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155B1 - 편직물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물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155B1
KR101025155B1 KR1020067003936A KR20067003936A KR101025155B1 KR 101025155 B1 KR101025155 B1 KR 101025155B1 KR 1020067003936 A KR1020067003936 A KR 1020067003936A KR 20067003936 A KR20067003936 A KR 20067003936A KR 101025155 B1 KR101025155 B1 KR 10102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helf
knitted fabric
irradiation surface
dry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478A (ko
Inventor
도시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6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6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인쇄면이 편면, 양면을 막론하고 양호하게 건조될 수 있음과 아울러, 니트나 직물 등의 의류나 작은 물건의 소량 생산에도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편직물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단에 배치되는 제1건조선반과 그 하단에 적어도 1단(段)의 제2건조선반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 건조선반은 건조면이 통기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1건조선반의 상방에 제1건조수단을 설치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제2건조수단을 설치하고, 각 건조수단은, 열선(熱線) 및/또는 열풍을 조사(照射)하는 건조 조사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건조선반의 건조면을 따라 구동수단에 의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설치된 건조수단은 건조 조사면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절환하여 제1건조선반의 상하 양면에서 건조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편직물의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CLOTHING KNITTED OR WOVEN FABRIC}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ink-jet print)를 하기 전의 전처리(前處理)로 편직물 등에 가해진 약제(藥劑)의 건조 혹은 잉크젯 프린트 후의 편직물을 중간 건조시킬 때에 사용하는 편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편성포나 직물의 스웨터나 생지(生地; 옷감) 등의 편직물에 패턴이나 모양을 넣는 경우, 일반적으로 플랫 스크린(flat screen), 로타리 스크린(rotary screen), 롤러(roller) 등의 각종 날염기(捺染機; printing machine)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런 종류의 날염에서는 날염 후에 건조, 발색(發色), 소핑(soaping), 마무리라고 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품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날염에서는, 인쇄용 원화(原畵)의 트레이스(trace), 제판(製版) 등의 작업에 의하여 인쇄하는 색마다 판(版)을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막대한 노력, 비용, 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색마다의 색풀(色糊; 염료를 첨가한 날염용의 풀)의 조정, 배색을 변경할 때에 각 판의 세정 작업도 필요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여기에서 본 출원인이 전에 제안한 바와 같이, 주로 니트나 직물 등의 의류, 작은 물건을 대상으로 하고 잉크젯에 의하여 모양이나 형상의 패턴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가 있어, 전처리제를 도포한 후나 형상의 패턴을 인쇄한 후에 자연 건조시켰는데 특히 양면에 인쇄할 때에는 편면(片面)씩 자연 건조시키므로 상당한 시간을 요하였다(특허문헌1).
이러한 피인쇄물, 소량 생산의 물건을 대상으로 하는 건조기는 종래에는 없었다.
예를 들면 토레이가부시키가이샤 출원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33464호에서와 같은 건조기에서는, 컨베이어를 구비하여 가로로 긴 시트 모양의 직물에 온풍을 송풍(送風)하는 건조기이기 때문에 장치가 대규모로 되어 견본을 만들거나 소량을 생산하는 데는 적당하지 않다(일본국 특허문헌2).
특허문헌1 : 국제공개 WO03/30119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33464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면이 편면(片面), 양면(兩面)인 것을 막론하고 니트나 직물 등의 의류나 작은 물건의 소량 생산에도 대응하여 양호한 건조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편직물 특히 두꺼운 편성포도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편직물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편직물의 건조장치는, 상단에 배치되는 제1건조선반과 그 하단에 적어도 1단(段)의 제2건조선반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 건조선반은 건조면이 통기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1건조선반의 상방에 제1건조수단을 설치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제2건조수단을 설치하고, 각 건조수단은, 열선(熱線) 및/또는 열풍을 조사(照射)하는 건조 조사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건조선반의 건조면을 따라 구동수단에 의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설치된 건조수단은 건조 조사면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절환하여 제1건조선반의 상하 양면에서 건조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한다.
