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96B1 -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96B1
KR101389796B1 KR1020120069528A KR20120069528A KR101389796B1 KR 101389796 B1 KR101389796 B1 KR 101389796B1 KR 1020120069528 A KR1020120069528 A KR 1020120069528A KR 20120069528 A KR20120069528 A KR 20120069528A KR 101389796 B1 KR101389796 B1 KR 10138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roller
natural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113A (ko
Inventor
민문홍
정천희
손현식
김창남
김지연
송흥철
Original Assignee
(주)동진다이닝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진다이닝,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주)동진다이닝
Priority to KR102012006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염색을 필요로 하는 원단이 1차 안내 롤러를 통해 투입되어 1차적으로 원단 불순물을 흡입하는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 상기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를 통과한 원단에 롤러 날염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롤러 상의 원단 및 천연염재로 인한 불순물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베이스 롤러 불순물 제거장치, 상기 원단이 베이스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를 거친 후 IR전열에 의한 건열을 제어하는 건열제어장치, 상기 건열제어된 염색원단이 하나 이상의 2차 안내 롤러를 통과한 후 스팀에 의한 습열을 제어하는 습열제어장치, 상기 습열제어된 후 다시 염색원단을 최종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염색원단은 3차 안내 롤러를 거쳐 최종적으로 염색원단이 권취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안내 롤러를 통과하는 염색원단을 수직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원단의 염색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연속 측색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Continuous natural dyeing process system}
본 발명은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또는 자연염료를 사용하여 롤러 날염방식으로 연속적인 천연염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침염의 방식보다 용수 및 폐수발생량을 저감시키고, 색상 수율(Color yield) 및 염색 견뢰도를 향상시키며, 에너지 절감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전통적인 천연염색법은 원단을 천연염료 및 매염제의 염욕에 수작업을 통해 수에서 수십회까지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침지시켜 수세를 하여 달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색상의 재현성이 부족하며 충분한 색상 수율(Color yield) 및 염색 견뢰도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을 개선하기위한 천연염색의 공업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로 가먼트 염색법, 사염법, 침염법, 날염법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천연염색의 공업화를 위한 시도 중, 에너지 저감형 연속염색 공법을 적용방식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망글 패딩 방법: 극 담색의 경우 안료 패딩 원스텝 방법으로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색상의 약한 수정을 할 때 직접 염료로써 망글 패딩을 할 수가 있으나, 색상을 조금 진하게(연중색) 처리를 하면 마찰얼룩, 좌우 색상차, 견뢰도 문제, 촉감 문제 등이 대두되어서 문제가 야기되므로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다.
나이프 코팅 방법: 나이프 코팅기에 점성이 있는 약제를 이용하여 한쪽면에 색상을 올리는 방법이 있으나, 나이프 코팅의 기계 구조상 적정량 이상이 원단에 도포되어야 원단 전체에 균일한 염색이 이루어지므로 과량의 염료가 원단에 부착되어서 필히 후처리 수세 과정을 거쳐서 견뢰도 문제와 촉감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스크린 날염 방법: 스크린 날염기는 스크린 메쉬의 굵기와 약제의 점성 조절을 통하여 원단에 패딩 효과를 낼 수 있는 기능은 우수하나, 반복단위가 연결되는 자리에 겹치거나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치명적인 결점으로 나타난다.
롤러 날염 방법: 롤러 날염기는 롤러 원둘레를 1주기로 회전하는 연속식으로 무늬를 표현할 때 큰 무늬를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조각 롤러 메쉬 굵기, 심도 등을 조절하여 기계의 속도나 원단의 종류에 무관하게 원하는 만큼의 염액을 원단에 도포할 수 있으며, 좌우측의 색상차 제어가 롤러의 압력차에 의해 제어가 용이하여 무난하게 패딩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감형 연속염색의 종래기술 중, 저욕비의 패딩 및 롤러 날염 공법을 적용하게 되면 천연염색 시의 용수 사용량을 저감하고, 연속공법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한 색상 수율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 날염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이 투입되어 염색장치(예컨대,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30)를 통해 다수의 안내 롤러(3)를 거치면서 건조되어 완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재에 따라서 자체의 불순물이 많은 천연 염료를 적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으며, 다양한 염착 메커니즘을 가진 천연염색을 위한 건열, 습열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생산성이 낮고, 우수한 색상 수율과 색상 재현성을 가지기 어려워 반복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크다.
