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44B1 -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44B1
KR101028244B1 KR1020070113493A KR20070113493A KR101028244B1 KR 101028244 B1 KR101028244 B1 KR 101028244B1 KR 1020070113493 A KR1020070113493 A KR 1020070113493A KR 20070113493 A KR20070113493 A KR 20070113493A KR 101028244 B1 KR101028244 B1 KR 10102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lastic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584A (ko
Inventor
김옥선
이계석
나상업
홍칠의
이규일
공동화
김재구
전병규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1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2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 5 ~ 100 중량부, 안정제 0.5 ~ 7 중량부, 및 활제 0 ~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량이 최소화되어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를 캘린더링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가소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필름, 시트, 휘발성 유기 화합물, 환경 안전성, 투명성, 내열성

Description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Vinyl chloride bas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dioctyl terephthalate (DOTP) for film or sheet manufactured by calendering}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캘린더링에 의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기에 매우 적합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 중합체로서, 현탁중합과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는 5대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중의 하나이다. 그 중에서 현탁중합으로 제조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가소제(Plasticizer), 안정제(Stabilizer), 충전제(Filler), 안료(Pigment), 지당(TiO2) 및 특수한 기능을 갖는 부원료를 혼합하여 여러 가지 가공법을 통해 필름, 시트, 전선, 파이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한편, 캘린더 가공(calendering)의 공정은 고무 시트를 제조하는데 적용되었 고 점차적으로 PVC 필름 및 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이러한 캘린더링은 압출공정에 비하여 높은 설비투자를 요하는 단점이 있으나 품질이 압출공정에 비하여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PVC에 대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PVC를 캘린더링 공정에 적용할 때 고려되어야 할 물성으로는 평균중합도, 입도, 가공성, 내열성 등이 있으며, 평균중합도가 높아질수록 가공온도가 올라가지만 뛰어난 물성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평균중합도는 요구되는 제품의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투명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800 정도의 평균중합도를 가지는 PVC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수지로는 PVC만으로 된 것(PVC 스트레이트 수지)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염화비닐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러한 공중합와 PVC 스트레이트 수지를 블렌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경질의 재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PVC만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부드러운 물성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가소제로는 거의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사용된다. 이러한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가소제로서의 특성이 좋아서 가공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만, 동물이나 사람의 몸 속에 들어가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 즉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는 위험물질로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어 대체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캘린더링 공정에 적용되는 PVC 수지 조성물에 가소제로 적용되어 제조되는 필름 또는 시트의 제 물성과 PVC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대체 가소제가 제안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사용되던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대비 내열성이 우수하고, 동등 또는 우수한 수준의 투명성을 가지면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가소제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가소제, 기타 첨가제 등 구성성분의 함량을 최적으로 하여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으로 사용될 경우 요구되는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가소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가소제의 함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7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50 ~ 100 중량%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0 ~ 50 중량%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0 ~ 30 중량%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또한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0.5 ~ 7 중량부 및 활제 0 ~ 5 중량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링에 의하여 필름 또는 시트로 제작하여 185 ℃, 10 atm에서 2분 동안 가열할 때, 황색도(Y.I.)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우수한 투명성과 내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dioctyl terephthalate, DOTP) 단독 또는 이것과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의 혼합물을 가소제로 포함하고 또한 여기에 안정제 및 활제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기존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에서 문제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즉, 환경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에 매우 적합한 우수한 투명성과 내열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가소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테레프탈산 (terephthalic acid)와 2-에틸 헥사놀 (2-ethyl hexanol)을 원료로 하는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 반응에 의한 제조 방법 및 테레프탈산 디메틸 (dimethyl terephthalate)과 2-에틸 헥사놀 (2-ethyl hexanol)을 원료로 하는 에스테르 (ester) 교환 반응에 의한 제조 방법, 또는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halate)등의 폴레에스테르 (polyester) 수지와 2-에틸 헥사놀 (2-ethyl hexanol)을 원료로 하여 분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 (degradative transesterification)에 의한 제조 방법 등이 있다.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과정에서 반응 촉진을 위해 촉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반응온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130 ℃ ~ 280 ℃에서 이루어지는데, 적정 온도에 맞추어 다양한 촉매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테트라 이소부틸티타네이트 (tetra-isobutyl titanate, TIBT),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tetra-isopropyl titanate, TIPT), 디부틸틴옥사이드 (dibutyl tin oxide), 파라톨루엔술폰산 (para-toulene sulfonic acid, PTSA)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파라톨루엔술폰산 또는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가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결된 후의 후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과잉의 원료를 감압 증류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예를 들면 NaOH, KOH, Na2CO3 수용액 등과 같은 염기성 용액으로 중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결과물을 물로 세척하 고, 선택적으로 감압하여 탈수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여기에 흡착제를 넣은 후 여과하여 최종적인 가소제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라 함은 캘린더링 가공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 안정성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가소제로서 포함한다. 이러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가소제는 분자량이 같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iethylhexyl phthalate, DEHP)과 비교하여 볼 때 가열 감량이 낮아 내열성이 우수하며,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투명 필름 또는 시트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가소제로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단독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가소제는 50 ~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0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 30 중량%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가 본 발명의 가소제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1 중량% 이상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5 ~ 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7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서 가소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유연성이 좋지 않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블리드 현상 (bleeding effect, 가소제가 성형품의 표면으로 나오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끈적거리거나 더러운 오염 물질이 부착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안정제, 보조 안정제, 또는 활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첨가제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5 ~ 100 중량부, 안정제 0.5 ~ 7 중량부, 및 활제 0 ~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것은 투명 필름 또는 시트용에서 요구되는 투명성뿐만 아니라 내열성등의 물성을 만족하는 최적의 배합이다.