또 상하로 설치된 제1, 제2건조수단이 동일한 구동수단으로 슬라이딩 제어되거나, 건조 처리되는 편직물이 인쇄 전의 처리액 또는 인쇄에 의하여 습윤되어 있는 것이거나, 건조수단이 적외선 등의 열선을 조사하는 것을 구비하고, 제2건조수단의 건조 조사면 부분에 방수 커버를 설치하거나, 또한 건조수단이 건조 조사면으로 열선 또는/및 열풍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열선에 의하여 건조를 하는 제1건조단계와 열선과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제1건조단계에 있어서의 건조수단의 왕복 이동 속도는 저속으로 이루어지고 제2건조단계에 있어서의 건조수단의 왕복 이동 속도는 제1건조단계의 왕복 이동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편직물의 건조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건조수단과 건조선반 부분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히터 부착부를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4는 히터 부착부의 A-A선 단면도이다.
도5는 히터 부착부의 측면도이다.
도6은 건조수단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직물의 건조장치 2 : 프레임
3a/3b : 건조선반 4a/4b : 건조수단
8 : 건조면 17 : 건조 조사면
20 : 히터 21 : 방수 커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편직물의 건조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편직물의 건조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면 중의 부호1은 당해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이 편직물의 건조장치1은, 제1건조선반3a와 그 하방에 제2건조선반3b가 지지구(支持具)6에 의하여 프레임2에 상하로 설치되어, 상방의 제1건조선반3a의 상방에는 제1건조수단4a를 설치하고 하방의 건조선반3b의 상방에는 제2건조수단4b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는 도6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구동수단5에 의하여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 상을 왕복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는, 금속망(金屬網)을 깔아 만든 건조면8이 지지구6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레임7에 형성되어 있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구6 부분에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프레임2로부터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를 개별적으로 당겨 끌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는, 구동수단5에 의하여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되는 이동 브래킷(bracket)9를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의 지지구6의 양 측방에 설치하고, 각 이동 브래킷9에는 제1건조수단4a의 측판10과 제2건조수단4b의 측판11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측판10/10, 11/11에 걸쳐서 폐단면(閉斷面)의 빔12, 13과, 단면이 대략 역 ㄷ자형인 커버14, 15를 가설(架設)하고, 커버14, 15의 측면 부분에는 복수의 송풍용 팬16/16/16이 동일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도1 참조).
커버14, 15 내에는 일방이 건조 조사면17로서 개구(開口)하고 단면이 사다리꼴인 반사판18이 부착 브래킷19를 통하여 빔12, 13에 부착되어 있고, 이 반사판18의 내측에 히터20이 부착되어 있다(도2 참조).
여기에서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에 장착되는 히터20은 건조수단으로서 780nm에서부터 1mm의 파장을 구비하는 적외선 등의 열선을 조사하는 것이며, 도3 내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치수의 원적외선 히터가 복수 개 라인 형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건조수단4b의 반사판18의 개구부에는 내열 글래스(耐熱 glass)로 이루어지는 방수 커버21이 부착됨과 아울러, 당해 제2건조수단4b는 회전기구22에 의하여 그 측판11과 이동 브래킷9와의 결합을 통하여 180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건조수단4b의 회전기구22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판11에 회전 피벗 지지구멍23과, 이 회전 피벗 지지구멍23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의 상하 2곳에 고정용 나사구멍24/24를 형성하고, 이동 브래킷9로부터 돌출되는 피벗 지지축25를 회전 피벗 지지구멍23에 결합시켜서 측판11을 회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이동 브래킷9로부터 삽입된 나비 볼트26을 일방의 고정용 나사구멍24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방의 건조수단4b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의 부호27은 얼라인먼트용(alignment用)의 보조구(補助具)로서, 손잡이 부분27a에서 선단측 부분(머리 밑 부분)에 내장된 스프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선단부가 측판11 측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2건조수단4b를 반전시켜 제1건조선반3a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건조 조사면17/17을 위치시켰을 때, 하방의 건조 조사면17을 상방의 건조 조사면17보다 건조선반에 근접하도록 비대칭위치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는, 도6의 구동의 개략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에 고정된 전동모터30과,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된 구동벨트31과, 전동모터30의 회전을 감속하여 구동벨트31의 일단의 풀리32에 전달하는 전동장치(傳動裝置)33을 구비하고, 이동 브래킷9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캐리어34의 클램프(clamp)35가 구동벨트31에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34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전후에 걸쳐서 제1건조선반3a의 측방에서 지지 빔36에 걸치고 슬라이더38을 통하여 이 지지 빔36의 상면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37 상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동모터30은 각종 센서(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온도 센서나 수분율 센서, 생지단(生地端) 센서 등)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자동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고,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송풍용 팬16이나 히터20의 출력 및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왕복 이동의 범위나 속도가 제어된다.
