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686B1 - 매체 수납 조출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수납 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8686B1 KR101028686B1 KR1020080058423A KR20080058423A KR101028686B1 KR 101028686 B1 KR101028686 B1 KR 101028686B1 KR 1020080058423 A KR1020080058423 A KR 1020080058423A KR 20080058423 A KR20080058423 A KR 20080058423A KR 101028686 B1 KR101028686 B1 KR 101028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drum
- tape
- speed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과제] 고회전에 대응한 고가의 토크 리미터 대신 저회전용의 저렴한 토크 리미터의 사용이 가능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 토크 리미터에 의해 릴축에 장착된 릴 (130, 135) 과 드럼 (120)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의 권취 또는 되감기를 실시함으로써 매체의 조출 또는 수납을 실시하도록 구성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조출시에는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릴축을 회전시키고, 매체의 수납시에는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릴축을 회전시키고,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릴축을 회전시켜, 릴축과 릴 (130, 135) 의 회전 속도차를 토크 리미터로 흡수하도록 하였다.
토크 리미터, 릴, 드럼, 릴축, 회전 속도차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폐 입출금기, 수표/증서 회수 발행기 및 지폐/수표/증서 수수 장치 등에 있어서, 드럼과 릴 사이에서 테이프를 권취하고, 되감음으로써, 지폐, 수표, 증서 등의 지엽(紙葉) 형상의 매체를 수납 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럼과 릴 사이에서 테이프를 권취하고, 되감음으로써, 지엽류 매체를 수납 조출하는 장치는, 테이프를 2 개 사용하는 방식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과 1 개 사용하는 방식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이 있다.
또한, 테이프를 구동시키는 방식은, 복수의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과 1 개의 모터로 구동시키는 방식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이 있다.
2 개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1 개의 모터로 구동시키는 방식을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0 은 요부 측면 설명도, 도 31 은 요부 정면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0 은 수납 조출 장치이다. 110, 115 는 테이프로서, 동일한 형상이고 동일한 길이이다.
테이프 (110, 115) 의 일단은 드럼 (120) 에 감겨 있고, 타단은 릴 (130, 135) 에 감겨 있다.
상기 드럼 (120) 은 테이프 (110, 115) 에 끼워진 매체 (300) 를 테이프 (110, 115) 와 함께 권취하는 드럼으로서, 드럼축 (121)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 (130, 135) 은 테이프 (110, 115) 만을 권취하는 릴로서, 양 릴 (130, 135) 은 동일한 형상이다. 양 릴 (130, 135) 은 각각의 릴축 (131, 136) 에 토크 리미터 (132, 137) 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185 는 매체 출입구로서, 매체 수납 조출 장치 (100) 의 밖에 있다. 도시되지 않은 반송 유닛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매체가 매체 출입구 (185) 로부터 수납 조출 장치 (100) 에 취입된다.
매체 출입구 (185) 에는 테이프 (110, 115) 의 아이들 풀리 (190, 195) 가 실장되고, 테이프 (110, 115) 는 드럼 (120) 으로부터 아이들 풀리 (190, 195) 를 개재하여 릴 (130, 135) 에 감겨 있다.
105 는 매체 수납 조출 장치 (100) 의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105) 에 베어링 (106) 을 개재하여 드럼축 (121) 이 장착되어 있다. 드럼축 (121) 은 베어링 (106) 에 의해 프레임 (105) 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140 은 구동 모터로서, 드럼 기어 (142) 에 구동을 전달한다. 드럼 기어 (142) 는 드럼축 (121) 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 (140) 가 회전하면, 드럼축 (121), 드럼 (120) 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드럼축 (121) 과 릴축 (131, 136) 에 대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동 전 달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드럼축 (121) 에는, 드럼 기어 (150)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드럼 기어 (150) 는 릴 기어 (155, 160) 와 서로 맞물려 있다. 릴 기어 (155, 160) 는 동일한 톱니수의 기어로서, 원웨이 클러치 (165, 170) 를 개재하여 릴축 (131, 136)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릴축 (131, 136) 은 원웨이 클러치 (175, 180) 를 개재하여 프레임 (105) 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 (165, 170) 는 릴 기어 (155, 160) 가 릴 (130, 135) 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원웨이 클러치 (165, 170) 가 록 (lock) 되고, 릴 기어 (155, 160) 의 회전이 릴축 (131, 136)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드럼 기어 (150) 가 릴 (130, 135) 을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원웨이 클러치 (165, 170) 가 공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릴 기어 (155, 160) 의 회전은 릴축 (131, 136) 에 전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 클러치 (175, 180) 는 릴축 (131, 136) 이 릴 (130, 135) 에서 테이프 (110, 115) 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원웨이 클러치 (175, 180) 가 공전하는 방향이다. 릴 (130, 135) 에서 테이프 (110, 115) 를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한 경우, 원웨이 클러치 (175, 180) 가 록되어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 기어 (150) 와 릴 기어 (155, 160) 의 기어비는, 드럼 (120) 이 테이프 (110, 115) 를 되감을 때, 드럼 (120) 이 테이프 (110, 115) 를 되감는 속도보다 릴 (130, 135) 이 테이프 (110, 115) 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항상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32 는, 드럼 되감기시의 설명도이다. 릴 (130, 135) 의 테이프 권취 반경 RA1, 드럼 (120) 측의 테이프의 권취 반경을 RA2 로 하고, 드럼 기어 (150) 의 기어 톱니수·각속도를 ZA2·WA2, 릴 기어 (155, 160) 의 기어 톱니수·각속도를 ZA1·WA1, 릴축 (131, 136) 에 의한 테이프 권취 속도를 VA1, 드럼축 (121) 의 테이프 되감기 속도를 VA2 로 하면,
VA1=RA1×WA1, VA2=RA2×WA2 --- 식 1
이 성립된다.
