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45B1 -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45B1
KR101024945B1 KR1020107004544A KR20107004544A KR101024945B1 KR 101024945 B1 KR101024945 B1 KR 101024945B1 KR 1020107004544 A KR1020107004544 A KR 1020107004544A KR 20107004544 A KR20107004544 A KR 20107004544A KR 101024945 B1 KR101024945 B1 KR 10102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wireless communication
reference value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860A (ko
Inventor
히데노리 아오키
켄고 야규
신지 타케다
아츠시 후지와라
요이치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2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무선통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해당 무선통신장치 주변에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해당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1 기준값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2 기준값, 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수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기준값을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알리는 수단;을 포함한다.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지 않지만,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는 또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와,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가 동일하게 되도록 주파수가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무선 노드 또는 노드라고도 함)를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 멀티홉 네트워크 또는 메쉬 네트워크 등으로 불리어지는 네트워크 방식이 주목되고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엑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나 무선기지국 등과 같은 고정적인 인프라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인접하는 무선 노드끼리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신 상대방의 무선 노드로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1 이상의 다른 무선 노드를 경유하는 것이 허용된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적인 인프라가 없는 장소에서도 무선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구축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네트워크 구축법으로서 유망하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가정이나 오피스 등의 실내 통신환경뿐 아니라, 핫 스팟과 같은 실외의 사설망 또는 공중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적인 인프라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난 시에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구축에도 유효하다.
도 1은 애드혹 네트워크의 모식적인 전체도를 나타내며, 노드 A 내지 G의 복수의 노드가 도시되어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를 집중적으로 총괄 또는 제어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통신을 관여하는 각 노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동일할 것을 요구한다. 즉, 통신하는 각 노드의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로 동작할 필요가 있으며, 각 노드는 그렇게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동기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기술되어 있는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2개의 통신 모드를 규정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BSS 모드로 불리어지고, 통신단말(STA: station)은 엑세스 포인트(AP)인 무선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BSS 모드에서는, 엑세스 포인트(AP)가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를 총괄적으로 결정하고, 각 통신단말(STA)은, 엑세스 포인트(AP)로부터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송신되는 알림정보(비콘이라고도 불림)를 수신하고, 엑세스 포인트(AP)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에 맞춘다.
또 하나는 iBSS 모드라 불리우며, 모든 통신단말(STA)이 상호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하에, 각 통신단말(STA)이 상호 무선회선으로 직접접속하는 것에 의해 통신이 수행된다. iBSS 모드에서는, 타노드가 송신하고 있는 비콘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자노드에서 확인하고, 타노드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통신단말(STA)(자노드)은, 사용하는 주파수를 스스로 결정하고, 비콘을 송신한다. 또한, 타노드로부터 송신된 비콘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통신단말은, 비콘에 표시된 주파수로 맞춘다.
비특허문헌 2에 게시되어 있는 블루투스(Bluetooth(상표등록))에 있어서, 노드에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라는 2 개의 카테고리가 있고,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는 노드가 주파수를 결정하고, 슬레이브 노드는 마스터가 결정한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의 동기화를 도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마스터는 1개의 네트워크(피코넷)에서 1개밖에 존재할 수 없다.
비특허문헌 1: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IEEE"), "IEEE Wireless LAN Edition-A compilation based on IEEE Std 802.11TM-1999(R2003) and its amendments-", 2003
비특허문헌 2: J. Bray, Charles F Sturman, "Bluetooth Connect Without Cables", Prentice-Hall, Inc, 2001
BSS 모드의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엑세스 포인트(AP)와 같은 집중제어 기능을 가지는 노드가, 그 아래의 1 이상의 노드(STA)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집중제어 기능을 가지는 노드를 배치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 그러나, 1개의 집중제어 노드로의 접속을 전제로 한 구성은,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의 수 및 위치 관계(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순차적으로 변화하고, 노드 사이를 접속하는 무선 링크의 회선품질이 불안전하게 변화하기 쉽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집중제어 기능을 가지는 노드가 네트워크로부터 이탈하거나, 집중제어 기능을 가지는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중 경로의 무선회선 품질이 열화되는 일 등에 의해, 다수의 노드의 통신품질의 열화뿐 아니라 네트워크 전체의 통신품질의 열화나 통신 끊어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1의 iBBS 모드에서는, 그와 같은 집중제어 기능을 가지는 노드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가 상호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 있어야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기술은, 보다 넓은 범위에 이르는 영역에서 네트워크를 전개하려는 경우(멀티홉 네트워크)에는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면, 노드 A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서는 주파수 fA가, 노드 B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서는 주파수 fB가 이용되는 것과 같은 설정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는 분단되어버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애드혹 네트워크의 제약 중에는, 모든 노드에서 이용되는 주파수를, 네트워크의 분단 없이 자율적으로 정합시켜, 네트워크 내의 노드 구성이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통신을 확보할 수 있는 주파수 동기화 방식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의 적어도 하나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어느 무선 노드로부터 다른 무선 노드로 1 이상의 무선 노드를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정보전송에 관여하는 무선 노드에 동일한 주파수를 선택시키는 통신방법 및 그 무선통신방법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는 무선통신장치가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는, 해당 무선통신장치 주변에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해당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1 기준값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2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수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기준값을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알리는 수단을 포함한다.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지 않지만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는 또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와,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가 일치하도록, 주파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정보전송에 관여하는 무선 노드에 동일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애드혹 네트워크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인접 노드의 존재 여부를 수동적으로 조사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인접 노드의 존재 여부를 능동적으로 조사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복수의 노드 사이에서 사용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통신장치의 동작에 관한 상태 천이(遷移)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인접 노드를 인증하는 방법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인접 노드를 인증하는 다른 방법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은 각 노드가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각 노드가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애드혹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노드)로, 알림신호가 수신되고, 무선통신장치에서 저장이 끝난 제 1 기준값과, 상기 알림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 2 기준값이 비교된다. 