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440B1 -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 Google Patents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40B1
KR101024440B1 KR1020057006341A KR20057006341A KR101024440B1 KR 101024440 B1 KR101024440 B1 KR 101024440B1 KR 1020057006341 A KR1020057006341 A KR 1020057006341A KR 20057006341 A KR20057006341 A KR 20057006341A KR 101024440 B1 KR101024440 B1 KR 10102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phenyl
bis
ptf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755A (ko
Inventor
클라우스 호른
한스 프란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8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특정 염들,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배합물을 포함하는 방염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난연성 염, PTFE 배합물

Description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FLAMEPROOF POLYCARBONATES AND POLYESTER CARBONATES}
본원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특정 염들,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배합물들로부터 제조되는 난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PEC)용 난연 첨가제로 사용되는 유기 염들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US-A 3 933 734, US-A 3 940 366, US-A 3 953 399, US-A 3 926 908 및 US-A 4 104 246에 기술되어 있다.
인화성 실험과 더불어, 통상적인 연소 실험에서는 점적을 형성하여 아래에 놓인 것을 점화시키는 경향을 측정한다. 적하를 방지하기 위해, PTFE 등의 항-적하 제제가 통상적으로 PC 또는 PEC에 첨가된다. PTFE를 PC 또는 PEC에 혼합할 때, 배합이 일어남에 따라 PTFE 입자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성형물의 표면에 줄무늬 또는 작은 융기로 나타나게 된다.
US-A 5 804 654, EP-A 0 899 303 및 EP-A 0 822 226은 PTFE 배합물을 사용하여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들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술한다. 이에 해당하는 제품들은 예를 들어 미쓰비시 레이온의 메타블렌 A 계열(Metablen A-Series) 또는 GE 의 블렌덱스 (Blendex) B449 등의 이름으로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다.
WO-A 01/10957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염들을 기반으로 하는 PC 또는 PEC와, PTFE 배합물의 혼합물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물은 염과 PTFE 배합물의 함량의 총합이 0.65 중량%을 초과하고, PTFE 배합물 내의 PTFE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때만 난연 효과를 보인다. V-0 등급은 UL 시험에서 벽 두께가 1.6mm을 초과할 때 달성된다.
그러나, 가격 및 공급원에 관한 이유 때문에, 가능한 최소량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만족할 만한 방염성을 달성시키는 것이 기본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선행기술로부터 계속해서, 적은 양의 첨가제를 사용하면서도 만족할 만한 난연 효과를 가능하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에 의해 놀라운 정도로 달성된다.
놀랍게도, 0.2 내지 0.6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중량%의 PTFE 배합물 및, 0.01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6 중량%, 그리고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3 중량%의 적은 양의 특정 유기 난연성 염들과 조합된(두 첨가제의 총합은 바람직하게는 0.65 중량% 미만임),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상당한 정도로 더 빨리 소화시키고, UL 94에 따른 인화성 시험시에 1.2mm까지의 얇은 벽 두께에서 V-0 등급이 달성되고 2.0mm까지의 벽 두께에서는 5VB가 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놀랍게도, 염과 PTFE 배합물의 조합 결과, PTFE 조성은 더 이상 현저하게 항-적하 제제로 작용하지 않으나, 화염 지속 시간은 어느 정도까지 더욱 감소되어, 순수한 PTFE와 많은 양의 염을 사용하는 것과 대등한 방염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적은 양의 염만을 더 첨가하는 것이 필요함이 결과적으로 밝혀졌다. 인화성은 같은 양의 염과 순수한 PTFE를 첨가해서는 얻어질 수 없는 수치까지 감소하였다.
이것은 더욱 놀라운 일인데, 이는 더 적은 양의 염은 통상적으로 혼합물 내에 분포시키기가 더 어렵기 때문이다. 당업자는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농도가 비효율적이라고 여길 것이다.