한편 도6에서는 우측이 건조장치1의 정면측으로서, 좌측의 도면은 제2의 건조수단4b를 상방을 향하여 반전시켜 제1건조선반3a를 상하에서 건조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의 도면은 제2의 건조수단4b를 상방을 향하여 반전시키는 도중의 개략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편직물의 건조장치1을 사용하는 경우를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분사된 잉크의 고착성(固着性)을 좋게 하기 위하여, 잉크젯 프린트가 실시되는 스웨터 등의 생지(편직물) 부분에 전처리액(前處理液)을 부여하여 습윤상태가 되게 한다.
잉크젯 프린트되는 부분이 예를 들면 스웨터 등의 앞측 부분만일 경우에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의 각각에, 전처리가 된 앞측 부분이 상면, 즉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각 건조 조사면17과 대면하도록 생지를 전개한 상태로 재치한다.
다음에 건조장치1을 기동시키면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제어장치에 설정된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왕복 이동의 범위나 속도, 히터20의 출력 및 송풍용 팬16/16/16의 풍량으로 처리되어서 소정의 습도가 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왕복 이동의 범위나 속도나 회수의 자동제어나 히터20의 출력 및 송풍용 팬16/16/16의 풍량 등의 출력 제어는, 온도 센서, 수분율 센서, 생지의 두께 센서, 생지단 센서 등에 의하여 자동제어장치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제어되지만, 수동으로 당해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에 재치된 생지의 재질이 다른 경우 등에는,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상기 히터20의 출력 및 송풍용 팬16/16/16의 풍량 등의 출력이 다르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어 건조의 과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초기에는 수분 함유율이 높고 약제가 송풍용 팬16으로부터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왕복 이동은 저속으로 히터20 만으로 건조시키고, 건조가 진행해 가면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이동 속도를 점차로 빠르게 하고 히터20과 송풍용 팬16으로 건조를 촉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조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생지단 센서가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에 재치된 생지단부를 검출하면,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이동을 반전시켜서 생지가 없는 부분으로 히터20이나 송풍용 팬16의 무용한 출력을 방지함과 아울러 왕복 이동 범위의 효율을 좋게 한다.
또한 생지단 센서가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건조선반3a/3b에 재치된 생지단부를 검출하면, 생지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히터20의 출력을 정지시켜 소비전력을 적게 한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트 되는 부분이 예를 들면 스웨터 등의 앞측 부분 및 뒤측 부분(전체 둘레를 포함한다)인 경우에는, 제1건조선반3a에 생지를 전개한 상태로 재치하고 제2건조수단4b를 반전시킨다.
나비 볼트26을 푼 후에 얼라인먼트용의 보조구27의 손잡이 부분27a를 끌어당겨 그 선단부를 측판11의 고정용 나사구멍21로부터 빼낸 상태로 하면, 제2건조수단4b는 가벼운 힘으로 피벗 지지축2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도6의 우측에 도시한 상태를 거쳐, 동(同)도 좌측의 도면 및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건조 조사면17이 제1건조선반3a의 하면에 근접하는 상태로 반전된다.