비교결과에 따라, 알림신호에서 지정되는 주파수를, 무선통신에 사용할지 아닐지가 결정된다. 사전에 주파수를 설정하지 않고, 각 노드가 자율적으로 주파수를 설정하므로, 애드혹 네트워크(메쉬 네트워크)를 간편하고 손쉽게 그리고 유연하게 구축할 수 있다. 노드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그 노드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므로, 집중제어기능을 가지는 것과 같은 특정 노드의 통신상황에 의존하지 않고, 노드는 안정적으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특정 노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중 어떤 노드가 네트워크로부터 이탈하여도, 다른 노드는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모든 노드가 1 홉으로 도달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2 홉 이상 떨어진 노드 사이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간편하게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또는 선택된 주파수는, 어떠한 주파수여도 좋고, 임의의 주파수에 네트워크 전체의 노드를 동기화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간으로 표현되는 양(量)이어도 좋다. 그와 같은 양은 예를 들면, 기동시점과 같은 어느 시점의 시각이어도 좋으며, 어느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어도 좋다. 이 경우, 네트워크 내에서, 보다 일찍부터 동작하고 있는 노드를 우선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노드에서의 주파수의 설정 변경을 가능한 줄일 수 있다. 많은 노드에 시계(時計) 기능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준값을 기동시의 절대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은, 노드에 부가하는 기능을 줄이는 점에서 유리하다. 기준값으로 경과시간을 사용하는 경우에, 기동시점으로부터 비교적 단기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다면 좋으므로, 절대시간을 정확하게 알릴 필요가 없게 되고, GPS나 정확한 계시(計時)기능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간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그와 같은 값은 예를 들면, 무작위 수(난수), 무선통신장치에 고유한 식별자, 통신품질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접속이 끝난 무선통신장치의 대수(臺數) 등이어도 좋다. 무작위 수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2개의 무작위 수가 일치하는 것은 극도로 드물기 때문에, 어떠한 노드의 주파수를 우선시할 것인지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충돌 또는 경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제 1 및 제 2의 기준값은 무선통신장치의 고유의 식별자로 표현되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통신품질로 표현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품질이 양호한 주파수를 우선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맞출 필요성은, 노드가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경우이외에도, 각자 별개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복수의 네트워크가, 1개의 네트워크로 통합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후자와 같은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네트워크에 접속이 끝난 무선통신장치의 대수로 표현되어도 좋다. 접속대수가 많은 네트워크의 주파수를 우선시함으로써, 주파수의 설정 변경을 필요로 하는 노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주파수」라는 말은, 1개의 노드가 통신에 사용되는 최소 단위의 주파수를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다면, 사용가능한 주파수의 대역을 의미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40MHz의 대역을 장래 이용하려고 하는 무선통신장치와, 20MHz의 대역을 실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무선통신장치 간의 주파수 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이용되어도 좋다. 혹은, 20MHz의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와, 40MHz의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 본 발명이 사용되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간으로 표현되는 양과, 시간 이외의 수치와의 조합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 표현하면, 시간으로 표현되는 양이 동일한 경우에도, 기준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비교결과에 따라, 제 1 기준값이 상기 제 2 기준값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준값이 시간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장치 간의 기준값을 맞춤으로써,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기준값(기준값의 적어도 일부)이 갱신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무선통신장치가, 시간 및 주파수를 맞출 수 있다.
1개의 노드에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주파수 등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알림신호가, 인터페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그 식별자로 인터페이스가 구별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마다 기준값이 관리되어도 좋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내에 복수의 애드혹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마다 기준값 및 주파수 등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알림신호에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시켜,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에 속한 노드만이 기준값 등의 관리 대상이 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기준값을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무선통신장치에서 작성되고,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그것이 송신된다. 제 1 기준값과 상이한 값을 기준값으로서 포함하는 알림정보가 무선통신장치에서 작성되어,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그 무선통신장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자신이 설정한 내용으로 강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무선통신장치가, 제 1 기준값(기동시점의 절대시각)과는 상이한 값(그 절대시각보다 훨씬 전의 시간)을 기준값으로서 포함하는 알림신호를 알려줌으로써, 실제상으로, 그 무선통신장치가 지정하는 주파수를 우선시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자신의 고유한 기준값과 별도로, 항상 최신시간을 포함하는 알림신호를 기준값으로서 알림으로써, 그 특정의 무선통신장치가 지정하는 주파수 등의 내용이,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설정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기능 블럭도를 나타낸다. 통신장치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 1개에 해당한다. 그 이외의 노드도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통신장치는, 안테나(202), 무선 인터페이스(204), 패킷 전송부(206), 경로 제어부(208), 중앙처리장치(CPU)(210) 및 기억부(2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 이외에도, 통신장치는, 알림정보 송신부(214), 알림정보 수신부(216), 기준값 제어부(218), 및 주파수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204)는, 안테나(202)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신호와, 통신장치 내부에서 사용하는 신호 간의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 간의 형식의 변환, 주파수 변환, 대역 제한, 이득 제어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IEEE802.11의 규격에 따르는 무선신호에 관한 처리가 수행된다. 패킷 전송부(206)는, 다른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패킷을 작성하고, 무선 인터페이스(204)에 패킷을 부여한다. 유저가 송수신하려고 하는 페이로드는, 이 패킷 전송부(206)에 의해 전송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송신되는 패킷의 전송경로는, 경로 제어부(208)에서 관리된다. CPU(210)는 통신장치 내의 각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212)는 통신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알림정보 송신부(214)는 알림 패킷을 작성하고, 그것을 무선 인터페이스(204)에 부여한다. 알림 패킷은 근린(近隣) 노드로 통지된다. 알림 패킷은,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주파수 동기화 기능(본 발명에 따라 발휘되는 주파수를 맞추는 기능)에 필요한 알림 정보를 포함한다. 알림 패킷은, 정기적으로 다른 노드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다른 노드로부터의 요구에 응해 통지되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IEEE802.11 규격으로 규정되는 비콘(beacon) 등을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IEEE802.11 규격에서 규정되는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및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등을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알림 정보에는, 후술할 「기준값」이 반드시 포함되지만, 그 외에, 네트워크 식별자(ID), 통신에 실제로 이용되는 주파수(사용 주파수),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기준 주파수), 기준 주파수를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 인터페이스의 식별자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인터페이스의 식별자에는, 공통 채널(네트워크 전체에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채널) 용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노드는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 주파수로 설정하여도 좋으며, 기준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 주파수로 설정하여도 좋다.