또한, 일반적으로 증기로 천을 처리하는 기계를 증열기라고 하며, 흔히 사용하는 증열기에는 날염 및 침염에서의 염료의 발색 고착용 증열기와 천의 전처리, 즉 호발과 정련, 표백용 증열기가 있다. 이들은 모두 포화증기로 충만시킨 처리실에 원단을 넣고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기계장치이다. 기기내 천의 수용량은 수 m 에서 수천 m 정도까지이며, 진행속도에 따라 증열 시간은 수십 초에서 1시간 내외의 넓은 범위에서 처리할 수 있다. 날염에 있어서 증열의 목적은 증기가 인날부의 호층에 응축된 염료, 약제를 재용해하여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섬유의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방법에는 고압증열법, 고온증열법, 써모졸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염료를 이용한 롤러 날염방식의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제공하여, 천연염색을 연속공정의 날염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용수사용량 및 폐수발생량을 줄이고, 또한 건열 및 습열 제어장치를 통하여 에너지 저감 및 색상 수율과 염색 견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종래의 침염식 천연염색에서 벗어나 용수사용량 및 폐수발생량이 적고 염착량 제어가 용이한 롤러 날염(Roller printing) 공법을 이용한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종래의 롤러 날염 공법에 건열, 습열 제어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천연염료의 염착특성에 따른 건열 및 습열 제어를 통하여 연속공정에서 천연염료의 색상 수율과 견뢰도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천연소재(원단 및 천연염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추가하여 고품위 연속 천연염색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연속 측색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 염색제어(color control)하여 연속 천연염색 가공제품의 색상 재현성 및 균염성을 향상하여 고품위 천연염색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염색을 필요로 하는 원단이 1차 안내 롤러를 통해 투입되어 1차적으로 원단 불순물을 흡입하는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 상기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를 통과한 원단에 롤러 날염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롤러(Base roller) 상의 원단 및 천연염재로 인한 불순물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베이스 롤러 불순물 제거장치, 상기 원단이 베이스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를 거친 후 IR(Infra-red: 적외선)전열에 의한 건열을 제어하는 건열제어장치, 상기 건열제어된 염색원단이 하나 이상의 2차 안내 롤러를 통과한 후 스팀에 의한 습열을 제어하는 습열제어장치, 상기 습열제어된 후 다시 염색원단을 최종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한 염색원단은 3차 안내 롤러를 거쳐 최종적으로 염색원단이 권취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안내 롤러를 통과하는 염색원단을 수직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원단의 염색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연속 측색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천연 또는 자연염료를 사용하여 롤러 날염방식으로 연속적인 천연염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재래적인 침염의 방식보다 용수 및 폐수발생량을 40% 이상 저감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50% 이상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롤러 날염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날염호의 점도, 도포량, 작업 속도 및 천연염료의 염착 특성에 따른 건열 및 습열 제어를 통하여 염착량 향상 및 우수한 염색 견뢰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시스템의 끝부분에 연속 측색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염색된 색상을 확인,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염색된 제품의 색상 재현성 및 색차를 관리하여 쳔연염색 제품의 색상 차이로 인한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 날염식 염색가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예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날염 베이스 롤러 원단 불순물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건열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습열제어장치를 보여주는 사진 및 개념도.
도7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연속 측색장치를 보여주는 사진 및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먼저 염색을 필요로 하는 원단(1)이 1차 안내 롤러(2)를 통해 투입되어 1차적으로 원단 불순물을 흡입하는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10), 상기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를 통과한 원단에 롤러 날염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롤러(30) 상의 원단 및 천연염재로 인한 불순물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베이스 롤러 불순물 제거장치(20), 상기 원단이 베이스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30)를 거친 후 IR전열에 의한 건열을 제어하는 건열제어장치(40), 상기 건열제어된 염색원단이 하나 이상의 2차 안내 롤러(3)를 통과한 후 스팀에 의한 습열을 제어하는 습열제어장치(50), 상기 습열제어된 후 다시 염색원단을 최종 건조시키는 건조장치(60),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한 염색원단은 3차 안내 롤러(4)를 거쳐 최종적으로 염색원단이 권취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안내 롤러(4)를 통과하는 염색원단을 수직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원단의 염색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연속 측색장치(70)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고, 상기 1차 및 3차 안내 롤러(2, 4)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져 원단의 안내 및 장력 작용을 하도록 하고, 상기 건열제어장치(40) 직 하류측에 건조형 실린더(5)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 특히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롤러들에 의해 원단은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염색, 건조 등을 거쳐 권취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에 있어, 본 발명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하는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시스템 구성요소별 장치
(1)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10)는 롤러 날염방식에서 공급되는 원단(1)에 부착되어 제품 불량을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실밥,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원단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동시에 진공흡입 장치로 흡입하여 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는 비터(beater: 4개의 앵글이 중심 봉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된 형태)(11)로 원단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분리하고 동시에 분리된 불순물을 진공이 부여된 흡입노즐(12)을 통해 흡입하는 방식이다. 미설명부호 13은 진공흡입 팬(Fan), 부호 14는 먼지 수거함이다.
