절곡된다. 이와 같이 배지(1000)는 표면 덮개(1001)의 각형부(1005)가 이면 덮개(1011)의 각형부(1015)에 압착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표면 덮개(1001)는 각형부(1005)가 직선부(1004A) 및 직선부(1004B)보다 강하게 휘게 되므로, 표면판(1002)의 대략 중심을 향하는 힘이 세게 작용하여 표면판(1002)이 돔 형상으로 모양이 갖추어져 성형된다.
이때, 또한 조작 핸들(831)을 조작하여 압착축(83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려고 하여 소정치 이상의 외력을 조작 핸들(831)에 가했다고 해도, 상기 조작 핸들(831) 내의 클러치(900)에 설치된 걸림 돌기(903)가 걸림 오목부(819)로부터 이탈하므로 조작 핸들(831)이 압착축(830)에 대하여 공회전하여, 압착형(1040) 및 배지(700)를 파괴하는 일이 없다.
조작 핸들(831)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압착축(830)이 역회전하여 압착축(830)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도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받침형(1140)에는 배지(1000)가 그대로 적재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대(600)의 후방벽(603)에 설치된 손잡이(604)를 잡고 커버(920)의 제2 개구(682)로부터 제2 받침형(1140)을 꺼내어 제2 받침형(1140)으로부터 대략 직사각형의 배지(1000)를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배지(1000)의 부착 구멍(1021)에 상기한 장착 수단(1020)의 부착축(1027)을 삽입하여 배지(1000)가 완성된다.
상기 배지 제조 장치(801)는 압착형(1040)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커버(920)에 설치된 조작 버튼(930)을 탄성 부재(935)의 탄성에 저항하여 누르면, 지지축(931), 압착축(932), 압출 로드(890)를 거쳐서 탈착 링(880)을 탄성 부재(896)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내려, 탈착 링(880)에 돌기 부재(882)가 자성체(887)와 자성체(849)의 흡착에 저항하여 압착형(1040)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압착형(1040)은 도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059, 1059)가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의 안내벽(840E)에 형성된 절결부(885, 885)에 결합하기 때문에 회전 불가능하게 위치 결정되어,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841)에 부착된다.
상기 배지(10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특별히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형상, 육각 형상 등의 압착할 수 있는 각형부를 구비한 다각 형상이면 상관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이 미끄럼 이동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쉽게 부착 부재를 떼어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압착형이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력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쉽게 압착형을 분리하여 간단히 압착형을 교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과 압착형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제조 부품을 준비해 두어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배지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상기 효과 외에 압착형이 압착형 본체와,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이 자력에 의해 압착형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력 이상의 힘에 의해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을 압착형 본체로부터 제거하고 또한 자력에 의해 크기가 다른 외층 프레임 및 내층 프레임을 간단히 부착할 수 있어, 제조하는 배지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압착형 본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외층 프레임을, 자력에 저항하여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한층 간단히 외층 프레임을 압착형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압착축이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고, 하단부에 압착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착축을 회전시키면 압착형이 내려가, 상대적으로 제1 받침형 또는 제2 받침형이 위로 올라가고, 압착형과 제1 받침형 또는 제2 받침형의 양쪽으로부터의 협지 압력에 의해 배지를 제조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베이스를 누르는 일이 