드럼 (120) 이 테이프 (110, 115) 를 되감는 속도보다 릴축 (131, 136)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VA1 과 VA2 의 속도 관계는 항상,
VA1>VA2 --- 식 2
를 보증한다.
식 1, 식 2 로부터,
RA1×WA1>RA2×WA2 → RA1/RA2>WA2/WA1 --- 식 3
각속도의 비는 기어비로 정해지기 때문에, WA2/WA1=ZA1/ZA2 --- 식 4
식 3, 식 4 로부터,
RA1/RA2>ZA1/ZA2 --- 식 5
또한, 매체를 조출함에 따라, 릴 직경 RA1 은 커지고, 드럼 직경 RA2 는 작 아진다. 직경의 변화에 따른 RA1, RA2 는,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RA1=ra1×ka1 --- 식 6
RA2=ra2×ka2 --- 식 7
ra1: 테이프가 비어 있을 때의 릴 반경
ka1: 테이프의 권취에 의한 릴 반경이 증가하는 계수
ka1 은 릴에 테이프가 없을 때, 즉 드럼 (120) 에 매체가 수납 용량 가득 수납되어 있을 때는 1 이고, 릴에 테이프가 전부 감겨져 있을 때, 즉 드럼 (120) 에 테이프가 없을 때를 T1 로 하면,
ka1 은,
1≤ka1≤T1 (1<T1) --- 식 8
이 성립된다.
ra2: 테이프가 비어 있을 때의 드럼의 반경
ka2: 테이프의 권취에 의한 드럼 반경이 증가하는 계수
ka2 는 드럼 (120) 에 테이프가 없을 때는 1 이고, 드럼 (120) 에 매체가 수납 용량 가득 수납되어 있을 때는 T2 로 하면,
ka2 는,
1≤ka2≤T2 (1<T2) --- 식 9
가 성립된다.
RA1/RA2 의 최소치는, RA1 이 최소치, RA2 가 최대치일 때이므로, 식 6, 식 7, 식 8, 식 9 로부터,
RA1/RA2 의 최소치=(ra1×1)/(ra2×T2)
항상 식 5 를 보증하기 위하여 RA1/RA2 의 최소치로 식 5 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ra1/(ra2×T2)>ZA1/ZA2 --- 식 10
상기 기어비로 설정함으로써, 테이프의 권취·되감기에 의한 드럼 직경·릴 직경이 변화해도 항상 VA1 과 VA2 의 속도 관계가 VA1>VA2 가 되는 것이 보증된다.
이렇게 하여, 항상 드럼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릴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빨라지는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다.
이 매체 수납 조출 장치 (100) 의 조출 동작을 도 33 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모터 (140) 는 드럼 (120) 을 화살표 a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드럼 기어 (150) 를 개재하여 릴 기어 (155, 160) 가 릴을 권취하는 방향인 화살표 a2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165, 170) 가 록되어, 릴 기어 (155, 160) 의 회전이 릴축 (131, 136)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릴축 (131, 136) 은 화살표 a3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175, 180) 가 공전하여, 릴축 (131, 136) 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전술한 식 10 을 만족하기 위하여, 드럼 (120) 이 테이프 (110, 115) 를 되감는 속도보다 릴축 (131, 136) 이 테이프 (110, 115) 를 권취하 는 속도 쪽이 항상 빨라지는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속도의 차분을 릴 (130, 135) 과 릴축 (131, 136) 사이에 있는 토크 리미터 (132, 137) 가 회전함으로써 흡수한다. 그 때문에, 테이프 (110, 115) 에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의 토크에 의해 끊임없이 텐션이 걸려 있다.
그로 인해, 테이프 (110, 115) 가 끊임없이 텐션이 걸린 상태에서, 드럼 (120) 이 테이프 (110, 115) 를 되감으면서 화살표 a1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테이프 (110, 115) 사이에 끼워진 매체 (310) 가 드럼 (120) 의 되감기에 의해 드럼 (120) 으로부터 조출되고, 매체 (310) 는 테이프 (110, 115) 사이를 주행하여 매체 출입구 (185) 로부터 조출된다.
이 매체 수납 조출 장치 (100) 의 수납 동작을 도 34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매체 (320) 가 매체 출입구 (185) 로부터 수납 조출 장치 (100) 중으로 반송되면, 구동 모터 (140) 는 드럼 (120) 이 화살표 b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릴 기어 (155, 160) 가 릴 되감기 방향인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165, 170) 가 공전하여, 릴 기어 (155, 160) 의 회전이 릴축 (131, 136) 에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은 드럼 (120) 에만 전달되어, 화살표 b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드럼 (120) 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110, 115) 는 드럼 (120) 에 권취되기 때문에, 릴 (130, 135) 에는 테이프에 의해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그 때, 릴축 (131, 136) 은 테이프를 되감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원웨이 클러치 (175, 180) 에 의해 록이 걸리기 때문에, 릴축 (131, 135) 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릴 (130, 135) 은 테이프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릴축 (131, 136) 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릴 (130, 135) 과 릴축 (131, 136) 사이에 있는 토크 리미터 (132, 137) 가 회전함으로써, 릴 (130, 135) 이 회전하여 테이프 (110, 115) 는 릴 (130, 135) 로부터 드럼 (120) 에 권취된다. 그 때문에, 테이프 (110, 115) 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의 토크에 의해 끊임없이 텐션이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매체 출입구 (185) 로부터 들어온 매체 (320) 는 테이프 (110, 115) 사이에 끼워지면서 드럼 (120) 에 권취됨으로써 매체를 수납한다.
