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293B1 -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293B1
KR101024293B1 KR1020087013408A KR20087013408A KR101024293B1 KR 101024293 B1 KR101024293 B1 KR 101024293B1 KR 1020087013408 A KR1020087013408 A KR 1020087013408A KR 20087013408 A KR20087013408 A KR 20087013408A KR 101024293 B1 KR101024293 B1 KR 10102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ring
spindle
clamping sleev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589A (ko
Inventor
귄터 퀘니히
Original Assignee
귄터 퀘니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귄터 퀘니히 filed Critical 귄터 퀘니히
Publication of KR2008007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38Arrangements for winding reserve lengths of yarn on take-up packages or spindles, e.g. transfer 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방적 또는 링 연사 기기의 방추들(1)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추(1) 상에서 상기 클램핑 링(12)과 상기 칼라(13)의 사이에 클램핑 슬리브(2)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2)는 상기 클램핑 링(12)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A)와 상기 칼라(13)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B) 사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축 방향 움직임을 위해, 상기 칼라는 작동 장치(4)에 배치된다. 작동 장치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방사형 연장수단과 협력한다. 상기 클램핑 슬리브(2)에는 적어도 상기 클램핑 위치(A)에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요소들(21; 17)이 배치되어 있다. 언더와인딩 방적사의 클램핑 틈새로의 삽입 및 상기 클램핑 틈새로의 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 요소들(41) 및/또는 방사형 돌출 수단(22)은 상기 클램핑 슬리브(2) 상에 각각의 방추 축(1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방사형 유효 경사면들(412, 413)(C)을 갖는 양 상대 운동방향으로 설치된다.

Description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THREAD CLAMPING DEVICE FOR LOWER WINDING THREADS ON SPINDLES OF A RING SPINNING FRAME OR RING TWISTING FRAME}
본 발명은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램핑 링과 이 클램핑 링의 아래로 거리를 둔 방사형 돌출 칼라가 언더와인딩 관부 아래의 상기 방추에 제공되고; 축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클램핑 슬리브가 상기 방추에서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칼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클램핑 틈새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링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와, 상기 칼라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동 장치에 의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작동 장치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는 방사형 연장 수단과, 적어도 폐쇄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요소들을 구비한다.
유사한 종류의 장치는 공개간행물EP 1 218 577 B1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다. 클램핑 슬리브는 영구 자석들을 구비한다. 영구 자석들은 폐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슬리브를 언더와인딩 관부 아래쪽의 클램핑 링에 고정한다. 클램핑 틈새가 개방되면, 클램핑 슬리브는 작동 장치에 의해 하부 개방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작동 장치는 작동 요소들에 의해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칼라에 작용하여, 이를 통해 자력을 압도한다. 개방 위치에서, 클램핑 슬리브에 일체화된 자석들의 자력은 차례로 활성화되거나 방추의 하부 칼라에 클램핑 슬리브를 유지할 것이다. 작동 장치는 공개간행물 EP 1 218 577 B1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클램핑 슬리브를 조절하는 보편적인 작동 장치들은 여러 가운데에서도 특히 공개간행물 EP 0 775 769 B1에 설명되어 있다. 지렛대들을 통해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수단에 작용하고 클램핑 슬리브를 시스템의 작용에 요구되는 위치들로 이송하는 작동 수단은 기기의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된 부분들에 장착되어 있다. 알려진 이들 장치들은 일 측면 및/또는 편심되게 클램핑 슬리브들에 작용하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 편심 작용은 방추 축들을 따라 클램핑 슬리브들의 긴 가이드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방추 속도의 제한이 아주 종종 요구된다. 다른 단점은 이들 장치들에 대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높은 구조 경비이다. 이는 공개간행물 EP 587 526 A1과 DE 199 04 793 C1에 설명된 장치들에 의해 나타나 있다.
공개간행물 EP 462 467 B1은 또한 클램핑 슬리브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언더와인딩 위치로 궤도가 난 링 레일을 사용하는 작동 장치를 설명하였다. 각각의 방추를 위해 링 레일은 각각의 방추의 영역에 설치되고, 그 하부 측에 돌출 부분을 갖는다. 이 돌출 부분은 링 레일이 언더와인딩 위치에 근접할 때,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칼라를 누른다. 이러한 작용은 “반동 요소”로 불리는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스프링을 클램핑 틈새의 최대 폭까지 압축하므로, 언더와인딩 방적사 나선의 삽입을 위한 클램핑 틈새를 개방한다.
이 설명된 공정 동안을 제외하면, 스프링은 일정하게 클램핑 슬리브를 “작업 위치”로 일컫는 폐쇄 위치에 유지한다. 클램핑 틈새의 짧은 개방 동안, 틈새에 그대로 유지된 방적사 끝은 풀어져, 새로운 언더와인딩 방적사 나선이 거의 동시에 삽입된다. 방추는, 언더와인딩이 360도 이하의 방적사 루프를 보여주어야 하므로, 이 개방 공정 동안 매우 낮은 속도로 동작한다. 클램핑 틈새로부터 방적사 끝들을 축출하고 제거하는 것은 새로운 언더와인딩 방적사 나선의 적용과 일정 범위로 중첩되므로, 신뢰할 수 없다. 결과로 세척을 위한 기기의 정지가 종종 발생한다.
공개간행물 DE 196 28 826 A1은 방추 와브의 축 상에서 수직으로 위치변경 가능하게 미끄러지는 클램핑 슬리브를 갖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를 설명한다. 와브 칼라의 하부 측에 지지된 압축 스프링은 클램핑 슬리브의 정면을 클램핑 링에 대해 위쪽으로 누르고, 클램핑 틈새를 폐쇄한다. 클램핑 슬리브 상에서 안쪽 아래로 경사진 상부의 링 형상 면 사이에는, 최대 3mm의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는 볼 형상의 원심 요소들이 있다. 원심 요소들은 클램핑 위치에 위치되며, 원심 요소들의 상부 정점은 클램핑 링의 하부 측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다. 원심 요소들은 아래쪽으로 개방된 클램핑 링의 방사형 홈들에서 안내된다.
