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765B1 -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765B1
KR100772765B1 KR1020060066365A KR20060066365A KR100772765B1 KR 100772765 B1 KR100772765 B1 KR 100772765B1 KR 1020060066365 A KR1020060066365 A KR 1020060066365A KR 20060066365 A KR20060066365 A KR 20060066365A KR 100772765 B1 KR100772765 B1 KR 10077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ryer
textile paper
driv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정
Original Assignee
정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정 filed Critical 정재정
Priority to KR102006006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 하부에 다수의 통기공(13a)을 갖는 통기판(13)과, 상기 통기판(13) 하부에 직물지의 날염된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히팅수단(H)으로 이루어진 건조기 본체(10)와;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 가열수단, 제어장치(21) 및 구동모터(22)가 내장되고, 외면에 다수의 선택 스위치(23)가 구비된 컨트롤 박스(20)와;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구동모터(22) 단부에 연결된 체인(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축(31)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바퀴(30)와; 상기 각 구동바퀴(30)의 일측에는 그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31)에 고정부(40)가 결합되고, 상기 각 구동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대(4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40)의 하부에 상기 구동바퀴(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러(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본체, 컨트롤 박스, 구동바퀴, 가이드롤러, 안전장치 타이머.

Description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An automatic drier for printed texti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의 상측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건조기 본체 11 : 손잡이부
12 : 송풍기 13 : 통기판
13a : 통기공 14 : 리미트 스위치
15 : 돌출바 16 : 안전장치 타이머
17 : 간이 선반부 20 : 컨트롤 박스
21 : 제어장치 22 : 구동모터
23 : 선택 스위치 25 : 체인
30 : 구동바퀴 31 : 구동축
40 : 고정부 41 : 고정대
42 :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박스의 각 선택 스위치를 조절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모터 및 송풍기, 히팅수단 등을 제어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바퀴가 나염 작업대 상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연속으로 자동 왕복하여 날염된 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염은 종이나 실, 직물, 특히 직물을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기술로서 여러가지 방식에 의해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날염은 여러 분류방식이 있지만 그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는 염료날염과 안 료날염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염료날염에서는 대상이 어떠한 직물로 되어 있는가에 따라 그 직물을 필요한 견뢰도와 색상으로 착색하기에 적절한 염료를 고르고, 풀감을 끓여서 적당하게 넣어 점성이 있는 액에 다른 착색용 약제와 함께 넣고 잘 섞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대로 음각한 날인 롤러 또는 무늬대로 개공을 만든 스크린을 써서 직물을 날인한 뒤, 건조, 증열, 수세하여 무늬가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안료날염에서는 안료, 합성수지(초기축합물), 용제, 물 등으로 날염품을 만들고 이것을 날인 롤러 또는 스크린을 써서 날염하고자 하는 직물에 날인한 뒤, 가볍게 건조시킨 다음 높은 온도의 건열로 처리하는데, 이를 베이킹(Baking) 또는 큐어링(Curing)이라고 한다. 이렇게 처리하면 안료는 직물에 전혀 친화력이 없는 착색제이지만 합성수지의 단단한 접착력에 의해서 직물을 단단하게 결합되므로, 이것을 수세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날염된 직믈을 건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펼쳐진 직물을 이송시키면서 작업자가 헤어 드라이어와 같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게 되었고,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균일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는, 직물에 여러가지 색상의 모양을 날염하기 위하여 이른바 스크린 인쇄 기법에 의하여 한가지 색상을 날염하고, 이를 건조시킨 후 다시 다른 색상을 날염하고 건조시키는 작업을 되풀이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한쪽으로 경사진 평판 상의 날염 작업대 위에서 이루어지고, 작업대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직물, 예컨대 의류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순차적으로 날염을 한다. 하나의 직물에 대해 여러차례 날염이 행해지므로 날염 부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작업대 평판 하단부에는 직물의 간격을 따라 스크린 위치 표시봉을 설치하여 날염 시에 스크린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놓이도록 한다. 매 회의 날염 작업 후에는 작업자가 건조기를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작업대의 길이 방향으로 건조기를 이동시켜 가며 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한 건조 과정은 건조 위치 및 건조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여 건조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 아니라 건조에 인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날염된 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수단이 내장되고 상면에 송풍구가 구비된 건조기 본체(100)와, 상기 건조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 상면 송풍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122)와, 상기 건조기 본체(100)를 지지하고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구동바퀴(130)가 달려 있고 전방에는 날염 작업판에 대한 이동 안내 수단(128)이 구비된 프레임(124)과, 프레임(124)의 일 측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구동바퀴(130)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22)와, 상기 가열수단, 송풍기(120) 및 구동모터(1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21)로 구성되며, 날염 작업대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크린 위치 표시봉(도시 생략)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150)가 장착되고, 센서(150)가 스크린 위치 표시 감지봉의 감지 신호를 제어장치(121)로 보내면 제어장치(121)는 구동모터(122)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 시키거나 공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4)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냉각팬(136)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이루는 날염 직물지의 건조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주변공간의 제약을 받아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부품수 및 조립공정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건조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박스의 각 선택 스위치를 조절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모터 및 송풍기, 히팅수단 등을 제어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바퀴가 나염 작업대 