이와 같이, 수납·조출 동작시에 테이프 (110, 115) 에 느슨함이 발생하면, 테이프 (110, 115) 가 아이들 풀리 (190, 195) 나 릴 (130, 135) 에서 벗겨지거나, 권취시에 매체를 끼우는 힘이 없어지는 문제가 생기는데, 상기 조출·수납 동작에서는, 테이프에 끊임없이 텐션을 걸어 느슨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8854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2558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67382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조출 동작에서는, 릴축 (131, 136) 이 항상 릴 (130, 135) 의 회전보다 느리기 때문에, 토크 리미터 (132, 137) 는 항상 회전하고 있다.
또한, 수납 동작에서는, 회전하지 않는 릴축 (131, 136) 에 대하여, 릴 (130, 135) 이 회전하기 때문에 토크 리미터 (132, 137) 는 항상 회전하고 있다.
이 조출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를 TA1, 수납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를 TA2 로 하면,
TA1=(릴축의 각속도)-(릴 각속도) --- 식 11
TA2=(릴의 각속도) --- 식 12
토크 리미터는 각속도가 커지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고회전에 대응한 토크 리미터는 가격이 고가인 점에서도 품질과 비용을 양립시키고자 하면 토크 리미터는 저회전에서의 사용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조출 동작의 회전에서는, (릴축의 각속도)>(릴 각속도) 의 범위에서, TA1 의 각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드럼 기어 (150) 의 톱니수 ZA2, 릴 기어 (155, 160) 의 톱니수 ZA1 의 비를 설정하여, 각속도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즉, 식 10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ZA1/ZA2 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수납 동작의 회전에서는, 릴축의 각속도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속도 VA1 과 릴 반경 RA1 로 산출된다.
TA2=VA1/RA1 --- 식 13
조출 동작과 같이 릴축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는, 릴의 각속도에 대하여 감속하는 요소가 없어, 각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예 N1 을 하기에 나타낸다.
테이프가 비어 있을 때의 릴 반경 ra1=50㎜
테이프가 가득 권취되어 있을 때의 릴 반경의 증가 계수 T1=1.3
테이프가 비어 있을 때의 드럼 반경 ra2=80㎜
테이프가 가득 권취되어 있을 때의 드럼 반경의 증가 계수 T2=1.5
수납·조출의 테이프 속도를 VA1=1200㎜/s 로 하여
조출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TA1 을 구한다.
드럼축의 각속도 WA2=VA1/RA2
릴축의 각속도 WA1=(ZA2/ZA1)×WA2=(ZA2/ZA1)×VA1/RA2
릴의 각속도 WA3=VA1/RA1
식 11 로부터,
TA1=(ZA2/ZA1)×VA1/RA2-VA1/RA1 --- 식 14
ZA2/ZA1 에는, 식 10 을 항상 만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식 10 으로부터, ra1/(ra2×T2)>ZA1/ZA2
50/(80×1.5)>ZA/ZA2
0.4167>ZA1/ZA2
ZA1/ZA2=0.41 로 한다.
식 14 로부터,
TA1=(1/0.41)×VA1/RA2-VA1/RA1=[(1/0.41)/RA2-1/RA1]×VA1
식 6, 식 7 로부터,
TA1=[(1/0.41)/(ra2×ka2)-1/(ra1×ka1)]×VA1
TA1 의 최대치는, (ra2×ka2) 가 최소치이고, (ra1×ka1) 이 최대치일 때, 즉, 드럼 (120) 에 테이프가 비어 있고, 릴에 테이프가 전부 감겨져 있을 때이다.
그 때,
TA1(최대치)=[(1/0.41)/(ra2×1)-1/(ra1×T1)]×VA1=[(1/0.41)/80-1/(50×1.3)]×1200=18.12
한편, 수납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TA2 를 구하면,
식 13 으로부터, TA2=VA1/RA1
TA2=VA1/(ra1×ka1)
TA2 의 최대치는, (ra1×ka1) 의 최소치일 때이며, 즉, 릴에 테이프가 비어 있을 때이다.
TA2(최대치)=VA1/(ra1×1)=1200/(50×1)=24 --- 식 15
이와 같이, 수납 동작은 조출 동작과 같이 릴축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각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가 높아지는 문제 이외에도, 고가의 원웨이 클러치를 4 개 사용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지는 요인이기도 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테이프만을 권취하는 릴과, 그 릴을 회전시키는 릴축과, 상기 릴을 상기 릴축에 장착하는 토크 리미터와, 테이프와 매체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을 갖고, 상기 릴과 드럼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의 권취 또는 되감기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매체의 조출 또는 수납을 실시하도록 구성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조출시에는,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릴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매체의 수납시에는,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기 릴축을 회전시켜, 상기 릴축과 상기 릴의 회전 속도차를 상기 토크 리미터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는, 상기 드럼 및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수단과, 이 제 1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을 장착한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권취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1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전달 수단과, 이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되감기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는, 상기 드럼 및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수단과, 이 제 1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을 장착한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권취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1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전달 수단과, 이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되감기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은, 매체의 조출시뿐만 아니라, 매체의 수납시에도, 릴축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수납·조출 동작 양방에서 본 최대 각속도를 대폭 낮출 수 있어 토크 리미터를 저회전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토크 리미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원웨이 클러치의 사용 개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은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 설명도, 도 2 는 요부 정면 설명도 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위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405 는 드럼 기어로서, 원웨이 클러치 (420) 를 개재하여, 드럼축 (121) 에 접속되어 있다. 그 톱니수는 드럼 기어 (150) 와 동일한 ZA2 의 기어이다.