실톳 방적 처리가 끝나면, 링 레일은 낮아진다. 방사형 링의 주행자에 의해 안내된 방적사는 천천히 감소되는 방추 속도, 약 5000/min로 원심 요소들에 의해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클램핑 틈새에 삽입된다. 만약 방추가 이 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실톳 변경 시에 스프링이 언더와인딩된 방적사에 대한 완전한 클램핑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스프링은 클램핑 틈새를 폐쇄한다.
새로운 보빈 또는 실톳을 위한 방적사 방적의 다음 착수 동안, 클램핑 링 상에 안내된 원심 요소들은 방추의 회전에 의해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원심 요소들은 약 5000 rpm에 도달한 후, 단지 작은 범위로 클램핑 틈새를 개방한다.
따라서, 본 장치는 매우 불편하다. 최대 범위 상태에서 언더와인딩을 위한 완벽한 클램핑력을 작용해야 하는 압축 스프링은, 원심 요소들에 의해 고속에서만 압도될 수 있다. 이는 언더와인딩 처리가 이러한 고속에서만 일어나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방추들의 큰 질량과 연조 영역들은 이 속도범위를 벗어나는 갑작스러운 정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갑작스러운 정지는 언더와인딩의 루핑을 270도에서 최대 360도까지 제한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에서 언더와인딩 방적사는 이미 폐쇄된 클램핑 틈새의 정면에 있는 쐐기형상의 영역에서만 놓여지므로, 충분하게 클램핑되지 안는다는 결론이다. 이는 실톳 변경을 상당히 붕괴시킨다. 요구된 신뢰성을 갖는 새로운 실톳의 방적(spinning)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언더와인딩 방적사가 5000/min 이상의 속도로 삽입되어 클램핑 틈새에 클램핑되면, 분명히 하나 이상의 권선이 클램핑 틈새에 놓여지고 몇 개의 나선체가 클램핑 슬리브에 규칙적으로 감길 것이다. 이들 추가적인 나선체를 클램핑 틈새와 클램핑 슬리브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점들을 만들어낸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새로운 관의 권선의 시작이 방해될 것이다. 방적사 파손과 제품의 손실이 초래된다.
공개간행물 DE 197 46 819 A1과 DE 198 07 740 A1은 보빈 변경 동안 언더와 인딩들을 클램핑하고 제거될 언더와인딩들을 해체하는 장치들을 설명하였다. 이들 장치들은 작동 요소들에 의해 위치 변경될 수 있는 클램핑 슬리브를 생략하였다. 본 시스템은 클램핑 슬리브를 대신하여 클램핑을 위해 탄성 O-링을 사용한다. O-링은 높은 방추 속도에서 원심력에 의해 방추 상의 클램핑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링의 내부 면에 지지되므로, 클램핑 틈새를 개방한다. 이러한 설계는 언더와인딩 실들이 저속에서 폐쇄되는 쐐기형상의 클램핑 틈새에서만 삽입되므로,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이러한 시기 동안 전달 속도의 특유한 조정은 실톳 변경 동안 클램핑 공정의 만족스러운 안전을 이끌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 슬리브를 구비한 방적사 클램핑 장치용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클램핑 슬리브는 클램핑 틈새로부터 방적사 찌꺼기의 확실한 제거와 새롭게 위치된 관에 대한 감기 공정이 시작될 때까지 360도보다 작은 원주 각으로 새로운 언더와인딩 실의 확실하고 안전한 클램핑을 허용한다.
본 목적은 링 방적 또는 링 연사 기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클램핑 장치에서, 클램핑 링과 이 클램핑 링의 아래로 거리를 둔 방사형 돌출 칼라가 언더와인딩 관부 아래의 상기 방추에 제공되고; 축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클램핑 슬리브가 상기 방추에서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칼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클램핑 틈새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링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 및 상기 칼라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동 장치에 의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작동 장치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는 방사형 돌출 수단과,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고 클램핑력을 작용하는 요소들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 요소들과 방사형 돌출 수단은 경사면들을 통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 상에 방추 축들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에 대한 작동 요소들의 작동 방향은 방적기의 프로그램에 따라 RPM이 증가하면서 개방 위치가 활성화되고, RPM이 감소하면서 클램핑 위치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변환 가능하다.
작동 요소들과 클램핑 슬리브 사이의 비 확동(non-positive)과 부분 확동(partly positive)이 결합된 클러치는 개방 공정 동안 클램핑 링 및/또는 방추의 칼라 상의 클램핑 슬리브의 힘들을 확실히 압도할 수 있다. 작동 요소들은 클램핑 슬리브와 클램핑 링 사이에 추가적인 고정을 해제하고, 클램핑 슬리브를 개방 위치에 밀어 넣는다. 클램핑 틈새의 개방은 특히 선호할만한 순간에, 즉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최초 아래쪽으로 향한 링 레일 리프트의 끝에서 발생하고, 실톳 방적 공정 전체 동안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는다. 방적사 찌꺼기의 배출은 장시간 동안 높은 방추 속도로 행해진다. 또한, 이 공정은 전통적인 주행 클리너를 이용한 개방된 클램핑 틈새에 대한 반복된 송풍과 흡입 처리들에 의해 유지된다.
실톳 변경을 위한 준비시기 동안, 언더와인딩 실은 여전히 개방된 클램핑 틈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저속, 예를 들어2000/min보다 낮은 속도에서 방적사 찌꺼기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일단 언더와인딩이 끝나면, 작동 요소는 클램핑 슬리브 상의 작용 방향을 변경하고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요소들 위를 아래쪽으로 넘어간 후, 클램핑 슬리브를 클램핑 위치로 끌어 올린다. 이 위치에 도달한 후, 작동 요소들은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요소들을 다시 넘으며, 실톳 변경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클램핑력은 클램핑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클램핑 위치에 전달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본질은 언더와인딩 실이 낮은 방추 속도로 클램핑 틈새에 위치되고, 클램핑 틈새가 방적사 찌꺼기로부터 확실히 자유롭고 충분히 개방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설계에 따르면, 작동 요소들은 링 레일에 위치되고;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수단 및/또는 작동 요소들은 양 상대 운동방향으로 방사방향의 유효 경사면들을 가지며; 그리고 클램핑 틈새를 폐쇄하는 링 레일의 유효 움직임은 클램핑 틈새의 최대 폭보다 크다. 링 레일은 언더와인딩 실의 형성을 직접적으로 수반함에 따라, 특히 작동 요소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운동 사이클의 조정만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편리한 설계 변형에 따르면, 각각의 방추의 작동 요소들은 방사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탄력 있는 작동 요소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다. 작동 요소들의 그룹은 링 레일의 하부 표면에 방추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클램핑 슬리브의 방사형 돌출 수단과 탄성적으로 함께 작동한다. 작동 요소들의 이러한 설계는 방추들에 대한 일 방향 또는 편심 하중을 피한다.