없어 안정된 곳에 두지 않고 불안정한 곳에 두어도 작업할 수 있으며, 게다가 압착형을 누르는 데 수형 나사부를 이용하고 있어 작업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수형 나사부가,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분리되어 압착축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압접하여 파괴될 염려가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는 다각 형상으로,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가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면 덮개의 표면판에 작용하는 힘이 대략 중심 측을 향하게 되므로, 표면판이 대략 돔 형상으로 형태가 갖추어져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는 표면판이 돔 형상으로 만곡한 형태로 갖추어지므로, 표면판에 커버판을 밀착시킬 수 있어 표면판과 커버판 사이에 모양지를 이동 불가능하게 둘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배지 제조 장치는 가공대의 각형 경사 테두리가,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시켜 배지를 제조하므로, 표면 덮개의 각형부에 가해지는 힘이 표면판의 중심 측을 향하기 때문에 표면판의 형상을 대략 돔 형상으로 갖춘 다각 형상의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부호의 설명]
1 : 배지 제조 장치, 2 : 베이스, 3 : 상부벽, 5 : 주위벽, 6 : 안내 홈, 7 : 바닥벽, 9 : 측벽, 9a : 가이드 돌기, 10 : 측벽, 10a : 가이드 돌기, 11 : 보스, 11a : 삽입 통과 구멍, 12 : 보스, 12a : 삽입 통과 구멍, 15 : 보강 부재, 15a : 구멍, 15b : 구멍, 16 : 지지 기둥, 16a : 수형 나사부, 16b : 수형 나사부, 17 : 지지 기둥, 17a : 수형 나사부, 17b : 수형 나사부, 18 : 너트, 19 : 너트, 20 : 고정 부재, 20a : 구멍, 20b : 구멍, 21 : 너트, 22 : 너트, 23 : 두께부, 25 : 암형 나사부, 26 : 이탈 수단, 27 : 압출 로드, 28 : 조작 버튼, 29 : 탄성 부재, 30 : 압착축, 32 : 조작 핸들(조작 수단), 33 : 수형 나사부, 34 : 결함 나사부, 35 : 탄성 부재, 36 : 탄성 부재, 37 : 가이드 구멍, 40 : 압착형(압착 수단), 40A : 압착형 본체, 40B : 원형 돌기, 40C : 오목부, 40D : 개구, 40E : 안내벽, 41 :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 42 : 외층 프레임, 44 : 긴 구멍, 45 : 수납 오목부, 46 : 자성체(결합 수단), 50 : 압착부, 51 : 내층 프레임, 52 : 만곡부, 53 : 접촉 테두리, 55 : 수납 오목부, 56 : 자성체(결합 수단), 57 : 결합 오목부, 60 : 압착부, 65 : 플랜지부, 69 : 나사, 71 : 안내 구멍, 72 : 안내 구멍, 74 : 오목부, 75 : 베어링부, 76 : 나사, 77 : 장착 부재, 78 : 원형 돌기, 79 : 가이드 돌기, 80 : 절환 부재, 81 : 보스부, 82 : 제1 암 부재, 83 : 결합부, 85 : 제2 암 부재, 86 : 결합 홈, 87 : 자성체(결합 수단), 88 : 자성체(결합 수단), 90 : 요동 부재, 91 : 보스부, 92 : 암부, 93 : 스프링 받침 훅, 95 : 결합축, 95a : 상부, 95b : 하부, 96 : 스프링 받침 훅, 97 : 스프링, 98 : 결합 로드, 99a : 전방 결합벽, 99b : 후방 결합벽, 100 : 미끄럼 이동대, 101 : 전방벽, 102 : 손잡이, 103 : 후방벽, 104 : 손잡이, 105 : 바닥벽, 106 : 좌측벽, 106a : 결합 테두리, 107 : 우측벽, 107a : 결합 테두리, 110 :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 110a :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 111 : 제1 적재대, 113 : 탄성 부재, 115 : 상부벽, 116 : 주위벽, 117 : 고정축, 118 : 가이드 돌기, 119 : 보스부, 120 : 오목부, 122 : 나사, 125 : 안내대, 126 : 적재부, 127 : 안내벽, 129 : 통형부, 130 : 안내 구멍, 132 : 가이드 통형 부재, 133 : 연결 부재, 135 : 긴 홈, 136 : 간극, 140 :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 140a :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 141 : 제2 적재대, 142 : 오목부, 143 : 상부벽, 145 : 주위벽, 146 : 고정축, 148 : 가이드 돌기, 149 : 보스부, 150 : 오목부, 152 : 나사, 155 : 가공대, 156 : 탄성 부재(스프링), 157 : 결합 단차부, 159 : 금속 고리, 160 : 경사 테두리, 161 : 오목부, 162 : 통형부, 163 : 가이드 통형 부재, 165 : 안내 구멍, 167 : 연결 부재, 169 : 긴 홈, 170 : 위치 결정 부재, 172 : 걸림판, 173 : 나사, 175 : 걸림 돌기, 176 : 제1 걸림 오목부, 177 : 제2 걸림 오목부, 178 : 탄성 부재, 180 : 커버, 181 : 제1 개구, 182 : 제2 개구, 191 :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 191a :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 192 : 전단부 테두리, 193 : 후단부 테두리, 194 : 끼워 맞춤 오목부, 195 : 주위벽, 196 : 결합 부재(결합 수단), 197 : 로크 부재(로크 수단), 198 : 탄성 부재, 200 : 배지, 200a : 배지 본체, 201 : 표면 덮개, 202 : 표면판, 203 : 주연부, 205 : 이면 덮개, 206 : 이면판, 207 : 부착 구멍, 208 : 오목부, 209 : 주연부, 210 : 걸림 갈고리, 211 : 모양지, 213 : 시트 부재, 220 : 장착 수단, 221 : 부착축, 222 : 기판, 223 : 표면, 225 : 걸림부, 226 : 이면, 229 : 고정 부착 핀, 230 : 장착 수단, 231 : 부착축, 232 : 기판, 233 : 표면, 234 : 베어링 부재, 235 : 이면, 236 : 지지축, 237 : 협지 부착판, 237a : 일단부, 238 : 탄성 부재, 239 : 베어링 부재, 240 : 장착 수단, 241 : 부착축, 242 : 기판, 243 : 이면, 245 : 표면, 246 : 자성판, 301 : 배지 제조 장치, 304 : 관통 구멍, 305 : 나사 구멍, 306 : 수용 공간, 310 : 조작 수단, 311 : 조작 핸들, 312 : 상부 케이스, 313 : 하부 커버, 314 : 상부 커버, 315 : 상부벽, 316 : 동일벽, 317 : 측벽, 318 : 안내벽, 319 : 걸림 오목부, 320 : 고정 부재, 323 : 보스부, 325 : 암형 나사부, 326 : 베어링 구멍, 327 : 베어링 구멍, 328 : 보스부, 329 : 나사, 330 : 압착축, 331 : 육각축, 333 : 수형 나사부, 334 : 결함 나사부, 335 : 나사 구멍, 336 : 나사, 340 : 압착형(압착 수단), 340B : 원형 돌기, 340C : 원형 오목부, 340D : 개구, 340E : 안내벽, 340F : 안내벽, 340G : 안내벽, 341 :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 342 : 외층 프레임, 343 : 주위벽, 344 : 가이드 구멍, 346 : 압착 부재, 347 : 상부벽, 348 : 오목부, 349 : 자성체(결합 수단), 351 : 내층 프레임, 352 : 만곡부, 353 : 접촉 테두리, 354 : 네크부, 355 : 미끄럼 이동 부재, 356 : 결합 돌기, 357 : 결합축, 357 : 나사, 360 : 끼워 맞춤부, 365 : 플랜지부, 367 : 시트, 374 : 결합 구멍, 377 : 압착 부재, 378 : 결합 오목부, 379 : 가이드 돌기, 380 : 탈착 링, 381 : 끼워 맞춤 부재, 382 : 돌기 부재, 385 : 절결부, 387 : 자성체(결합 수단), 388 : 오목부, 390 : 압출 로드, 391 : 나사, 392 : 보스, 393 : 가이드 구멍, 395 : 헤드부, 396 : 탄성 부재, 400 : 클러치, 401 : 회전체, 402 : 회전축, 403 : 걸림 돌기, 405 : 탄성 부재, 406 : 부착 구멍, 407 : 나사 통과 구멍, 410 : 안내 오목부, 411 : 개구, 412 : 결합 홈, 413 : 결합 돌기, 420 : 커버, 421 : 전방 절반 부재, 422 : 후방 절반 부재, 423 : 개구, 425 : 개구, 426 : 단차부, 430 : 조작 버튼, 431 : 지지축, 432 : 압착축, 433 : 나사, 435 : 탄성 부재, 436 : 권취 장착 커버, 437 : 걸림 부재, 440 : 압착형(압착 수단), 442 : 외층 프레임, 443 : 외만곡부, 444 : 가이드 구멍, 445 : 주위벽, 446 : 압착부, 447 : 상부벽, 448 : 오목부, 451 : 내층 프레임, 452 : 만곡부, 453 : 접촉 테두리, 454 : 네크부, 455 : 미끄럼 이동 부재, 456 : 결합 돌기, 457 : 나사, 501 : 배지 제조 장치, 502 : 베이스, 503 : 상부벽, 505 : 주위벽, 506 : 안내 홈, 507 : 바닥벽, 509 : 측벽, 509a : 가이드 돌기, 510 : 측벽, 510a : 가이드 돌기, 511 : 보스, 511a : 삽입 통과 구멍, 512 : 보스, 512a : 삽입 통과 구멍, 515 : 보강 부재, 515a : 구멍, 515b : 구멍, 516 : 지지 기둥, 516a : 수형 나사부, 516b : 수형 나사부, 517 : 지지 기둥, 517a : 수형 나사부, 517b : 수형 나사부, 518 : 너트, 519 : 너트, 520 : 고정 부재, 520a : 구멍, 520b : 구멍, 521 : 너트, 522 : 너트, 523 : 두께부, 525 : 암형 나사부, 526 : 이탈 수단, 527 : 압출 로드, 528 : 조작 버튼, 529 : 탄성 부재, 530 : 압착축, 532 : 조작 핸들(조작 수단), 533 : 수형 나사부, 534 : 결함 나사부, 535 : 탄성 부재, 536 : 탄성 부재, 537 : 가이드 구멍, 540 : 압착형(압착 수단), 540A : 압착형 본체, 540B : 원형 돌기, 540C : 오목부, 540D : 개구, 540E : 안내벽, 541 :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 542 : 외층 프레임, 542a : 외층 프레임, 544 : 긴 구멍, 545 : 수납 오목부, 546 : 자성체(결합 수단), 550 : 압착부, 551 : 내층 프레임, 551a : 내층 프레임, 552 : 만곡부, 553 : 접촉 테두리, 555 : 수납 오목부, 556 : 자성체(결합 수단), 557 : 결합 오목부, 560 : 압착부, 565 : 플랜지부, 569 : 나사, 571 : 안내 구멍, 572 : 안내 구멍, 574 : 오목부, 575 : 베어링부, 576 : 나사, 577 : 장착 부재, 578 : 원형 돌기, 579 : 가이드 돌기, 580 : 절환 부재, 581 : 보스부, 582 : 제1 암 부재, 583 : 결합부, 585 : 제2 암 부재, 586 : 결합 홈, 587 : 자성체(결합 수단), 588 : 자성체(결합 수단), 590 : 요동 부재, 591 : 보스부, 592 : 암부, 593 : 스프링 받침 훅, 595 : 결합축, 595a : 상부, 595b : 하부, 596 : 스프링 받침 훅, 