410, 415 는 드럼 기어 (405) 와 서로 맞물려 있는 릴 기어로서, 릴축 (131, 136) 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 기어 톱니수는 릴 기어 (155, 160) 와 동일한 ZA1 이다.
릴축 (131, 136) 은 베어링 (430, 431) 을 개재하여 장치의 프레임 (105) 에 장착되어 있으며, 릴축 (131, 136) 은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411 은 릴 기어로서, 릴축 (131) 에 고정되고 있다. 그 톱니수는 ZA3 이다.
또한, 416 은 드럼 기어로서, 원웨이 클러치 (425) 를 개재하여 드럼축 (121) 에 접속되어 있다. 그 톱니수는 ZA4 의 기어이다.
이 원웨이 클러치 (420, 425) 의 회전 방향은, 도 1 에 있어서 이하의 방향에서 록·공전하는 것으로 하고, 원웨이 클러치 (420) 측에 대하여 도 3 에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도 3 의 (가) 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을 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에,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되고, 원웨이 클러치 (420) 는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 의 (나) 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에는,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되지 않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420) 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3 의 (다) 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기어 (405) 를 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에, 원웨이 클러치가 공전하기 때문에 드럼축 (121) 은 회전하지 않는다.
도 3 의 (라) 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기어 (405) 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에는,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되기 때문에 드럼축 (121) 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릴 기어 (411) 에서 드럼 기어 (416) 를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웨이 클러치 (425) 가 록된다.
이 때, 릴축 (131) 의 각속도를 WA3, 테이프 되감기 속도를 VA3, 드럼의 각속도를 WA4, 테이프의 권취 속도를 VA4 로 하면,
ZA3, ZA4 는 항상 VA4>VA3 이 되도록 기어비가 설정되어 있다.
즉,
VA3=RA1×WA3 VA4=RA2×WA4 로 하면,
VA3<VA4
RA1×WA3<RA2×WA1 → RA1/RA2<WA4/WA3
각속도의 비는 기어비로 결정되기 때문에, WA4/WA3=ZA3/ZA4
RA1/RA2<ZA3/ZA4 --- 식 21
식 6, 식 7 로부터,
ZA3/ZA4>RA1/RA2=(ra1×ka1)/(ra2×ka2) --- 식 22
식 21 은, 항상 관계식을 만족해야 하므로, (ra1×ka1)/(ra2×ka2) 의 최대치로 만족할 필요가 있다.
(ra1×ka1)/(ra2×ka2) 의 최대치는, (ra1×ka1) 이 최대치이고, 또한 (ra2×ka2) 가 최소치일 때이므로,
식 8, 식 9 로부터,
(ra1×ka1)/(ra2×ka2)≤(ra1×T1)/(ra2×1) --- 식 23
따라서,
ZA3/ZA4>(ra1×T1)/(ra2) --- 식 24
상기 기어비로 설정함으로써, 테이프의 권취·되감기에 의한 드럼 직경·릴 직경이 변화해도, 항상 VA1 과 VA4 의 속도 관계가 VA4>VA3 이 되는 것이 보증된다.
이렇게 하여, 릴 기어 (411) 와 드라이브 기어 (416) 는 릴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빨라지는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한 조출 동작을 도 2 및 도 4 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모터 (140) 는 드럼 (120) 이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럼 기어 (142) 를 개재하여 드럼축 (121) 에 전달된다.
이 때, 드럼축 (121) 과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관계는, 도 3 의 (가)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되어 원웨이 클러치 (420) 가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기어 (405) 는 화살표 c1 방향으로 회전하고, 릴 기어 (410, 415) 는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전한다.
릴 기어 (410, 415) 는 릴축 (131, 13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릴축 (131, 136) 을 권취 방향인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릴축 (131, 136) 의 회전 속도는 드럼 기어 (405) 의 기어 톱니수 ZA2, 릴 기어 (410, 415) 의 톱니수를 ZA1 이 식 10 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음으로써, 드럼 (120) 과 테이프로 접속되어 있는 릴 (130, 135)이 회전하는 양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이 회전 속도의 차이는 릴 (130, 135) 과 릴축 (131, 136)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축 (131) 이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전 함으로써, 릴 기어 (411) 가 화살표 c3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드럼 기어 (416) 가 화살표 c4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럼축 (121) 의 각속도 WX1 일 때의 드럼 기어 (416) 의 각속도 WX2 는 드 럼 기어 (405) → 릴 기어 (410) → 릴 기어 (411) → 드럼 기어 (416) 의 톱니수로 정해지기 때문에,
WX2=(드럼 기어 (405) 의 톱니수/릴 기어 (410) 의 톱니수)×릴 기어 (411) 의 톱니수/드럼 기어 (416) 의 톱니수)×WX1
WX2=(ZA2/ZA1)×(ZA3/ZA4)×WX1 --- 식 31
식 10 으로부터,
ra1/(ra2×T2)>ZA1/ZA2
ZA2/ZA1>(ra2×T2)/ra1 --- 식 32
식 24 와 식 32 에 의해 식 31 은,
WX2>[(ra2×T2)/ra1]×[(ra1×T1)/ra2]×WX1=[(ra2×T2×ra1×T1/(ra1×ra2)]×WX1 =(T1×T2)×WX1
식 8, 식 9 에 의해,
1<T1, 1<T2 이기 때문에, (T1×T2)>1 이 되고,
WX2>WX1 --- 식 33
그 때문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0) 의 회전은 드럼축 (121) 이 화살표 c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WX1 의 각속도로 회전하고, 원웨이 클러치 (420) 는 화살표 c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WX2 의 각속도로 회전한다.
