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35Y1 - 무인 날염 건조기 - Google Patents

무인 날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35Y1
KR0137135Y1 KR2019960002272U KR19960002272U KR0137135Y1 KR 0137135 Y1 KR0137135 Y1 KR 0137135Y1 KR 2019960002272 U KR2019960002272 U KR 2019960002272U KR 19960002272 U KR19960002272 U KR 19960002272U KR 0137135 Y1 KR0137135 Y1 KR 0137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ryer
main body
fram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503U (ko
Inventor
박순명
Original Assignee
박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명 filed Critical 박순명
Priority to KR2019960002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35Y1/ko
Publication of KR970052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날염 작업대 상에서 자동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며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가열수단이 내장되고 상면에 송풍구(20)가 구비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 상면 송풍구(20)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22)와, 본체(12)를 지지하고 날염 작업대 상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26)가 달려 있고 전방에는 날염 작업판에 대한 이동 안내 수단(28)이 구비된 프레임(24)과, 프레임(24)의 일 측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바퀴(26)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52)와, 상기 가열 수단, 송풍기 및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8)로 구성되며, 날염 작업대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크린 위치 표시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30)가 장착되고, 센서(30)가 스크린 위치 표시 감지봉(4)의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8)로 보내면 제어장치(38)는 구동 모터(52)를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시키거나 공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인 날염 건조기
제1도는 스크린 날염 작어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Ⅱ-Ⅱ에 의한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스크린 날염 작업대 위에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선Ⅰ-Ⅰ에 의한 단면도이다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본체 20 : 송풍구
22 : 송풍기 24 : 프레임
28 : 이동 안내 수단 30 : 센서
34,35 : 리미트 스위치 36 : 냉각팬
38 : 제어 장치 52 : 구동모터
본 고안은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날염 작업대 위에서 자동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직물에 여러가지 색상의 모양을 날염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스티린 인쇄 기법에 의하여 한가지 색상을 날염하고 이를 건조시킨 후 다시 다른 색상을 날염하고 건조시키는 작업을 되풀이한다.
그러한 작업은 한쪽으로 경사진 평판 상의 날염 작업대 위에서 이루어지며, 작업대의 길이를 따라서 여러장의 직물 예컨대 의류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들 의류에 대해 차례로 날염을 한다. 하나의 직물에 대해 여러차례 날염이 행해지므로 날염 부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작업대 평판 하단부에는 직물의 간격에 따라 스크린 위치 표시봉을 설치하여 날염 시에 스크린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매 회의 날염 작업 후에는 작업자가 건조기를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작업대의 길이 방향으로 건조기를 이동시켜 가며 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한 건조 과정은 건조 위치 및 건조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여 건조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 아니라 건조에 인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그러한 종래의 날염 건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날염 작업대 위를 왕복하며 직물을 건조시키는 무인 날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건조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여 건조하는 무인 날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횟수만큼 작업대 위를 왕복함으로써 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수 있는 무인 날염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날염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작업대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의 위치를 건조기의 정지 위치로 하도록 되어 있어 건조기가 날염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게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가열 수단이 내장되고 상면에 송풍구가 구비된 건조기 본체와,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상면 송풍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와, 본체를 지지하고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가 달려 있고 전방에는 날염 작업판에 대한 건조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 장착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 측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바퀴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프레임의 일 측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직물 냉각팬과, 상기 가열 수단, 송풍기, 구동 모터 및 냉각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날염 작업대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크린 위치 표시봉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장착되고, 근접 센서가 스크린 위치 표시 감지봉의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로 보내면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시키거나 공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또한 각각 리미트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건조기가 날염 작업대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이르면 그 단부에 있는 단부표시구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그 신호를 제어 장치로 보내고, 제어장치는 1회 왕복/복수 왕복/무한 왕복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대로 구동 모터 등의 기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날염 작업대 위를 왕복하며 건조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날염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작업대는 평판(1)과 건조기 안내 지지대(2), 그리고 다리(3)로 구성되어 있다. 날염되는 직물(7)은 여러 개가 평판(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인다.
건조기 안내 지지대(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이 배열되어 있다.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은 날염 스크린(도시 안됨)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직물에 여러 단계의 날염을 행할 때에 날염 스크린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적합한 스크린 표시봉에 관해서는 제5도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제1도의 날염 작업대 등에서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장치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날염 건조기(10)를 제2도에 도시하였다. 도면 부호 12는 건조기(10)의 본체를 가리킨다. 직육면체형본체(12)의 내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로겐 히터 등의 가열 장치(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로 통공판(16)이 있으며, 통공판(16) 위로 본체 상판(18)이 위치한다. 건조기 본체(12)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체 상판(16)에는 송풍구(20)가 뚫려 있다. 송풍구(20)의 상부에는 송풍기(22)가 설치되어 송풍기(22)가 작동되면 공기가 송풍구(20)를 통해 본체(1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2)는 프레임(24) 상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은 제2도에 직사각형의 것을 도시하였으나 타원형 기타 임의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24)에는 네 귀퉁이에 각각 바퀴(26)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가이드 롤러(28)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날염 작업대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이 후방보다 낮게 경사져 있어서 무인 날염 건조기(10)는 중력에 의해 작업대 위에서 전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무인 날염 건조기(10)의 가이드 롤러(28)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염 작업대의 건조기 안내 지지대(2)의 후면에 지지되며 건조기(10)를 안내 지지대(2)를 따라서 안내한다.