597 : 스프링, 598 : 결합 로드, 599a : 전방 결합벽, 599b : 후방 결합벽, 600 : 미끄럼 이동대, 601 : 전방벽, 602 : 손잡이, 603 : 후방벽, 604 : 손잡이, 605 : 바닥벽, 606 : 좌측벽, 606a : 결합 테두리, 607 : 우측벽, 607a : 결합 테두리, 610 : 제1 받침형(제1 표면 덮개 적재형), 610a : 제1 받침형(제2 표면 덮개 적재형), 611 : 제1 적재대, 613 : 탄성 부재, 615 : 상부벽, 616 : 주위벽, 617 : 고정축, 618 : 가이드 돌기, 619 : 보스부, 620 : 오목부, 622 : 나사, 625 : 안내대, 626 : 적재부, 627 : 안내벽, 629 : 통형부, 630 : 안내 구멍, 632 : 가이드 통형 부재, 633 : 연결 부재, 635 : 긴 홈, 636 : 간극, 640 : 제2 받침형(제1 이면 덮개 적재형), 640a : 제2 받침형(제2 이면 덮개 적재형), 641 : 제2 적재대, 642 : 오목부, 643 : 상부벽, 645 : 주위벽, 646 : 고정축, 648 : 가이드 돌기, 649 : 보스부, 650 : 오목부, 652 : 나사, 655 : 가공대, 656 : 탄성 부재(스프링), 657 : 결합 단차부, 659 : 금속 고리, 660 : 경사 테두리, 661 : 오목부, 662 : 통형부, 663 : 가이드 통형 부재, 665 : 안내 구멍, 667 : 연결 부재, 669 : 긴 홈, 670 : 위치 결정 부재, 672 : 걸림판, 673 : 나사, 675 : 걸림 돌기, 676 : 제1 걸림 오목부, 677 : 제2 걸림 오목부, 678 : 탄성 부재, 680 : 커버, 681 : 제1 개구, 682 : 제2 개구, 691 : 부착 부재(제1 부착 부재), 691a : 부착 부재(제2 부착 부재), 692 : 전단부 테두리, 693 : 후단부 테두리, 694 : 끼워 맞춤 오목부, 695 : 주위벽, 696 : 결합 부재(결합 수단), 697 : 로크 부재(로크 수단), 698 : 탄성 부재, 700 : 배지, 700a : 배지 본체, 701 : 표면 덮개, 702 : 표면판, 703 : 주연부, 705 : 이면 덮개, 706 : 이면판, 707 : 부착 구멍, 708 : 오목부, 709 : 주연부, 710 : 걸림 갈고리, 711 : 모양지, 713 : 시트 부재, 720 : 장착 수단, 721 : 부착축, 722 : 기판, 723 : 표면, 725 : 걸림부, 726 : 이면, 729 : 고정 부착 핀, 730 : 장착 수단, 731 : 부착축, 732 : 기판, 733 : 표면, 734 : 베어링 부재, 735 : 이면, 736 : 지지축, 737 : 협지 부착판, 737a : 일단부, 738 : 탄성 부재, 739 : 베어링 부재, 740 : 장착 수단, 741 : 부착축, 742 : 기판, 743 : 이면, 745 : 표면, 746 : 자성판, 801 : 배지 제조 장치, 804 : 관통 구멍, 805 : 나사 구멍, 806 : 수용 공간, 810 : 조작 수단, 811 : 조작 핸들, 812 : 상부 케이스, 813 : 하부 커버, 814 : 상부 커버, 815 : 상부벽, 816 : 동일벽, 817 : 측벽, 818 : 안내벽, 819 : 걸림 오목부, 820 : 고정 부재, 823 : 보스부, 825 : 암형 나사부, 826 : 베어링 구멍, 827 : 베어링 구멍, 828 : 보스부, 829 : 나사, 830 : 압착축, 831 : 육각축, 833 : 수형 나사부, 834 : 결함 나사부, 335 : 나사 구멍, 836 : 나사, 840 : 압착형(압착 수단), 840B : 원형 돌기, 840C : 원형 오목부, 840D : 개구, 840E : 안내벽, 840F : 안내벽, 840G : 안내벽, 841 : 상하 미끄럼 이동 부재, 842 : 외층 프레임, 843 : 주위벽, 844 : 가이드 구멍, 846 : 압착 부재, 847 : 상부벽, 848 : 오목부, 849 : 자성체(결합 수단), 851 : 내층 프레임, 852 : 만곡부, 853 : 접촉 테두리, 854 : 네크부(가이드 돌기), 855 : 미끄럼 이동 부재, 856 : 결합 돌기, 857 : 결합축, 857 : 나사, 860 : 끼워 맞춤부, 865 : 플랜지부, 867 : 시트, 874 : 결합 구멍, 877 : 압착 부재, 878 : 결합 오목부, 879 : 가이드 돌기, 880 : 탈착 링, 881 : 끼워 맞춤 부재, 882 : 돌기 부재, 885 : 절결부, 887 : 자성체(결합 수단), 888 : 오목부, 890 : 압출 로드, 891 : 나사, 892 : 보스, 893 : 가이드 구멍, 895 : 헤드부, 896 : 탄성 부재, 900 : 클러치, 901 : 회전체, 902 : 회전축, 903 : 걸림 돌기, 905 : 탄성 부재, 906 : 부착 구멍, 907 : 나사 통과 구멍, 910 : 안내 오목부, 911 : 개구, 912 : 결합 홈, 913 : 결합 돌기, 920 : 커버, 921 : 전방 절반 부재, 922 : 후방 절반 부재, 923 : 개구, 925 : 개구, 926 : 단차부, 930 : 조작 버튼, 931 : 지지축, 932 : 압착축, 933 : 나사, 935 : 탄성 부재, 936 : 장식 커버, 937 : 걸림 부재, 940 : 압착형(압착 수단), 942 : 외층 프레임, 943 : 외만곡부, 944 : 가이드 구멍, 945 : 주위벽, 946 : 압착부, 947 : 상부벽, 948 : 오목부, 951 : 내층 프레임, 952 : 만곡부, 953 : 접촉 테두리, 954 : 네크부(가이드 돌기), 955 : 미끄럼 이동 부재, 956 : 결합 돌기, 957 : 나사, 1000 : 배지, 1001 : 표면 덮개, 1002 : 표면판, 1003 : 주연부, 1004A : 직선부, 1004B : 직선부, 1005 : 각형부, 1007 : 시트 부재, 1011 : 이면 덮개, 1012 : 이면판, 1013 : 주연부, 1014A : 직선부, 1014B : 직선부, 1015 : 각형부, 1017 : 모양지, 1020 : 장착 수단, 1021 : 부착 구멍, 1022 : 오목부, 1023 : 걸림 테두리, 1025 : 기판, 1026 : 이면, 1027 : 부착축, 