식 33 으로부터, WX2>WX1 이기 때문에,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0) 의 상대 각속도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가 화살표 c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도 3 의 (나)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는 공전하여, 드럼 기어 (416) 의 회전은 드럼축 (121) 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수납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8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동 모터 (140) 에 의해 드럼 (120) 이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럼 기어 (142) 를 개재하여 드럼축 (121) 에 전달된다. 이 때, 드럼 (120) 이 권취 방향인 화살표 d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테이프 (110, 115) 가 권취되고, 테이프의 타단이 감겨 있는 릴 (130, 135) 이 화살표 d2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130) 과 토크 리미터 (132)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릴축 (131) 이 화살표 D3 방향으로 회전하고, 릴 기어 (411) 를 통과하여 드럼 기어 (416) 가 화살표 d4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 때의 원웨이 클러치 (425) 에 대해서는, 원웨이 클러치 (425) 가 d4 방향, 드럼축 (121) 이 d1 방향이기 때문에,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5) 의 각속도 d5 가 드럼축 (121) 의 각속도 d6 보다 느릴 때,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5) 의 상대 각속도는, 도 11 의 화살표 d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3 의 (다)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5) 는 공전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5) 의 각속도 d8 이 드럼축 (121) 의 각속도 d9 보다 빠를 때,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5) 의 상대 각속도는 도 13 의 화살표 d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3 의 (라)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5) 는 록되고 드럼축 (121) 도 화살표 d1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5) 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릴 (130) 의 회전에 의해 릴축 (131) 은 동반 회전하지만, 릴축 (131) 의 회전 속도는 원웨이 클러치 (425) 가 록되어 원웨이 클러치 (425) 의 각속도가 드럼축 (121) 의 각속도와 동일해지는 각속도까지이다.
또한, 릴축 (136) 은 릴축 (131) 과 드럼 기어 (405) 로 1 대 1 로 전달되고 있기 때문에, 릴축 (136) 은 릴축 (131) 과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드럼 (120) 의 각속도를 WY1, 드럼에 감겨지는 테이프에 의해 회전하는 릴 (130, 135) 의 각속도를 WY2, 릴에 접속되어 있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릴축 (131, 136) 의 최대 동반 회전 속도를 WY3 으로 하면,
WY2 와 WY1 은, 테이프의 양단을 각각 권취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의 속도와 권취 반경에 의해 각속도가 결정된다. 테이프의 속도를 VT 로 하면,
VT=WY2×RA1, VT=WY1×RA2
WY2×RA1=WY1×RA2
WY2=(RA2/RA1)×WY1
식 6, 식 7 로부터,
WY2=[(ra2×ka2)/(ra1×ka1)]×WY1 --- 식 41
식 8, 식 9 에 의해,
WY2=[(ra2×ka2)/(ra1×ka1)]×WY1>[(ra2×1)/(ra1×T1)]×WY1
WY2>[ra2/(ra1×T1)]×WY1 --- 식 42
WY3 은, 드럼 (120) 의 각속도 WY1 과 드럼 기어 (416), 릴 기어 (411) 의 톱니수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WY3=(ZA4/ZA3)×WY1 --- 식 43
식 24 에 의해, ZA4/ZA3<ra2/(ra1×T1) 이기 때문에,
WY3<[ra2/(ra1×T1)]×WY1 --- 식 44
식 42, 식 44 로부터,
WY3<[ra2/(ra1×T1)]×WY1<WY2 --- 식 45
항상, 릴 속도 WY2 쪽이 릴축 속도 WY3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항상 릴 (130, 135) 의 각속도보다 릴축 (131, 136) 의 회전 속도가 느린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회전 속도의 차이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이 때,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축 (131) 이 화살표 e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릴 기어 (410) 가 회전하고, 드럼 기어 (405) 가 화살표 e2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420) 에 대해서는, 드럼축 (121) 과 원웨이 클러치 (420)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공전·록의 조건은, 전술한 원웨이 클러치 (425) 의 조건과 동일하다.
드럼 기어 (405) 의 회전 속도를 WY4 로 하면,
WY4 는 릴축 (131) 의 각속도 WY3 과 릴 기어 (410), 드럼 기어 (405) 의 톱 니수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WY4=(ZA1/ZA2)×WY3 --- 식 46
식 10 에 의해,
ZA1/ZA2<ra1/(ra2×T2)
WY4<[ra1/(ra2×T2)]×WY3 --- 식 47
WY3 의 속도는, 식 44 로부터,
WY3<[ra2/(ra1×T1)]×WY1 --- 식 48
WY4<[ra1/(ra2×T2)]×[(ra2/(ra1×T1)]×WY1
WY4<[(ra1×ra2)]/(ra2×T2×ra1×T1)]×WY1
WY4<[1/(T2×T1)]×WY1 --- 식 49
식 8, 식 9 로부터,
1<T1, 1<T2 이기 때문에, (T2×T1)>1
따라서, WY4<WY1 --- 식 50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기어 (405) 에 고정되어 있는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각속도 e3 은 드럼축 (121) 의 각속도 e4 보다 느리기 때문에,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0) 의 상대 각속도는, 도 16 의 화살표 e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이 되고, 원웨이 클러치 (420) 는 공전한다.
따라서, 릴 기어 (410) 로부터의 전달로 드럼 기어 (405) 는 회전하지만, 드럼축 (121) 에 구동을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수납 동작시의 드럼 (120) 에 대한 영향은 없다.