제2건조수단4b를 반전시킬 때에 보조구27의 손잡이 부분27a를 분리하여 두면 그 선단이 항상 측판11 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용 나사구멍24가 선단부분과 대면하는 위치가 되면 자동적으로 결합하고 나비 볼트26도 고정용 나사구멍24에 합치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나비 볼트를 나사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고정용 나사구멍24에 나사 결합시켜서 건조수단4b를 그 건조 조사면17이 상방의 건조선반3a의 하면에 근접하는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건조 조사면17이 상방의 건조선반3a의 하면에 근접하는 상태로 고정되면, 제1 및 제2건조수단4a/4b의 왕복 구동의 범위나 속도, 히터20의 출력 및 송풍용 팬16/16/16의 풍량 등이 온도 센서, 수분율 센서, 생지의 두께 센서 등에 의하여 자동제어장치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 하여 자동제어되어서 건조된다.
덧붙여서, 하방의 건조수단4b를 상방을 향하여 반전시켰을 때에 그 건조 조사면17이 상방의 건조 조사면17보다 건조선반3a에 근접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하방의 건조수단4b의 건조 조사면17로부터 조사되는 열선이나 풍량이 건조면8 및 방수 커버21로 차단되는 것을 보상(補償)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하방의 건조수단4b의 건조 조사면17에 방수 커버21을 부설하는 것은, 건조선반3a에 재치된 생지로부터의 물방울이 낙하하여 히터20을 쇼트(short) 시키거나 먼지나 수분이 히터2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쇄하기 전의 생지에 가해진 전처리액을 건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면 등의 경우에는 인쇄 후의 중간건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건조선반을 상하 2단의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선반을 3단 이상 설치하고 건조수단도 건조선반에 합쳐서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직물의 건조장치에 의하면, 통기성을 구비하는 건조면으로 형성된 건조면을 적어도 제1건조선반과 제2건조선반의 상하 2단으로 설 치하고, 편직물의 편면(片面)에만 인쇄 시에는 각 건조선반의 건조면에서 당해 인쇄면 또는 처리면만을 건조시킴으로써 다량의 건조를 할 수 있고, 양면의 인쇄 시에는 하방의 건조 조사면을 반전시켜서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제1건조선반의 상하에서 얼룩 없이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건조선반의 상하에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양면 인쇄 시뿐만 아니라 두꺼운 편직물이나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가 있는 스웨터 등에도 양면건조를 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단에 배치되는 제1건조선반과 그 하단에 적어도 1단(段)의 제2건조선반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 건조선반은 건조면이 통기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1건조선반의 상방에 제1건조수단을 설치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제2건조수단을 설치하고,
    각 건조수단은, 열선(熱線) 및/또는 열풍을 조사(照射)하는 건조 조사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건조선반의 건조면을 따라 구동수단에 의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2건조선반의 상방에 설치된 건조수단은 건조 조사면을 하향에서 상향으로 절환하여 제1건조선반의 상하 양면에서 건조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의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설치된 제1, 제2건조수단이 동일한 구동수단으로 슬라이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의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 처리되는 편직물이 인쇄 전의 처리액 또는 인쇄에 의하여 습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의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건조수단이 적외선 등의 열선을 조사하는 것을 구비하고, 제2건조수단의 건조 조사면 부분에 방수 커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의 건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수단이 건조 조사면으로 열선 또는/및 열풍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열선에 의하여 건조를 하는 제1건조단계와 열선과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제1건조단계에 있어서의 건조수단의 왕복 이동 속도는 저속으로 이루어지고 제2건조단계에 있어서의 건조수단의 왕복 이동 속도는 제1건조단계의 왕복 이동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의 건조장치.