1028 : 표면, 1040 : 압착형(압착 수단), 1042 : 외층 프레임, 1043 : 주위벽, 1044 : 가이드 구멍, 1046 : 압착 부재, 1047 : 상부벽, 1048 : 오목부, 1049 : 자성체(결합 수단), 1051 : 내층 프레임, 1052 : 직사각형 판부, 1053 : 접촉 테두리, 1054 : 네크부(가이드 돌기), 1055 : 미끄럼 이동 부재, 1056 : 결합 돌기, 1057 : 나사, 1059 : 결합 돌기, 1110 : 제1 받침형, 1111 : 제1 적재대, 1113 : 탄성 부재, 1115 : 상부벽, 1116 : 주위벽, 1117 : 고정축, 1118 : 가이드 돌기, 1119 : 보스부, 1120 : 오목부, 1125 : 안내대, 1126 : 적재부, 1127 : 안내벽, 1129 : 직사각형 통형부, 1130 : 안내 구멍, 1132 : 가이드 통형 부재, 1133 : 연결 부재, 1135 : 긴 홈, 1136 : 간극, 1140 : 제2 받침형(받침형), 1141 : 제2 적재대, 1142 : 오목부, 1143 : 상부벽, 1145 : 주위벽, 1146 : 고정축, 1148 : 가이드 오목부, 1149 : 보스부, 1150 : 오목부, 1155 : 가공대, 1156 : 탄성 부재, 1157 : 결합 단차부, 1159 : 금속 고리, 1160 : 경사 테두리, 1161 : 제1 직선 경사 테두리, 1162 : 제2 직선 경사 테두리, 1163 : 각형 경사 테두리, 1165 : 오목부, 1166 : 통형부, 1167 : 가이드 통형 부재, 1169 : 안내 구멍, 1170 : 연결 부재, 1171 : 긴 홈
본원 발명은 의복, 모자 등에 핀 등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식품으로서 이용 가능한 금속으로 된 배지를 간단히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는 배지 제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3)

  1.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 가능한 제1 받침형과,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 가능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이 설치된 부착 부재와,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제1 받침형 또는 상기 제2 받침형과 결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에 착탈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부착 부재의 한쪽을 결합하는 결합 수단과,
    상기 부착 부재의 다른 쪽을 로크하는 로크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부착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5.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과 결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과 결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6.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1,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의 각각에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 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제1 받침형 또는 상기 제2 받침형과 접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형은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8.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형은
    제1 받침형과 접합하는 외층 프레임과,
    제2 받침형과 접합하는 내층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외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내층 프레임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외층 프레임의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 외층 프레임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9.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에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과 접합하도록 이동시키는 압착축을 갖고,
    상기 압착축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고,
    상기 수형 나사부는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분리되어 압착축이 공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축은
    상기 수형 나사부와,
    압착축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형이 고정 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수형 나사부를 고정 부재의 암형 나사부로부터 분리하여 압착축을 공회전시키는, 수형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함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1.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받침형과,