게다가 필요한 첨가제들 역시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쉽게 이용 가능한데, 이들을 이러한 정도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매우 경제적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염이 적당한 PTFE 배합물과 조합되어, 그대로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농축물이나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농축물의 형태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되고, 적당한 방법으로 용융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체와 압출물의 제조에 관한 본원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와, 본원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체와 압출물은, 이러한 적용에 의해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본원 발명의 의미 내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와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모두이며,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선형이거나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적당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내 카르보네이트 기의 일부인 80 몰%까지, 바람직하게는 20 몰% 내지 50 몰%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산 라디칼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산 라디칼 둘 다가 분자 사슬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엄격히 말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이다. 간략화를 위해서, 본원 출원에서는 이들을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일반 용어로 포함시킬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 이산화탄소 유도체, 선택적으로는 사슬 종결제 및 선택적으로는 분지화 제제로부터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이산화탄소 유도체의 일부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로 대체되고, 특별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대체되는 카르보네이트의 구조 단위에 따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구조 단위로 대체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의 자세한 정보는 수백 개의 특허 명세서에 약 40여년에 걸쳐 기록되어 왔다. 몇 가지의 예들을 여기서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05019154942-pct00001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25℃에서, 100ml CH2Cl2당 0.5g의 농도를 가진 CH2Cl2내의 상대 점도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12,000 내지 12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80,000, 그리고 특별하게는 22,000 내지 60,000의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다.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당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히드로퀴논, 레소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그리고 이들의 고리에 알킬화 또는 할로겐화된 화합물들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1-페 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m/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m/p-디이소프로필벤젠, 2,2-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다.
이들과 더 적당한 디페놀들은, 예를 들면, US-A 3 028 635, US-A 2 999 835, US-A 3 148 172, US-A 2 991 273, US-A 3 271 367, US-A 4 982 014 및 US-A 2 999 846, 독일출원공보 DE-A-1 570 703, DE-A-2 063 050, DE-A-2 036 052, DE-A-2 211 956 및 DE-A-3 832 396, 프랑스 특허출원 FR-A-1 561 518, 논문["H.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및 일본 출원공보 62039/1986, 62040/1986 및 105550/1986 등에 기술되어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 단지 하나의 디페놀만이 사용되고,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는 다수의 디페놀이 사용되는데, 가능한 한 정제시킨 원료 물질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비스페놀이 오염된 채로 사용될 가능성이 당연히 있고, 이는 합성에 첨가되는 다른 화학 물질이나 보조 물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들 자체 합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불순물이 수반된다.
적당한 사슬 종결제는 모노페놀과 모노카르복실산 둘 다이다. 적당한 모노페놀은 페놀과, 크레졸, p-t-부틸페놀, p-n-옥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n-노닐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 등의 알킬페놀, p-클로로페놀, 2,4-디클로로페놀, p-브로모페놀 및 2,4,6-트리브로모페놀 등의 할로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적당한 모노카르복실산은 벤조산, 알킬벤조산 및 할로벤조산이다.
바람직한 사슬 종결제는 다음의 화학식 1에 해당하는 페놀들이다.
R2-Ph-OH
여기서 R2는 H 또는 분지 또는 미분지된 C1-C18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사용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각각의 경우에 사용되는 디페놀의 몰수에 대하여 0.5 몰% 내지 10 몰%이다. 사슬 종결제는 포스겐화반응 전, 반응 도중 또는 반응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적당한 분지화 제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화학에서 알려져 있는 3관능성 또는 다중 관능성 화합물인데, 특별하게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페놀성 OH 기를 가지는 물질들이다.
적당한 분지화 제제는, 예를 들어, 플로로글루신(phloroglucin), 4,6-디메틸 -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텐, 2,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과,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염화 시아누르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등이다.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분지화 제제의 양은, 각각의 경우 사용되는 디페놀의 몰량에 대해, 차례로 0.05 몰% 내지 2.5 몰%이다.
분지화 제제는 수용성 알칼리 상에 있는 디페놀과 사슬 종결제와 함께 도입되거나, 포스겐화 반응 이전에 유기 용매에 녹여서 첨가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관한 측정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당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t-부틸이소프탈산, 3,3'-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 3,4'-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2,2-비스(4-카르복시페닐)프로판, 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복실산 등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에서,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이 특히 바람직 하게 사용된다.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들은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 및 디카르복실산 디알킬 에스테르이며, 특별하게는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와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에스테르이다.
카르보네이트 기는 충분히 화학양론적으로, 또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로 대체되는데, 이러한 반응물들의 몰 비도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내에서 발견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는 랜덤 또는 블럭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될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들은 알려진 상 계면 공정 및 알려진 용융 에스테르 교환 반응 공정이다.