KR1020067003936A 2003-09-08 2004-08-24 편직물의 건조장치 KR101025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5032A JP4291091B2 (ja) 2003-09-08 2003-09-08 編織物の乾燥装置。
JPJP-P-2003-00315032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478A KR20060069478A (ko) 2006-06-21
KR101025155B1 true KR101025155B1 (ko) 2011-04-01

Family

ID=343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936A KR101025155B1 (ko) 2003-09-08 2004-08-24 편직물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34348B2 (ko)
EP (1) EP1672303A1 (ko)
JP (1) JP4291091B2 (ko)
KR (1) KR101025155B1 (ko)
CN (1) CN100434849C (ko)
WO (1) WO2005026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3056A (zh) * 2012-07-12 2015-11-11 艾博生物医药(杭州)有限公司 一种自动化快速烘干样品接收垫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8145B3 (de) * 2005-04-20 2006-12-07 Sms Meer Gmbh Vorrichtung zur Kühlbehandlung von auf einem Rollgang aufliegenden Walzdrahtschlingen
US7886458B2 (en) * 2006-12-22 2011-02-15 G.A. Braun Inc. Lint coll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fabric dryers
US20090133286A1 (en) * 2007-11-26 2009-05-28 David Vallejo Method and machine for pre-drying stamp-prints
CN101813407B (zh) * 2009-12-29 2013-04-17 宁波荣溢化纤科技有限公司 一种化纤干燥装置
US9127884B2 (en) * 2012-12-04 2015-09-08 Eastman Kodak Company Acoustic drying system with interspersed exhaust channels
GB2544110B (en) * 2015-11-06 2019-04-24 Technijet Digital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abric
CN106839666A (zh) * 2015-12-04 2017-06-13 陈爱平 一种热风循环纺织烘干机
CN105540203A (zh) * 2015-12-21 2016-05-04 嵊州市意海电机配件厂 一种纺织品输送机
CN107042705A (zh) * 2016-04-17 2017-08-15 南京翰骞数码科技有限公司 喷墨打印装置用烘干装置及喷墨打印装置
CN105926215A (zh) * 2016-06-23 2016-09-07 浙江恒生印染有限公司 一种用于染整机的可移动烘干装置
CN106679378B (zh) * 2016-11-08 2019-04-26 江苏茂腾针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摆动快速烘干装置
JP6846229B2 (ja) * 2017-02-13 2021-03-2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シート乾燥装置及び方法並びに製函機
CN106798936B (zh) * 2017-03-04 2023-06-23 广东吉宝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厚膜加热的立体加热消毒碗柜
KR101894883B1 (ko) * 2017-06-02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270685A (zh) * 2017-06-09 2017-10-20 周琼 一种可快速烘干的尼龙布加工烘干装置
CN109654816A (zh) * 2017-10-11 2019-04-19 天津市信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橡胶添加剂生产干燥处理装置
CN108004814B (zh) * 2017-12-28 2023-04-25 无锡市艾克斯染整设备有限公司 纯棉无纺布连续轧染的生产方法及装置
CN108161779B (zh) * 2017-12-28 2024-01-16 常州市金牛研磨有限公司 砂纸的生产系统
CN108819500A (zh) * 2018-08-03 2018-11-16 贵州贤俊龙彩印有限公司 一种带烘干装置的彩印机
CN109595910A (zh) * 2018-11-07 2019-04-09 惠州泰纶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柔道烘干机气动循环烘干系统
CN110567254A (zh) * 2019-09-28 2019-12-13 运城学院 一种渔网烘干收集装置
WO2021179228A1 (zh) 2020-03-12 2021-09-16 苏州汪永亨丝绸科技文化有限公司 一种宋锦面料生产用循环烘干装置
CN112571931B (zh) * 2020-12-11 2022-12-16 柴穗菁 一种具有干燥装置的印花机
CN113418361B (zh) * 2021-06-28 2022-06-28 山东四达工贸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烘干绝缘板的系统
CN114046644A (zh) * 2021-11-05 2022-02-15 湖南贝恩叮当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纸尿裤加工用无纺布的烘干装置
CN114018027B (zh) * 2021-11-26 2022-07-26 宿迁奥伯尔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型尼龙材料生产用干燥装置