프레임(24)의 전방에는 또한 근접 스위치(30)가 부착되어 있다. 근접 스위치(30)는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본 고안에 적합한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의 일례가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은 상부 개방부에 내측 방향 절곡부가 있는 'ㄷ'자형 단면의 안내 지지대(2)의 개방부(8)상에 설치되며, 하단에 고정 철판(44)이 부착된 볼트(42)에 표시 요소(41)를 개재하여 너트(46)로 체결한 것이다. 표시 요소(41)는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소재로 되어 있고 근접 스위치(30)는 표시 요소(41)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세트되어 있다.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은 필요에 따라 너트(46)를 풀고 안내 지지대(2) 상에서 위치를 조정한 후 다시 너트(46)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24)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각각 날염 작업대 위의 단부 표시구(5,6)에 상응하는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34,35)가 부착되어 있다.
무인 날염 건조기 본체(12)의 우측에는 바퀴 구동 모터(52)가 설치되어 있다. 바퀴 구동 모터(52)는 정역 회전이 가능하고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24)에 부착된 바퀴(26)중에 하나(26')를 회전 구동한다.
건조기 본체(12)의 좌측에는 냉각팬(36)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는 3개의 냉각팬이 냉각팬 프레임(31) 상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냉각팬 프레임(31)으로부터 건조기 본체(12)의 상면에 있는 안내통(37)에 삽입되어 조절봉(33)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봉933)을 안내통(37) 내에서 움직임으로써 건조기 본체(12)와 냉각팬(3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건조기 본체(12)의 상부에는 여러 가지 제어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기(3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기(38)는 전원 스위치, 시작 버튼, 1회 왕복/무한 왕복 선택 스위치, 근접 스위치 작동 설정 스위치, 정지 시간 설정 타이머, 구동 모터 속도 조절기, 송풍기 On/Off 스위치, 냉각팬 On/Off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접 스위치(30)와 리미트 스위치(34,35)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는다. 제어기에는 리미트 스위치(34,35)로부터의 신호 횟수를 감지하는 계수기(도시 안됨)를 내장시켜 건조기가 날염 작업대 위에서 선택된 횟수만큼의 왕복만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근접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는 여러 가지가 공지되어 있으며, 본 고안은 이들 스위치나 센서의 종류에 의해 그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무인 날염 건조기를 날염 작업대의 평판(1) 상에 가이드 롤로(28)가 건조기 안내 지지대(2)의 후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무인 날염 건조기(10)의 전원 스위치를 On시키고 기타 스위치와 타이머를 설정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무인 날염 건조기의 구동 모터(52)가 회전하며 건조기 바퀴(26')를 회전시킨다. 무인 날염 건조기의 다른 바퀴(26)들은 건조기(10)의 하중을 지지하며 날염 작업대 위에서 건조기가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피동 바퀴들이다. 무인 날염 건조기(10)는 전방으로 경사진 날염 작업대 위에 놓여 있으므로 자체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 힘은 가이드 롤러(28)에 의해 건조기 지지 안내(2)의 후면 상에서 지지되며 따라서 건조기는 지지 안내대(2)를 따라서 안내되게 된다.
제3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구(20)를 통해 본체(12)의 내부로 유입되며 다공판(16)과 충돌하면서 사방으로 널리 퍼지고 다공판 구멍(17)을 통해 하부로 유입된다. 다공판(16)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할로겐 히터(15)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직물과 충돌시킨다.
무인 날염 건조기(10)가 스크린 위치 표시봉(4)을 지날 때에는 무인 날염 건조기의 근접 스위치(3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기(38)로 감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기는 그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52)를 끄고 무인 날염 건조기(10)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시간 중에 무인 날염 건조기(10)로부터 나오는 가열된 건조한 공기가 날염된 직물을 건조시키고, 제어기(38)의 타이머로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구동 모터(52)가 작동하여 무인 날염 건조기(10)가 이동을 재개한다. 건조기 본체(12)의 좌측에 있는 냉각팬(36)은 건조기(10)가 한 직물을 건조시킬 때에 그 직전에 건조되어 뜨거워진 직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절봉(33)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되어 있다. 따라서, 한 직물이 건조되는 동안에 그 직전에 건조되었던 직물이 냉각되게 된다.