전자의 경우 바람직한 이산화탄소 유도체로 포스겐이 작용하며, 후자의 경우 디페닐 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촉매, 용매, 마무리, 반응 조건 등은 둘 모두의 경우에 있어 적절히 기술되어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들은 본원 발명에 따른 PTFE 배합물과 염들을 , 예를 들어 용융체의 합성 중이나 마무리 또는 농축 단계 중에서 뿐 아니라, 용액 내로도 첨가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PTFE 배합물과 염들을, 선택적으로는 추가의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본원 발명에 따라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용매에 용해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첨가하고, 이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용매를 증발시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PTFE 배합물과 염 들, 선택적으로는 추가의 첨가제를 본원 발명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융체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첨가제가 포함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분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은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본원 발명에 의한 PTFE 배합물과 염들과 동시 또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용매 없이 또는 용액 상태로 혼합되고, 이 혼합물을 260℃ 내지 450℃,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420℃,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80℃의 온도로 용융 배합하거나, 250℃ 내지 36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거나,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액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켜 수득된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것으로 특징화된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은 또한, 유리섬유, 충전제, 안료, UV 안정제, 열 안정제, 항산화제, 난연제, 충격 개질제 및 선택적으로는 다른 이형제들 등의 전형적인 첨가제를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의미 범위 내의 적당한 PTFE 배합물은 임의의 PTFE와, PTFE 사슬을 둘러싸며,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PTFE와 상용성이고 둘러싸여진 내부에 PTFE 사슬의 섬유소 구조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층물질의 물리적인 혼합물이다. 적당한 물질들은, 예를 들어, SAN과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있다. PTFE는 이러한 배합물 내에서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이러한 배합물들은, 예를 들어 GE 스페셜티 케미칼(GE Specialty Chemicals)의 블렌 덱스 B449 또는 미쯔비시 레이온(Mitsubishi Rayon)의 메타블렌-A 계열(Metablen-A Series) 등의 상표명 하에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이 배합물들은 PTFE 유액을 적당한 배합 상대방의 유액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배합물은 응고, 냉동 건조, 스프레이 건조 등의 적당한 공정에 의해서, 수득된 혼합물로부터 얻어진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의 첨가는 내연성 PC 또는 PEC의 제조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참고 문헌은 예를 들어 US-A 3 775 367, US-A 3 836 490, US-A 3 933 734, US-A 3 940 366, US-A 3 953 399, US-A 3 926 908, US-A 4 104 246, US-A 4 469 833, US-A 4 626 563, US-A 4 254 015, US-A 4 626 563 및 US-A 4 649 168 등이다.
지방족 또는 방향족 술폰산 유도체, 술폰아미드 유도체 및 술폰이미드 유도체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들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적당하다 :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옥탄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5-디클로로벤젠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4,5-트리클로로벤젠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메틸포스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페닐에틸렌) 포스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리튬 페닐포스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디페닐술폰 술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2-포르밀벤젠 술포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N-벤젠술포닐)벤젠 술폰아미드, 트리소디움 또는 트리포타슘 헥사플루오로알루미네이트, 디소디움 또는 디포타슘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 디소디움 또는 디포타슘 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디소디움 또는 디포타슘 헥사플루오로지르코네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메타포스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또는 리튬 포스페이트,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포타슘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포타슘염.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옥탄 술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디페닐술폰 술포네이트 및 소디움 또는 포타슘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및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포타슘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포타슘염 등이 바람직하며,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술페이트와 소디움 또는 포타슘 디페닐술폰 술포네이트가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다.
명명된 염들의 혼합물들도 마찬가지로 적당하다.
