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404B1 -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404B1
KR101023404B1 KR1020100072470A KR20100072470A KR101023404B1 KR 101023404 B1 KR101023404 B1 KR 101023404B1 KR 1020100072470 A KR1020100072470 A KR 1020100072470A KR 20100072470 A KR20100072470 A KR 20100072470A KR 101023404 B1 KR101023404 B1 KR 10102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differential pressure
cover member
blast hos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복
Original Assignee
씨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컴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 또는 쇼트볼 탱크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를 통해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이 터져 파손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이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누출 및 투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BLASTHOSE BURST SENSOR OF SHOT BLASTER}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컴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 또는 쇼트볼 탱크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를 통해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이 터져 파손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이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누출 및 투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스트머신은 금속제품의 생산 공정인 주조, 다이케스팅, 압연 등의 후처리 및 금속표면의 압축잔류응력의 부여를 위한 작업에 적용되는 기계로써, 피가공물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피가공물의 표면을 타격하여 가공한다.
최근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쇼트볼을 투사하는 쇼트볼 블라스터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쇼트볼 블라스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압축공기 유입구(110), 쇼트볼 유입구(130) 및 배출구(150)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로 쇼트볼(미도시)을 공급하는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연결되는 블라스트호스(7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에 연결되는 블라스트건(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10)내로 공급된 쇼트볼(미도시)이 상기 컴프레셔(30)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0)를 지나 상기 블라스트건(미도시)을 통해 투사되는 과정 중에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이 터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미도시)이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외부로 누출 또는 투사됨은 물론 특히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외부로 투사되는 쇼트볼(미도시)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컴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 또는 쇼트볼 탱크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를 통해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이 터져 파손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이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누출 및 투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 유입구, 쇼트볼 유입구 및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압축공기 유입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연결부재의 쇼트볼 유입구로 쇼트볼을 공급하는 쇼트볼 탱크와;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블라스트호스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에 연결되는 블라스트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볼 블라스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상기 쇼트볼 탱크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쇼트볼 탱크와 상기 연결부재의 쇼트볼 유입구 사이에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차압센서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쇼트볼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연결부재의 압축공기 유입구 사이에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차압센서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에 상기 차압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과 연통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관에 상기 차압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컴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 또는 쇼트볼 탱크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를 통해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이 터져 파손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이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누출 및 투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차압센서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쇼트볼 탱크와 상기 연결부재의 쇼트볼 유입구 사이에 구비된 전자밸브가 상기 쇼트볼 유입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파손부위를 통해 쇼트볼이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투사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파손부위를 일부 쇼트볼이 통과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상기 일부 쇼트볼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쇼트볼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당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압센서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연결부재의 압축공기 유입구 사이에 구비된 전자밸브가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를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파손부위를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외부로 누출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구에 상기 차압센서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차압센서가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기배출구의 압력변화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관과 연통되는 분기관에 상기 차압센서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의 배출구와 상기 블라스트호스의 연결부분의 파손부위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으로 투사된 일부 쇼트볼에 의해 상기 차압센서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트볼 블라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구내에 차압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관과 연통되는 분기관에 차압센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결부재(10), 컴프레셔(30), 쇼트볼 탱크(50), 블라스트호스(70) 및 블라스트건(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연결부재(10)는 수평관(11)과; 상기 수평관(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11)의 중심부 상측에 형성되는 수직관(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관(11)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수평관(11)의 내부와 연통되는 압축공기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관(11)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수평관(11)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관(13)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관(11)의 내부와 연통되는 쇼트볼 유입구(1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컴프레셔(3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컴프레셔(30)의 타측과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일측에 양단부가 각각 기밀하게 연결고정되는 일측 연결관(111)을 통해 상기 컴프레셔(30)의 압축공기가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쇼트볼 탱크(5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로 쇼트볼(5)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쇼트볼 탱크(50)의 중심부 하측과 상기 연결부재(10)의 수직관(13) 상측에 상하단부가 각각 기밀하게 연결고정되는 상측 연결관(113)을 통해 상기 쇼트볼 탱크(50)의 내부에 저장된 쇼트볼(5)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150)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블라스트건(미도시)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50)를 통해 상기 블라스트호스(70) 내부로 배출된 압축공기 및 쇼트볼(5)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0), 컴프레셔(30), 쇼트볼 탱크(50), 블라스트호스(70) 및 블라스트건(미도시)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90)와 차압센서(100)가 더 구비된다.
