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643B1 -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643B1
KR101393643B1 KR1020120120287A KR20120120287A KR101393643B1 KR 101393643 B1 KR101393643 B1 KR 101393643B1 KR 1020120120287 A KR1020120120287 A KR 1020120120287A KR 20120120287 A KR20120120287 A KR 20120120287A KR 101393643 B1 KR101393643 B1 KR 10139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ot air
hair
elevation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601A (ko
Inventor
반달현
Original Assignee
(주)비트스타일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트스타일링 filed Critical (주)비트스타일링
Priority to KR10201201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2Lay frames for long open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32Supporting or fastening of the helmet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이 단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긴머리 전체에도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견착대와; 상기 견착대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승강 지지대와; 상기 승강 지지대에 일단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하로 높낮이 위치가 조절되는 온풍토출백; 및 상기 아암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풍토출백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Shoulder hair dryer having heating air emission of up/down movement}
본 발명은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풍이 단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긴머리 전체에도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팬이 작동되면 후방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적정량의 공기가 흡입된 후 이 흡입된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열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온풍기능과,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토출시키는 냉풍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온풍과 냉풍기능은 제품에 따라 다시 강, 약으로 구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머리를 감은 후에 습기를 머금은 모발을 말리거나 손질하기 위해 한 손에는 헤어드라이어를 들고 나머지 한 손으로 모발을 흔들면서 머리를 말리곤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작동되는 종래기술의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414167호, 제428456호, 제433457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발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토출되는 온풍으로 머리를 건조하고, 한 손에 헤어드라이어를 들고 사용해 야 하며, 면적이 좁은 토출구를 통해 온풍이 토출되고, 모터에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헤어드라이어의 구성은 한 손에 헤어드라이어를 들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힘든 작업일 뿐만 아니라 머리를 말리는 동안에 다른 일을 병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풍이 모발 표면에만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특히 긴머리를 말릴 경우 온풍이 모근까지의 전달되는 것을 긴 모발이 방해가 되어 모근를 완벽하게 건조시켜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면적이 좁은 토출구멍으로 구성되어 모발을 말릴 때 건조 범위가 좁기 때문에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헤어드라이어는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있어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말리는 동안에는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94548호로서, 어깨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는 뒷목에 거치하는 목거치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목거치부의 전방쪽으로 분기되어 목의 곡선과 대응되도록 만곡되게 연장되어 양쪽 어깨에 거치되는 어깨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께거치부의 상부에 외부공기의 유입하기 위해 형성시킨 상기 흡입부 표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의 안쪽에 이물질의 침투를 막아주는 망형상의 흡입필터가 결합된 거치수단과, 상기 거치수단과 연통되는 관로가 형성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표면에 토출공이 다수개 형성된 모근건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근건조부에서 상부로 만곡되게 연장되어 모발을 건조하기 위해 표면에 토출공이 형성된 모발건조부를 파형형태로 형성하되, 중앙부의 파형에 비해 좌,우측부 파형의 폭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모발건조부에 형성된 토출공은 중앙부에 비해 좌,우측부에 형성된 토출공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모발량에 따라 중앙부는 강한 온풍을 좌,우측부에는 약한 온풍이 토출되도록 한 토출수단으로 구성된 견착식 헤어드라이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토출수단이 거치수단에 고정되어 있어 국부적인 곳에만 송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긴머리의 전체를 고르게 말릴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배경기술은 단발머리에는 유용하지만 긴머리에는 부적합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93-0001130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11200호
본 발명은 온풍이 단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긴머리 전체에도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견착대와;
상기 견착대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승강 지지대와;
상기 승강 지지대에 일단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하로 높낮이 위치가 조절되는 온풍토출백; 및
상기 아암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풍토출백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지지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승강 지지대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휠과;
상기 구동휠와 종동휠에 감아져 있고 동시에 상기 아암의 일단이 고정되는 구동 벨트나 구동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승강 지지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아암이 연결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에 따르면, 온풍토출백이 승강지지대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이동하면서 온풍(또는 냉풍)을 공급함으로써 단발은 물론이고 특히 긴 머리카락의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1의 일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의 승강구동유닛의 변형예 구성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10)는 도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견착대(12)가 구비된다. 견착대(12)는 대략 U자 형태로서 양단의 상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121)가 구비되어 있고, 견착대(12)의 내부에는 온풍장치(13)가 내설되어 있다. 온풍장치(13)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제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터, 송풍팬, 전기히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온풍장치(13)는 전기히터를 온(on) 작동시킨 상태에서 송풍모터가 구동되면 온풍이 공급되고, 전기히터를 오프(off) 작동시킨 상태에서 송풍모터가 구동되면 실온의 냉풍이 공급된다. 이때 견착대(12)에는 냉풍과 온풍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15)이 구비된다.