이와 같이 수납 동작시에도 릴축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를 TB2 로 하면,
TB2=(릴의 각속도)-(릴축의 각속도) --- 식 51
이 되어, 종래 기술에서의 각속도의 식 12 와 비교하여 릴축이 회전하고 있는 만큼, 각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 N1 에 의해 종래 기술과 비교한다.
조출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TB1, 수납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를 TB2 로 하여,
조출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TB1 을 구한다.
조출 동작에서의 기어 톱니수 ZA1, ZA2 가 종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TB1(최대치)=18.12 가 된다.
한편, 수납 동작에서의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TB2 를 구하면,
릴 (130, 135) 의
릴 각속도=VA1/RA1=VA1/(ra1×ka1) --- 식 52
릴축 (131, 136) 의 각속도 WY3 은, 식 43 으로부터,
WY3=(ZA4/ZA3)×WY1 --- 식 53
식 24 로부터,
ZA3/ZA4>(ra1×T1)/(ra2×1)=(50×1.3)/80=0.813
ZA3/ZA4>0.813 이기 때문에, 기어비 ZA3/ZA4=0.82 로 한다.
식 53 으로부터,
WY3=(1/0.82)×WY1=(1/0.82)×VA1/(ra2×ka2) --- 식 54
식 51, 식 52, 식 54 로부터,
TB2=VA1/(ra1×ka1)-(1/0.82)×VA1/(ra2×ka2)=VA1×[1/(ra1×ka1)-1/〔0.82×(ra2×ka2)〕]
TB2 의 최대치는, (ra1×ka1) 이 최소치이고, 또한 (ra2×ka2) 가 최대치인 경우, 즉, 릴에 테이프가 비어 있고, 드럼에 테이프가 전부 감겨져 있을 때이다.
TB2(최대치)=VA1[1/(ra1×1)-1/〔0.82×(ra2×T2)〕]=1200[1/50-1/(0.82×80×1.5)]=11.8
이와 같이, 식 15 의 종래 기술의 경우의 각속도 TA2=24 에 대하여 TB2=11.8 이기 때문에, 수납 동작에서의 각속도를 대폭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조출 동작 양방에서 본 최대 각속도도, 종래 기술에서는 수납 동작에서의 최대치 24 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최대치는 조출 동작에서 18.12 이기 때문에, 토크 리미터의 최대 각속도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토크 리미터의 각속도 이외에도 이 실시예에서는 고가의 원웨이 클러치를 2 개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싸진다.
[실시예 2]
이상 설명한 실시예 1 에서는, 구동 모터 (140) 의 동력을 드럼축 (121) 에 전달하여 동작시키고 있었지만, 구동 모터 (140) 의 동력을 릴측에 전달하여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릴측에 구동력을 전달한 경우의 설명을 이하에 나타낸다.
도 17 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 설명도, 도 18 은 요부 정면 설명도이며, 실시예 1 과 비교하면, 구동 모터 (140) 의 동력을 릴 기어 (411) 에 직접 구동 전달하고 있다.
조출 동작을 도 19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동 모터 (140) 에서 릴축 (131) 이 권취하는 방향, 즉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고, 릴 기어 (411) 를 개재하여 릴축 (131) 에 전달된다.
이 때, 릴축 (131) 에 고정되어 있는 릴 기어 (410) 를 개재하여 드럼 기어 (405) 는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릴 기어 (411) 와 구동 전달되고 있는 드럼 기어 (416) 도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드럼 기어 (405) 와 구동 전달되고 있는 릴 기어 (415) 는 화살표 f3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축 (131, 136) 과 토크 리미터 (132, 137)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릴 (130, 135) 이 권취 방향인 화살표 f4 ·f5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테이프 (110, 115) 가 권취되고, 테이프가 f6, f7 방향으로 감겨짐으로써, 테이프의 타단이 감겨 있는 드럼 (120) 이 f8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웨이 클러치 (420) 에 대해서는, 원웨이 클러치 (420), 드럼축 (121)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의 각속도 g1 이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각속도 g2 보다 느릴 때,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0) 의 상대 각속도는, 도 22 의 화살표 g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 기 때문에, 도 3 의 (다)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는 공전한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의 각속도 g4 가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각속도 g5 보다 빨라지면,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 (420) 의 상대 각속도는, 도 24 의 화살표 g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3 의 (라)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되고, 그 때문에, 드럼축 (121) 은 원웨이 클러치 (420) 보다 빠르게는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 (425) 도 원웨이 클러치 (420) 와 록, 공전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드럼축 (121) 이 원웨이 클러치 (425) 보다 각속도가 느릴 때, 원웨이 클러치 (425) 는 공전하고, 드럼축 (121) 이 원웨이 클러치 (425) 보다 각속도가 빨라지면, 원웨이 클러치 (425) 는 록된다.
그 때문에, 드럼축 (121) 은 원웨이 클러치 (425) 보다는 빠르게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릴 (130) 의 회전에 의해 드럼축 (121) 은 동반 회전하지만, 회전 속도는 원웨이 클러치 (420) 또는 원웨이 클러치 (425) 의 각속도가 드럼축 (121) 의 각속도와 동일해지는 각속도까지이다.