이러한 난연성 유기염들은 0.01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6 중량%,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3 중량%의 양으로 성형 조성물 내에 사용된다.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염들 및 PTFE 배합물들과 더불어, 유리 섬유, 충전제, 안료, UV 안정제, 항산화제 및 이형제 등으로 원래 알려진 첨가제들 역시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무기 및 유기 안료,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를 첨가제로 추가 사용하는 데 있다. 이는 내연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은 마찬가지로, PC 또는 PEC, 본원 발명에 따른 PTFE 배합물 및 특수 염들과 하나 이상의 무기 또는 유기 안료,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무기 및 유기 안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4 중량%,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의미 범위 내의 무기 안료는 금속 옥사이드, 황을 포함하는 실리케이트, 금속 술피드 및 금속 셀레나이드, 금속 시아나이드 착물, 금속 술페이트, 금속 크로메이트 및 금속 몰리브데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한 무기 안료는 흰색, 검정, 착색 및 광택 안료이며, 이들은 무기 기초물질로부터 분해, 침전, 배소 등의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티타늄 화이트(티타늄 디옥사이드), 백연(white lead), 리토폰(lithopone), 안티몬 화이트, 망간 블랙, 코발트 블랙 및 안티몬 블랙, 크롬산 납, 적연(red lead), 징크 옐로우, 징크 그린, 카드뮴 레드(red), 코발트 블루, 베를린 블루, 울트라마린, 망간 바이올렛, 슈바인푸르트(Schweinfurt) 그린,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및 스칼렛 크롬, 스트론튬 옐로우, 알루미늄 옥사이드, 바륨 술페이트, 세륨 술피드와, 크롬 오렌지, 크롬 레드(red) 및 크롬 옥사이드 그린 등의 크로뮴 옥사이드, 코발트 알루미늄 옥사이드와, 아이언 옥사이드 블랙 및 레드(red) 등의 아이언 옥 사이드, 비스무트 바나데이트, 틴 옥사이드 및 코발트의 옥사이드 또는 술피드 혼합물, 알루미늄 크로뮴 옥사이드, 소디움 알루미늄 규소 술피드, 티타늄 크로뮴 안티몬 옥사이드 및 티타늄 안티몬 니켈 옥사이드 유형을 예로 들 수 있다.
유기 안료들은 예를 들어, 카퍼 프탈로시아닌 및 클로로카퍼 프탈로시아닌이 있다.
티타늄 디옥사이드, 바륨 술페이트, 아이언 옥사이드, 크롬 옥사이드 및 카퍼 프탈로시아닌이 특히 바람직하다.
티타늄 디옥사이드가 가장 특별하게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PC와 PEC 성형 조성물은 통상적인 가공 기계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에 일반적인 가공 매개변수 내에서의 알려진 방법에 의해 가공되어 난연성 성형체 및 필름을 만들 수 있다.
성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난연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사출 성형품 및 압출품에 적당하다.
성형은 예를 들어, 전기제품, 전자제품, 구조물, 자동차 또는 비행기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 사항:
언더라이터스 연구소 (The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UL 94 실험 "장비 및 기구 부품의 플라스틱 물질의 인화성 실험 표준 (5판, 10/29/96)"은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부품의 연소 특성을 결정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 다. 범주 V와 5VB의 분류는 이 표준에 대하여 얻어진다. V 실험 분류의 V-0 등급은 여기서 1.2mm 두께까지의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효과적인 난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동시에 2.0mm 두께에서의 5VB 시험을 통과하는 것이다. 두 시험 모두에서, 연소되는 입자의 적하 결과로서의 시료 아래 탈지면의 점화는 더 낮은 등급 또는 시험 실패를 야기한다. 화염 적용의 강도와 화염 지속 시간의 측정은 두 시험 사이에서 다양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대해서 이것은 실제로, 5VB 실험은 적하 특성을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데 반해, V 실험은 화염 지속 특성을 판단하는 데 더 큰 강조점을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비스페놀 A(유동 속도 10, ISO 1133에 따라 측정 / 마크롤론(Makrolon) 2805) 기준으로 93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280℃에서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 내에서 용융시켰다. 비스페놀 A(유동 속도 6.5, ISO 1133에 따라 측정 / 마크롤론 (Makrolon)3108) 기준으로 분말로 연마한 6.5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0.05 중량%의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포타슘염 및 PTFE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대략 40 중량%의 PTFE를 갖는/메타블렌(Metablen) A-3800)의 물리적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0.4 중량%의 PTFE 배합물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융체에 직접 투입하였다. 중합체 압출물을 냉각하여 과립화하였다. 과립들을 80℃에서 진공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280℃에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가공, 127x12x두께의 용적을 갖는 표본을 제조하였다. 시편에 UL 94 표준(고체 플라스틱 시료의 인화성, 언더라이터스 연구소)에 따른 인화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1.5mm 두께에서 V-0의 인화성 등급이 부여되었다. 추가적인 5VB 시험은 3.0 및 2.4mm 두께에서 통과하였다. 실험 과정은 실시예 2 내지 5에서 동일하였다. 결과는 표 1에서 볼 수 있다. 실시예 6에 따른 조성물의 실험은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티타늄 디옥사이드 안료를 포함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2.0mm에서도 5VB 시험을 통과하였다.