작동 요소들의 간단한 설계는 경사면이 작동 요소들의 일 부분이라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링 방적 또는 링 연사 기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에 의해 대단히 쉽게 달성된다. 이 클램핑 장치에서, 클램핑 링과 이 클램핑 링의 아래로 거리를 둔 방사형 돌출 칼라가 언더와인딩 관부 아래의 상기 방추에 제공되고; 축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클램핑 슬리브가 상기 방추에서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칼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클램핑 틈새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링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와, 상기 칼라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동 장치에 의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작동 장치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는 방사형 돌출 수단과, 클램핑력을 통해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요소들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 장치들은 상기 방추들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작동 요소들은 방추 축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들 내에서 미끄러져 상기 방추의 회전에 관여하는 원심 요소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심 요소들은 상기 방추 또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 상에서 경사면들 또는 원뿔 링 표면들과 함께 작동하고; 그리고 상기 원심 요소들은, 한편으로는 상기 방추의 칼라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편으로는 클램핑 슬리브를 상기 클램핑 위치로 누르는 스프링 요소들에 대항하여 작동한다.
스프링에 작용하는 원심 요소들과 클램핑 슬리브를 클램핑 위치에 고정하는 요소들의 결합은 실톳 변경을 위한 필요 클램핑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될 만큼 매우 약한 스프링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언더와인딩 공정은 매우 낮은 속도에서, 그리고 확실히 개방되고 깨끗한 클램핑 틈새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는 갑작스런 기기의 정지 없이 감기는 방적사를360도보다 작은 원주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르면, 원심 요소들의 가이드들은 클램핑 슬리브에 위치되고, 경사면들 또는 원뿔 링 표면은 방추의 칼라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설계에 따르면, 원심 요소들의 가이드들은 방추의 칼라에 위치되고, 경사면들 또는 원뿔 링 표면은 클램핑 슬리브에 위치된다. 본 설계의 장점은 매우 견실한 디자인과 낮은 막힘(fouling) 위험이다.
아울러, 클램핑 슬리브 고정용 및 클램핑력 적용용 요소들은 클램핑 슬리브에 일체화된 영구자석들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클램핑력을 상기 클램핑 위치에 작용하거나 또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위치를 상기 개방 위치에 고정하는 요소들은 방추의 축에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의 내부 면의 고정 홈들과 협동하여 방사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누름 버튼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들은 축 방향에서 개방된 클램핑 틈새의 폭과 최적으로 동일한 상호 공간을 갖는다.
클램핑 슬리브의 고정용 및 클램핑력의 적용용 요소로서 클램핑 슬리브에 일체화된 영구자석들의 이용은 적어도 제공될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매우 확실한 실시형태를 설계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링 레일에 대한 방추의 중간부분의 단면이고;
도 2는 6개의 연속된 단계 a) ~ f)에서의 실톳 형성 사이클 동안의 링 레일에 의해 조정되는 클램핑 슬리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볼 형태의 작동 요소를 갖는 실시형태이고;
도 4는 탄성적으로 지지된 볼을 구성한 클램핑 슬리브에 방사형 돌출수단을 갖는 실시형태이고;
도 5는 클램핑 슬리브에 방사형 판 스프링이 구비된 실시형태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표면 선들이 자유 하단으로부터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 재질의 슬리브로 제작된 작동요소들의 변형형태이다.
도 8a, b, c는 클램핑 슬리브가 끝 위치들에 고정되기 위해 기구 요소들에 배치된 변형형태(a) 언더와인딩, b) 클램핑, c) 방적)의 3 위치들이고;
도 9a, b, c는 작동 요소들이 방추와 함께 회전하는 원심 요소들인 본 발명의 다른 예의 3 위치들이고;
도 10a, b는 원심 요소들이 볼 형상이면서 방추의 칼라의 부분들에 안내되는 변형형태의 2 위치들이고;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기본 관점에서 도 10a 및 도 10b의 원리에 따른 성공적으로 실험된 클램핑 장치이다.
< 도면부호들에 대한 설명 >
1 방추
10 방추 축
11 언더와인딩 관부
12 클램핑 링
13, 13' 13'' 칼라
131 스프링 요소
131, 132' 스프링/ 스프링 요소
134 볼/ 원심 요소
135 볼 가이드
14 와브
15 언더와인딩 영역
16 축
17 스프링 누름 버튼
171 볼
172 스프링
18 작동 부시
181 경사면
2, 2' 2'', 2''', 2'''' 클램핑 슬리브
20 링 영역, 원뿔
21, 21' 자석
22 방사형 돌출 수단
221, 221' 칼라
222 볼
2221 경사면
2222 경사면
23 환형 스프링
24 구멍
25 홈
251 판 스프링
2511 경사면
2512 경사면
2513 정점
26 O-링
261 테
27 (개방 위치의) 고정 홈
28 (클램핑 위치의) 고정 홈
29 원심 요소
3 링 레일
31 방사형 링
32 주행자
4 작동 장치
40, 40' 유지 링
41 작동 요소
41' 작동 요소, 슬리브
411 스프링
412, 412' 경사면
413, 413' 경사면
414 정점
42 작동 요소
421 구멍
422 볼
423 환형 스프링
43, 43' 작동 요소
431, 431' 칼라, 내부면
5 실톳
51 관
52 최초 층
6 방적사
61 언더와인딩
A 클램핑 위치
B 개방 위치
C 클램핑 틈새
N N극
S S극
도 1은 단순화된 단면도에서 링 방적 기기의 방추(1)의 중간 부분을 보여준다. 기기 프레임과 단단히 연결된 방추(1)의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는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는 와브(14)를 보여준다. 축(16) 위에 안내되는 슬리브는 칼라(13)를 형성한다. 칼라는 그 상부 앞 부분이 클램핑 슬리브(2)의 경로를 하단에서 제한한다. 클램핑 슬리브(2)의 경로는 상단에서 클램핑 링(12)에 의해 제한된다. 클램핑 링은 언더와인딩 관부(11)와 축(16)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감길 실톳(5)용 관(51)의 하단은 축(16)의 상단에 위치된다. 이 관을 위해 상부로 연장된 다른 가이드 요소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클램핑 슬리브(2)는 자석들(21)을 구비한다. 자석들은 클램핑 슬리브(2)를 클램핑 위치(A)에서 클램핑 링(12)에 고정하거나 또는 개방 위치(B)에서 칼라(13)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 방법은 공개간행물 EP 1 218 577 B1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개방 위치(B)로부터 클램핑 위치(A) 그리고 그 반대로의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 변경은 어떠한 경우이든 한 위치의 고정을 해제하고 클램핑 슬리브를 다른 고정 요소들의 활동 범위로 이동하는 추가적인 조절 수단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개방 위치(B)에 있는 클램핑 슬리브(2)를 나타낸다. 클램핑 틈새(C)의 영역에서, 언더와인딩 영역(15)은 축(16)의 표면에 중점 된다.