상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연속으로 자동 왕복하여 날염된 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 본체의 외면에 제어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타이머 스위치 및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건조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지의 나염된 위치에 따라 히팅수단(H)을 구성하는 다수의 램프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불량률이 현저히 저감하는 자동화 나염 건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에 의하며,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 하부에 다수의 통기공(13a)을 갖는 통기판(13)과, 상기 통기판(13) 하부에 직물지의 날염된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히팅수단(H)으로 이루어진 건조기 본체(10)와;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 제어장치(21) 및 구동모터(22)가 내장되고, 외면에 다수의 선택 스위치(23)가 구비된 컨트롤 박스(20)와;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구동모터(22) 단부에 연결된 체인(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축(31)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바퀴(30)와; 상기 각 구동바퀴(30)의 일측에는 그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31)에 고정부(40)가 결합되고, 상기 각 구동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대(4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40)의 하부에 상기 구동바퀴(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러(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양측 일정위치에는 구동모터(22)를 역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제어장치(21)에서 연장된 케이블이 연결되고, 돌출바(15)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1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 본체의 외면에는 건조기가 한곳에서 일정시간 정지할 때 고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도록 안전장치 타이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팅수단(H)은 다수의 할로겐 램프를 구비한 할로켄 히터 또는 다수의 근적외선 램프를 구비한 근적외선 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기 본체의 손잡이부 사이에는 소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타측으로 갈수록 일정 높이를 이루는 간이 선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의 상측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건조기 본체(10), 컨트롤 박스(20), 구동바퀴(30) 및 가이드롤러(4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건조기 본체(10)는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 하부에 다수의 통기공(13a)을 갖는 통기판(13)과, 상기 통기판(13) 하부에 히팅수단(H)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송풍구를 통해 건조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통기판(13)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3a)을 통해 하부로 유입된다. 상기 통기판(13)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할로겐램프로 형성된 할로겐히터 또는 다수의 근적외선 램프로 형성된 근적외선 히터 등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램프가 일정간격으로 이격 구비된 히팅수단(H)에 의해 가열되어 그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할로겐히터는 다수의 할로겐램프로 구비되어 태양광에 가까운 복사열을 발생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공기로 열이 유출되어 전달되지 않고 조사되는 물체에 집열되어 열효율이 크다. 또한, 전력소모가 적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근적외선 히터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은 발열체의 온도가 1800℃ 내지 2200℃인 상태에서 발생되는 태양의 복사열에 가장 가까운 적외선으로 파장 0.8~1,4㎛로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물체에만 열 파장으로 전달되어 대상물체를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히팅수단(H)은 상술한 할로겐히터 또는 근적외선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나염된 직물지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팅수단(H)을 구성하 는 다수의 할로겐램프 또는 근적외선램프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장치에 의해 가동되어 직물지의 나염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가열건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양측 소정위치에는 제어장치(21)에서 연장된 케이블이 연결되고, 돌출바(15)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1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외면에는 건조기가 한곳에서 일정시간 정지할 때 고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도록 안전장치 타이머(1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전장치 타이머(16)는 안전장치 타이머 조절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손잡이부(11) 사이에는 소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타측으로 갈수록 일정 높이를 이루는 간이 선반부(1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박스(20)는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 제어장치(21) 및 구동모터(22)가 내장되고, 외면에 다수의 선택 스위치(23)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으로, 전원 ON/OFF 스위치, 리턴 스위치, 전진 스피드 조절 스위치, 후진 스피드 조절 스위치, 안전장치 타이머 조절 스위치, 가열온도 조절 스위치, 송풍속도 조절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바퀴(30)는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상기 구동모터(22) 단부에 연결된 체인(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축(31)의 양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 구동바퀴(30)의 일측에는 그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31)에 고정부(40)가 결합되고, 상기 각 구동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대(4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40)의 하부에 상기 구동바퀴(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가이드롤러(42)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를 날염 작업대의 평판 상에 가이드롤러(42)가 건조기 안내 지지대(도면 미도시)의 후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컨트롤 박스(20) 외면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를 ON 시킨 다음, 기타 스위치들과 타이머를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시작 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22)가 회전하여 체인과 연결된 구동바퀴(30) 회전하게 되고, 더욱이 다른 구동바퀴(30)들은 건조기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날염 작업대 위에서 건조기 본체(10)가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줄이는 피동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양측 일정위치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14)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가 날염 작업대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이르면 그 단부에 있는 단부표시구(도시 생략)에 돌출바(15)가 접촉 회전되고, 이에 의해 작동되어 그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제어장치(21)로 보내게 되며, 구동모터(22)를 역회전 및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1)의 선택 스위치(23)에 의해 1회 왕복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좌측 단부에서 구동모터(22)가 정지되며, 히터수단(H)의 작동도 멈춰지게 된다. 