알림정보 수신부(216)는, 근린 노드로부터 통지되는 알림 패킷을 수신하고, 네트워크의 노드 간의 주파수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림 패킷은, 정기적으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신되어도 좋으며, 혹은 자(自)노드가 타(他)노드에게 알림 패킷을 능동적으로 요구하여도 좋다. 알림정보 수신부(216)는, 근린 타노드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자노드 주변에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할 수도 있다. 무선 노드가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채널)는, 복수개 있어도 좋으며, 그 경우의 근린 노드의 검출은,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마다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도 3은, 자노드 주변에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자노드의 옆에 1개의 타노드 또는 인접 노드가 있으며, 타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자타의 노드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는, f1, f2, f3인 것으로 한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인접 노드는 비콘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알림 패킷을 송신하고, 그 알림 패킷은 자노드로 정기적으로 도착하고 있다. 자노드는, 단계 31에서, 주파수 f1으로 통신하고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는, 인접 노드는 검출되지 않는다. 자노드는, 단계 32에서,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는, 그 인접 노드가 검출된다. 또한, 자노드는, 단계 33에서, 주파수 f3으로 통신하고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는, 그 인접 노드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는 인접 노드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후, 검출된 인접 노드와 자노드간의 통신에서, 자노드가 사용해야할 주파수가,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도 4 또한, 자노드 주변에 있는 타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자노드의 옆에는 1개의 타노드 또는 인접 노드가 있으며, 타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자타의 노드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는, f1, f2, f3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자노드는, 단계41에서 우선, 프로브 요구 패킷을 주변의 인접 노드로 송신한다. 이 프로브 요구 패킷은, 인접 노드가 주파수 f1을 사용하고 있다면 응답을 할 것을 요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응답은 이루어지지 않고, 이 단계에서는, 인접 노드는 검출되지 않는다. 자노드는, 단계 42에서 우선, 프로브 요구 패킷을 주변의 인접 노드로 송신한다. 이 프로브 요구 패킷은, 인접 노드가 주파수 f2를 이용하고 있다면 응답할 것을 요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응답이 이루어지고, 인접 노드가 검출된다. 자노드는, 단계 43에서 우선, 프로브 요구 패킷을 주변의 인접 노드로 송신한다. 프로브 요구 패킷은, 인접 노드가 주파수 f3을 사용하고 있다면 응답할 것을 요구한다. 인접 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으므로, 응답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단계에서는, 그 인접 노드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고 있는 인접 노드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이 인접 노드와 자노드 간의 통신에서, 자노드가 사용해야 하는 주파수가, 후술할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적으로 또는 능동적으로 근린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근린 노드의 존재 여부를 조사할 때, 네트워크 ID가 병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마다 근린 노드를 검출할 필요가 있으며, 그와 같은 경우에, 네트워크 ID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근린 노드가 알려주는 네트워크 ID와, 자노드가 보유하는 네트워크 ID가 일치한 경우에만, 근린 노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근린 노드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4-4850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어도 좋을지 모른다. 단, 이 공지기술은, 이른바 모바일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근린 노드를 레이어 3에서 검출하려 하기 때문에, 레이어 2에 있는 처리를 전제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처리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지 모른다.
근린 노드의 검출 결과 및 수신한 알림 정보의 내용은, 도 2의 기준값 제어부(218) 및 주파수 제어부(220)로 부여된다.
기준값 제어부(218)는, 자노드의 기준값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값 제어부(218)는, 근린 노드로부터 취득한 기준값과 자노드의 기억부(212) 등에 저장이 끝난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자노드의 기준값을 갱신한다(예를 들면, 자노드의 기준값이, 타노드의 기준값에 치환된다.). 기준값 제어부(218)에 있는 기준값의 비교나 기준값의 갱신은, 전형적으로는, 알림정보 수신부(216)가 근린 노드를 검출한 경우에 수행된다. 알림정보 수신부(216)로부터 공급되는 기준값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값으로, 어느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이용될 수 있다. 어느 시점이라 하면, 예를 들면, 그 노드를 기동한 시점이어도 좋다. 또한, 기준값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양이라면, 근린 노드의 존재 여부와는 별도로, 기준값은 적절하게 갱신되어도 좋다.