안정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에서 HCl이 분리되어 발색단인 폴리엔 구조를 형성하여 주쇄의 절단, 가교 현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물성 변화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Ca-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머캡티드 (Mercaptide)계 화합물, 말레인산계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 Tin계 화합물; Mg-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Pb-스테아레이트, Cd-스테아레이트, 또는 Ba-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일 수 있으며,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0.5 ~ 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안정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열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7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필요 이상의 열안정성이 발현되는 문제점이 있다.
활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공 시 입자 간 마찰력 감소와 부착력을 감소 시켜 고분자 사슬 사이의 윤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그 종류에는 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계 화합물; 부틸에스테르 또는 옥틸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팔미틸 알콜 또는 스테아릴 알콜과 같은 지방산 및 알코올의 혼합물; 스테아르산 아미드 또는 올레산 아미드와 같은 지방산 아미드 화합물; 메탈릭 비누; 파라핀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와 같은 탄화수소계 화합물 등이 있으며, 필름 또는 시트용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활제는,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당 0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를 포함될 수 있다.  활제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상기 가소제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는 DEHP 대신에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단독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DINP)의 혼합물을 가소제로 포함하고 또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으로 적용되기에 적합한 물성을 얻을 수 있는 안정제 등의 첨가제들의 배합비를 최적화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및 환경친화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링에 의하여 필름 또는 시트로 제작하여 185 ℃, 10 atm에서 2분 동안 가열할 때, 황색도(Y.I.)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열성 및 환경친화성은 기존에 사용되는 DEHP 등의 가소제를 사용하여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었으며,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에 이르러서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링 공정에 적용하여 필름 또는 시트로 제조하는 것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렇게 제조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교반기와 응축기가 부착된 4구 2L 둥근 플라스크에 테레프탈산 249.21 g, 2-에틸 헥사놀 781.38 g과 촉매인 TIPT 1.00 g을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220 ℃까지 승온시켜, 반응 생성수를 제거하면서, 9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후 미반응 물질인 테레프탈산과 과잉의 2-에틸 헥사놀은 150 ~ 220 ℃에서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제거하였고, 10 중량%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과 10 중량%의 망초 용액을 이용하여 중화 수세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감압하에 탈수를 한 후, 물이 제거된 반응물에 흡착제를 넣고 여재를 넣어 여과 한 후, 최종적으로 순도 99.7%의 DOTP를 얻었다.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 1의 조성비에 따라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예 1의 가소제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고, 한편, 표 1의 조성비에 따라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2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DOTP 55 중량부,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를 슈퍼 믹서 (super mixer) 또는 혼합기 (blender)등에 넣고 혼합하고, 밴 배리 믹서 (VAN Antoine Louis Barye mixer) 또는 믹싱 롤 (mixing roll),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DOTP 6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DOTP 6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DOTP 7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 DOTP 7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DEHP(Di-ethylhexyl phtha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DINP(Di-isononyl phthal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2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염화비닐 100 100 100 100 100 100 100
DOTP 55 60 65 70 75 - -
DEHP - - - - - 55 -
DINP - - - - - - 55
안정제 2 2 2 2 2 2 2
활제 0.5 0.5 0.5 0.5 0.5 0.5 0.5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은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시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돌기 (fish eye), Y.I. (Yellow index), 탁도 (Haze)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능 평가)
돌기 ( Fish eye )
롤 밀 (roll mill)을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165 ℃에서 3분 동안 작업하여 0.5 mm 두께의 시트를 제작한 후, 시트 표면의 정해진 영역 안에 존재하는 돌기의 개수를 눈으로 관찰하여 개수를 센다.
여기에서, 시트 표면의 정해진 영역이란 가로×세로가 10×10㎝인 영역이며, 돌기수는 미겔링된 입자로서 정해진 온도에서의 가소제의 가소화 효율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돌기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가소제의 가소화 효율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공온도를 높이거나 가소제를 더 많은 양 투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Y.I. ( Yellow index )
롤 밀 (roll mill)을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165 ℃에서 3분 동안 작업하여 0.5 mm 두께의 시트를 가로 50 mm, 세로 50 mm의 크기로 자른다. 185 ℃의 press를 이용하여 1 atm에서 6분간 가열 후, 10 atm에서 2분 pressing, 15 atm에서 2분 냉각하여 색깔 변화를 색차계(colorimeter)로 Y.I.를 측정한다.