    베이스의 위쪽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설치된 암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형 나사부를 갖는 압착축과,
    압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형에 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조작 수단과 압착축 사이에는 조작 수단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압착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조작 수단에 소정치 이상의 조작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조작 수단을 상기 압착축에 대하여 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는
    탄성 부재로 힘이 가해진 걸림 돌기와,
    이 걸림 돌기를 걸거나 벗기는 걸림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걸림 돌기 또는 걸림 오목부 중 한쪽이 조작 수단에 설치되고,
    걸림 돌기 또는 걸림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압착축에 부착된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오목부가 결합하도록 상기 조작 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3.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시트 부재를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적재하여,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여져 있는 배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4. 제1 이면 덮개와 제1 표면 덮개를 끼움 부착함으로써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제1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표면 덮개 적재형과, 상기 제1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이면 덮개 적재형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제1 부착 부재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상기 제1 부착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갖고,
    상기 부착 수단에 의해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상기 제1 부착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1 표면 덮개 적재형 및 상기 제1 이면 덮개 적재형을 상기 미끄럼 이동대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게 하여, 교대로 배지 제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지가 제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덮개 적재형 및 제1 이면 덮개 적재형과 결 합함으로써 상기 배지를 제조 가능한 압착 수단을 갖고, 상기 배지 제조 위치는 상기 압착 수단의 대략 바로 아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표면 덮개와는 다른 제2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표면 덮개 적재형과, 상기 제1 이면 덮개와는 다른 제2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이면 덮개 적재형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제2 부착 부재와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17.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의 배지이며,
    표면 덮개는 다각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이면 덮개는 다각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는 각이진 주연부가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되어, 이면 덮개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18. 표면 덮개와, 이면 덮개와,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각 형상의 배지이며,
    표면 덮개는 다각형의 표면판과, 상기 표면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시트 부재는 표면 덮개의 표면판 상에 적재되고,
    이면 덮개는 다각형의 이면판과, 상기 이면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연부를 갖고, 주연부가 직선부와 직선부를 연속 접촉하는 만곡한 각형부로 이루어지며,
    표면 덮개는 각이진 주연부가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되어 이면 덮개에 부착되고, 상기 시트 부재의 주연부를 표면 덮개의 주연부와 이면 덮개의 주연부 사이에 끼워 넣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시트 부재는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표면 덮개의 표면판 사이에, 문자, 도안, 모양 혹은 이들을 결합한 표시가 인쇄된 모양지가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20.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받침형과,