기준값 제어부(218)는, 자노드의 경과시간(기준값)과 근린 노드의 경과시간(기준값)을 비교하여, 경과시간의 길고 짧음을 조사한다. 비교 결과, 보다 긴 경과시간을 부여하는 노드는 어느 것인지가 판정된다. 근린 노드의 경과시간이 긴 경우에, 자노드의 경과시간이, 근린 노드의 경과시간으로 치환된다. 한편, 근린 노드의 경과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자노드의 경과시간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기준값으로서의 경과시간이 순차적으로 갱신된다. 기준값 제어부(218)에서의 비교결과는, 주파수 제어부(220) 및 알림정보 송신부(214)로 통지된다.
주파수 제어부(220)는, 기준값 제어부(218)의 비교결과 등에 기초하여, 자노드의 주파수를 관리한다. 단, 인터페이스 ID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의 관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실시된다. 통신장치는, 그 기동시 또는 네트워크 참가시 등의 경우에, 그 노드에서 사용하려는 주파수(기준 주파수)를 선택한다. 다양한 선택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일 예로서, 이용가능한 주파수의 이용 상황을 관측하고, 가장 적게 이용되고 있는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기준값 제어부(218)로부터 통지된 비교결과가, 자노드의 경과시간이 긴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타노드의 경과시간이 긴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는, 타노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3, 4의 예에 있어서, 인접 노드가 보다 긴 경과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자노드가 주파수 f2를 이용하려고 하고 있다면(기준 주파수는 f2), 자노드는 주파수 f2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주파수 제어부(220)는, 기준 주파수 f2를 실제로 사용하는 주파수(사용 주파수)로서 결정하고, 결정 내용을 무선 인터페이스(204)로 통지한다. 그러나, 도 3, 4의 예에 있어서, 인접 노드가 보다 긴 경과시간을 가지고 있고, 자노드가 주파수 f1을 이용하려고 하고 있었다면(기준 주파수 f1), 이것은 인정되지 않고, 자노드는 주파수 f2로 통신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주파수 제어부(220)는, 실제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사용 주파수)를 f2로 결정하고, 결정 내용을 무선 인터페이스(204)로 통지한다. 자노드의 기준 주파수는 f1에서 f2로 변경된다. 기준 주파수는, 알림정보에 포함되며, 타노드로 통지되는 정보의 일부를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노드 간에서 사용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중에서, 하방향의 종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것이다. 도면 중 좌측의 파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노드 1의 기동시부터 계시(計時) 또는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ET1을 나타낸다. 경과시간은, 시각과 동일하게 시, 분, 초 등으로 연속적으로 계시되어도 좋지만, 간략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경과시간은 0, 10, 20,...과 같은 이산(離散)적인 값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ET1=0의 기간 후에는, ET1=10의 기간이 이어진다. 도에서, 우측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화살표는, 노드 2의 기동시부터 계시되는 경과시간 ET2를 나타낸다. 이 경과시간도 0, 10, 20,...과 같은 이산적인 값을 취한다. 노드 1의 기준 주파수(통신에 사용하려하는 주파수)는 당초에는 f1으로 설정되고, 그 주파수는 그 시점에서는 미사용인 것으로 한다. 노드 2의 기준 주파수는 f2로 설정되고, 노드 2는 노드 1의 기동 전에 이미 주파수 f2로 실제의 통신을 수행한 적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노드 1의 사용 주파수는 미정이지만, 노드 2의 사용 주파수는 f2이다.
노드 1에서는, 기동 후에 경과시간이 계시되고, 경과시간 ET1은 0, 10,...과 같이 증가해 나간다. 노드 1은 근린 노드의 유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능동적인 검출방법이 사용된다(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동적인 검출방법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시된 예에서는, 노드 1은 경과시간 ET1=20인 경우에, 주파수 f2에 관한 프로브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이 프로브 요구 패킷을 수신한 노드 2의 기준 주파수는 f2이므로, 프로브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 프로브 응답 패킷은, 그 송신시점의 노드 2의 경과시간 ET2(=50)을 포함한다. 이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한 노드 1은, 도 2의 기준값 제어부(218)에서, 2개의 경과시간ET1, ET2를 비교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ET1=20으로 도시된 기간 내에, 그 처리가 수행된다. 현재의 예에서는, ET1=20<ET2=50이므로, 노드 2의 기준 주파수 및 사용 주파수가 우선시된다. 따라서, 노드 1의 기준 주파수는 f1에서 f2로 변경되고, 사용 주파수는 f2로 설정된다. 한편, 노드 2에서도, ET2=50의 기간 내에, 통지된 경과 시간 ET1=20과 노드 2 자신의 경과시간 ET2=50을 비교한다. ET1=20<ET2=50이므로, 노드 2의 기준 주파수 및 사용 주파수가 우선시된다. 따라서, 노드 2의 기준 주파수는 f2 그대로 변경되지 않고, 사용 주파수도 f2 그대로이다. 이와 같이, 경과시간이 긴 쪽을 우선시하여, 이전부터 작동하고 있는 노드의 설정 변경 회수를 가능한 감소시킬 수 있다.