견착대(12)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풍(또는 냉풍)은 유연한 호스(도시안됨)를 통해 후술할 온풍토출백(18)으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견착대(12)에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14)가 연결되어 있다. 승강 지지대(14)는 상기 견착대(12)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승강 지지대(14)에는 승강구동유닛(20)에 의해 상하로 높낮이 위치가 조절되는 온풍토출백(18)이 설치되어 있다.
온풍토출백(18)은 내부에 챔버를 가지며 도 1,2에서와 같이 대략 손(hand)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온풍토출백(18)은 손 바닥에 해당하는 모근건조부(18a)와 손가락에 해당하는 다수의 모발건조부(18b)를 갖는다. 모근건조부(18a)와 모발건조부(18b)에는 온풍 또는 냉풍이 토출되도록 관통된 다수의 온풍토출구(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온풍토출구(182)는 온풍토출백(18)의 전면(사용자의 뒷머리 부분을 향하는 면) 및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승강구동유닛(20)은 도 3과 같이 승강 지지대(14)에 설치된 구동모터(22)와, 승강 지지대(14)의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22)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24)과, 구동휠(2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승강 지지대(14)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휠(26)과, 구동휠(24)와 종동휠(26)에 감아져 있는 구동 벨트(28)(또는 구동체인)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벨트(28)로 구성할 경우 구동휠(24)과 종동휠(26)은 풀리 형태가 되며, 구동체인으로 구성할 경우 구동휠(24)과 종동휠(26)은 스프라켓 휠 형태가 된다.
이때 구동 벨트(28)와 온풍토출백(18)은 아암(16)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아암(16)은 그의 일단이 구동 벨트(28)에 연결 고정되고 그의 타단이 온풍토출백(18)에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2)가 회전 구동하는 방향에 따라 구동벨트(28)가 정역회전하고, 구동벨트(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온풍토출백(18)은 아암(16)을 매개로 상하로 승강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22)의 승강 방향의 제어는 구동모터(22)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루어지거나 아암(16)의 위치를 센서 또는 스위치로 검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와 같이 견착대(12)를 어깨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이후 냉/온풍 조작버튼(15)의 조작에 의해 송풍된 냉기 또는 온풍이 온풍토출백(18)내로 공급된다. 예로 온풍토출백(18)내로 온풍이 공급되면, 온풍토출구(182)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이와 동시에 승강구동유닛(20)에 의해 온풍토출백(18)은 상하로 승강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승강 이동의 반복시간은 설정된 구동모터(22)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안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모터(22)가 회전 구동하는 방향에 따라 구동벨트(28)가 정역회전하고, 구동벨트(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온풍토출백(18)은 아암(16)을 매개로 상하로 승강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온풍토출백(18)의 모근건조부(18a)와 모발건조부(18b)에 다수 형성된 온풍토출구(182)를 통해서 온풍이 모발로 토출된다. 이때 온풍이 토출되는 구간은 긴 머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루어지므로 긴머리의 드라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머리카락을 뒤로 넘겨 온풍토출백(18)의 배면으로 토출되는 온풍에 의해 드라이가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구동모터(22)의 제어에 따라 온풍토출백(18)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구간만을 설정하여 드라이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승강구동유닛(20)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승강 지지대(14)에 설치된 구동모터(22)와, 구동모터(2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나선축(202)과, 나선축(202)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아암(16)이 연결되는 이송너트(204)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나선축(202)은 승강지지대(14)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고, 구동모터(22)의 출력단은 나선축(20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가 회전 구동하는 방향에 따라 나선축(20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선축(2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너트(204)가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너트(204)에 연결된 아암(16)을 매개로 온풍토출백(18)이 상하로 승강 이동하게 되어, 긴 머리의 경우에도 전체적인 드라이가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견착대
14: 승강지지대
16: 아암
18: 온풍토출백
20: 승강구동유닛

Claims (3)

  1.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견착대(12)와;