도 1의 상태에 있는 링 레일(3)은 언더와인딩 위치에서 아래에 있다. 주행자(32)는 클램핑 틈새(c)와 언더와인딩 영역(15)의 높이로 방적 링(31)에서 움직이고, 실로 언더와인딩 나선체를 형성한다. 언더와인딩은 360도 이하까지 방추(1)의 축(16)을 에워싼다.
방추(1)가 링 레일(3)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각 방추(1)용 작동 장치(4)는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작동 장치의 유지 링(40)은 고리 형상의 요소를 통해 링 레일(3)의 상기 구멍들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판 형상 스프링체(411)는 바닥을 향하는 유지 링(40)과 접한다; 아래쪽을 향하는 스프링체의 자유단에는, 방사형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수단 및/또는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에 대해 안쪽으로 향하는 경사면들(412, 413)이 있다.
작동 장치(4)와 클램핑 슬리브(2)에 대한 링 레일(3)의 기능은 도 2에서 a) ~ f)의 몇몇 단계들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a)는 새로운 슬리브(51)가 막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방추(1)는 다시 회전을 시작한다. 링 레일(3)은 최초 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승되고, 새 보빈(5)의 최초 방적사 층의 최초 상부 권선 한도까지 폐쇄된 클램핑 틈새(C)에 유지된 방적사를 팽팽하게 한다.
다음 단계 b)에서, 링 레일(3)은 최초 이중 방적사 층을 마무리하기 위해 낮추어진다. 링 레일은 링 레일에 단단히 고정된 고정 요소(43)를 클램핑 슬리브(2)에서 방사방향으로 안내되는 볼(222, 도 4 참조)까지 안내한다. 이 볼(222)의 표면 에 유효한 경사면(2221)은 작동 요소(43)에 의해 걸려, 자력(21)과 클램핑 슬리브(2)의 고유 질량이 클램핑 슬리브(2)를 개방 위치(B)로 더욱 이동시키는 영역으로 클램핑 슬리브(2)를 하향 이동시킨다. 그러면, 클램핑 틈새(C)는 개방된다.
이 상태는 또한 단계 c)와 d)에서 유지된다. 클램핑 틈새(C) 내의 방적사 찌꺼기는 언더와인딩 관부(11)에서 고속으로 벗겨져 떨어져 나간다. 방적사 찌꺼기는 송풍 및/또는 흡입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사실, 전체 실톳 감기 사이클은 이 공정이 사용된다.
실톳(5)의 감기가 끝난 후, 단계 e)에서, 링 레일(3)은 언더와인딩 위치로 낮아진다. 방적 링(31)의 주행자(32)는 언더와인딩 영역(15)의 방적사(6)를 여전히 개방된 클램핑 틈새(C)로 이끌어 언더와인딩(61)을 형성한다. 작동 요소(43)는 클램핑 슬리브(2)의 개방 위치에서 칼라(13)의 저항에 의해 클램핑 슬리브(2)의 볼(222)을 압도하여, 볼을 방사방향에서 안쪽으로 눌러서, 탄성 볼(222) 아래에 위치된다.
언더와인딩(61)이 끝나자마자, 전달 부분과 방추(1)는 정지된다. 링 레일(3)은 다시 위로 움직인다. 작동 요소(43)는 볼(222)의 하부 경사면(2222)에 위치되고, 클램핑 슬리브(2)와 칼라(13) 사이의 자력을 압도하여 클램핑 슬리브(2)를 끌어올린다. 클램핑 슬리브(2)는 클램핑 위치(A)로 움직이고, 자석들(21)의 작용을 통해 클램핑 틈새(C)에 언더와인딩(61)을 고정한다.
실톳 변경은 수행될 수 있다. 실톳(5)이 제거될 때, 방적사는 클램핑 틈새(C)와 실톳(5) 사이에서 벗겨지거나 또는 잘려진다. 본 처리는 실톳 변경이 완료 된 후 단계 a)에서 다시 시작된다.
도 3 ~ 도 7은 탄성 작동 요소들의 다른 실시형태와 클램핑 슬리브(2)상의 방사형 돌출 수단을 보여준다.
도 3과 도 6은 단단한 칼라(221)를 갖는 클램핑 슬리브(2)를 보여준다. 작동 요소(42)는 유지 링(40')에 방사방향으로 향한 구멍들(421)을 갖는다. 이 구멍들은 안쪽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는 볼(422)용 멈춤 부재를 형성한다. 유지 링(40')의 원주방향 홈에 안내되는 환형 스프링(423)은 3개의 볼들(422)을 보유한다. 볼들은 탄력적으로 전술된 멈춤 부재의 안쪽에 상호 120도 간격으로 위치된다. 구멍들(421)의 안쪽으로부터 돌출되는 볼(422)의 부분들은 경사면들(412', 413')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는 높은 기능적 안정성을 보장하고, 닳기 쉬운 볼들(422)의 간단한 교체를 허용한다.