노드 1에서는, 기준 주파수의 갱신과 함께, 경과시간 ET1도 20에서 50으로 변경된다. 이후, 노드 1에서의 경과시간은, 50, 60, 70, ...과 같이 증가해 간다. 이것에 의해, 노드 1과 노드 2의 경과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노드 1 및 노드 2의 경과시간(기준값)이 동일하므로, 이후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노드는, 노드 1, 2의 어느 것과 주파수를 맞추어도 좋다. 따라서, 기준값을 적절하게 갱신함으로써, 어느 신규 참가 노드가, 노드 1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장소에 있다 하더라도, 노드 2와 통신가능하다면, 노드 1 및 노드 2와 주파수를 맞출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의 동작에 관한 상태 천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해서는, 「초기설정」, 「대기」, 「근린 노드의 탐색」,「기준값의 비교」, 「기준값의 동기」, 「기준 주파수의 비교」, 「기준 주파수의 동기」, 및 「기준값의 알림」으로 도시되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초기설정)
이 상태에서는, 기준값 및 기준 주파수가 초기 설정된다. 근린에서 가장 이용되고 있지 않은 주파수가, 초기의 기준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선택되어도 좋으며, 어떠한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로서 수동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메뉴얼 설정). 자노드가 실제로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사용 주파수)로, 기준 주파수가 그대로 채용되어도 좋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준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가 채용되어도 좋다. 초기설정의 상태에서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ID, 인터페이스를 구별하는 인터페이스 ID가 설정되어도 좋다. 노드가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장하고 있다면, 기준값 및 기준 주파수가 인터페이스마다 설정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ID가 사용되어도 좋다. 초기설정 이후에는 「대기」상태로 이행된다.
(대기)
이중의 원으로 도시된 이 상태에서는, 통신장치는, 다음의 상태로 이동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상태는, 초기설정 후의 상태천이 간의 기본상태이다.「대기」상태에서 다음 상태로의 상태천이는, 어느 시간 경과 후에 수행되어도 좋으며, 어떠한 이벤트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근린 노드의 탐색)
노드는, 「대기」상태로부터 이행 후에는 이 상태에 도달한다. 이 이행은, 타이머 등으로 관리된 타이밍으로, 또는 근린 노드의 탐색의 요구를 받은 경우에 수행된다. 도 2의 알림신호 수신부(216)에서 근린 노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근린 노드가 검출된 경우에, 노드는, 근린 노드의 기준값, 기준 주파수, 인터페이스 ID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기준값의 비교」 상태로 이행된다. 근린 노드의 기준 주파수는, 근린 노드의 사용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으로 찾아도 좋으며, 근린 노드로부터 수신된 알림 패킷으로부터 추출하여도 좋다. 근린 노드가 검출되면, 노드는 「기준값의 비교」상태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알림 패킷에 네트워크 ID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자노드가 소속하는 네트워크 ID와 근린 노드로부터 취득한 네트워크 ID가 상이할 때에는, 근린 노드는 발견되지 않은 것과 동일하므로, 노드는 「대기」상태로 이행한다.
(기준값의 비교)
이 상태에서는, 자노드의 기준값과, 검출된 근린 노드의 기준값과의 비교가 수행되어, 어떠한 것이 선택된다(예를 들면, 보다 큰 값이 선택된다). 자노드의 기준값이 선택된 경우에는, 「대기」상태로의 이행이 수행된다. 근린 노드의 기준값이 선택된 경우에는, 「기준값의 동기」상태로의 이행이 수행된다.
기준값의 내용으로서, 상기의 경과시간 외에 다양한 것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의 기준값은, 한정적으로 열거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a) 기동시의 절대시간
노드가 기동된 시각(절대시간)이, 기준값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각 노드는, 적어도 그와 같은 시간을 알리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시계(타이머)나 GPS 등을 실장할 필요가 있다. 노드가 기동된 시각을 비교함으로써, 이전부터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주파수를 우선시하여, 주파수의 설정변경을 필요로하는 노드 수를 가능한 감소할 수 있다. 시계 등의 기능은 통신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기준값을 관리하기 위해서만 별도의 기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b)기동으로부터의 경과시간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노드의 기동시부터의 경과시간이 기준값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경과시간의 길고 짧음을 비교함으로써, 훨씬 이전부터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주파수를 우선시할 수 있다. 기준값으로 경과시간을 이용하는 경우에, 경과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적당하게 리셋할 수 있는 타이머가 필요로 한다. 또한, 그 타이머는, 기준값 제어부(218)의 비교결과에 따라, 경과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에는, 리셋뿐 아니라, 시간을 진행시키는 일 및 늦추는 일이 포함되어도 좋다.
(c)각 노드의 유일한 식별자
각 노드가 작성하는 무작위 수나, 각 노드에 유일한 값(MAC 어드레스등)이 기준값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시간으로 표현되는 기준값은, 비교의 결과, 같은 값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어떠한 노드의 주파수를 우선시해야하는지가 명확하지 않은 일도 일어날 수 있다. 노드에 명백하게 대응하는 값을 기준값으로 채용함으로써, 경합하는 노드 간의 우선성을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d) 이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노드의 대수(臺數)
복수의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각 네트워크에서 현재는 상이한 사용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지만, 이들 네트워크가 장래에 통합되는 경우에, 각 네트워크에 이미 접속되고 있는 노드의 수가, 기준값으로 이용되어도 좋다. 각 노드는, 네트워크의 접속대수를 관리하기 위한 카운터를 가지며, 접속대수를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순차적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3대의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A와, 10대의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B가 존재하고, 이들이 통합되는 경우, 네트워크 B의 사용 주파수를 우선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주파수의 설정변경을 수행하는 노드 수를 가능한 감소시킬 수 있다.