(2) 베이스 롤러 불순물 제거장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 롤러 불순물 제거장치(20)는, 세척 효율이 높은 대각형 와이어 브러쉬(21)를 사용하였고, 샤워 스프레이방식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하였다. 세척에 사용된 물이 베이스 롤러(24)의 좌우측으로 효과적으로 배수되도록 압착 고무롤(22)의 압착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압착부를 지난 베이스 롤러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잔여물질은 나이프 형태의 우레탄 오염 제거판(23)으로 제거하도록 하였다.
(3)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4) 건열제어장치(IR Heater:적외선 히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열제어장치(40)는 생산성 향상과 색상 수율 및 염색 견뢰도 향상을 위해 건열제어가 가능한 IR 건조장치로 제작하였다. 처리 원단과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거치대(41)와 다수개(예컨대 14개)의 IR 램프가 부착된 판넬 4조로 이루어진 발열판(42), 원단 뒤편에 위치하여 원단을 투과한 적외선을 반사시켜 건조 효율을 높이는 반사판(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R 램프가 장착된 4개의 판넬은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43은 발열판과 원단과의 거리 및 각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 모터로서 가급적이면, 볼 스크류 구동 모터(Ball screw drive motor)이고, 부호 44는 구동 체인 기어이고, 부호 45는 볼 스크류(Ball screw)이다.
(5) 습열제어장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열제어장치(50)는 2개 조 이상의 스팀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원단 전폭에 걸쳐 균일한 분무가 가능하도록 한 스팀 급습장치 및 제어실을 설치하여 천연염료의 염착 특성에 따라 원단이 수 초에서 수십 초 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6)건조장치
종래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였다.
(7)연속 측색장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측색장치(70)는 카메라를 통한 원단 측색 알고리즘으로 실시간 측색하고, 원단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측색을 실시하여 색차 값을 표시한다. 또한, 실린더 2조, 포토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원단 폭을 감지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원단 폭으로 이동하며, 디지털 동작 전자제어(PLC) 연동으로 속도 자동화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측정한다. 구성부품으로는 카메라, 렌즈, 연결케이블, 조명램프, 안정기, 엔코더, 매듭검출기,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은 기존의 침염식 천연염색에서 벗어나 용수사용량 및 폐수발생량이 적고 염착량 제어가 용이한 롤러 날염공법을 이용한 천연염료 연속 염색가공 설비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롤러날염 설비 및 공법과의 차이점은 IR 전열, 건조 실린더( Dry cylinder), 습열(Damping), 고온건열실 등 건열/습열제어를 통하상이한 천연염료의 염착특성에 따라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연속염색 공정에서의 색상 수율과 견뢰도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공급되는 원단에 이물질이 잔류하고 있으면 날염시 치명적인 결점이 되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를 위해 원단 공급부에 브러쉬 장치와 함께 진공 흡입노즐을 설치하여 천연소재(원단 및 천연염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색상 균일성 향상 및 불량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에서는 롤러 날염 공정에서 베이스 롤러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베이스 롤러에 물을 샤워하고 접촉 브러쉬 롤러로 강제 세척을 하며 세척에 사용된 물은 압착 고무 롤러로 좌우측으로 배수되게 하며, 베이스 롤러에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 등은 나이프 형태의 오염 제거판으로 제거시키는 장치를 부착하여 항상 청결한 베이스 롤러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IR 전열기구를 건조 실린더와 롤러 날염기 중간에 설치하여 롤러 패딩 방식의 단점인 색호로 인한 실린더 및 원단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2. 시스템의 성능 평가
개발한 공정 및 설비를 적용한 롤러 날염 방식의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의 기존 침염 대비 용수 및 에너지 사용량 저감율과 생산성 향상 등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해 기존 침염 설비에 의한 용수 및 에너지 사용량을 체크하고, 개발 시스템의 설치 이후 가동현황을 체크함으로써, 용수사용량, 에너지 사용량, 생산성 향상 등에 대한 개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기존 침염설비를 이용한 천연염색 테스트는 테스트 횟수는 10회, 작업시간 총 30시간, 생산량은 9,800m(1,960kg)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천연염색 작업은 테스트 횟수는 3회, 작업시간은 총 2시간 생산량은 1,500m(300kg)이었다. 시스템 개발 전,후의 용수 및 에너지 사용량 비교 및 생산성 비교를 아래 표 1 및 표 2로 나타내었다.