    상기 견착대(12)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에 지지되는 승강 지지대(14)와;
    상기 승강 지지대(14)에 일단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16)과;
    상기 아암(16)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하로 높낮이 위치가 조절되는 온풍토출백(18); 및
    상기 아암(16)을 상하로 승강시켜 온풍토출백(18)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승강구동유닛(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20)은,
    상기 승강 지지대(14)에 설치된 구동모터(22)와;
    상기 승강 지지대(14)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2)의 출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24)과;
    상기 구동휠(2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승강 지지대(14)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휠(26)과;
    상기 구동휠(24)와 종동휠(26)에 감아져 있고 동시에 상기 아암(16)의 일단이 고정되는 구동 벨트나 구동 체인(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20)은,
    상기 승강 지지대(14)에 설치된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나선축(202)과;
    상기 나선축(202)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아암(16)이 연결되는 이송너트(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KR1020120120287A 2012-10-29 2012-10-29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KR10139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87A KR101393643B1 (ko) 2012-10-29 2012-10-29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87A KR101393643B1 (ko) 2012-10-29 2012-10-29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01A KR20140054601A (ko) 2014-05-09
KR101393643B1 true KR101393643B1 (ko) 2014-05-20

Family

ID=5088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87A KR101393643B1 (ko) 2012-10-29 2012-10-29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382B (zh) * 2016-06-23 2024-03-15 刘东浩 一种智能可穿戴自动吹风机及其使用方法
CN109247684A (zh) * 2018-11-05 2019-01-22 贵港市庄满园农业服务有限公司 一种长发捋顺吹干床的长发捋顺机构
CN109123980A (zh) * 2018-11-05 2019-01-04 贵港市庄满园农业服务有限公司 一种长发捋顺吹干床
KR102636064B1 (ko) * 2023-10-06 2024-02-14 블랙패럿 주식회사 자동 헤어 건조를 위한 헤어 드라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4299A1 (en) 1999-04-22 2000-11-02 Fre.Gis S.R.L. Hair dryer with swinging arms heat sources
KR200290432Y1 (ko) 2002-03-27 2002-09-27 임이근 회전형 모발건조 장치
KR100894548B1 (ko) 2007-09-17 2009-04-24 (주)비트스타일링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4299A1 (en) 1999-04-22 2000-11-02 Fre.Gis S.R.L. Hair dryer with swinging arms heat sources
KR200290432Y1 (ko) 2002-03-27 2002-09-27 임이근 회전형 모발건조 장치
KR100894548B1 (ko) 2007-09-17 2009-04-24 (주)비트스타일링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101843296B1 (ko) * 2016-12-20 2018-03-29 임상용 머리 고정용 헤어 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01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643B1 (ko) 상하 이동식 온풍이 배출되는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KR101398063B1 (ko) 대류 기류와 에너지 절약 특징이 있는 오븐
KR101511627B1 (ko)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JP4291091B2 (ja) 編織物の乾燥装置。
CN211379980U (zh) 智能吹风机
KR200465072Y1 (ko) 상향식 모발 건조기
KR101358844B1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US20180078016A1 (en) Hair styling device
WO2015101002A1 (zh) 自动毛发干燥机
KR101613909B1 (ko) 휴대용 무선 헤어드라이기
KR20160108982A (ko) 듀얼 드라이 헤드를 갖는 자동 헤어 드라이어 장치
CN108870941A (zh) 肠衣烘干器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KR101344421B1 (ko) 모발 및 신체건조기
CN218898680U (zh) 一种低温直发装置
KR20230109604A (ko) 핸즈프리 타입의 헤어드라이기
CN208794922U (zh) 一种肠衣烘干器
CN211964266U (zh) 一种医疗检测用辅助试管架
KR100894548B1 (ko)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CN113520016A (zh) 一种非手持电吹风机
CN212673777U (zh) 一种用于齿轮的自动烘干装置
KR101554359B1 (ko) 직립형 다용도 드라이어
KR20060063208A (ko) 골프그립용 보온건조장치
KR20070114999A (ko) 세탁물 건조기
KR102321386B1 (ko) 헤어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