비교예 1
비스페놀 A(용융 유속 10, ISO 1133에 따라 측정 / 마크롤론(Makrolon) 2805) 기준으로 93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280℃에서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 내에서 용융시켰다. 비스페놀 A(용융 유속 6.5, ISO 1133에 따라 측정 / 마크롤론 (Makrolon) 3108) 기준으로 6.7 중량%의 분말로 연마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0.05 중량%의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포타슘염 및 0.25 중량%의 PTFE 분말(100% PTFE 호스타플론(Hostaflon) TF2021)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융체에 직접 투입하였다. 중합체 압출물을 냉각하여 과립화하였다. 과립들을 80℃에서 진공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280℃에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가공, 127x12x두께의 용적을 갖는 표본을 제조하였다. 시편에 UL 94 표준(고체 플라스틱 시료의 인화성, 언더라이터스 연구소)에 따른 인화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2.4 및 1.5mm 두께에서 V-2의 인화성 등급이 부여되었다. 추가적인 3.0 및 2.4mm에서의 5VB 시험은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 과정은 실시예 2 내지 6에서 동일하였다. 결과는 표 1에서 볼 수 있다.
실험 과정은 비교예 2 내지 6과 동일하였다. 결과는 표 1에서 볼 수 있다.
Figure 112005019154942-pct00002
PC : 마크롤론 2805 - 과립(바이엘 AG)
마크롤론 3108 - 분말(바이엘 AG)
염 1 : 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포타슘 염
염 2 : 디페닐술폰-3-술포네이트 포타슘 염
PTFE : 호스타플론 TF2021
PTFE 배합물 1 : 메타블렌 A-3800 (대략 40% PTFE CAS 9002-84-0 및 대략 60%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CAS 25852-37-3, 미쯔비시 레이온 제조)
PTFE 배합물 2 : 블렌덱스 B449 (대략 50% PTFE 및 대략 50% SAN[80% 스티렌과 20% 아크릴로니트릴], GEP-A 제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하듯이, 특히 비교예 6을 실시예 4 및 6과 비교했을 때 그러하듯이, 예상 외의 좋은 난연 성질이 본원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수득된다.

Claims (15)

  1. (a) 히드로퀴논, 레소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이들의 고리에서 알킬화된 화합물, 이들의 고리에서 할로겐화된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페놀로부터 제조된 선형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b)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배합 파트너를 포함하는 PTFE 배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PTFE 배합물은 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의 PTFE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PTFE;
    (c)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유기염; 및
    (d) 임의로, 유리섬유, 충전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UV 안정제, 열 안정제, 충격 개질제, 항산화제, 이형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PTFE 배합물이 0.3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PTFE와 유기염의 총합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65 중량% 미만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배합물이 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의 PTFE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염이 0.01 내지 0.0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유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 중 1종 이상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7.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파트너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파트너가 폴리아크릴레이트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염이 소디움-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포타슘-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포타슘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포타슘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FE 배합물이 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55 중량%의 PTFE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가 제조되는 상기 디페놀이 4,4'-디히드록시디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놀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인 조성물.
  14. (i) 히드로퀴논, 레소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이들의 고리에서 알킬화된 화합물, 이들의 고리에서 할로겐화된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페놀로부터 제조된 선형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ii) PTFE 및 배합 파트너를 포함하는 PTFE 배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PTFE 배합물은 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의 PTFE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PTFE;
    (iii)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유기염; 및
    (iv) 임의로, 유리섬유, 충전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UV 안정제, 열 안정제, 충격 개질제, 항산화제, 이형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를 용융 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 1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20057006341A 2002-10-14 2003-10-02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KR101024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7777.9 2002-10-14
DE10247777A DE10247777A1 (de) 2002-10-14 2002-10-14 Flammgeschützte Polycarbonate und Polyestercarbon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755A KR20050083755A (ko) 2005-08-26
KR101024440B1 true KR101024440B1 (ko) 2011-03-23

Family

ID=3203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41A KR101024440B1 (ko) 2002-10-14 2003-10-02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05471B2 (ko)
EP (1) EP1554338B1 (ko)
JP (1) JP4387306B2 (ko)
KR (1) KR101024440B1 (ko)
CN (1) CN1320043C (ko)
AU (1) AU2003267426A1 (ko)
DE (2) DE10247777A1 (ko)
ES (1) ES2280771T3 (ko)
HK (1) HK1086586A1 (ko)
TW (1) TWI283692B (ko)
WO (1) WO20040356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79B1 (ko) * 2013-10-25 2014-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5754A1 (de) * 2002-08-05 2004-02-19 Bayer Ag Flammwidrige mit Pfropfpolymerisat modifizierte Polycarbonat-Formmassen