구분 총 사용량 단위사용량
용수 기존 침염설비 78.4 ton 8.6 L/m
개발설비 6.6 ton 4.4 L/m
증감 3.6 L/m 감소
증기 기존 침염설비 7.7 ton 0.785 kg/m
개발설비 0.53 ton 0.353 kg/m
증감 0.432 kg/m 감소
전기 기존 침염설비 823 kw 0.083 kw/m
개발설비 108 kw 0.072 kw/m
증감 0.011 kw/m 감소
설비별 가동횟수[회] 작업시간[hr] 생산량[yd] 생산성
기존침염설비 10 30 9,800 327m/hr
개발설비 3 2 1,500 750m/hr
증 감 423m/hr 향상
- 용수저감율(%)
기존 침염 설비를 사용하였을 때 용수사용량은 9,800m 생산에 78.4ton이 소요되어 단위사용량은 8.6L/m이다. 개발 설비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1,500m 생산에 6.6ton이 소요되어 단위사용량 4.4L/min으로 용수사용량이 약 49%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에너지효율(%)
크게 증기와 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증기의 경우 기존 설비를 사용하였을 때 9,800m 생산에 7.7ton(0.785kg/m)이 소요되며, 개발 설비를 사용하였을 때 1,500m 생산에 0.53ton(0.353kg/m)이 소요되어 0.432kg/m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증기저감율은 약 45%이다. 전기의 경우 기존 설비의 경우 단위사용량 0.083kw/m이며 개발 설비의 경우 0.072kw/m으로 약 13% 감소하였다. 증기(34,000원/ton)와 전기(100원/kw) 사용량을 단가별로 계산하여 단위m당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산정하였다. 기존 설비의 경우 35원/m이며 개발설비의 경우 19.2원/m로 약 45% 감소하였다.
또한, 염색불량률(%)을 참고적으로 확인해 본 결과, 실밥 등에 의한 스폿(Spot) 불량 및 베이스 롤러 오염에 의한 색번짐, 색오염 등의 제품 불량률이 감소하였다. 개발 시스템 설치 전에는 100y당 약 2개의 스폿 불량이 발생했던 것에 반하여 설치 후에 200yd 생산에 1개의 스폿 불량이 발생하였다. 전체 원단 중에 스폿 불량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원단 로스가 차이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스폿 불량 한 개당 5yd의 불량이 발생한다. 200yd당 5yd(스폿 불량 1개)의 불량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2.5%로 감소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천연염색가공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 20: 베이스 롤러 원단 불순물 제거장치
30: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 40: 건열제어장치
50: 습열제어장치 60: 건조장치
70: 연속 측색장치

Claims (3)

  1. 염색을 필요로 하는 원단(1)이 1차 안내 롤러(2)를 통해 투입되어 원단에 붙어 있는 불순물을 1차적으로 흡입하는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10);
    상기 원단 불순물 진공흡입장치를 통과한 원단에 롤러 날염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롤러(24) 상의 원단 및 천연염재로 인한 불순물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원단 불순물 제거장치(20);
    상기 원단 불순물 제거장치를 통과한 원단이 베이스 롤러 날염 및 패딩 처리기(30)를 거친 후 IR 전열에 의한 건열을 제어하는 건열제어장치(40);
    상기 건열제어된 염색원단이 하나 이상의 2차 안내 롤러(3)를 통과한 후 스팀에 의한 습열을 제어하는 습열제어장치(50);
    상기 습열제어된 후 다시 염색원단을 최종 건조시키는 건조장치(60); 및
    상기 건조장치(60)를 통과한 염색원단이 3차 안내 롤러(4)를 거쳐 수직하방으로 이동되는 측면에 원단의 염색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연속 측색장치(70)가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열제어장치(40)는 건열제어가 가능한 IR 히터로서, 처리 원단과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거치대(41), 다수개의 IR 램프가 부착된 판넬 4조로 이루어진 발열판(42), 원단 뒤편에 위치하여 원단을 투과한 적외선을 반사시켜 건조 효율을 높이는 반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열제어장치(50)는 2개 조 이상의 스팀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원단 전폭에 걸쳐 균일한 분무가 가능하도록 한 스팀 급습장치 및 제어실을 설치하여 천연염료의 염착 특성에 따라 원단이 수 초에서 수십 초 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KR1020120069528A 2012-06-28 2012-06-28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KR10138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28A KR101389796B1 (ko) 2012-06-28 2012-06-28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528A KR101389796B1 (ko) 2012-06-28 2012-06-28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13A KR20140002113A (ko) 2014-01-08