도 4에서, 작동 요소(43)는 링 레일(3)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방사형 탄성 볼(222)은 환형 스프링(23)에 의해 안쪽에서 바깥쪽까지 멈춤 부재들을 향해 눌린다. 본 설계의 특징들은 볼들(222)의 교체를 위한 수고는 약간 높다는 한계를 갖는 도 3에 묘사된 특징들과 유사하다.
도 5에 도시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다. 또한, 본 경우에, 작동 요소(43)는 안정적이고, 안쪽을 향하는 단단한 칼라(431)를 갖는다. 작동 요소(43)는 링 레일(3)에 단단히 연결된다. 볼(222)의 기능은 각을 이루면 휘어진 판 스프링(251)에 의해 수행된다. 판 스프링은 클램핑 슬리브(2)의 홈(25)에 고정된다. 경사면들(2511, 1512)은 판 스프링(251)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사이의 정 점(2513)은 매우 좁으며, 모든 단계에서 클램핑 슬리브(2)의 안전한 움직임을 보장한다.
도 7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클램핑 슬리브(2)는 고정된 칼라(221')를 갖는다. 작동 요소(41')는 슬리브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지며, 유지 링(40)과 스프링체(411)의 기능들과 요소들을 포함한다. 슬리브(41 )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재질로 이루어진 한 부품이다. 스프링(411)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향 영역은 표면 선들을 따라 홈이 패여 있다. 외피 조각들은 각각 튕겨질 수 있다. 조각들의 하단에서, 외피 조각들은 경사면들(412, 413)과 정점(414)을 형성한다. 합성 재질의 슬리브(41')의 특징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외피 조각들은 슬리브(41')의 둘레에 스프링체(411)로서 형성된다.
이들 설명된 실시형태와 별개로, 추가적인 유리한 다른 방안들은 본 발명의 정황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볼들(222 또는 422)을 대신하여, 특정 분야에서 “노비브라 버튼(Novibra button)”으로 알려진 스프링 누름 버튼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문장에서, 이들 부품들은 스프링 누름 버튼들(17)로 불릴 것이다.
3개 요소들(슬리브/ 스프링/ 주발)로 구성된 유닛이 볼들을 대신하는 이들 스프링 누름 버튼들의 경우, 주발 형상 모자형태의 외피 조각들이 나선 스프링체에 의해서 작동 요소(43, 도 4 참조) 또는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1)에 대해서 눌려진다. 또한, 볼들 또는 강재질의 주발을 대신하여, 다른 재질, 예를 들어 합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공개간행물 EP 1 218 577 B1은 칼라(13)에 대해 클램핑 슬리브(2)를 비틀 때, 클램핑 슬리브(2) 및 칼라(13)에서 자석들의 특정 배열에 의해 클램핑 슬리브(2)의 축 방향 이동이 얻어지는 것을 설명하였다.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다른 극성의 자석 극들과 인력 작용은 클램핑 틈새 내에서 폐쇄된 클램핑 위치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위치된다. 작동 장치가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1)를 건드리면, 가장 먼저 클램핑 슬리브(2)를 멈춘다. 클램핑 슬리브(2)는 방추(1)에 대해 비틀린다. 이로 인해, 동일 극성의 클램핑 틈새 내 극들은 처음에는 차례로 대립하여 서로 배척한다. 클램핑 슬리브(2)는 개방 위치(B)의 방향에서 아래쪽으로 밀려진다. 동시에, 다른 극성의 극들은 클램핑 슬리브(2)와 칼라(13) 사이의 바닥에서 서로 접근된다. 이들은 서로 당겨 개방 위치(B)로의 클램핑 슬리브(2)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그 후, 다른 극성의 극들은 개방 위치(B)를 안정시킨다.
링 레일(3)이 언더와인딩 위치로 이끌려오면, 작동 요소(41)는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1) 위를 넘는다. 한편 삽입되어 있는 언더와인딩 방적사는 방추들(1)과 전달 부분이 멈춰졌을 때, 링 레일(3)의 다음 상승 움직임에서 클램핑 틈새(C)로 죄어진다. 클램핑 슬리브(2)와 클램핑 링(12) 사이에서, 다른 극성의 극들은 서로 접근한다. 이에 따라 이들은 방추(1)에 대해 클램핑 슬리브(2)의 회전을 시작한다. 클램핑 슬리브(2)과 클램핑 링(12)은 원주방향에서 재정렬된다. 언더와인딩 방적사 나선에 대한 필요 클램핑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틈새(C)의 개방에 따라, 링 레일(3)의 작동 요소(4)는 클램핑 위치(A)와 개방 위치(B) 사이에서 직접적인 조정 움직임을 실행하지 않고, 자석 의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변경을 허용하는 정지 충격만을 전달한다.
도 8a, 도 8b,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장치를 보여준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자석들(21)을 대신하여, 이미 설명된 스프링 누름 버튼들(17)이 클램핑 위치(A) 및/또는 개방 위치(B)에서 클램핑 슬리브(2')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프링 누름 버튼들(17)은 방추(1)의 축들(16)에 방사방향으로 삽입된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볼(171)의 볼 조각들 또는 주발들의 돌출 조각들 또는 모자형 외피들(도시되지 않음)은 고정 홈들(27 및/또는 28)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클램핑 위치(A) 또는 개방 위치(B)에 고정한다.
이 종류의 클램핑 슬리브(2')의 고정은 클램핑 영역에 소위 O-링들(26)의 사용을 허용한다. O-링(26)을 상부로부터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는 테(261)는 그 형상과 구조에 기인하여, 탄성 O-링(26)의 반경 확장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와인딩 나선체를 클램핑 위치(A)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링 레일(3)이 실톳 감김 후 언더와인딩 위치에 도달할 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요소(41)의 스프링은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1)를 넘어 칼라(22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스프링 누름 버튼(17)은 고정 홈(27)에 위치되어, 여전히 개방 위치(B)에 고정된다.
도 8b에 따른 위치에서, 링 레일(3)은 실톳 변경을 위해 요구된 위치로 올려진다. 작동 요소(41)의 스프링은 우선적으로 클램핑 슬리브(2')를 클램핑 위치(A)로 옮겨놓는다. 이제 스프링 누름 버튼(17)은 클램핑 슬리브를 고정함으로써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고정 홈(28)에 고정한다.