먼저, 상기 커버부재(9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주변 공간(91)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분(P)은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의 타측과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일측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90)는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상기 공간(91)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타측 외주연과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일측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수밀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차압센서(100)는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컴프레셔(30)의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상기 쇼트볼 탱크(50)의 쇼트볼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차압센서(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90)의 내주면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 사이에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밸브(1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밸브(120)는 상기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연결관(113)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자밸브(1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상측 연결관(113)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이 터져 파손된 경우 상기 컴프레셔(3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일부는 파손된 연결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차압센서(100)는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 압력변화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상기 쇼트볼 유입구(130)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자밸브(120)가 상기 상측 연결관(113)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차압센서(100)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전자밸브(120)가 상기 쇼트볼 유입구(130)를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파손부위를 통해 쇼트볼(5)이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외부로 투사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파손부위를 일부 쇼트볼(5)이 통과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상기 일부 쇼트볼(5)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도 4 참조.) 일부 쇼트볼(5)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당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 사이에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밸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밸브(140)는 상기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연결관(111)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자밸브(14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일측 연결관(111)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이 터져 파손된 경우 상기 컴프레셔(3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0)의 수평관(11)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일부는 파손된 연결부분(P)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차압센서(100)는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내부 압력변화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압축공기 유입구(110)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자밸브(140)가 상기 일측 연결관(111)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차압센서(100)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전자밸브(140)가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110)를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파손부위를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외부로 누출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커버부재(9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구(910)내에 차압센서(100)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관(920)내에 공기배출구(9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920)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과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 상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9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910)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내로 유입된 일부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920)의 공기배출구(91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9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920)의 공기배출구(910)를 통해 일부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공간(91) 및 상기 공간(91)과 연통되는 상기 공기배출구(910)내에 압력변화가 발생되고, 이때 상기 공기배출구(910)에 설치된 상기 차압센서(10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공기배출구(910)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상기 공간(91) 및 상기 공기배출구(910)의 압력변화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커버부재(9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배출관(920)과 연통되는 분기관(940)에 차압센서(10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 상부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관(920)이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과 연통되도록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920)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관(920)의 중심부 상측에는 분기관(940)이 수직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기관(940)의 상측에는 상기 차압센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940)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관(940)의 상측에는 상기 차압센서(100)의 하부 일측이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압센서(100)의 하부 타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01)이 상기 차압센서(100)와 연통되도록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내로 유입된 일부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920)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9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기관(940)에는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차압센서(100)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차압센서(100)의 유입관(101)을 통해 상기 차압센서(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분기관(940)을 지나 상기 공기배출관(920)내로 유입되어 일부 압축공기와 함께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4의 점선화살표 참조.)
상기 차압센서(100)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관(101)을 통해 상기 차압센서(100)의 내부로 유입될 시 상기 차압센서(100) 내에서 압력변화가 발생되고, 이때 상기 차압센서(10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관(920)과 연통되는 상기 분기관(940)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파손부위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9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으로 투사된 일부 쇼트볼(5)로 인해 상기 차압센서(100)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공간(91)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컴프레셔(30)의 압축공기 공급 또는 상기 쇼트볼 탱크(50)의 쇼트볼(5) 공급을 차단시키는 상기 차압센서(100)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이 터져 파손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쇼트볼(5)이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외부로 누출 및 투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연결부재, 11; 수평관,
110; 압축공기 유입구, 111; 일측 연결관,
113; 상측 연결관, 150; 배출구,
13; 수직관, 120, 140; 전자밸브,
130; 쇼트볼 유입구, 30; 컴프레셔,
50; 쇼트볼 탱크, 70; 블라스트 호스,
100; 차압센서, 90; 커버부재,
91; 공간, 910; 공기배출구,
920; 공기배출관, 940; 분기관,
100; 차압센서, 101; 유입관.