드럼 기어 (405) 와 릴 기어 (410, 415) 는 식 10 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의 권취·되감기에 의한 드럼 직경·릴 직경이 변화해도, 항상 릴축 (131, 136)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빨라지는 기어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드럼 기어 (416) 와 릴 기어 (411) 는 식 24 를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의 권취·되감기에 의한 드럼 직경·릴 직경이 변화해도 항상 릴축 (131)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느려지는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드럼축 (121) 의 동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 (420) 쪽이 먼저 록됨으로써, 속도에 규제가 가해지고, 그 때, 릴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드럼 (120)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빨라진다. 이 회전 속도의 차이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에서 흡수된다.
다음에, 수납 동작의 설명을 도 25 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모터 (140) 는 릴축 (131) 이 되감는 방향, 즉 화살표 g7 로 회전하고, 릴축 (131) 에 고정되어 있는 릴 기어 (410), 릴 기어 (411) 는 화살표 g7 방향의 시계 방향, 드럼 기어 (405, 416) 는 화살표 g8 방향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릴축 (136) 은 릴축 (131) 과, 드럼 기어 (405) 를 개재하여 1 대 1 의 기어비로 전달되고 있기 때문에, 릴축 (131) 과 동일한 각속도로 화살표 g9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드럼축 (121) 과 원웨이 클러치 (420, 425) 의 관계는 이하와 같다.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의 각속도 h1 이 원웨이 클러치 (420, 425) 의 각속도 h2 보다 느릴 때,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의 상대 각속도는, 도 27 의 화살표 h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이 되기 때 문에, 도 3 의 (라)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는 록된다.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축 (121) 의 각속도 h4 가 원웨이 클러치 (420, 425) 의 각속도 h5 보다 빨라지면, 드럼축 (121) 에 대한 원웨이 클러치의 상대 각속도는, 도 29 의 화살표 h6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3 의 (다)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 (420) 는 공전한다.
그 때문에, 드럼축 (121) 은 원웨이 클러치 (420, 425) 중 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에 추종하고, 타방의 원웨이 클러치는 드럼축 (121) 쪽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공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 (420) 의 구동계는, 식 10 에 의해, 항상 릴축 (131, 136) 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느려지는 기어비로 설정되어 있고, 원웨이 클러치 (425) 의 구동계는, 식 24 에 의해, 항상 릴축 (131) 이 테이프의 되감는 속도보다,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빨라지는 기어비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 (425) 쪽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드럼축 (121) 은 원웨이 클러치 (425) 에 추종한다.
이 때, 드럼 (120) 이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 쪽이 릴이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이 회전 속도의 차이는 토크 리미터 (132, 137) 에서 흡수된다.
이상의 설명은, 드럼 기어 (142) 를 구동 모터 (140) 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드럼축 (121) 이나 릴축 (131, 136) 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도 1]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 설명도.
[도 2] 요부 정면 설명도.
[도 3]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4]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5]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6]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7]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8] 수납 동작시의 드럼과 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9] 수납 동작시의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10]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11]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12]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13]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14]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15]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16]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17]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 설명도.
[도 18]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 설명도.
[도 19] 조출 동작시의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20] 조출 동작시의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21]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2]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3]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4]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5] 수납 동작시의 드럼 기어와 릴 기어의 회전 방향의 설명도.
[도 26]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7]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8]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29] 원웨이 클러치의 각속도의 설명도.
[도 30] 종래예의 요부 측면 설명도.
[도 31] 종래예의 요부 정면 설명도.
[도 32] 드럼 되감기시의 설명도.
[도 33] 매체 조출 동작의 설명도.
[도 34] 매체 수납 동작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00 매체 수납 조출 장치
105 프레임
110, 115 테이프
120 드럼
121 드럼축
130, 135 릴
131, 136 릴축
132, 137 토크 리미터
140 구동 모터
300 매체
405 드럼 기어
410, 411, 415 릴 기어
416 드럼 기어
420, 425 원웨이 클러치
430, 431 베어링
Claims (2)
- 삭제
- 테이프만을 권취하는 릴과, 그 릴을 회전시키는 릴축과, 상기 릴을 상기 릴축에 장착하는 토크 리미터와, 상기 테이프와 매체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을 갖고,상기 릴과 상기 드럼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의 권취 또는 되감기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매체의 조출 또는 수납을 실시하도록 구성한 매체 수납 조출 장치에 있어서,상기 매체의 조출시에는,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릴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매체의 수납시에는, 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기 릴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릴축과 상기 릴의 회전 속도차를 상기 토크 리미터로 흡수하고,상기 매체 수납 조출 장치는, 또한,상기 드럼 및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원과,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되감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수단과,이 제 1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을 장착한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권취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1 원웨이 클러치와,상기 드럼이 상기 테이프를 권취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기 릴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전달 수단과,이 전달 수단 중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축과 상기 릴축 사이의 되감기 방향이 되는 회전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284264 | 2007-10-31 | ||