위쪽으로 움직임이 계속될 때, 작동 요소(41)의 스프링은 클램핑 슬리브(2')의 칼라(221)를 압도하고 클램핑 슬리브(2')의 움직임 영역을 떠난다.
최초 방적사 층의 형성이 끝난 후, 작동 요소(41)를 갖는 링 레일(3)은 위로부터 칼라(221)를 쳐서, 고정 홈(27)과 협력하는 스프링 누름 버튼(17)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위치로 클램핑 슬리브(2')를 옮긴다.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목적을 위한 다른 해결법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시(18)는 칼라(13)의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안되게 그리고 비틀림적으로 단단하게 방추(1)에 장착된다. 위쪽을 향하는 벽들은 클램핑 슬리브(2'')의 하부 영역을 바깥쪽에서 덮고, 안쪽 아래를 향하는 환형 면(181)을 형성한다.
클램핑 슬리브(2'')의 방사형 돌출 수단(22')은 방사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원심 요소들(29)이 삽입되는 방사형 가이드들을 구비한다. 이들 원심 요소들(29)의 바깥 상부 모서리는 방추(1)가 회전할 때 경사면(181)과 접촉한다.
이들은 클램핑 슬리브(2'')에 삽입된 자석들(21')다. 자석들의 극들은 클램핑 틈새(C)를 향한다. 자석들은 자석들이 클램핑 링(12)과 가까워질 때 클램핑 압력을 지지한다. 클램핑 슬리브(2'')는 그 하단을 통해 스프링 요소들(131)에 지지된다. 스프링 요소들은 작동 부시(18)의 구멍들에 차례로 지지된다. 이들 스프링 요소들(131)은 낮은 클램핑 압력에서의 방추의 정지 동안 클램핑 슬리브(2'')를 클램핑 위치(A)에 유지한다. 자석들(21')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적사의 벗김을 허용하는데 필요한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방추 속도가 약 2000rpm까지 낮춰질 때, 주행자(32)는 실을 언더와인딩 영역으로 이끈다. 클램핑 틈새(C)는 개방된다. 이는 문제없이 정확히 한정된 길이로 언더와인딩 방적사를 처리할 수 있다.
방추가 멈춰지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요소들(29)에 의해 경사면(181)에 발생한 힘이 감소된다. 스프링 요소들(131)은 클램핑 슬리브(2'')를 클램핑 위치(A)로 옮겨 놓는다. 자석들(21')은 필요한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실톳 변경이 일어날 수 있다. 실톳과 클램핑 틈새(C) 사이의 방적사는 벗겨지거나 잘라진다.
새로운 실톳에 방적 공정이 시작되자마자, 방추 속도는 증가한다. 원심 요소들(29)은 경사면들(181)에 눌리고, 클램핑 슬리브(2'')를 스프링(131)의 작용 방향에 대해 아래쪽인 개방 위치(B)로 민다. 클램핑 슬리브(2'')는 다음 실톳 변경이 시작될 때까지 이 위치에 남아있고, 방추 속도의 감소가 시작된다. 개방된 클램핑 틈새(C)로부터 방적사 찌꺼기를 벗겨내어 제거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남겨진다.
도 10a 및 도 10b에 따른 장치는 볼들(134)이 원심 요소들로 사용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볼들은 방추(1)의 칼라(13')에 바깥 위쪽 방사방향으로 향한 구멍들(135)에 안내된다.
클램핑 슬리브(2''')는 방추 상에서 칼라(13')의 이 부분을 덮고, 내부에 안쪽 아래를 향하는 원뿔 링 표면(20)을 형성한다. 클램핑 슬리브(2''')의 상부는 방추에서 명확하게 안내되어, 개방 위치(B)와 클램핑 위치(A)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자석들(21')은 클램핑 슬리브(2''')의 이 영역에서 배치되어, 방추의 클램핑 링(12)과 함께 작동한다.
압력 스프링(132)는 방추의 칼라(13')상의 바닥과 클램핑 슬리브(2''') 상의 상부에 지지된다. 스프링은 클램핑 위치(A)까지 클램핑 슬리브(2')를 밀 수 있도록 설계된다. 언더와인딩 실들을 위한 필요 클램핑력은 주로 자석(21')에 의해 제공된다.
도 10a는 클램핑 위치(A)에 있는 장치를 보여준다. 방추들의 정지와 상대적으로 낮은 방추 속도(5000/min 이하) 동안, 원심 요소로서 기능하는 볼들(134)은 클램핑 틈새(C)를 개방할 수 없다, 즉 자석들(21')에 의해 제공되는 부착력과 압축 스프링(132)의 힘을 압도할 수 없다. 방적 처리 동안, 약 5000/min 이상의 속도에서, 볼들(134)은 클램핑 슬리브(2''')의 고유 무게에 의해 도움을 받아, 우선 자석들(21')의 부착력과 아주 작은 스프링(132)의 작용을 압도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클램핑 틈새(C)는 개방되고 클램핑 슬리브(2''')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B)를 나타낸다.
보빈(5)이 끝난 후, 링 레일(3)은 언더와인딩 위치로 낮춰지고, 방추들(1)의 속도는 약 2000/min으로 감소된다. 이 부근의 낮은 속도에서, 볼들(134)의 원심력은 여전히 압력 스프링(132)의 낮은 힘을 압도할 수 있고, 클램핑 틈새(C)를 개방시켜 놓는다. 이 속도에서, 언더와인딩 방적사는 360도 이하로 제한하여 어느 정도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이 낮은 속도는 방추와 드래프팅 시스템의 전달 속도를 적절한 시간에 거의 동시에 0이 되도록 더욱 늦출 수 있게 하며; 언더와인딩 방적사를 수용할 수 없는 범위까지 증가시키지 않는다.
볼들(134)의 원심력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프링(132)은 클램핑 슬리브(2''')를 다시 클램핑 위치(A)로 안내할 수 있다. 클램핑 틈새가 폐쇄될 때, 자석(21')은 오차 없는 실톳 변경을 위해 요구되는 클램핑력의 주요 부분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자석들(21')은, 폐쇄된 클램핑 틈새(C)에서의 자석에 의한 유지력이 개방 위치(B)와 클램핑 위치(A) 사이에서의 스프링 요소들(132)의 압력의 차이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과 유사한 관점에서 도 10a 및 도 10b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클램핑 장치를 보여준다. 스프링들(132)을 대신하여, 하나의 스프링(132')이 클램핑 위치(A)로의 클램핑 슬리브(2'''')의 움직임을 떠맡는다. 클램핑 슬리브(2'''')와 숨겨진 작동 요소들의 간단한 구조 설계, 칼라(13')의 구성, 볼 형상 원심 요소들(134), 링 표면(20), 그리고 스프링(132'')이 분명하게 보여진다.