무한 왕복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전원 스위치가 꺼지기 전까지 모든 기능을 정상 작동된다. 아울러,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가 날염 작업대 위를 왕복할 때마다 제어장치(21)에서 리미트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 횟수가 계수되어 미리 설정된 왕복 횟수에 해당하는 횟수의 신호가 감지되면서 작동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에 의하며, 건조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박스의 각 선택 스위치를 조절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모터 및 송풍기, 히팅수단 등을 제어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바퀴가 나염 작업대 상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연속으로 자동 왕복하여 날염된 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 본체의 외면에 제어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타이머 스위치 및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건조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의 저감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지의 나염된 위치에 따라 히팅수단(H)을 구성하는 다수의 램프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 하부에 다수의 통기공(13a)을 갖는 통기판(13)과, 직물지의 날염된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통기판(13) 하부에 다수의 할로겐램프 또는 다수의 근적외선 램프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히팅수단(H)으로 이루어진 건조기 본체(10)와;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 제어장치(21) 및 구동모터(22)가 내장되고, 외면에 다수의 선택 스위치(23)가 구비된 컨트롤 박스(20)와;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구동모터(22) 단부에 연결된 체인(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축(31)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바퀴(30)와;
    상기 각 구동바퀴(30)의 일측에는 그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31)에 고정부(40)가 결합되고, 상기 각 구동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대(4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40)의 하부에 상기 구동바퀴(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롤러(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양측 일정위치에는 구동모터(22)를 역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제어장치(21)에서 연장된 케이블이 연결되고, 돌출바(15)를 갖는 리미트 스위치(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외면에는 건조기가 한곳에서 일정시간 정지할 때 고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도록 안전장치 타이머(1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10)의 손잡이부(11) 사이에는 소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타측으로 갈수록 일정 높이를 이루는 간이 선반부(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KR1020060066365A 2006-07-14 2006-07-14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KR10077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65A KR100772765B1 (ko) 2006-07-14 2006-07-14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65A KR100772765B1 (ko) 2006-07-14 2006-07-14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63U Division KR200429037Y1 (ko) 2006-07-14 2006-07-14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765B1 true KR100772765B1 (ko) 2007-11-01

Family

ID=3906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365A KR100772765B1 (ko) 2006-07-14 2006-07-14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7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96B1 (ko) 2012-06-28 2014-04-29 (주)동진다이닝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KR101789228B1 (ko) 2016-07-07 2017-10-26 아성기계 주식회사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CN107401016A (zh) * 2017-10-11 2017-11-28 德清县利通绢纺塑化有限公司 印花绸面料水洗烘干一体机
KR20180039549A (ko) * 2016-10-10 2018-04-18 (주)안동나염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135Y1 (ko) * 1996-02-14 1999-02-18 박순명 무인 날염 건조기
KR200345139Y1 (ko) 2003-10-20 2004-03-18 덕 희 홍 날염용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135Y1 (ko) * 1996-02-14 1999-02-18 박순명 무인 날염 건조기
KR200345139Y1 (ko) 2003-10-20 2004-03-18 덕 희 홍 날염용 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96B1 (ko) 2012-06-28 2014-04-29 (주)동진다이닝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KR101789228B1 (ko) 2016-07-07 2017-10-26 아성기계 주식회사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KR20180039549A (ko) * 2016-10-10 2018-04-18 (주)안동나염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 방법
CN107401016A (zh) * 2017-10-11 2017-11-28 德清县利通绢纺塑化有限公司 印花绸面料水洗烘干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091B2 (ja) 編織物の乾燥装置。
US5249255A (en) Resin curing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infrared lamp and blower control means
US115049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igitally printed textile materials
US5937535A (en) Dryer assembly for curing substrates
KR100772765B1 (ko)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US20140047731A1 (en) Dryer Conveyor 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3858331A (en) Garment heating apparatus
KR100989905B1 (ko) 디지털 프린터용 텍스타일 양면 건조장치
GB2357827A (en) Drying apparatus
KR101393643B1 (ko)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KR200429037Y1 (ko)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CN2169541Y (zh) 台式隧道烘燥机
CA3036539A1 (en) Multiple belt and multiple zone textile dryer
US20180072043A1 (en) Heated iron or roller for a textile printing apparatus
CN212147913U (zh) 一种尼龙布平网印花机用烘干装置
CN110667248B (zh) 一种用于喷涂印刷循环烤干装置
CN215792558U (zh) Pvc彩膜印刷生产用电气通用烘干装置
JP3971722B2 (ja) 乾燥機
CN214005095U (zh) 一种纺织品印染设备
CN208419494U (zh) 无纺布设备烘箱
KR101179024B1 (ko) 건조기 가열장치의 적외선 조사량 자동 조정장치
CN205329402U (zh) 一种皮革刷涂机
KR0137135Y1 (ko) 무인 날염 건조기
CN206465618U (zh) 浸渍小样烘干机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