KR101389796B1 true KR101389796B1 (ko) 2014-04-29

Family

ID=5013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528A KR101389796B1 (ko) 2012-06-28 2012-06-28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70B1 (ko) * 2013-05-08 2014-05-15 주식회사삼성실업 광물계 천연염료 염색장치 및 광물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8286141B (zh) * 2018-04-10 2021-05-28 绍兴柯桥涵雷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温度增加功能的布料纺织用设备
CN108221218B (zh) * 2018-04-10 2021-05-07 南通旭浩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喷射进料功能的布料纺织用设备
CN108411517B (zh) * 2018-04-10 2021-03-23 平阳县益强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挤压出风功能的布料纺织用设备
CN110983686B (zh) * 2019-12-25 2022-07-19 佛山市三水易和成纺织有限公司 一种布匹染色后烘干设备及其烘干方法
CN114277516B (zh) * 2021-11-17 2024-02-09 连云港如年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连续轧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17Y1 (ko) 1998-05-11 2000-10-02 김재복 칼라 입체무늬를 형성한 직물지의 날염건조기
KR20000075410A (ko) * 1999-05-13 2000-12-15 황정택 날염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70871A (ko) * 2001-06-15 2001-07-27 이석수 발수제를 이용한 섬유의 스프레이 날염방법
KR100772765B1 (ko) 2006-07-14 2007-11-01 정재정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17Y1 (ko) 1998-05-11 2000-10-02 김재복 칼라 입체무늬를 형성한 직물지의 날염건조기
KR20000075410A (ko) * 1999-05-13 2000-12-15 황정택 날염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70871A (ko) * 2001-06-15 2001-07-27 이석수 발수제를 이용한 섬유의 스프레이 날염방법
KR100772765B1 (ko) 2006-07-14 2007-11-01 정재정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13A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796B1 (ko) 연속 천연염색가공 시스템
CN105442219B (zh) 一种连续丝光工艺
KR101501993B1 (ko) 섬유원단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N110375532B (zh) 一种纺织烘箱
CN103741416A (zh) 染纱设备总成
CN107412814A (zh) 一种纺织品消毒烘干装置
TWM527450U (zh) 連續染布機
CN105882162A (zh) 一种连续式高速纺织数码印花机
KR20140104682A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제품의 연속감량 가공장치
CN108396477A (zh) 一种针纺织用染色装置
CN107558067A (zh) 一种服饰用纱线染色系统
US5546622A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a continous length of tubular-knit fabric in tubular form
CN208993311U (zh) 一种用于蕾丝数码印花的层压装置
CN106004023A (zh) 一种去毛除尘的纺织用织布印花装置
CN111778660A (zh) 一种低带液量轧车
CN108274876A (zh) 一种汽车座椅面料的加工工艺
CN214613063U (zh) 一种服装纺织布料用染色装置
CN109385780B (zh) 亚麻织物染整系统及方法
CN113265865A (zh) 一种纺织用棉布面料生产加工用面料印染预处理设备
CN210177131U (zh) 一种低带液量轧车
JPS5834589B2 (ja) コウオンコウアツスチ−マニヨル プリントヌノノハツシヨクカコウホウホウ オヨビ ソウチ
ITUD970116A1 (it) Procedimento di smerigliatura in bagnato per materiale tessile e relativo dispositivo
CN112853659A (zh) 纺织布匹节能水洗系统
EP39330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textile fabric
KR101180578B1 (ko) 다중 엠보 프린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