(e) 사용 주파수의 품질
실제로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사용 주파수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준값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통신품질은, 예를 들면, SIR 등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이용가능한 주파수 중, 이용도가 적은 주파수를 선택함으로써, 통신품질이나 통신자원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품질의 측정은,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행하여도 좋다.
(f) 조합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경과시간의 상위(相違)에 기초하여 기준 주파수 등이 갱신된다. 따라서, 경과시간이 동일한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를 맞출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에는, 상이한 기준값을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代替)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과시간뿐 아니라, MAC 어드레스나 무작위 수가 기준값으로 병용되어도 좋다. 절대시간이나 경과시간 등이 동일한 경우에는, MAC 어드레스나 무작위 수 값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노드를 우선시할 수 있다. 즉, 기준값이, 경과시간과 MAC 어드레스(및/또는 무작위 수)로 표현되어도 좋다. IEEE802.11 규격에서는 시간에 관한 정보가 노드 사이에서 통신되므로, 상기와 같은 양태는 그와 같은 규격에 준하는 통신장치에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값의 조합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한 어떠한 조합이 사용되어도 좋다.
(기준값의 동기)
도 6의「기준값의 동기」상태에서는, 자기 노드의 기준값이, 타노드의 기준에 맞춰진다(치환되거나 갱신된다). 그 후, 노드는 「기준주파수의 비교」상태로 이행된다.
(기준주파수의 비교)
이 상태에서는, 근린 노드의 기준 주파수와 자노드의 기준주파수가 비교되어, 동일한 경우에는, 「대기」상태로의 이행이 수행된다. 상이한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의 동기」상태로 이행이 수행된다.
(기준 주파수의 동기)
이 상태에서는, 자노드의 기준 주파수가, 타노드의 기준 주파수로 변경된다. 그 후, 「대기」상태로의 이행이 수행된다. 기준 주파수가 사용 주파수로서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의 변경에 따라, 사용 주파수의 변경도 수행된다. 이와 같이, 기준 주파수의 변경은, 기준값의 비교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기준값이나 주파수의 변경은, 그 노드의 통신환경뿐 아니라 네트워크 내의 타노드의 통신환경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하고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와 같은 안전성(security)을 높히는 관점에서, 인접 노드가 알려준 기준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검토하고, 인증 후에, 기준값의 제어나, 주파수의 변경처리 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 노드의 인증방법으로서는, 알림 패킷에 인증자가 부가되어도 좋다(도7). 이 경우에, 한 편의 노드로부터 다른 편의 노드로 인증자를 포함하는 알림 패킷이 전송되고, 다른 편의 노드에서 인증이 수행된다. 그리고, 다른 편의 노드로부터 한 편의 노드로 인증자를 포함하는 알림 패킷이 전송되어, 한 편의 노드에서도 인증이 수행된다. 혹은, 어떠한 인증처리 기능부에 의한 인증 후에, 알림 패킷의 정보에 따라 기준값이나 주파수가 변경되어도 좋다(도 8).
근린에 복수의 노드가 존재한 경우, 그들 복수의 노드로부터의 복수의 알림 패킷이 수신될지도 모른다. 이 경우, 알림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기준값이나 주파수의 갱신이 수행되어도 좋으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 기준값 등의 갱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는, 기준값이나 주파수의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속의 처리가 필요로 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주파수 등의 갱신빈도를 일정값 이하로 제한하고,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 대기하는 기간의 길이에 따라서, 일정시간 대기하고 있는 동안, 자노드의 기준값이 변할 가능성이 있다(예를 들면, 경과시간 ET가 진행해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때문에, 알림패킷을 수신한 경우, 수신한 시점에서의 자노드의 기준값을 인접 노드마다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중에 기준값이 변할 우려가 있는 점에 대해서는, 근린 노드 수와 상관없이, 대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내에 자노드의 기준값보다 양호한 값(바람직한 값)을 나타내는 알림 패킷이 복수의 노드로부터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노드는, 그 중에서 가장 양호한 값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자노드의 기준값으로 변경하여도 좋다.
전형적인 애드혹 네트워크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는 상호 대등한 관계에 있으며, 특정의 노드가 전체 노드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총괄적인 관리기능(집중제어 기능)을 특정의 노드가 구비하고 있는 것이 금지될 필요도 없다. 즉, 어떠한 특권을 가지는 노드가,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주파수를 변경하는 계기를 다른 노드로 부여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이용되는 기준값에도 의존하겠지만, 경과시간을 기준값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원하는 주파수로 기준 주파수를 변경하고, 일정값 이상의 시간을 강제적으로 경과시킨 기준값을 다른 노드로 알리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강제적으로 조정된 경과시간은, 어떤 노드의 경과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각 노드에서 기준값이 비교된 결과, 그 특정의 노드에서 사용되는 기준값 및 주파수 등이 우선시된다. 반대로, 어떠한 노드의 경과시간 보다 짧은 시간(예를 들면, 최신의 시간이나 미래의 시간)을 다른 노드로 알림으로써, 기준값이나 주파수의 결정에, 그 노드가 관여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기준값의 알림)
이 상태는, 「대기」상태로 계속되는 상태이며, 근린 노드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 자노드의 타이머 등으로 관리되는 기간이 만료된 경우, 기준값의 알림요구를 수신한 경우 그 외 다른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노드는, 기준값을 포함하는 알림 패킷을 송신하고, 이후, 다시 「대기」상태로 이행한다. 기준값 뿐만 아니라, 기준 주파수, 이용 주파수, 네트워크 ID, 인터페이스 ID 등의 정보가 알려져도 좋다.