Claims (5)

  1. 수평관(11)과, 상기 수평관(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11)의 중심부 상측에 형성되는 수직관(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관(11)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와 각각 압축공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50)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13)의 내부에 상기 수평관(11)의 내부와 연통되는 쇼트볼 유입구(130)가 형성되는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로 쇼트볼(5)을 공급하는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연결되는 블라스트호스(7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에 연결되는 블라스트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트볼 블라스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10)의 배출구(150)와 상기 블라스트호스(70)의 연결부분(P)의 공간(91)을 커버하는 커버부재(90)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컴프레셔(30)의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상기 쇼트볼 탱크(50)의 쇼트볼(5)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압센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볼 탱크(5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쇼트볼 유입구(130) 사이에 전자밸브(120)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120)는 상기 차압센서(100)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쇼트볼 유입구(13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3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압축공기 유입구(110) 사이에 전자밸브(140)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140)는 상기 차압센서(100)가 상기 커버부재(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간(91)의 압력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에 공기배출구(9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910)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90)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관(920)과; 상기 공기배출관(920)과 연통되는 분기관(940);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940)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기관(940)에 상기 차압센서(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KR1020100072470A 2010-07-27 2010-07-27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KR10102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70A KR101023404B1 (ko) 2010-07-27 2010-07-27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70A KR101023404B1 (ko) 2010-07-27 2010-07-27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404B1 true KR101023404B1 (ko) 2011-03-24

Family

ID=4393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470A KR101023404B1 (ko) 2010-07-27 2010-07-27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4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43B1 (ko) 2012-03-26 2013-04-23 전혜원 엔틱 간판 제작 방법
CN105387984A (zh) * 2015-10-26 2016-03-09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球磨机冲击检测的钢球连续发射装置
CN106525587A (zh) * 2016-12-01 2017-03-22 郑州嘉德机电科技有限公司 爆珠烟爆珠破爆自动检测仪
KR102255807B1 (ko) 2019-12-30 2021-05-26 연중 주식회사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34A (en) * 1987-06-29 1989-01-11 Power Reactor & Nuclear Fuel Bend tube with fracture detector
JP2003065944A (ja) 2001-08-27 2003-03-05 Sumitomo Metal Ind Ltd 輸送配管の異常検出方法、輸送状況安全監視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34A (en) * 1987-06-29 1989-01-11 Power Reactor & Nuclear Fuel Bend tube with fracture detector
JP2003065944A (ja) 2001-08-27 2003-03-05 Sumitomo Metal Ind Ltd 輸送配管の異常検出方法、輸送状況安全監視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43B1 (ko) 2012-03-26 2013-04-23 전혜원 엔틱 간판 제작 방법
CN105387984A (zh) * 2015-10-26 2016-03-09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球磨机冲击检测的钢球连续发射装置
WO2017071056A1 (zh) * 2015-10-26 2017-05-04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球磨机冲击检测的钢球连续发射装置
CN105387984B (zh) * 2015-10-26 2018-02-16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球磨机冲击检测的钢球连续发射装置
CN106525587A (zh) * 2016-12-01 2017-03-22 郑州嘉德机电科技有限公司 爆珠烟爆珠破爆自动检测仪
KR102255807B1 (ko) 2019-12-30 2021-05-26 연중 주식회사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404B1 (ko)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KR20110089809A (ko) 액상물 충전기의 충전통로 개폐장치
KR101608832B1 (ko) 풉 스테이지 노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로드 포트
EP2017521A2 (en) Safe welding system for interventions of installation, repair, maintenance on gas methane supply piping
KR101552679B1 (ko) 질소 및 수소를 이용한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배관 세척 장치
CN205228772U (zh) 一种砂尘试验箱
ITBO20080596A1 (it) Metodo e macchina per la verifica di contenitori.
KR101382167B1 (ko) 부생가스 이송배관의 이상압력 해소장치
CN203148639U (zh) 空桶检漏装置
KR101099660B1 (ko) 연마재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이송방법
KR101613540B1 (ko) 고압부품용 누수 시험장치
KR101402994B1 (ko) 진공 리크 검사장치
JP5543427B2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のパンク検出装置およびパンク検出方法
CN205023247U (zh) 一种灰斗散装头料位检测装置
CN114350874A (zh) 一种防泄漏高炉送气装置及其安装方法
KR100815982B1 (ko) 시일포트의 가스누출 자동 감지장치
CN209559421U (zh) 一种气缸盖气密性检验装置及其控制系统
EP2199655B1 (en) A leakage control mechanism for LPG cylinders
KR101673947B1 (ko) 가스처리장치 및 가스처리방법
CA2961071A1 (en) Tire deflation apparatus and method
TWI551324B (zh) Fire extinguisher replacement method
KR100234906B1 (ko) 가스공급시스템의 유독가스 누출 감지장치
KR20120132781A (ko) 스카핑장치용 노즐 검사기
KR102135449B1 (ko) 검압장치용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브레이크 호스 검압장치의 밸브 시스템
JP5706847B2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のパンク検出装置およびパンク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0