CN114543457A (zh) * 2022-02-24 2022-05-27 会理绿陶文化开发有限公司 一种有除水功能的陶瓷胚体放置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692U (ja) 1983-09-30 1985-04-26 平尾 俊郎 遠赤外線乾燥装置
JPH0526574A (ja) * 1991-07-15 1993-02-02 Miyazaki Pref Gov 食品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291A (en) * 1944-10-09 1949-04-12 Gustin Bacon Mfg Co Process for forming felted fibrous insulating material
US2830648A (en) * 1956-06-06 1958-04-15 Lof Glass Fibers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glass fiber mat
JPS6060692A (ja) 1983-09-14 1985-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楽音合成回路
CN85204436U (zh) * 1985-10-23 1986-11-05 天津市利和毛巾厂 毛巾织物松式导网烘干机
CN86202118U (zh) * 1986-04-01 1987-06-24 湖南省长沙市被服厂 红外线织物烘燥机
JPH09133464A (ja) 1995-11-07 1997-05-20 Toray Ind Inc インクジェット染色布帛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染色布帛の乾燥装置
FR2761380B1 (fr) * 1997-03-28 1999-07-02 Europ Propulsion Procede et machine pour la realisation de nappes fibreuses multiaxiales
US6147327A (en) * 1997-07-03 2000-11-14 Winn; William E. Hot shelf tower dryer for a cotton gin using heating elements
US20040239705A1 (en) 2001-10-05 2004-12-02 Reiji Arikita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ing ink jet
CN2519225Y (zh) * 2002-01-16 2002-10-30 李新证 烘布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692U (ja) 1983-09-30 1985-04-26 平尾 俊郎 遠赤外線乾燥装置
JPH0526574A (ja) * 1991-07-15 1993-02-02 Miyazaki Pref Gov 食品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3056A (zh) * 2012-07-12 2015-11-11 艾博生物医药(杭州)有限公司 一种自动化快速烘干样品接收垫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478A (ko) 2006-06-21
US20070011906A1 (en) 2007-01-18
JP4291091B2 (ja) 2009-07-08
JP2005083630A (ja) 2005-03-31
CN100434849C (zh) 2008-11-19
WO2005026636A1 (ja) 2005-03-24
EP1672303A1 (en) 2006-06-21
CN1849492A (zh) 2006-10-18
US7334348B2 (en)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55B1 (ko) 편직물의 건조장치
US115049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igitally printed textile materials
US6161304A (en) Dryer assembly
WO2011024464A1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EP0606378A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veyor dryer
CN111251704B (zh) 一种椭圆自动印花机
KR100989905B1 (ko) 디지털 프린터용 텍스타일 양면 건조장치
US3973493A (en) Web stencilling and drying apparatus
CN109722828B (zh) 一种机械自动化纺纱用染色均匀可替换模板的印染装置
KR100772765B1 (ko)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JP2012112066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による捺染物の製造方法
KR100978955B1 (ko) 망사형 직물지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및 그장치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용 원단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US20180072043A1 (en) Heated iron or roller for a textile printing apparatus
JP20040507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533445A (en) Automated printing machine and process
KR100722563B1 (ko) 피혁 착색 장치 및 방법
CN210944079U (zh) 一种印刷品生产用收卷装置
KR200385403Y1 (ko) 날염 원단용 증열기
KR910002548Y1 (ko) 스크린 인쇄물의 전동 건조장치
BRPI0708193A2 (pt) sistema de secagem para máquina de formação de imagem
CN117947591B (zh) 一种纺织面料除皱装置
CN215856795U (zh) 一种纺织用纺织面料快速梳理设备
CN219927243U (zh) 一种纸箱印刷执行设备
CN220009153U (zh) 一种纺织品印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