실시예 2
1 노드가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IFa, IFb)를 실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전파간섭의 영향을 낮추기 위해, 각 무선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이한 주파수가 이용되어도 좋다. 따라서, 근린 노드의 탐색, 기준값이나 주파수의 관리 등의 처리는, 무선 인터페이스마다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장하고 있는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된 인터페이스 ID를 포함하는 알림 패킷을, 근린 노드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림정보 수신부(216), 기준값 제어부(218) 및 주파수 제어부(220) 등은, 이 수신한 ID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마다 상태나 설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된다. 소속하는 네트워크가 상이하다면, 예를 들어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내에 노드가 존재하고 있다 하여도, 그 노드와의 사이에는 주파수를 맞추는 등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을 구별하는 네트워크 ID가 알림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느 노드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네트워크도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마다 주파수 등이 관리된다.
도 9는 애드혹 네트워크의 전체도를 나타내며, 이 예에서는, 4개의 각 노드가 2개의 무선 인터페이스 A, B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A,B는, 인터페이스의 식별자 IFa, IFb로 각각 구별된다. 이들 ID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각각에서 사용되는 주파수가 따로따로 결정된다. 도시된 노드 1 내지 4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네트워크 전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실시예 1에서 설명이 끝난 방법으로 결정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체 노드의 무선 인터페이스 A의 기준 주파수 및 사용 주파수는, fA로 설정된다. 또한, 전체 노드의 무선 인터페이스 B의 기준 주파수 및 사용 주파수는, fB로 설정된다.
도 10도는, 애드혹 네트워크의 전체도를 나타내며, 이 예에서도, 4개의 각 노드가 2개의 무선 인터페이스 A, B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체 노드의 무선 인터페이스 A의 기준 주파수 및 사용 주파수는, fA로 설정된다. 주파수 fA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결정된다. 이것에 대해서, 노드 1 및 노드 4의 무선 인터페이스 B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f14로 설정된다. 주파수 f14는, 노드 1 및 노드 4의 사이에서 임의로 결정되어도 좋다. 따라서, 주파수 f14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결정되어도 좋으며, 그 이외의 방법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주파수 f14는 전체 노드에서 통일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노드 1 및 노드 4 사이의 통신에 적절하기만 하면 좋기 때문이다. 또한, 노드 2 및 노드 3의 무선 인터페이스 B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f23으로 설정된다. 주파수 f23도,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결정되어도 좋으며, 그 이외의 방법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주파수 f23은 전체 노드에서 통일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노드 2 및 노드 3간의 통신에 적절하기만 하면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드 1, 4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사용 주파수) f14나, 노드 2, 3 간의 사용 주파수 f23은, 무선 인터페이스 B에 관한 기준 주파수 fB와 동일하여도 좋으며, 상이하여도 좋다. 동일하다면, 도 9에 도시되는 상황이 표현되고, 상이하다면, 도 10에 도시되는 상황이 표현된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을 각 노드가 식별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B에 관한 알림 패킷이, 기준 주파수 fB와 사용 주파수 fij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도 좋다. 혹은, 알림 패킷이, 기준 주파수 fB 뿐 아니라, 사용 주파수 fij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도 좋다.
본 국제출원은 2005년 3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5-069607호를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5-069607호의 전 내용을 본 출원에 채용한다.
202 안테나
204 무선 인터페이스
206 패킷 전송부
208 경로제어부
210 중앙처리장치(CPU)
212 기억부
214 알림정보 전송부
216 알림정보 수신부
218 기준값 제어부
220 주파수 제어부

Claims (10)

  1. 메쉬 네트워크에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해당 무선통신장치 주변에 다른 무선통신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해당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1 기준값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서 관리되는 제 2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상기 제2기준값으로 변경하는 수단;
    상기 제 1 기준값을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알리는 수단;을 포함하며,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지 않지만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전파는 도달하는 또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채널과,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채널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2. 메쉬 네트워크에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제 1 기준값을 저장하는 기억수단;
    제 2 기준값을 포함하는 알림신호를,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신호에서 지정되는 채널을, 무선통신에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2기준값으로 변경된 제1 기준값을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작성하고,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은 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간으로 표현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준값은, 난수, 무선 통신장치에 고유한 식별자, 통신품질 및 메쉬 네트워크에 접속이 끝난 무선 통신 장치의 대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간으로 표현되는 양과, 난수, 무선 통신장치에 고유한 식별자, 통신품질 및 메쉬 네트워크에 접속이 끝난 무선 통신 장치의 대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값은, 시각, 어느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 무작위 수, 무선통신장치에 고유한 식별자, 통신품질 또는 메쉬 네트워크에 접속이 끝난 무선통신장치의 대수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제 1 기준값이 상기 제 2 기준값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0. 메쉬 네트워크에 있는 무선통신장치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통신장치에 기 저장된 제 1 기준값과, 상기 알림신호에 포함되는 제 2 기준값과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신호에서 지정되는 채널을, 무선통신에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기준값으로 변경된 제1 기준값을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작성하고,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수단;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은 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107004544A 2005-03-11 2006-03-03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10102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9607A JP4651419B2 (ja) 2005-03-11 2005-03-11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5-069607 2005-03-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43A Division KR20070110359A (ko) 2005-03-11 2006-03-03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860A KR20100029860A (ko) 2010-03-17
KR101024945B1 true KR101024945B1 (ko) 2011-03-31

Family