클램핑 슬리브의 고정용 및 클램핑력의 적용용 요소로서 클램핑 슬리브에 일체화된 영구자석들의 이용은 적어도 제공될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매우 확실한 실시형태를 설계하는 것을 허용한다.

Claims (9)

  1.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1)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방추(1)에서 언더와인딩 관부(11) 아래에 클램핑 링(12)과 이 클램핑 링(12)의 아래로 거리를 둔 방사형 돌출 칼라(13)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 링(12)과 상기 칼라(13)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축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클램핑 슬리브(2)가 상기 방추(1)에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2)는 클램핑 틈새(C)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링(12)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A)와, 상기 칼라(13)와 접촉되는 개방 위치(B) 사이에서 작동 장치(4)에 의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2)는 작동 장치(4)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는 방사형 돌출 수단과, 적어도 클램핑 위치(A)에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고정하고 클램핑력을 작용하는 요소들(21; 17)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 요소들과 상기 방사형 돌출 수단은 경사면들을 통해 상기 클램핑 슬리브(2) 상에 방추 축들(1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클램핑 슬리브(2, 2', 2'', 2''', 2'''')에 대한 작동 요소들의 작동 방향은 방적기의 프로그램에 따라 방추의 RPM이 증가하면서 개방 위치(B)가 활성화되고, 방추의 RPM이 감소하면서 클램핑 위치(A)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들은 링 레일(3)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2; 2') 상의 상기 방사형 돌출 수단 또는 상기 작동 요소들은 양 상대 운동방향으로 방사형의 유효 경사면들(2221, 2222; 2511, 2512; 412, 413; 412', 413'; 181; 20)을 가지며; 그리고
    클램핑 틈새(c)의 폐쇄용 링 레일(3)의 유효 움직임은 클램핑 틈새(C)의 최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방추(1)의 작동 요소들은 방사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탄력 있는 작동 요소들의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 요소들의 그룹은 링 레일(3)의 하부 표면에 상기 방추 축(10)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방사형 돌출 수단(22)과 탄성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상기 작동 요소들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5.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1)들에 방적사를 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방추(1)에서 언더와인딩 관부(11) 아래쪽에 클램핑 링(12)과 이 클램핑 링의 아래로 거리를 둔 방사형 돌출 칼라(13)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 링(12)과 상기 칼라(13)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축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한 클램핑 슬리브(2)가 상기 방추(1)에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 슬리브(2)는 클램핑 틈새(C)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링(12)과 접촉되는 클램핑 위치(A) 및 상기 칼라(13)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B) 사이에서 작동 장치(4)에 의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클램핑 슬리브(2)는 작동 장치(4)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는 방사형 돌출 수단(22)과, 적어도 클램핑 위치(A)에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고정하고 클램핑력을 작용하는 요소들(21; 17)을 구비하며;
    작동 장치(4)는 각각 상기 방추들(1)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작동 요소들은 방추 축(1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들 내에서 미끄러져 상기 방추(1)의 회전에 관여하는 원심 요소들(29; 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심 요소들은 상기 방추(1) 또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2) 상에서 경사면들 또는 원뿔 링 표면들(181; 20)과 함께 작동하고; 그리고
    상기 원심 요소들은, 한편으로는 상기 방추(1)의 칼라(13; 13')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편으로는 클램핑 슬리브(2''; 2'''; 2'''')를 상기 클램핑 위치(A)로 누르는 스프링 요소들(131; 132; 132')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원심 요소들(29)의 가이드들은 상기 클램핑 슬리브(2'')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경사면들 또는 상기 원뿔 링 표면(181)은 상기 방추(1)의 칼라(18)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원심 요소들(134)의 가이드들은 상기 방추(1)의 칼라(13')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경사면들 또는 상기 원뿔 링 표면(20)은 상기 클램핑 슬리브(2'''; 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2)를 고정하고 클램핑력을 작용하는 요소들은 상기 클램핑 슬리브(2)에 일체화된 영구자석들(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클램핑력을 상기 클램핑 위치(A)에 작용하거나 또는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위치를 상기 개방 위치(B)에 고정하는 요소들은, 방추(1)의 축에서 상기 클램핑 슬리브(2')의 내부 면의 고정 홈들과 협동하여 방사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누름 버튼들(1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들은 축 방향에서 개방된 클램핑 틈새(C)의 폭과 동일한 상호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KR1020087013408A 2005-12-08 2006-12-08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KR10102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9041.1 2005-12-08
DE102005059041 2005-12-08
DE102005061043A DE102005061043A1 (de) 2005-12-08 2005-12-19 Fadenklemmvorrichtung für Unterwindefäden an Spindeln einer Ringspinn- oder Ringzwirnmaschine
DE102005061043.9 2005-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89A KR20080071589A (ko) 2008-08-04
KR101024293B1 true KR101024293B1 (ko) 2011-03-29

Family

ID=3786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408A KR101024293B1 (ko) 2005-12-08 2006-12-08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9862B2 (ko)
EP (1) EP1957697A2 (ko)
JP (1) JP4779105B2 (ko)
KR (1) KR101024293B1 (ko)
CN (1) CN101326314B (ko)
DE (1) DE102005061043A1 (ko)
WO (1) WO20070657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4967A1 (de) * 2007-06-21 2008-12-24 SSM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Fadenhalter
DE102009023644A1 (de) * 2009-05-25 2010-12-02 Wilhelm Stahlecker Gmbh Fadenklemmeinrichtung für eine Spindel einer Spinn- oder Zwirnmaschine
CN108138385B (zh) * 2015-11-06 2020-12-04 Ate私有企业有限责任公司 卷绕中的夹紧装置及其夹紧纱线的方法