탁도 ( Haze )
롤 밀 (roll mill)을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165 ℃에서 3분 동안 작업하여 0.5 mm 두께의 시트를 가로 50 mm, 세로 50 mm의 크기로 자른 다음, hazemeter로 탁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돌기 10 8 8 5 3 3 9
Y.I. 9.4 9.5 9.4 9.9 10.0 18.9 14.3
탁도 6.13 6.00 5.60 5.62 5.59 5.75 8.73
상기 표 2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돌기 개수 및 투명성과 내열성이 동등 또는 우수함을 알 수 있고, 특히 내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 즉 DOTP 가소제가 65 중량부 이상 함유된 경우에도 비교예 1,2의 범용 가소제 DEHP와 DINP에 비해 내열성과 투명성이 동등 이상의 수준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 3의 조성비에 따라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예 1의 가소제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실시예 6 내지 1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5 중량부 중 DOTP와 DINP의 혼합 비율을 9 대 1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4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7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5 중량부 중 DOTP와 DINP의 혼합 비율을 8 대 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4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8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5 중량부 중 DOTP와 DINP의 혼합 비율을 7 대 3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4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9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5 중량부 중 DOTP와 DINP의 혼합 비율을 6 대 4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4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10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5 중량부 중 DOTP와 DINP의 혼합 비율을 5 대 5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각 물성적 특성은 표 4에 표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폴리염화비닐 100 100 100 100 100
DOTP 58.5 52 45.5 39 32.5
DINP 6.5 13 19.5 26 32.5
안정제 2 2 2 2 2
활제 0.5 0.5 0.5 0.5 0.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돌기 4 5 5 9 11
Y.I. 9.4 9.5 9.4 11.7 12.9
탁도 5.84 5.72 5.87 6.63 7.03
상기 표 4로부터, 실시예 6 내지 8까지는 열안정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9 내지 10은 물성이 다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DOTP와 기존 범용 가소제 DINP의 블렌딩 비율은 7 대 3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범위로 사용하여야 캘린더링 필름 및 시트로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b) 가소제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혼합물 5 ~ 100 중량부;
    c) 안정제 0.5 ~ 7 중량부; 및
    d) 활제 0.5 ~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9:1 내지 7:3(DOTP:DIN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 7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캘린더링 가공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캘린더링 필름 또는 시트.
KR1020070113493A 2007-11-08 2007-11-08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02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93A KR101028244B1 (ko) 2007-11-08 2007-11-08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93A KR101028244B1 (ko) 2007-11-08 2007-11-08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84A KR20090047584A (ko) 2009-05-13
KR101028244B1 true KR101028244B1 (ko) 2011-04-11

Family

ID=4085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93A KR101028244B1 (ko) 2007-11-08 2007-11-08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677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지원산업 비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할로겐프리 난연제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테이프, 가스켓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60B1 (ko) * 2016-12-26 2019-03-25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염화비닐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N114940793B (zh) * 2022-05-05 2024-01-12 内蒙古鄂尔多斯电力冶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pvc抗划痕透明薄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787A (ja) * 1991-12-06 1994-06-28 Shin Etsu Polymer Co Ltd 食品包装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20000007217A (ko) * 1998-07-01 2000-02-07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2000067653A (ja) * 1998-08-27 2000-03-03 Hitachi Cable Ltd 介在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787A (ja) * 1991-12-06 1994-06-28 Shin Etsu Polymer Co Ltd 食品包装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20000007217A (ko) * 1998-07-01 2000-02-07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2000067653A (ja) * 1998-08-27 2000-03-03 Hitachi Cable Ltd 介在用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STICS COMPOUNDING, JANUARY/FEBRUARY 198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677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지원산업 비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할로겐프리 난연제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테이프, 가스켓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84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163B1 (ko) 캘린더링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EP2231763B1 (en) Co-plasticizer systems
KR20100053567A (ko) Pvc를 위한 보조-안정화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
KR102437916B1 (ko)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260895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EP1672013A1 (de) Estermischungen
KR101028244B1 (ko)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필름 또는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N107690447B (zh) 增塑剂组合物
KR101115679B1 (ko) 친환경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200060091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102496350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843608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0838474B1 (ko) 투명 연질 시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123504B1 (ko)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재용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768744B1 (ko)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pvc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658860B1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471310B1 (ko)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992960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462258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20085605A (ko)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시스 재료 조성물
KR20220094806A (ko) 가소제 조성물
KR20150093606A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캘린더링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872686B1 (ko) 전선 외장 피복재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150138836A (ko) 가소제, 가소제 조성물,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230085664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26

Effective date: 201102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