    상기 받침형과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으로 이루어지며,
    받침형은 상기 이면 덮개를 얹는 적재대와,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표면 덮개의 주연부의 직선부를 절곡하는 직선 경사 테두리와,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절곡하는 각형 경사 테두리를 갖고, 각형 경사 테두리에 의해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21.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설치된 제1 받침형 및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제2 받침형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받침형은 상기 표면 덮개를 얹는 제1 적재대를 갖고,
    제2 받침형은 상기 이면 덮개를 얹는 제2 적재대와, 제2 적재대의 주위에 설치되어 표면 덮개의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주연부 측으로 절곡시키는 가공대로 구성되고,
    가공대는 표면 덮개의 주연부의 직선부를 절곡하는 직선 경사 테두리와,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절곡하는 각형 경사 테두리를 갖고, 각형 경사 테두리에 의해 표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를 이면 덮개의 각이진 주연부에 압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
  22.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받침형 및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에 각각 개별적으로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위쪽에 위치하여 하단부에 상기 압착형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설치된 압착축이며,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단부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 또는 떨어짐 가능한 상기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커버를 갖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이며,
    상기 압착형을 상기 받침형 중 어느 하나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착형 및 상기 압착형이 적재된 받침형을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를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결 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
  23. 이면 덮개와 표면 덮개를 갖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 제조 장치이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대와,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왕복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1 받침형 및 상기 이면 덮개를 적재하는 데 적합한 제2 받침형과,
    상기 제1 받침형과 상기 제2 받침형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압착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의 위쪽에 위치하여 하단부에 상기 압착형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설치된 압착축이며,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단부가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 또는 떨어짐 가능한 상기 압착축과,
    상기 압착축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 수단과,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커버를 갖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이며,
    상기 제1 받침형에 상기 표면 덮개를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압착형을 상기 표면 덮개가 적재된 상기 제1 받침형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미끄럼 이동대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착형 및 상기 압착형 이 적재된 상기 제1 받침형을 상기 압착축의 대략 바로 아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를 상기 미끄럼 이동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압착형을 상기 압착축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제조 장치에서의 압착형의 장착 방법.