JP2007284264A JP5233247B2 (ja) | 2007-10-31 | 2007-10-31 | 媒体収納繰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988A KR20090044988A (ko) | 2009-05-07 |
KR101028686B1 true KR101028686B1 (ko) | 2011-04-12 |
Family
ID=4058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8423A KR101028686B1 (ko) | 2007-10-31 | 2008-06-20 | 매체 수납 조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342439B2 (ko) |
JP (1) | JP5233247B2 (ko) |
KR (1) | KR101028686B1 (ko) |
CN (1) | CN10142315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7919B2 (ja) | 2009-07-08 | 2013-09-25 |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 紙幣処理機 |
JP5134731B2 (ja) * | 2009-09-28 | 2013-01-30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WO2012008026A1 (ja) * | 2010-07-14 | 2012-01-19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JP5475615B2 (ja) * | 2010-10-29 | 2014-04-16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JP5664209B2 (ja) * | 2010-12-17 | 2015-02-0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収納繰出し装置 |
EP2540650B1 (en) * | 2011-06-27 | 2015-04-08 | Glory Ltd. | Banknote storing/feeding unit |
JP5440566B2 (ja) * | 2011-07-25 | 2014-03-12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JP6083943B2 (ja) * | 2012-03-26 | 2017-02-22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CN102930638B (zh) * | 2012-11-15 | 2014-12-31 |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 纸币暂存模块及其卷筒转速控制方法 |
JP6157956B2 (ja) * | 2013-07-08 | 2017-07-05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取扱装置 |
CN104528046B (zh) * | 2014-12-25 | 2017-07-28 |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 双卷带纸币暂存装置 |
CN105761355B (zh) * | 2015-07-21 | 2018-10-16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Atm机柔性传动系统 |
EP3349193B1 (en) * | 2015-09-11 | 2024-03-06 | Glory Ltd. | Paper sheet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
CN105809818A (zh) * | 2016-05-06 | 2016-07-27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一种纸币存储装置 |
WO2018061149A1 (ja) | 2016-09-29 | 2018-04-05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方法 |
JP6612988B2 (ja) | 2016-09-29 | 2019-11-27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搬送方向切替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
CN108053548B (zh) * | 2018-01-24 | 2024-04-05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一种暂存装置及金融自助终端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782B1 (ko) * | 2000-12-22 | 2005-03-24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지폐취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2558A (ja) | 1981-07-13 | 1983-01-24 | Toshiba Corp | 環状積層鉄心の製造方法 |
CH673996A5 (ko) * | 1987-05-11 | 1990-04-30 | Autelca Ag | |
SE463283B (sv) * | 1989-07-20 | 1990-10-29 | Inter Innovation Ab | Anordning foer inmatning av vaerdepapper, saasom sedlar, checker etc |
JP3466287B2 (ja) * | 1994-08-31 | 2003-11-10 |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 紙幣収納繰出し装置 |
SE505484C2 (sv) * | 1995-03-31 | 1997-09-01 | Rue Cash Handling Ab De | Anordning för in- och utmatning av värdepapper |
US6071023A (en) * | 1996-04-26 | 2000-06-06 | Konica Corporation | Negative holder |
DE19732129A1 (de) * | 1997-07-25 | 1999-01-28 | Siemens Nixdorf Inf Syst | Rollenspeicher für blattförmige Gegenstände |
JP4135238B2 (ja) * | 1998-12-08 | 2008-08-20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入出金機 |
JP4366010B2 (ja) * | 2000-12-20 | 2009-11-18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収納放出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
CA2357930A1 (en) * | 2001-09-28 | 2003-03-28 | Cashcode Company Inc. | Banknote accumulator |
JP4200048B2 (ja) * | 2003-06-03 | 2008-12-24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葉類収納放出装置 |
JP4273061B2 (ja) * | 2004-08-31 | 2009-06-03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幣収納繰出装置 |
JP4624163B2 (ja) * | 2005-04-08 | 2011-02-02 |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EP1772406B1 (en) * | 2005-10-06 | 2014-08-27 | MEI, Inc. | Banknote store |
-
2007
- 2007-10-31 JP JP2007284264A patent/JP5233247B2/ja active Active
-
2008
- 2008-06-20 KR KR1020080058423A patent/KR1010286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8-20 CN CN200810210827XA patent/CN101423151B/zh active Active
- 2008-09-24 US US12/232,780 patent/US834243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782B1 (ko) * | 2000-12-22 | 2005-03-24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지폐취급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342439B2 (en) | 2013-01-01 |
KR20090044988A (ko) | 2009-05-07 |
CN101423151A (zh) | 2009-05-06 |
JP5233247B2 (ja) | 2013-07-10 |
US20090108115A1 (en) | 2009-04-30 |
JP2009107824A (ja) | 2009-05-21 |
CN101423151B (zh) | 2011-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8686B1 (ko) | 매체 수납 조출 장치 | |
EP3239940B1 (en) | Double-coiling-belt paper money temporary storage device | |
WO2009154036A1 (ja) | 媒体収納操出装置 | |
US9150375B2 (en) | Banknote storing/feeding unit | |
JP3466287B2 (ja) | 紙幣収納繰出し装置 | |
JP3534966B2 (ja) | テープ式紙幣収納繰出し装置のテープ速度制御装置 | |
KR100962451B1 (ko) | 릴 부재 및 필름의 권취방법 | |
JP5134731B2 (ja)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
KR20110018922A (ko) | 매체 수납 조출 장치 | |
WO2011036782A1 (ja) | 紙葉類収納繰出装置 | |
RU2491642C2 (ru) | Накопитель банкнот | |
JP5465993B2 (ja) | ロール紙繰出し装置 | |
JP2009146240A (ja) | 媒体収納繰出装置 | |
US10662016B2 (en) | Paper sheet accommodat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accommodating method | |
CN105761355B (zh) | Atm机柔性传动系统 | |
JP3359478B2 (ja) | 紙幣収納繰出し装置 | |
KR101098653B1 (ko) | 매체 일시저장장치 | |
US5533687A (en) | Low torque media take-up device | |
JPH0896191A (ja) | 紙幣収納繰出し装置 | |
US20240081304A1 (en) | Electric reel | |
JP2016018417A (ja) | テープ巻取り式紙幣還流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 |
KR101378523B1 (ko) |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 공급회수장치 | |
JPH0822101A (ja) | フィルム回収装置 | |
JPH0640630A (ja) | 巻き取り装置及び該巻き取り装置を用いた装置 | |
JPS6122968A (ja) | 記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