DE102016007040A1 (de) * 2016-06-09 2017-12-14 Saurer Components Gmbh Fadenklemmvorrichtung
CN108251925B (zh) * 2018-03-20 2023-05-02 昌吉溢达纺织有限公司 纱管留头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72U (ko) * 1989-07-24 1991-03-15
EP0775769A1 (de) 1995-11-23 1997-05-2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der Spindel einer Ringspinn- oder -zwirnmaschine
DE19947854A1 (de) * 1999-10-05 2001-04-12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einer Spindel einer Textilmaschine, insbesondere einer Ringspinnmaschine
WO2001025518A1 (de) 1999-10-05 2001-04-12 Koenig Guenter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einer spindel einer textilmaschine, insbesondere einer ringspin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0458A1 (de) * 1968-05-20 1972-02-10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erfahren zum Abtrennen von auf Spindeln unterwundenen Faeden und Spindel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IT1025197B (it) * 1974-10-25 1978-08-10 Snia Viscosa Metodo e dispositivo per il fissag gio terminale della coda die trasferimento di bobine di filati avvolte su stiro trcitoi e similari apparecchiature tessili
JPH01174623A (ja) 1987-12-29 1989-07-11 Kunimitsu Odawara 精紡機、撚糸機等における尻糸処理装置
JPS63295726A (ja) 1987-05-26 1988-12-02 Kunimitsu Odawara 精紡機、撚糸機等における尻糸処理装置
US4796422A (en) * 1987-05-26 1989-01-10 Odawara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treating tail yarn in textile spindle assembly
DE3804373A1 (de) * 1988-02-12 1989-08-24 Schlafhorst & Co W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uchen und loesen der hinterwindung
JPH0315562Y2 (ko) * 1988-08-31 1991-04-04
EP0462467B1 (de) * 1990-06-18 1996-03-13 Maschinenfabrik Rieter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des Fadens in einer Ringspinnmaschin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4123452A1 (de) * 1991-07-16 1993-01-21 Stahlecker Frit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von unterwindungen bei einer spinnspindel
EP0587526A1 (de) * 1992-09-03 1994-03-16 Maschinenfabrik Rieter Ag Anordnung zur Betätigung der Festlegehülse für eine Ringspinn- bzw. Zwirnmaschine
DE19628826A1 (de) * 1996-07-17 1998-01-22 Lieser Gmbh Beteiligungsgesell Klemmvorrichtung für Fäden
JPH10140427A (ja) * 1996-11-05 1998-05-26 Howa Mach Ltd リング精紡機における停止方法及びリング精紡機
JPH10168677A (ja) * 1996-12-05 1998-06-23 Nippo Sangyo Kk 紡績用リング
IT1299011B1 (it) * 1997-06-06 2000-02-07 Novibra Gmbh Fuso per un filatoio o torcitoio ad anelli
DE19746819A1 (de) * 1997-10-23 1999-04-29 Novibra Gmbh Vorrichtung zum Bilden und Auflösen einer Unterwindung
EP0949366B1 (de) * 1998-04-09 2003-05-07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der Spindel einer Ringspinnmaschine oder Ringzwirnmaschine
DE19904793C1 (de) * 1999-02-05 2000-08-03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von Unterwindefäden an einer Spinnspindel
JP2001316948A (ja) * 2000-05-11 2001-11-16 Howa Mach Ltd リング精紡機における停止方法及びリング精紡機
DE10161707B8 (de) * 2001-12-11 2012-09-13 Maschinenfabrik Rieter Ag Spinnvor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72U (ko) * 1989-07-24 1991-03-15
EP0775769A1 (de) 1995-11-23 1997-05-2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der Spindel einer Ringspinn- oder -zwirnmaschine
DE19947854A1 (de) * 1999-10-05 2001-04-12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einer Spindel einer Textilmaschine, insbesondere einer Ringspinnmaschine
WO2001025518A1 (de) 1999-10-05 2001-04-12 Koenig Guenter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einer spindel einer textilmaschine, insbesondere einer ringspinn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6314A (zh) 2008-12-17
WO2007065703A2 (de) 2007-06-14
US7739862B2 (en) 2010-06-22
CN101326314B (zh) 2010-12-01
JP2009517558A (ja) 2009-04-30
DE102005061043A1 (de) 2007-06-14
EP1957697A2 (de) 2008-08-20
US20080276592A1 (en) 2008-11-13
WO2007065703A3 (de) 2007-09-27
JP4779105B2 (ja) 2011-09-28
KR20080071589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293B1 (ko) 링 방적기 또는 링 연사기의 방추들에 방적사를언더와인딩하는 방적사 클램핑 장치
KR20150064705A (ko) 방적기 또는 연사기의 스핀들 상에서 실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 및 방적기 또는 연사기
JPH0315562Y2 (ko)
CN101437741B (zh) 夹持装置
EP2189408B1 (de) Klemmvorrichtung
CN105544029A (zh) 一种握持纺织筒管的锭杆装置
CN205368602U (zh) 一种握持纺织筒管的锭杆装置
JP2994085B2 (ja) リング紡糸機又は撚糸機
US4196575A (en) Method for transfer of a fiber roving from a completed bobbin package to an empty tube on a spinning preparatory machine
JP2007284823A (ja)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方法
JP2010270430A (ja) 紡績機または撚糸機のスピンドル用糸クランプ装置
CN101638820B (zh) 倍捻锭子低张力纱线退解装置
CN108138385B (zh) 卷绕中的夹紧装置及其夹紧纱线的方法
JPH03152224A (ja) フライヤ粗紡機において粗糸を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1213381B1 (en) Thread-end cutting method and thread-end cutting apparatus for spinning machine
US3012394A (en) Spinning and twisting spindles
EP1477597A2 (en) Tail yarn cutting device for spinning machine
CN110453323B (zh) 纱锭与纱管的配合结构
KR102301537B1 (ko) 실 클램핑 장치
KR20200093452A (ko) 실 클램핑 기구용 장착 및 해제 장치와 실 클램핑 기구
CH692663A5 (de) Spindel für eine Ringspinn- oder Ringzwirnmaschine.
JP4001052B2 (ja) 紡機における玉揚げ時の糸切断方法
US3028721A (en) Spinning or twisting spindle
CN110552092A (zh) 细纱机换管机构及采用该机构的细纱机及其换管方法
EP04678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offing bobbins from a spinning machine and breaking the ya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