ID=36953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43A KR20070110359A (ko) 2005-03-11 2006-03-03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1020107004544A KR101024945B1 (ko) 2005-03-11 2006-03-03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43A KR20070110359A (ko) 2005-03-11 2006-03-03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3443B2 (ko)
EP (1) EP1863197B1 (ko)
JP (1) JP4651419B2 (ko)
KR (2) KR20070110359A (ko)
CN (1) CN101138173B (ko)
WO (1) WO2006095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0730A (ja) * 2006-11-17 2010-04-02 カンテナ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重アンテナを持つノードを伴ったメッシュ
JP5306229B2 (ja) * 2007-01-16 2013-10-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混合型の指向性端末の装置発見
KR101450774B1 (ko) * 2007-02-21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자기 스캔을 통한 중복 ssid 검출 방법및 그 시스템
EP1973277A1 (en) * 2007-03-23 2008-09-2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scheduling of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JP4847928B2 (ja) * 2007-07-13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338597B2 (en) 2007-12-06 2016-05-10 Suhayya Abu-Hakima Alert broadcasting to unconfigured communications devices
JP5509802B2 (ja) * 2009-11-13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53516B2 (en) * 2010-03-04 2015-02-10 The Chamberlain Group, Inc. Facilitating asynchronous transmissions using a protocol hav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portions
JP5351836B2 (ja) * 2010-06-01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003661A (ja) * 2011-06-13 2013-01-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3011A (ja) * 2016-08-03 2018-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015A (ja) 2002-10-23 2004-05-20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JP2004304399A (ja) 2003-03-31 2004-10-28 Nec Corp 通信端末、基地局、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5014A (en) * 2001-04-27 2002-10-30 Ericsson Telefon Ab L M Neighbour discove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DE10122044A1 (de) * 2001-05-07 2002-11-1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Netzwerk mit über Brücken-Terminals verbindbaren Sub-Netzwerken
US7089298B2 (en) * 2001-08-20 2006-08-08 Nokia Corporation Naming distribution method for ad hoc networks
US6982644B2 (en) * 2002-05-09 2006-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afety device
EP1383283A1 (en) * 2002-07-03 2004-01-21 Alcatel A method for operating a cellular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894985B2 (en) * 2002-08-05 2005-05-17 Harris Corporation Monitoring link quality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6763013B2 (en) * 2002-09-0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ncluding neighbor discovery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6763014B2 (en) * 2002-09-2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CBF) with temporal transition network protocol (TTNP)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7414982B2 (en) * 2003-06-24 2008-08-19 Raytheon Company Distributed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5079849A (ja) *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接続先選択方法および接続先選択プログラム
JP2005322982A (ja) * 2004-05-06 2005-11-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周波数同期ネットワーク及び時刻同期ネットワーク、周波数同期方法及び時刻同期方法、ならびに通信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015A (ja) 2002-10-23 2004-05-20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JP2004304399A (ja) 2003-03-31 2004-10-28 Nec Corp 通信端末、基地局、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8173A (zh) 2008-03-05
JP4651419B2 (ja) 2011-03-16
EP1863197B1 (en) 2012-10-31
WO2006095650A1 (ja) 2006-09-14
JP2006254209A (ja) 2006-09-21
KR20070110359A (ko) 2007-11-16
KR20100029860A (ko) 2010-03-17
CN101138173B (zh) 2011-04-06
US20090268663A1 (en) 2009-10-29
US8233443B2 (en) 2012-07-31
EP1863197A1 (en) 2007-12-05
EP1863197A4 (en)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45B1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JP6423390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チャネル選択の直接的な適応制御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832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simultaneous multiple channels in the dynamic frequency selection band in wireless networks
US98003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nd synchronizing within a neighbor aware network
US8644271B2 (en)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less mesh architecture
US8666420B2 (en) Building wireless routing structures using out of band signaling
AU200431036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ntral control of mesh networks
JP7007657B2 (ja) 小波長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ビーコニング(beaconing)
US86387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ime based WLAN scanning
US20130003654A1 (en) Mesh Node Role Discovery and Automatic Recovery
EP3026947A1 (en)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50011238A (ko) 무선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통신시스템 및그 통신방법
WO2006052759A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in a multihopping wireless network
TW201446050A (zh) 用於鄰點感知網路內的同步的系統和方法(三)
JP2006270956A (ja) 網目状ネットワーク内の構成要素の同期をと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538465A (ja) メッシュ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および受信電力制御方法
CN102625438A (zh) 一种进行同步的方法、系统和设备
JP2011124624A (ja) ビーコンによる通信パラメータ設定機能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
CN106060816A (zh) 一种无线自组网方法及系统
JP2022514772A (ja) マルチホップルーティングにおける迅速な閉塞発見及び回復
US2016027793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058922A (ja) 通信装置、中継装置及び通信方法
JP6026641B2 (ja) 無線伝送システム
JP2022514910A (ja) Wlan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バックアップルートを伴うマルチホップルーティングプロトコル
KR101269853B1 (ko) 무선 랜 메쉬 네트워크에서 비콘 정보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