무인 날염 건조기(10)가 상기와 같이 건조와 이동을 반복하면서 날염 작업대의 우측 단부 표시구(6)에 이르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35)가 이를 감지한다. 제어기(38)는 리미트 스위치(35)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고 구동 모터(52)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무인 날염 건조기(1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건조기(10)가 날염 작업대의 좌측 단부 표시구(5)에 이르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34)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기(38)로 보낸다.
제어기(38)의 선택 스위치(35)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고 구동 모터(52)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무인 날염 건조기(1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건조기 (10)가 날염 작업대의 좌측 단부 표시구(5)에 이르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34)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기 (38)로 보낸다.
제어기(38)의 선택 스위치에 의해 1회 왕복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좌측 단부에서 구동 모터(52)가 정지되며, 히터, 냉각팬의 작동도 멈춘다. 무한 왕복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전원 스위치가 꺼지기 전까지 모든 기능이 정상 작동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또한 무인 날염 건조기(10)가 날염 작업대 위를 왕복할 때마다 제어기(38)에서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 횟수가 계수 되어 미리 설정된 왕복 횟수에 해당하는 횟수의 신호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근접 스위치 작동 설정 스위치로 근접 스위치의 작동을 정시시킨 경우에는 건조기(10)는 날염 작업대 위에서 계속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날염 작업대의 예열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인 날염 건조기는 스스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건조를 하므로 인력을 절감하고 날염 직물의 품질을 높고 균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1회 왕복/ 복수 왕복/ 무한 왕복 중의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기 지지 안내대(2)의 전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건조기의 가이드 롤러(28) 대신에 그 요홈상에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변형은 당업자가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가열 수단이 내장되고 상면에 송풍구(20)가 구비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 상면 송풍구(20)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22)와, 본체(12)를 지지하고 날염 작업대 위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바퀴(26)가 달려 있고 전방에는 날염 작업판에 대한 이동 안내 수단(28)이 구비된 프레임(24)과, 프레임(24)의 일 측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바퀴(26)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52)와, 상기 가열수단, 송풍기 및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8)로 구성되며, 날염 작업대의 스크린 위치 표시봉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크린 위치 표시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30)가 장착되고, 센서(30)가 스크린 위치 표시 감지봉(4)의 감지 신호를 제어 장치(38)로 보내면 제어장치(38)는 구동모터(52)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 시키거나 공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날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4)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냉각팬(36)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날염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날염 작업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된 단부 표시구(5,6)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34,35)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날염 건조기.
KR2019960002272U 1996-02-14 1996-02-14 무인 날염 건조기 KR0137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272U KR0137135Y1 (ko) 1996-02-14 1996-02-14 무인 날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272U KR0137135Y1 (ko) 1996-02-14 1996-02-14 무인 날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503U KR970052503U (ko) 1997-09-08
KR0137135Y1 true KR0137135Y1 (ko) 1999-02-18

Family

ID=1945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272U KR0137135Y1 (ko) 1996-02-14 1996-02-14 무인 날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724B1 (ko) * 2005-10-10 2006-11-10 덕 희 홍 제판기 구조
KR100772765B1 (ko) * 2006-07-14 2007-11-01 정재정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724B1 (ko) * 2005-10-10 2006-11-10 덕 희 홍 제판기 구조
KR100772765B1 (ko) * 2006-07-14 2007-11-01 정재정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503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091B2 (ja) 編織物の乾燥装置。
US64939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ness detection in a clothes dryer
TWI490028B (zh) 除濕機
EP0606378A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veyor dryer
KR0137135Y1 (ko) 무인 날염 건조기
US10315444B2 (en) Printing device
US5383400A (en) Article detector for printing press
FI98390C (fi) Telakone
US3848528A (en) Multi-station printing system
JP3151765B2 (ja) ミシンの縫い位置移動装置
KR101935462B1 (ko) 전사기
KR100772765B1 (ko)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KR200217403Y1 (ko) 연단기
ES2047142T3 (es) Secadora de ropa provista de un sistema de mando automatico de funcionamiento.
CN212147913U (zh) 一种尼龙布平网印花机用烘干装置
US5533445A (en) Automated printing machine and process
KR0149033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장치
KR100347384B1 (ko) 자동 실리콘 인쇄장치와 그 인쇄방법
JP2598824B2 (ja) 衣類プレス機の胴立膨張タイミング調節方法及び装置
CN111923583B (zh) 一种纺织面料自动印染控制系统
KR200245974Y1 (ko) 실사소재 자동권취장치
KR200276307Y1 (ko) 실크인쇄용 자동건조장치
JP2869513B2 (ja) 線材の自動切替供給装置
KR960000353Y1 (ko) 자동화 설비의 물품이송을 위한 위치조절장치
JP3757466B2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