ATE419305T1 (de) * 2004-09-14 2009-01-15 Bayer Materialscience Llc Flammwidrige, thermoplastische polycarbonatformmassen
US20060116467A1 (en) * 2004-11-30 2006-06-01 Bayer Materialscience Llc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7622504B2 (en) * 2006-12-20 2009-11-24 MCS Laboratories, Inc. Esters of 2-phenylalkanenitriles and antifung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20090043016A1 (en) * 2007-08-06 2009-02-12 Jing-Chung Chang Flame retardan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US20090062439A1 (en) * 2007-08-30 2009-03-05 Van De Grampel Robert Dirk Polyestercarbonate compositions
JP2009197130A (ja) * 2008-02-21 2009-09-03 Teijin Chem Ltd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150127082A (ko) * 2013-03-13 2015-11-16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증진된 광택 수준을 갖는 중합체 및 중합체 블렌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2111B1 (en) * 2001-12-10 2002-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lucent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908A (en) * 1973-12-28 1975-12-16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3933734A (en) * 1973-12-28 1976-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3953399A (en) * 1973-12-28 1976-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3940366A (en) * 1973-12-28 1976-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4104246A (en) * 1976-10-15 1978-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Non-opaque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4366276A (en) * 1980-06-25 1982-12-28 Bayer Aktiengesellschaft Flame-resistant moulding materials based on thermoplastic aromatic polyesters and polyesters carbonat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moulded bodies
US5521230A (en) * 1992-11-17 1996-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ispersing solid additives in polymers and products made therewith
FR2733504A1 (fr) * 1995-04-28 1996-10-31 Gen Elec Plastics Abs Euro Bv Nouveaux alliages polymeres a base de polymerisat comprenant des motifs de derives de tetrafluoroethylene, procede de fabrication, articles obtenus a partir de tels alliages et utilisation de ces alliages dans des compositions polymeres
KR100466355B1 (ko) * 1996-07-31 2005-06-16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함유혼합분체,이를함유하는열가소성수지조성물및그성형체
US5777009A (en) * 1996-10-25 1998-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low Tg polyestercarbonate
JPH11140296A (ja) 1997-08-29 1999-05-25 General Electric Co <Ge> 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組成物
US6204313B1 (en) * 1999-01-22 2001-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mer blends, and method for making
US6180702B1 (en) * 1999-08-09 2001-01-30 Bayer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WO2002050185A2 (en) * 2000-12-20 2002-06-2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resin/abs graft copolymer ble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2111B1 (en) * 2001-12-10 2002-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lucent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79B1 (ko) * 2013-10-25 2014-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4338A1 (de) 2005-07-20
WO2004035672A1 (de) 2004-04-29
EP1554338B1 (de) 2007-01-17
ES2280771T3 (es) 2007-09-16
AU2003267426A1 (en) 2004-05-04
DE50306329D1 (de) 2007-03-08
JP2006503133A (ja) 2006-01-26
US20050043469A1 (en) 2005-02-24
TW200418911A (en) 2004-10-01
US7005471B2 (en) 2006-02-28
CN1705708A (zh) 2005-12-07
DE10247777A1 (de) 2004-04-22
JP4387306B2 (ja) 2009-12-16
CN1320043C (zh) 2007-06-06
TWI283692B (en) 2007-07-11
HK1086586A1 (en) 2006-09-22
KR20050083755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1298B (zh) 難燃性聚碳酸酯樹脂組成物
EP2048201B1 (en) Resin composition
KR100420881B1 (ko) 저휘발성방향족포스페이트에스테르화합물을함유하는카보네이트중합체수지
JP554075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US20110098386A1 (en) Products having improved flame resistance
US8278377B2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TW201132480A (en) Method for recovering polycarbonate resin from discarded optical disc and/or recovered optical disc,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injection molded body, and molded article for optical use
CN116096818A (zh) 耐水解聚碳酸酯组合物
KR101024440B1 (ko)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US20110112226A1 (en) Product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US11345812B2 (en) Stabilized, fill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JP2000169696A (ja) 熱安定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CN111527149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模制产品
JP4560280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0797509A (ja) 安定化された難燃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コンパンド
JP4508568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0239509A (ja) 熱安定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S608291A (ja) ビス−(イミドスルフオン酸塩)
JP2005206698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4230697A1 (en) Hydrolysis-resist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JP2001354845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