KR1020057014923A 2003-02-14 2004-02-13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압착형의 장착 방법 KR101032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7387A JP3961967B2 (ja) 2003-02-14 2003-02-14 バッチ製造装置
JPJP-P-2003-00037387 2003-02-14
JPJP-P-2003-00275020 2003-07-15
JP2003275020A JP3930837B2 (ja) 2003-07-15 2003-07-15 バッチ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553A KR20050101553A (ko) 2005-10-24
KR101032167B1 true KR101032167B1 (ko) 2011-05-02

Family

ID=3287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923A KR101032167B1 (ko) 2003-02-14 2004-02-13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압착형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09891B2 (ko)
EP (1) EP1595468B1 (ko)
KR (1) KR101032167B1 (ko)
ES (1) ES2390769T3 (ko)
HK (1) HK1083177A1 (ko)
WO (1) WO2004071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1183A2 (en) * 2006-07-21 2008-01-24 Zizzle Llc Hobby craft set for collectible and decorative purposes
US20140265125A1 (en) * 2013-03-15 2014-09-18 David Howell Game Pie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9420855B2 (en) 2013-09-18 2016-08-23 Scott Hay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ssembling rare-earth magnets in a novelty button
EP3260473A1 (en) 2016-06-24 2017-12-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pressure, free radical polymerizations to produce ethylene-based polymers
CN107020770B (zh) * 2017-05-17 2023-04-07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纸容器生产设备
US11011326B2 (en) * 2018-01-09 2021-05-18 Goertek Technology Co. Ltd. Button
CN108846973B (zh) * 2018-07-06 2020-09-01 淮南师范学院 一种金融安全交易方法
TWM603411U (zh) * 2020-05-18 2020-11-01 晏錦文 胸章壓製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32U (ko) * 1996-07-11 1998-04-30 박병재 산소센서의 히터 전원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554A (de) * 1890-08-23 1890-12-15 Andre Fuellemann Knopfmaschine für Handbetrieb
CH8401A (fr) 1894-05-04 1894-10-15 Ruger Jean Georges Machine pour faire les bouton en étoffe
US1765325A (en) 1928-12-14 1930-06-17 Whitehead And Hoag Company Button receptacle
FR1295402A (fr) 1961-04-01 1962-06-08 Manuf De L Eclair Schnell Pere Machine à recouvrir les boutons
US3550483A (en) * 1968-04-18 1970-12-29 Kaspar Humbel Assembly apparatus for covered buttons
JPS5365139A (en) * 1976-11-18 1978-06-10 Uchiyama Kk Method of producing buckle and jig for producing buckle
JPS58218906A (ja) * 1982-06-15 1983-12-20 株式会社ダイキ アクセサリ製造装置
JPS6129606U (ja) 1984-07-27 1986-02-22 株式会社 渡壁正一商店 バツジ
JPH0721131Y2 (ja) 1989-01-17 1995-05-17 三山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記章
US5067265A (en) 1990-05-23 1991-11-26 Gill Studios, Inc. Badge and mounting assembly
US5283966A (en) 1992-05-04 1994-02-08 Metalmasters By Rader Corporation Badge containing interchangeable fasteners
JP2602206Y2 (ja) 1993-11-17 2000-01-11 株式会社デンケン 精密鋳造用型枠抜出し装置
JP3516218B2 (ja) 1994-11-18 2004-04-05 三木プーリ株式会社 過負荷保護機構付ハンドル
US6038944A (en) * 1997-07-24 2000-03-21 Tecre Company,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ttons
JP3363899B1 (ja) 2002-02-19 2003-01-08 株式会社バンダイ バッチ
CA2476889C (en) * 2002-02-19 2009-06-09 Bandai Co., Ltd. Button and button manufact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32U (ko) * 1996-07-11 1998-04-30 박병재 산소센서의 히터 전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09891B2 (en) 2009-03-31
EP1595468B1 (en) 2012-07-11
KR20050101553A (ko) 2005-10-24
ES2390769T3 (es) 2012-11-16
EP1595468A4 (en) 2006-05-24
US20060260102A1 (en) 2006-11-23
WO2004071230A1 (ja) 2004-08-26
EP1595468A1 (en) 2005-11-16
WO2004071230A8 (ja) 2005-03-17
HK1083177A1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67B1 (ko) 배지 제조 장치, 배지 및 배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압착형의 장착 방법
JP3961967B2 (ja) バッチ製造装置
JP2004159667A (ja) バッチ
CN108135337B (zh) 徽章制造装置
JP4633091B2 (ja) アクセサリ製造装置
JP2017148581A (ja) バッチ製造装置
US603894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ttons
JP3930837B2 (ja) バッチ製造装置
TWI225775B (en) Badge and badge producing apparatus
US3643530A (en) Button assembly apparatus
US4837913A (en) Embroidery frame press plunger head
WO2010100670A1 (ja) 装飾品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装置による装飾品の固定方法
JP3586459B2 (ja) バッチ及びバッチ製造装置
JPH02295726A (ja) ディスク成形金型装置
KR860000740Y1 (ko) 의복 체결구의 1쌍의 체결구 요소 조립장치
WO2015111179A1 (ja) スライダー組立機のカバー取付装置
JP2521400Y2 (ja) 射出成形品の刻印装置
EP0893214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ercing cloth
JPH06154011A (ja) くるみ釦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04116757U (ja) 簡易KBr錠剤成形器
JP2000051979A (ja) パンチガイド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トリッパプレート
JPH0720578U (ja) Icテスタ用架の蓋板の取っ手付き着脱具
JP2003339412A (ja) スナップボタン取付用ジ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